장조와 단조 쉽게 구별하기 / 악보보는법 / 장음계 단음계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3 жов 2022
  • 장조와 단조를 쉽게 구별하는 방법입니다.
    #장조와단조 #악보보는법 #음악이론

КОМЕНТАРІ • 165

  • @soridamki
    @soridamki  Рік тому +5

    소리쌤의 [왕기초 음악이론] 책이 나왔어요. 친절한 이론+피아노로 복습+연습문제라면 왕초보에서 전문가로 변신!
    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01429369

  • @user-my4bd7zf5g
    @user-my4bd7zf5g День тому

    색소폰부는 최현이 여요
    많은 도움이 되었어요
    구독 좋아요 자주 공부하러올께요

  • @mrjuly70
    @mrjuly70 14 днів тому +1

    차분하고 친절한 말씀으로 정말 쉽게 설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구독하고 좋아요 꾹~하고 갑니다!

  • @user-mz1nf8ib9n
    @user-mz1nf8ib9n 2 місяці тому +2

    설명을 차분하게.이해하기 쉽게 정말 잘 가르켜 주시네요..최고 입니다^^

  • @user-hn5vt8eh7k
    @user-hn5vt8eh7k Місяць тому +2

    목소리도 좋고 알기쉽게 설명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음악이론이 재있게 느껴지네요

  • @user-vb4fy1vf2v
    @user-vb4fy1vf2v Рік тому +12

    처음 들었습니다.간결하며 세밀한 설명에 박수와 경의를 표합니다.이 가을에 소중한 선물로 받아들이겠습니다.감사합니다. 행복하세요.

    • @soridamki
      @soridamki  Рік тому

      귀한 댓글 감사합니다. 제게는 이 댓글이 소중한 선물이네요^^

  • @user-zn7ly9qq3m
    @user-zn7ly9qq3m Рік тому +5

    목소리도 또박또박, 글씨도 또박또박,내용도 또박또박, 필기구도 또박또박~ ❤❤❤

  • @user-ql4vz5ze8i
    @user-ql4vz5ze8i Рік тому +1

    악보보고 키 찿는 방법에 대해 그동안 다른 분들의 이런 저런 강의들을 열심히 들었슴에도
    뭔가 맨날 뿌~~우~옇기만해서 답답했었는데 오늘 드디어 그 뿌우연 안개가 확~~ 사라지네요.
    그동안 정말 알고 싶었던 내용이었는데. 고맙습니다.

  • @user-ry6ie5ji8y
    @user-ry6ie5ji8y Рік тому +9

    정말 진심으로 쉽고 간결하고 꼼꼼하게 그리고 차분하게 설명 잘 해주시네요. 최고입니다.

  • @ljm0691
    @ljm0691 Рік тому +13

    선생님의 강의는 늘 쉽고 친절해서 최고 최고 입니다~^^ 감사합니다 건강하세요 ♡♡

    • @soridamki
      @soridamki  Рік тому +1

      최고라고 말씀해주시니 기분이 최고네요^^ 귀한 댓글 감사합니다

    • @ljm0691
      @ljm0691 Рік тому

      @@soridamki 답도 감사합니다

  • @soridamki
    @soridamki  Рік тому +14

    장조와 단조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아래의 영상을 확인해 주세요.
    ua-cam.com/video/JB_zNaYIcgw/v-deo.html
    쉽게 구별하는 방법만 보고 싶으시다면,
    5:10 부터 보시면 되세요^^

  • @wonyoungjoung4334
    @wonyoungjoung4334 Рік тому +5

    악보 까만눈 눈뜨고 있다.. 고맙습니다. 좋아요~~~****

    • @soridamki
      @soridamki  Рік тому +1

      도움이 되신다니 저도 기쁘네요.
      귀한 댓글 감사합니다

  • @user-hi8qu9eg5d
    @user-hi8qu9eg5d 11 місяців тому +5

    임고 공부하는 교대생입니다. 선생님께서 너무 잘 설명해주셔서 단번에 이해했습니다! 어쩜 이리 설명을 잘 하시는지... 저도 나중에 선생님 말씀대로 가르쳐야겠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 @soridamki
      @soridamki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와...임고 공부중이군요. 교대와 임고를 지나온 1인으로, 얼마나 막연하고 힘든 시간인지 잘 알것 같아요. 해주고 싶은 말이 많을 거라고 생각했는데 막상 글로 적으려니 힘내라는 말이 가장 먼저 떠오르네요. 힘내요!!! 이렇게 열심히 공부하는 걸 보면, 꼭 멋진 선생님이 될 거예요!!!! 귀한 댓글 저도 정말 감사해요😊

