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950X vs 12900K, 공랭/수랭 차이와 언더볼팅까지 7950X의 거의 모든 것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3 лют 2025

КОМЕНТАРІ • 321

  • @JOGUNCOM
    @JOGUNCOM 2 роки тому +2

    굉장하네요! 설명도 귀에 쏙쏙 잘보고갑니당 ㅎㅎ

  • @mind1754
    @mind1754 2 роки тому +83

    언더볼팅으로 이렇게 극적인 수치는 처음보는 것 같습니다.
    민티저님의 실험정신을 좋아합니다.
    이번 영상을 위해 많이 시간과 노력이 투입되었음에 감사드립니다~~
    흥하자 민티저

    • @minteger
      @minteger  2 роки тому +12

      좋은말씀 해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 @사이-p9h
      @사이-p9h 2 роки тому +5

      이야 공랭으로 돌릴 수 있는 시대가 왔네요 오히러 인텔은 공랭으로 못할 것 같아요 이제 수냉시대는 지나간 것 같아요.
      7600x가 가능해도 가성비가 좋지 않아서 7950이 더 낫다고 봅니다 절반에 저 정도 스펙이면.. 가격이 문제지만 ㅠ 그래도 성능차이가 별로 나지 않는 시점에서 최고급 cpu 공랭은 획기적인 생각으로 기억될 것 같아요

  • @masterpeace5439
    @masterpeace5439 2 роки тому +40

    AMD는 원래 언더볼팅이 진리 입니다. 명확히 잘 설명해주셔서 좋네요.
    이걸로 알 수 있는 사실은 클럭을 조금 제한하더라도 5GHz 고정 클럭에 언더볼팅을 해서 -20도의 발열감소 효과와 -50W의 전력감소 효과로 인해 공냉쿨러 장착이라는 쿨러 비용 절감 효과를 누릴 수도 있고 (쿨러 값에서만 -10만원 정도) 또한 50W 전력이 더 낮은 파워를 선택할 수도 있으며 메인보드 전원부가 조금 더 가성비에 맞춰진 가성비 보드를 고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언더볼팅은 이런 연쇄적인 장점을 이뤄낼 수 있는게 장점이며 위에 설명한 것 처럼 쿨러, 보드, 파워의 비용이 절감된 비용을 클럭이 5GHz로 고정되어 발생하는 프레임 손실을 6000~6400MHz의 고클럭 램 구입 비용에 투자하면서 어느정도 상쇄시킬 수 있습니다. (오히려 성능이 잘 나올 수도 있습니다. 민티저님께서 이것도 테스트 해주시면 정말 좋겠네요)
    참고로 이런 언더볼팅의 효과는 AMD가 TSMC한테 맡기다보니 제품마다 편차를 고려하여 전압을 너무 넉넉히 줘서 그런가 옛날부터 있어왔던 문제 입니다. 라이젠 5000번대에서도 이 현상은 존재했습니다만 그때는 인텔이 너무 형편 없던 시절이라 대충 써도 인텔보다 좋았으니까 언더볼팅의 중요성이 덜 부각되었던 것 뿐이죠.
    아무튼 7000번대 라이젠은 성능면에서는 잘 나온 제품이 확실하지만 이번에 소비자들의 실망이 큰게 환율로 인한 가격부담, 그리고 전력과 발열이었습니다.
    이 영상을 통해 전력과 발열에 대해서는 부담을 많이 덜 수 있겠군요. 거기에 추가로 발열과 전력감소가 가져오는 쿨러, 보드, 파워 비용 부담 감소의 효과까지 연쇄적으로 발생하구요. 게이머들은 언더볼팅을 하고 절감된 비용으로 고클럭 램에 투자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민티저님, 7950X 기본 + 4800MHz VS. 7950X 언더볼팅 + 6000MHz 테스트도 해주시면 좋겠습니다 ㅎ

  • @ywn1999
    @ywn1999 2 роки тому +42

    정말 좋은 내용이네요... 결국에는 인텔하고의 경쟁 압박에 무리하게 스윗스팟을 넘긴거네요....
    이렇게 치고받고 싸워야 소비자가 좋죠^^
    좋은 리뷰 잘보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minteger
      @minteger  2 роки тому +9

      제가 테스트한 CPU외 다른 7950X들의 스윗스팟은 다를 수 있겠지만 전반적으로 봤을 때 맞습니다!

    • @jsy1067
      @jsy1067 2 роки тому +8

      cpu건 gpu건 경쟁으로 찜통에 전력은 냉장고보다 더먹는 파워커지고 수냉으로 부피커지고 이게 올바른 발전방향이 맞나싶어요 ㅜ

    • @태정태세문단속-i3k
      @태정태세문단속-i3k 2 роки тому +2

      @@jsy1067 맞을겁니다...지금까지도 계속 그렇게 뻥튀기 되다가 혁신적으로 바껴서 자리잡히고 그랬거든요..

    • @ALPHEON13
      @ALPHEON13 2 роки тому +4

      GPU쪽이 심각합니다.
      일반유저는 1060, 1660수준이면 충분합니다.
      가격적으로나 성능적으로나...
      지나친 오버스펙은 돈지랄임!

    • @곽정규-y7k
      @곽정규-y7k 2 роки тому

      @@ALPHEON13 QHD 144 레이트레이싱 풀옵 하면 DLSS 써도 3090으로도 부족하던데...

  • @lgj0508
    @lgj0508 2 роки тому +9

    항상 전문적인 영상 감사합니다🙏

    • @minteger
      @minteger  2 роки тому +2

      항상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으후루꾸꾸루후으-m3j
    @으후루꾸꾸루후으-m3j 2 роки тому +80

    40W면 왠만한 선픙기 한대 소비전력이 아껴지네요… 온도도 잡히니 1석2조 ㄷㄷ

    • @minteger
      @minteger  2 роки тому +12

      상당히 많이 내려가더라구요~

  • @당근당근-j8v
    @당근당근-j8v 2 роки тому +4

    굉장히 유익하고 가치있는 영상입니다

  • @justinpark71
    @justinpark71 2 роки тому +24

    갠적으로 CPU.GPU 모두 전력 대비 성능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서 언더볼팅 테스트를 많이 해보는 데 역시 이 부분에서는 강점을 보일 듯 하네요.
    라이젠 7000 대 그냥 넘기려고 했는데 다시 생각해 봐야 할 듯. 좋은 참고가 되었습니다.

  • @이성영-g2y
    @이성영-g2y 2 роки тому +2

    언더볼팅 리뷰는 첨 봤습니다.의미있는 리뷰!

  • @LF-Daleth
    @LF-Daleth Рік тому

    7900x 언더볼팅에 많은 참고가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 @para5973
    @para5973 2 роки тому +2

    영상 역시나 좋네요👍
    민티저님 이제 곧 빛을 보실 것 같습니다
    화이팅~~

    • @minteger
      @minteger  2 роки тому

      응원 감사합니다 😊

  • @politepointing
    @politepointing 2 роки тому +1

    와 이건 다른 커뮤니티나 다른 유튜브 채널에서도 꼭 다뤄야 할 내용입니다. 정말 좋네요

  • @랠리맨
    @랠리맨 2 роки тому +1

    실험영상 보니까 제대로다 하는 생각이 들정도로 멋진 실험정신임... 언제나 재밌게 보고 있네요.... 화이팅

  • @twpark92
    @twpark92 2 роки тому +8

    좋은 영상이네요. AMD 팬으로서 어떻게든 높은 수치로 새제품 런칭을 해야 하는 AMD의 고충이 느껴지네요. ㅠ.ㅠ 인텔 13세대도 장난 아니던데 14세대는 정말 우리 AMD 끝장 낼 수도 있을 것 같아서 걱정입니다.

    • @ghj5378
      @ghj5378 2 роки тому +1

      리사 누나를 믿읍시다
      훨씬 암울했던 과거를 기억하자구요

    • @LikeMint_
      @LikeMint_ Рік тому

      14세대 나오고 이 댓글 보니까 참 아이러니한...