  • @user-me8oy7is8w
    @user-me8oy7is8w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차분한 목소리로 친절하게 , 알기 쉽게 강의 하시어
    소중한 지식을 얻고 갑니다.
    건강하시고 많은 발전 이루세요^^

  • @user-bx5tb2cc4c
    @user-bx5tb2cc4c Рік тому +6

    언제 들어도
    친절한 설명
    귀에 쏙쏙
    넘 쉬운 명강의
    감사합니데이 ^^

    • @soridamki
      @soridamki  Рік тому

      힘이 되는
      댓글에
      저도 감사합니데이^^

  • @user-iy3ey2wv6y
    @user-iy3ey2wv6y Рік тому +1

    정말로 천천히 또박또박
    이런 선생님 처음입니다
    감사 감사 감사입니다

  • @yeonhudayo
    @yeonhudayo Рік тому +5

    이론 강의 차분하고 이해하기 쉽게 잘 해주신 것 같아요!!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좋은 강의 감사드려요!

  • @ssaybidosa
    @ssaybidosa 6 місяців тому +1

    코드를 무조건 외우기로 화성학을 독학하고 있었는데 선생님 강의를 10번 정도 반복해서 들었더니 완전 이해됐어요. 감사합니다.

    • @soridamki
      @soridamki  6 місяців тому

      우와...10번이라니
      엄청나세요!! 이해되셨다니 저도 기쁘네요^^

  • @devoteonly
    @devoteonly 8 місяців тому

    설명이 너무나 쉽네요.~^^ 장조와 단조 구분~ 어느 정도 알고는 있었는데.. 너무 쉽게 화악 다가 옵니다. 감사합니다~^^

  • @user-ge4nz7kz3r
    @user-ge4nz7kz3r Рік тому

    560번째
    좋아요
    꾸욱 눌렸습니다
    장조와단조
    강의
    잘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raykim2547
    @raykim2547 Місяць тому

    감사합니다
    영싱보고 듣고나니 유식해지는거 같습니다
    이해가 너무 잘되게 설명해주셔서 좋습니다^^

  • @user-qc4ps9mc8g
    @user-qc4ps9mc8g 7 місяців тому

    차분하게! 또박또박! 강의 정말 유익합니다.
    감사합니다.

  • @junyoungpark4752
    @junyoungpark4752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온전한 가르침에 놀랐고 행복하게도 힘든 어려움이 아니네요.최고입니다! 멋지네요!🎍

    • @soridamki
      @soridamki  7 місяців тому +1

      힘든 어려움이 아니시라니 다행이에요. 매일 조금씩 성장해가봐요^^
      귀한 댓글 감사합니다

  • @bluebirdgarden2714
    @bluebirdgarden2714 Рік тому +4

    소리쌤 감사합니다^^ 제 눈높이에 딱 맞아요...너무 귀한 자료입니다.

    • @soridamki
      @soridamki  Рік тому

      눈높이가 맞으신다니 다행이에요^^
      귀한 댓글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yi6so2uc9u
    @user-yi6so2uc9u 5 місяців тому

    정말 이해하기 쉽게 알려주시네요^^ 감사합니다

  • @user-ob6ed6tv4f
    @user-ob6ed6tv4f 6 місяців тому

    쉬운 강의, 고품질 강의. 감사합니다

  • @user-vm9uq4cc6w
    @user-vm9uq4cc6w 4 місяці тому

    저도장,단조확실하게배웠습니다아주감사합니다.

  • @kdng5
    @kdng5 Рік тому +2

    천천히 잘 설명해 주시니 잘 보았어요. 이해가 쏙 온답니다.

    • @soridamki
      @soridamki  Рік тому

      쉽게 느껴지신다니 다행이에요^^ 귀한 댓글 감사합니다

  • @user-po3fg4gq1i
    @user-po3fg4gq1i Рік тому +2

    수박 겉핥기식으로 알았는데 정말 쉽게 또박또박 가르쳐 주시는데 쉽게 가르치는것도 정말 능력입니다.
    감사합니다. ^^

    • @soridamki
      @soridamki  Рік тому

      칭찬 감사합니다. 공부하시다가 혹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로 남겨주세요 ^^

  • @user-mu1pt1um2b
    @user-mu1pt1um2b Рік тому +3

    첨 듣고 바로 구독신청!
    듣고도 좋아요 안 눌리면
    그건 반칙이죠~ㅎ

    • @soridamki
      @soridamki  Рік тому +1

      우와!!! 감사합니다^^
      좋은 영상으로 보답하겠습니다

  • @user-ul4dc1nf5o
    @user-ul4dc1nf5o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몇년을 하모니카를 불면서도 Am 키가 라가 으뜸음인 단조하모니카 라는 걸 알았는데,비로소 선생님의 설명을 듣고 이해가 되었기에 참 고맙습니다.삼도 내려간 으뜨음이 단조란 사실을 말이죠😅😅

    • @soridamki
      @soridamki  10 місяців тому

      도움이 되셨다니 저도 기쁘네요^^ 앞으로도 즐거운 배움으로 함께하면 좋겠습니다.

  • @sungjunpark5541
    @sungjunpark5541 Рік тому +2

    여기서 공부해야지.... 방송 자체가 편안하게 느껴지고 이해가 쉬워요 만년필도 ㅎㅎ

    • @soridamki
      @soridamki  Рік тому +1

      편안하게 느껴지신다니 다행이네요^^ 앞으로도 즐겁게 함께해요

  • @seagreen8775
    @seagreen8775 Рік тому

    선생님 영상 처음접합니다
    저는 아직 모가몬지 잘 모르겠으나.~~ㅎ
    몇번더 듣고 공부함 알아지겠지요.
    희망을 갖고 열심히 선생님과
    공부해 보겠습니다.
    좋아요 구독도요.~ㅋ
    또 공부하러 오겠습니다.

  • @user-bm4jv1mi7p
    @user-bm4jv1mi7p Рік тому +1

    진짜 이론설명이 짱이네요

  • @choiromi
    @choiromi 11 місяців тому

    새롭게 알아간다는것~~!! 도움 많이 됩니다~~!! 고맙습니다~~

  • @user-ks8df7hu4h
    @user-ks8df7hu4h Рік тому +2

    강의를 잘듣고 이해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 @soridamki
      @soridamki  Рік тому

      이해가 되신다니 다행이네요^^
      귀한 댓글 감사합니다

  • @user-lv2wm5cb9k
    @user-lv2wm5cb9k 6 місяців тому +1

    음악 이론 좋은 정보 감사 합니다.

  • @user-fh2ib6rb2i
    @user-fh2ib6rb2i Рік тому +2

    새로운걸 알았네요!! 감사합니다!!

  • @user-pc8tx3jl6w
    @user-pc8tx3jl6w Рік тому

    소리쌤 친절한 설명 머리에 쏘옥 들어오내요
    감사 합니다

    • @soridamki
      @soridamki  Рік тому

      쉽게 이해되신다니 저도 기쁘네요^^
      귀한 댓글 감사합니다

  • @gsjeon
    @gsjeon Рік тому +3

    침착하고 자세한 설명 잘 들었습니다.

    • @soridamki
      @soridamki  Рік тому

      도움이 되신다니 다행이에요^^
      귀한 댓글 감사합니다

  • @mindfree6109
    @mindfree6109 Рік тому

    오…알고리즘에 떠서 봤습니다.
    기타치는데 기본코드를 알 수 있어 도움이 됐습니다..ㄱㅅ😊

  • @user-st5pq7we9c
    @user-st5pq7we9c Рік тому +1

    음악을 포기했는데 정말 잘 설명해주셔서 이해가 잘 됩니다. 정말 감사해요

    • @soridamki
      @soridamki  Рік тому

      도움이 되셨다니 저도 기쁘네요^^

  • @gooam1871
    @gooam1871 Рік тому +2

    감사합니다
    정말 쉽게 설명 잘해주시네요😊

    • @soridamki
      @soridamki  Рік тому

      쉽다고 말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 @naturalr.
    @naturalr. Рік тому +4

    선생님이 배워준 조표순서 기억하는방법 파도소리라면서를 되새기면서 오늘도 알기 쉬운 강의 잘 듣고갑니다, 선생님최고예요, 감사합니다!

    • @soridamki
      @soridamki  Рік тому +1

      우와!!! 조표 영상도 모두 보셨군요^^
      힘이 되는 댓글 감사합니다. 최고예요!!!

    • @user-qd8wy8bu6n
      @user-qd8wy8bu6n 10 місяців тому

      ​@@soridamki552

  • @classictenor2jinsu
    @classictenor2jinsu 3 місяці тому

    장조 단조를 찾는방법 이해됐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if2ks6hz3v
    @user-if2ks6hz3v Місяць тому

    항상 감사합니다

  • @JamesWLee-uh9jq
    @JamesWLee-uh9jq Рік тому +1

    제가 필요한 바로 그 내용! 진심으로 감사드려요

    • @soridamki
      @soridamki  Рік тому

      필요하셨다니 저도 기쁘네요^^
      귀한 댓글 감사합니다

  • @user-ug3fr2kg7r
    @user-ug3fr2kg7r 3 місяці тому

    세밀하게 잘 가르쳐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user-dx8tt9wn4v
    @user-dx8tt9wn4v Рік тому +1