  • @blockshot1116
    @blockshot1116 2 роки тому +1

    요즘 민티저님 영상 자주 올라와서 좋네요

  • @dakdak2827
    @dakdak2827 2 роки тому +2

    와 영상 잘 봤습니다. 저는 상상도 못한 변수가 있었네요.

  • @jn.stepbystep
    @jn.stepbystep Рік тому

    작업용으로 사용하는데 7800x3d 에서 7950x 로 바꾸려고 하는데, 공랭쿨러 그대로 써도 되겠네요.
    이제 막 컴퓨터 조립 해보려고 공부중인데... 감사합니다. 👍👍👍

  • @guruguru-me
    @guruguru-me 2 роки тому +1

    차분히 정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ohseongkwon5342
    @ohseongkwon5342 2 роки тому +1

    민티저님 이번 영상 대박 날듯하네요~ 좋은 영상 잘 보고 갑니다^^

  • @식빵에딸기쨈
    @식빵에딸기쨈 2 роки тому +5

    이제 이 영상이 언더볼팅의 시작이자 성지가 되겠네요^^

  • @김종민-p9e
    @김종민-p9e 2 роки тому +5

    전력소비, 쓰로틀링, 온도 세개를 모두 잡네요.
    7000번대 라이젠을 몇이나 살진 모르겠지만 귀중한 정보 감사합니다.

  • @순에너지
    @순에너지 Рік тому

    3개월전에 리뷰달았는데 또 달러옴 ./.. 결국 사용자는 또봐야 했던 영상임 .. 분석이나 설명이 너무 자세해서 왜 ? 라는 물음이 생기면 결국 보러와야했음 고맙습니다.

  • @ghj5378
    @ghj5378 2 роки тому

    민티저님 몇번 말씀드릴까 하다 말았는데 오늘은 도저히 못참겠네요
    우측에 원으로 빛 밝혀주는 무언가 거기에 자꾸 시선이 쏠립니다
    나쁘다는건 아니고 그렇다구요

  • @takahano
    @takahano 2 роки тому

    재밋게 잘 봤습니다 ㅎㅎ 테스트하느라 고생하셨겠네용 ㅠㅜ 덕분에 궁금하던 내용 알아갑니다

  • @brooks9331
    @brooks9331 2 роки тому

    그냥 재밌어서 쭉 시청하게 됨
    비교분석 정말 좋아요 good!!!

  • @clubsbs78
    @clubsbs78 2 роки тому +1

    라이젠 7000시리즈는 언더볼팅 메리트가 상당히 좋네요. 영상 잘 봤습니다.

  • @korlee4878
    @korlee4878 2 роки тому

    7950x 영상 중 가장 와닿는 설명이네요.^^

  • @이병주-b2d
    @이병주-b2d 2 роки тому +4

    전력 제한을 65w로 걸어서 쓰면 전력 제한 풀어 놓은거랑 거의 없으면서 15도 이상 온도 내려 갔다는 자료도 있습니다
    씨피유 문제가 아니라 보드 초기라 바이오스 설정에 문제

  • @맥달과누
    @맥달과누 2 роки тому +3

    현업으로 3DMAX / VRAY 를 사용하고 있는 유저입니다.
    다음달에 메인 작업용으로 5950x 랑 7950x 둘을 놓고
    가성비적인 면으로 봤을때는 5950x 쪽에 기울고 있습니다.
    7950x 는 am5 소켓을 사용하고..
    지원하는 보드와 ddr5 램 그리고 소모 전력증가로 인해 파워도 1000w 이상을 써야하는 상황이 오더라구요.
    본체 하나의 견적 가격이 근 100만원 이상 차이나버리는 상황이 왔습니다..
    쓰레드갯수가 깡패인 업종이다보니 5950x 로 2대를 마춰버리는게 ...더 끌리고 있습니다 -0-;;

  • @jmp2561
    @jmp2561 2 роки тому

    와..정말 이런정보 너무 좋습니다..감사합니다.

  • @Right_hand_
    @Right_hand_ 2 роки тому +10

    AMD가 공식적으로 업데이트를 진행해야 할 것 같습니다. 진짜 꿀정보 알아가요

  • @highfly1518
    @highfly1518 2 роки тому

    캬 넘 자세한 비교
    최고최고

  • @최동준-p4z
    @최동준-p4z 2 роки тому

    이야 정말 세심한 테스트
    감동적입니다.