    첨. 왔는데 쉽게. 잘. 알려주네요 감사합니다

    • @soridamki
      @soridamki  Рік тому

      귀한 댓글에 저도 감사드려요^^

  • @Daegyeom-my8oz
    @Daegyeom-my8oz Рік тому

    너무 감사해요~

  • @mcpgofiful
    @mcpgofiful Рік тому +1

    구독 좋아요 알림설정 하였습니다. 선생님.... ㅋ
    무슨말인지 모르겠지만... 몇번 봐야겠네요..
    기타를 늦게 시작하는데.. 도레미파솔라시도로 가다가
    이제 도미솔 레파라 미솔시 연습중인데 이게 메이저 마이너
    왔다리 갔다리 하는데 참 쉬운듯 하면서도 어렵기도 하네요..
    복잡해서 어렵기 보다는 언젠가 깨달음을 얻을거 같다는 그런느낌..
    음악이란게 참 오묘합니다. 언어랑은 다르게...
    국어랑 수학이랑 이런 차이...
    감사합니다.

    • @soridamki
      @soridamki  Рік тому

      안녕하세요
      기타 연습하시면서 음악 이론까지 공부하시느라 많이 어려우시죠? 그래도 새로운 도전을 하신다니 정말 멋지세요^^
      도레미파솔라시도부터 메이저 마이너와 관련된 내용들을 소리담기 재생목록 중 음악 이론 파트에 정리해놓았어요. 살펴보시고, 더 궁금한 내용이 있으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저도 최대한 영상에 담아보겠습니다.
      앞으로의 기타 연주 응원하겠습니다

  • @user-mp8ow3bg8q
    @user-mp8ow3bg8q Рік тому +1

    감사합니다. 제가 찾고 있는 영상이네요.

    • @soridamki
      @soridamki  Рік тому

      도움이 되셨다면 다행이에요^^

  • @user-up4md9lp8p
    @user-up4md9lp8p 6 місяців тому

    아주 좋아요 근데 갑자기 이것만 보고 알려니 이해가😂

  • @user-xh8eu3yz4l
    @user-xh8eu3yz4l Рік тому +1

    소리쌤 최고♡♡♡

  • @user-rd5ic5ug7b
    @user-rd5ic5ug7b Рік тому +1

    간결 설명 감사합니다

    • @soridamki
      @soridamki  Рік тому

      귀한 댓글 감사합니다

  • @user-je1be4ud8i
    @user-je1be4ud8i 9 місяців тому

    장조 단조를 영어로 말해주시니 좋아요 빨리 머리에 들어와서

  • @user-hx3nv7qo1z
    @user-hx3nv7qo1z 7 місяців тому

    참 잘설명하셨어요

  • @user-lb6kg2ii6t
    @user-lb6kg2ii6t Рік тому

    너무 감사드립니다

  • @user-gy3ji4ly4l
    @user-gy3ji4ly4l Рік тому

    고맙습니다!!!

  • @user-pp9sf6sb2q
    @user-pp9sf6sb2q Рік тому +1

    설명잘듣고갑니다

  • @user-cc3vv2qe1e
    @user-cc3vv2qe1e 4 місяці тому

    저도 궁금합니다
    물론 알려주신 방법이
    기본적인 방법으로
    한 80프로 곡들은 적용되겠으나
    그렇지않은 곡들도 꽤있습니다 특히 요즘곡
    예를들어
    부활의 사랑할수록 노래는
    샵 1개에
    G코드로 시작해서
    Am7코드와 라음으로
    끝나고 있습니다
    이렇게 일부러 변화를 주려고
    다른 코드와 다른 음으로
    끝나는 곡들은
    보다 확실한 방법이 필요한데요
    어떤 방법이 있을까요?

  • @user-ho7ox8ky5q
    @user-ho7ox8ky5q Рік тому +1

    구독 좋아요 누르고 갑니다^♡^

    • @soridamki
      @soridamki  Рік тому

      구독 좋아요 감사합니다 ^^

  • @user-cc3vv2qe1e
    @user-cc3vv2qe1e 4 місяці тому

    궁금해서 다시금 여쭙니다.
    물론 알려주신 방법이
    기본적인 방법으로
    한 80프로 곡들은 적용되겠으나
    그렇지않은 곡들도 꽤있습니다 특히 요즘곡
    예를들어
    부활의 사랑할수록 노래는
    샵 1개에
    G코드로 시작해서
    Am7코드와 라음으로
    끝나고 있습니다
    이렇게 일부러 변화를 주려고
    다른 코드와 다른 음으로
    끝나는 곡들은
    보다 확실한 방법이 필요한데요
    어떤 방법이 있을까요?