  • @김자건-r6j
    @김자건-r6j Рік тому

    너무 좋은 영상 잘봤습니다 그런데 바이오스에서 아무것도 안건들고
    그냥 라이젠마스터에서 올코어부스트 5.0 제한, cpu전압 1.08만 건드렸는데 이런실험결과가 나온거죠?? ㄷㄷ하네요.
    근데 질문이 바이오스에서 따로 건드려서 언더볼팅 하지말고 라이젠마스터로만해도 잘유지가되고 효율적인걸까요? 갑자기 전압이 유지가 안되고 쭉 떨어진다던가.. 하는 문제는 없을까요?

  • @paulcho3235
    @paulcho3235 2 роки тому +5

    노트북에서는 언터볼팅 하는것 봤는데 데탑에서도 하면 효과가 있군요~ 상위제품이 언더볼팅하면 공랭이 가능하다는게 놀랍네요~ 당연히 수냉가야한다고 생각했거든요~ 7600은 어떨지도 궁금하네요~

  • @아이폰-d4t2f
    @아이폰-d4t2f 2 роки тому +4

    와 역시 민티저 이거 잘만하면 라이젠5세대 기본쿨러로 사용할수도 있겠는 데요 ㄷㄷ

  • @Hwanjunehee
    @Hwanjunehee 2 роки тому +6

    컴퓨터에 관심 없는 사람이 살만한 cpu는 아니네요 ㅠ 개인적으로 좋은 cpu는 아무 설정 없이 바로 쓸 수 있는거라 생각해요

    • @minteger
      @minteger  2 роки тому

      그 말씀도 맞습니다🤓👍

    • @Hwanjunehee
      @Hwanjunehee 2 роки тому

      @@minteger 항상 소비자의 궁금한 부분을 해결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ㅋㅋ 이번 실험은 정말 유익했어요

    • @nvvAve
      @nvvAve 2 роки тому +1

      그래서 인텔이 항상 다수의 소비자 선택을 받죠 ㅎㅎ;

  • @dr7508
    @dr7508 2 роки тому +1

    저도 가성비 끝판왕 극강의 효율을 일반 유저들은 생각할 거라고 봅니다 너무나도 소중한 좋은 정보에 벤치 였다고 봅니다
    영상 감사합니다

  • @킹파니
    @킹파니 2 роки тому +8

    amd는 cpu나 그래픽카드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로 인한 성능향상의 여지가 남아있어서 늘 설레게 하죠. 근데 이게 좋은 건지 나쁜 건지 ㅋㅋㅋㅋㅋㅋ

    • @minteger
      @minteger  2 роки тому

      ㅋㅋㅋ그쵸...처음부터 잘 내는 게 맞는데

    • @fujjk-o3t
      @fujjk-o3t 2 роки тому +2

      좋게 말해서 성장형이지 따지고 보면 하자품을 내놓고 소비자들한테 테스트하게 하고 나중에 업데이트하니 ㅋㅋㅋㅋㅋㅋㅋ

  • @terreus1563
    @terreus1563 2 роки тому +1

    영상 정말 잘봤습니다
    언더볼팅 안하는게 오히려 손해군요
    어제 컴퓨터 맞춰서 사용중인데 5900x는 클럭과 전압 얼마정도로 세팅하면 괜찮을까요??

  • @JoonKimDMD
    @JoonKimDMD Рік тому

    혹시 언더보트 하면 아이들 상태에서도 온도가 낮아지나요? 저는 7900x 쓰는데 아이들에 45-50도 나와요. 그리고 바이오스에서 최대온도를 70,80,90 도 중 하나로 설정하는게 있는데 이건 최대온도에 따른 전력일뿐 언더볼팅과는 다른가요?

  • @taiji_boy
    @taiji_boy 2 роки тому

    작업 과정도 영상에 있으면 좋았을...
    김치찌개를 다 끓인걸 보여주는거보다 만드는 과정을 보여주면 더 맛있잖아요?ㅎㅎ

  • @이다롱-w3r
    @이다롱-w3r 2 роки тому +2

    언더볼팅에 클럭은 5 아 수첩에 저장 해둘께요. 7000 시리즈 할때 그렇게 하는게 소비자에게 유리 하겠어요.