  • @na_woon_gyu
    @na_woon_gyu 10 місяців тому

    감사합니다❤

  • @user-tj2hd7ep3g
    @user-tj2hd7ep3g Рік тому +2

    전 악보는 읽지 못하고 절대음감도 아니고 그냥 음악 듣는데 취미 입니다. 그래도 많이 들오니까 단조는 항상 반음이 섞여 있더군요.

    • @Poison_K
      @Poison_K Рік тому

      단조는 항상 반음이 섞여 있다는 말씀이 언듯 이해가 안 되는데, 조표에 있음 샾이나 플랫 외에 임시표로 샾이나 플랫이 있다는 말씀인가요??

  • @user-gj2ws3vp9x
    @user-gj2ws3vp9x 6 місяців тому

    감사합니다

  • @yangseongun
    @yangseongun 3 місяці тому

    친절한 설명 감사해요..
    곡들을 보면 다른 장조의 다양한 악보가 있는데.. 이건 어떻게 봐야 할까요???

  • @user-hx7mg2th9e
    @user-hx7mg2th9e 2 дні тому

    어렵네요 다시 자세히 봐야겠어요

  • @jjproject8831
    @jjproject8831 7 місяців тому

    항상 좋은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한가지 질문드릴것은 위에 조표와 끝나는 음을 보고 장조, 단조 key 찾는법이 절대적인건가요 아님 예외가 있나요? 부탁드립니다.

  • @mxtac2
    @mxtac2 Рік тому +11

    장조 단조는 나란한조 인 경우 논리적으로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이 없죠. 저도 작곡전공이고 활동도 했지만 제가 쓴 곡도 결론을 내리기 어렵습니다코드 C로 시작해서 Am 로 끝나면 어느 키인지 애매하죠. 나란한조는 스케일도 같고 다이아토닉코드도 완전히 같으니까 딱 떨어지는 경우가 아니라면 논리적 구분이 어렵습니다. 물론 딱 떨어지는 경우에 대해 영상으로 잘 알려주셨네요

    • @soridamki
      @soridamki  Рік тому +1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딱 떨어지는 경우와 관련한 영상이었어요. 주신 의견도 잘 기억하도록 하겠습니다.

    • @user-vm9uq4cc6w
      @user-vm9uq4cc6w 4 місяці тому

      감사드려요

  • @Lee_Sharon
    @Lee_Sharon 2 місяці тому

    방송을 잘 이해했는지 연습문제도 올려주면 좋겠어요~^^

    • @soridamki
      @soridamki  2 місяці тому

      준비해보겠습니다 ^^

  • @user-hy6yq4xu3w
    @user-hy6yq4xu3w Рік тому

    천상의 목소리를

  • @musecine
    @musecine Рік тому +2

    끝나는 음이 노래의 마지막 끝을 말하는 건가요? 이거 보다가 정승환 눈송이 악보를 보니 F major key 라고 해석이 되는데 맞는건지 궁금하네요. 어릴적 음악 시간엔 왜 이런 개념이 안 잡혔지? ㅋㅋ

  • @kjlee8014
    @kjlee8014 Рік тому +1

    차분한 설명 너무 좋아요 ~ 그런데 프렛에서 근음찾는게 설명이 좀 부족해용 . F key이외에는 온움이 아닌 반음 내리는거로 알고 있었는데 설명이 안나오네요 ~

  • @user-vb2ub2tu2b
    @user-vb2ub2tu2b Рік тому

    조성 찾는 건 맞지만 끝나는 음이 으뜸음이 되는 경우는 1/3~1/4 밖에 안되기 때문에 그렇게 파악하면 안될듯합니다. 코드가 들어가야 확실해지죠.

  • @soxee6715
    @soxee6715 Рік тому

    끝나는음은 그 악보의 맨 마지막 마디에서 체크하는건가요? 아니면 한줄에 마지막마디를 확인해도똑같나요?

    • @soridamki
      @soridamki  Рік тому +1

      안녕하세요 악보의 마지막 마디를 말씀드린 거였어요 ^^

  • @Lelecha7
    @Lelecha7 25 днів тому

    소리쌤 으뜸조 나란한조 버금딸림조? 알려주세용!!

  • @user-sd2jh4vd9q
    @user-sd2jh4vd9q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최고의.강사😂😂😂😂😂😂😂

    • @soridamki
      @soridamki  11 місяців тому

      감사합니다 *^^*

  • @user-ew5dp4zy6y
    @user-ew5dp4zy6y 6 місяців тому

    그럼 C장조는 무조건 "도"로 끝이나고
    반대로 단조일때는 무조건 "라"로 끝나나요?

  • @user-zi5ge6mh2x
    @user-zi5ge6mh2x 8 місяців тому

    쩐다...

  • @stevenkim3781
    @stevenkim3781 Рік тому

    선생님의 강의를 듣고 You Tube에서 우리 가곡 김동진 선생의 악보를 봤어요.
    조성은 Eb(내림 마장조)로 표기돼 있는데, 끝나는 음은 C음이라, 선생님 가르치이라면 c Minor(다단조) 아닌가요?
    곡을 소개하는 책에는 내림 마장조라 돼 있어 좀 혼동스러워 질문드려요.

  • @user-nl7xt4ur2u
    @user-nl7xt4ur2u 4 місяці тому

    맨날들어도 이해가 안가요 ㅋㅋ 노래좀 배우는 중입니다 ㅎ ㅎㅎ

  • @jaehyeongyoo9111
    @jaehyeongyoo9111 Рік тому +1

    🎉

  • @user-jo8oc9et9g
    @user-jo8oc9et9g 4 місяці тому

    1) #이 3개일때 라(A키)가 으뜸음이고 본음 라 를 포함한 3음아래가
    단조 으뜸음 이것은 파가 으뜸음일텐데 여기에서
    반음 올려서 파#이 으뜸음 이라면 음정 거리가 맞는것입니까?
    파에 이미 #이 붙어서 F#m라고 하는데 음의 간극이 안 맞는거
    같아서요. 내가 뭔가 잘 알지 못하고 착각하고 있을 것인데 자세히
    알려 주시다면 감사가하겠습니다.
    2) 단조 으뜸음을 찾을때 끝나는 음이 F#m일때 즉 #이 3개 붙었을때 오선지 악보에서
    파에 콩나물머리가 표시되는것은 맞는것인가요? 파에서 반음 올린표시는 콩나물'
    머리로는 표시를 못하니까 그대로 파줄에 끝나는음을 표시하고 우리가 읽을때는
    F#m라고 읽는 것입니까?

  • @user-if7ke3dk8o
    @user-if7ke3dk8o 3 місяці тому

    좋아요

  • @user-sq1ni6gy2w
    @user-sq1ni6gy2w 2 місяці тому

    악보를 보고 장조인지 단조인지 구분하기 힘들었는데, 설명 듣고나니 의문이 해소됩니다
    그런데 레로 끝나면 왜 장조이고, 시로 끝나면 단조인가요?

  • @user-jo8oc9et9g
    @user-jo8oc9et9g 4 місяці тому

    C D E F G A B 이런순서의 장조으뜸음에서 단조 으뜸음을 찾을려면 자신을 포함해서
    3칸 아래로 내려간다고 했잖아요? 그렇다면 A 장조 으뜸음에서 3칸 아래는
    F가 될텐데 E와 F는 반음이면 E를 기준으로 F는 반음 여기에서 F#을 하게되면
    3칸 아래가 맞는가요?2칸 반이 될것 같은데요. 물론 오선지에서 조표를 보면
    파에 #이 걸려 있어서 F#m 가 맞기는 합니다만 이거 당최 햇갈립니다.
    시원한 답변과 이해를 할수 있도록 좀 알려 주세요.

  • @Opheliabuckingham
    @Opheliabuckingham Рік тому

    잘 보구가요 ^^

  • @ojeefafa6622
    @ojeefafa6622 11 місяців тому

    ??? 끝나는 음이 항상 으뜸음일 수는 없음. 시작음과 끝나는 음의 코드를 봐야 함.

  • @user-jq2ot8vy1f
    @user-jq2ot8vy1f Рік тому +2

    C키의 끝나는 음이 도 또는 라가 아니면 어떻게 하나요?

    • @soridamki
      @soridamki  Рік тому +2

      그러면 끝나는 마디의 코드를 살펴 주시면 좋아요^^

    • @sukkim8445
      @sukkim8445 Рік тому

      @@soridamki 이래서 쉬운 방법이 없는거죠. 곡이 끝나는 느낌이 아니라 그냥 무한 반복되면서 fade out으로 사라지게 만드는 곡들도 많죠. 게다가원래 악보에는 코드가 안나오지 않나요? 그래서 자신이 코드를 따야 하는 경우는 어떻하죠? 만약 키는 C인데 시작하는 코드나 끝나는 코드가 C도 아니고 Am도 아니면? 사실 이런 경우도 흔하지요.

  • @user-ec7hi4mo8h
    @user-ec7hi4mo8h Рік тому +1

    끝나는 음이 단조 으뜸음과 장조 으뜸음을 둘 다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 어떻게 구별하나요?

    • @soridamki
      @soridamki  Рік тому +1

      끝나는 음은 하나로 끝나게 될 건데 둘을 포함하고 있다는 건, 소프라노와 알토음이 동시에 울리는 화음이실까요? 혹시 어떤 노래일까요?

    • @user-ec7hi4mo8h
      @user-ec7hi4mo8h Рік тому +1

      @@soridamki 보통 피아노 치면 맨 마지막음은 절대 하나가 아니고 한 7개 6개씩 있지 않나요? 그런 경우는 어떻게 아나요?? 예시는 전부 끝음이 한개라고 가정하셨는데 유치원생이 배우는 악보 정도가 아니면 다 끝음이 2개 이상이던데요 ㅠㅜ

    • @user-ec7hi4mo8h
      @user-ec7hi4mo8h Рік тому +1

      @@soridamki 초등생들이 치는 악보만 봐도 높은음자리표랑 낮은음 자리표를 둘 다 쓰고 있잔항요? 그러면 최소 음이 2개 이상이 되겠죠?

    • @yeonhudayo
      @yeonhudayo Рік тому +1

      @@user-ec7hi4mo8h 화음때문에 헷갈리시는것같아요! 피아노 악보에서 보통 높은음자리표에 제일 윗 음이 주선율이고 그 밑 나머지 음들과 낮은음자리표 음들은 주선율을 화성적으로 보조해주기 위한 역할이기때문에 탑노트(제일윗음) 보시면 될 거예요. 영상에서 예시로 들어준 단선율들도 밑으로 음을 쌓아 화음으로 꾸며줄 수 있습니다!

    • @user-ec7hi4mo8h
      @user-ec7hi4mo8h Рік тому +1

      @@yeonhudayo 넵 감사합니다^^

  • @arzent
    @arzent Рік тому

    스무 살에 기타를 독학하고 20년 정도 지나서 우쿨렐레를 시작하고 지금까지 즐기고 있습니다
    스물 한 살에 화성학이라는 게 있다는 걸 알고 책을 샀습니다만..분명 한글로 적혀있는데 무슨 얘기인지 하나도 모르겠어요. 그래서 공부는 포기했지요
    그래도 기타를 칠 때 C코드를 잡고 있으면 이게 C코드인데 도대체 무슨 음들을 소리내고 있기에 한 줄만 잘 못 잡아도 소리가 이상해질까? 그래서 살펴보니 도 미 솔이었어요
    아 그럼 D코드는? 레 파 라겠네 보자..레 파#..어째서 파가 아니고 파#이지? 아..첫 음과 두 번째 음은 반음 네 개 차이, 두 번째랑 세 번째 음은 반음 세 개 차이 m코드는..반음 세 개, 반음 네 개 간격이네. 그렇게 궁금한 건 하나 하나 삽질하면서 깨우쳤어요
    그러다가 우쿨렐레 하면서 욕심이 생기니 자연스레 화성학을 건드리게 됐어요
    예전에는 무슨 말인지 몰랐던 게 갑자기 무슨 말인지 알게 되지는 않죠. 그래도 가만히 보니 반음 네 개 차이 , 세 개 차이 그러던 게 장 3조, 단 3조 뭔가 간단하고 전문적으로 보이는 말로 적혀있는 거죠
    어쨌든 삽질하며 혼자 깨우친 게 기본 화성학 부분이었기에 이번엔 무슨 얘기인지 알겠더라구요
    화성학을 공부하면서 #이랑 b이 붙는 순서랑 붙었을 때 무슨 조인지 장조, 단조 이런 건 알게 됐는데..
    왜 그런 순서로 조표가 붙는지, 왜 조표가 몇 개 붙었을 때 해당 조의 으뜸음은 그게 되는지 알려주는 몇 종류 가지고 있는 화성학책 중에는 없더라구요
    그래서 보니 b이 붙으면 마지막 b붙은 음이 해당 음계의 4음 그러니까 파가 되어 조는 무슨 조가 되고
    #이 붙으면 마지막 # 붙은 음이 해당 음계의 M7 즉 시가 되니까 조는 무슨 조가 되더라구요
    그럼 조표가 붙는 순서는? 혹시나 알 수 있을까 싶어서 이 영상을 봤지만 왜 그런 순서로 붙는지는 안 나오네요
    제가 '이렇게 조표를 붙이자' 그렇게 처음으로 정한? 법칙을 발견한? 사람이 돼보자 하고 궁리하다가 아 그래서 이런 순서로 붙는구나 하는 뇌피셜 이론은 있습니다만..
    왜 조표는 그런 순서로 붙는지는 여전히 궁금합니다
    여기 구독해놓고 혹시나 알 수 있는 영상이 있을까 살펴보려고 하는데..
    왜 조표가 그런 순서로 붙게 됐는지에 대해서 다루신 영상도 있나요?

    • @soridamki
      @soridamki  Рік тому

      안녕하세요 ^^
      조표가 붙는 이유라면
      ua-cam.com/video/JB_zNaYIcgw/v-deo.html
      이 영상에 정리하였습니다. 이 영상을 통해 궁금하신 점이 해결되셨으면 좋겠네요. 열심히 공부하시는 열정, 응원합니다!!!

    • @arzent
      @arzent Рік тому

      @@soridamki 그 영상은 제일 처음에 본 영상인 것 같아요. 알고 있는 내용이구요. 왜 파 도 솔 레 라 미 시 순서로 #이 붙는지
      시 미 라 레 솔 도 파 순서로 b이 붙는지 그게 궁금한 거죠
      5도권? 그런 건 그게 먼저 있고 그 순서대로 조표가 붙는 건가요 아님 조표가 붙는 순서로 정리를 하니 그런 게 나온 건가요?
      화성학책을 봐도 그렇고..조표를 붙는 순서로 정리를 해보니 나온 게 5도권인 거 같은데..
      # 하나가 붙는 건 왜 파인지 두 개가 붙으면 왜 파, 도에 붙는지..그 순서가 그렇게 정해진 이유 말이죠
      하나 하나 다 해보니까 하나 붙을 땐 파에 붙여야 도 레 미 파 솔 라 시 도 음계 간격이 맞네..그런 식으로 하나 하나 대입해보고 정해진 건가 하는 거죠
      그건 아닐 것 같고 그냥 제 뇌피셜이지만 이래서 이런 순서로 하나씩 추가되는 걸까 그런 생각만 하고 있는 건 있지만..
      정확하게 어떤 방법으로 그렇게 정했을까 그게 궁금한 거였어요

  • @user-zi2mx5th1l
    @user-zi2mx5th1l Рік тому +1

    장조 단조(긴 장, 짧은 단)보다 명조 암조( 밝을 명, 어두울 암) 라고 해야 직관적으로 와 닿습니다.
    영어의 Major(주조, 주된 조성), minor(부조, 주되지 않은 조성)도 Bright Key, Dark Key가 적합하다고
    봅니다. 한국어의 길고 짧음개념은 아예 말도 안되는 번역(?)이 아닐까요.

    • @mcpgofiful
      @mcpgofiful Рік тому

      이런 댓글 정말 좋네요..

    • @user-vb2ub2tu2b
      @user-vb2ub2tu2b Рік тому +3

      그렇게 되지 못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교회선법(모드)을 공부하시게 되면 꼭 장조 처럼 1도 코드나 단조의 6도 코드로 시작하지 않는 곡들이 꽤나 많습니다. 장조 단조의 체계는 80%의 곡의 경우가 1도나 6도로 시작해서 대표성을 띄기 때문에 정립된것이지 나머지 20%의 곡을 설명할수 없습니다. 그때는 무조건 모드가 필요합니다. 이때 무조건 밝다 어둡다라는 내용으로는 설명이 안됩니다. 아이오니언(장조),리디언,믹소리디언의 경우는 밝고, 에올리언(단조),도리언,프리지언,로크리언의 경우는 대체로 어둡다라고 설명할수 있습니다. 물론 예외는 있습니다.

  • @JM_WIND
    @JM_WIND Рік тому

    잘봤습니다. 쉽게 설명해주셨네요. 그런데 저는 발음이 장조, 단조가 아닌 ‘장쪼’, ‘단쪼’ 이렇게 들리네요. 제가 예민하고 이상한가요..?? ㅎㅎ 죄송합니다.

    • @soridamki
      @soridamki  Рік тому +4

      국어사전의 발음 부분을 확인해보시면 단조와 장조가 발음에서는 [단쪼] [장쪼]로 발음나는 것이 맞습니다^^

  • @user-ri4of1kk6v
    @user-ri4of1kk6v Рік тому

    선생님.강의진심으로감사드립니다.글씨 좀 크게써주세요.

    • @soridamki
      @soridamki  Рік тому

      댓글 감사합니다
      글씨는 더 크게 쓸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user-gb6it2lk6v
    @user-gb6it2lk6v 4 місяці тому

    글씨가 조금만 크게 쓰면 좋겠습니다 ^^

  • @user-ft4nf9cq1n
    @user-ft4nf9cq1n Рік тому +2

    😂

  • @user-kx1kr5bb7t
    @user-kx1kr5bb7t 6 місяців тому

    기초지식이없는 사람은이해하기어렵네요

  • @chds5pyc613
    @chds5pyc613 Рік тому +1

    거참 요상하네요 머리에 속속입력되는게 겁나네요

    • @soridamki
      @soridamki  Рік тому

      쉽게 이해되신다니 저도 기쁘네요^^

  • @user-qd8wy8bu6n
    @user-qd8wy8bu6n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