  • @paullim23
    @paullim23 2 роки тому +1

    인텔 CPU도 궁금해지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siajin9693
    @siajin9693 2 роки тому +1

    이번 라이젠 너무 뜨겁다고 말이많아서 랩터레이크 나오면 그쪽으로가야하나 했는데 이런게 있었군요!

  • @신나이-f9k
    @신나이-f9k 2 роки тому

    좋은 정보 알찬 내용~~

  • @외노자-l9k
    @외노자-l9k 2 роки тому +2

    이게 리얼 프로테스터다

  • @긔신_ChibiGhost
    @긔신_ChibiGhost Рік тому

    이번에 7950x 구매했는데 아직도 온도가 너무 높은 증상이 그대로 있어서 언더볼팅을 하기로 맘먹고 이 영상 버고 5.0Ghz에 전압 1.1로 설정하니 온도가 팍 내려가서 너무 기뻤습니다. 근데 한편으론 걱정도 되는데 이렇게 오래써도 안정적으로 사용이 가능할까요?

  • @KharismaKoo
    @KharismaKoo 2 роки тому

    와 다른곳에서는 볼수 없던 좋은 정보네요. 다른 제품 헤드룸도 꼭 한번 확인 부탁드립니다.

  • @Double_Blanco
    @Double_Blanco Рік тому

    진짜 제가 블렌더랑 게임 하는게 사용목적이 이렇게나 일치할수가.. 블렌더에서도 언더볼팅한게 이점이 많을까요?
    일단 구독박고갑니다!! 이번에 7950x3d 딱 구매했는데 이렇게 좋은채널을 알려주네요

  • @appleloss
    @appleloss 2 роки тому +15

    커브 옵티마이저로 세부적으로 조정해주면, 단일코어 쓸 때 성능도 유지하면서 풀코어 온도도 잡는 최고의 세팅을 찾을수는 있겠네요. 엄청난 노가다고 시간도 많이 들겠지만요...

    • @Tirelake
      @Tirelake 2 роки тому

      이게 정답인 거 같네요. 저도 5900x로 CO 해보니 확실히 싱글 성능은 올라갑니다. 멀티가 그만큼 안따라줘서 포기하고 CTR로 화귀했지만요.

  • @iltaelee8708
    @iltaelee8708 2 роки тому +5

    뚜따 보다 훨씬 안전하고 손쉬운 방법이네요. AMD가 몰랐을리 없고, 인텔과 치열하게 클럭 경쟁을 한다는 생각이 드네요. 어느 유튜버( der8auer )보니 뚜따로 20도 가까이 내리고, 클럭은 100~200 더 높이더군요.
    뚜따 결과를 보고, 유행하겠다 했는데, 오히려 안전하고 쉬운, 언더볼팅이 유행할 듯!!

  • @쿠루루-k8f
    @쿠루루-k8f 2 роки тому

    여기와 상관없는 질문이긴 한데
    영상에 나온 JONSBO HX6250 쿨러로 5800x3d 온도 잡힐까요? 요새 5800x3d의 인기가 많아져 구입고려중인데 수냉은 싫고 가성비로 좋은 공냉으로 달까해서 질문드립니다.

  • @JOPOK-PANDA
    @JOPOK-PANDA 2 роки тому +1

    라이젠 5 7950x 표기가 되어 잇는거 같은데 5세대를 얘기하는건가요? 아니면 표기가 잘못 된거 같은데요~~^^
    7000번대나 13세대나 초반에 완벽한 성능이 올라오기 어렵지 않을가 싶어요.
    아직 안정화들이 안되서 바이오스도 불안하고 설정이 안되는 경우도 잇고 참 애매하게 보이네요.
    분명히 좋은건 알겟는데 게임하는 사람들에게는 크게 의미가 잇을까 싶기도 하고 뭔가 아쉽기도 하고 13세대가 기대되기도 하고 그러네요.
    테스트 영상 잘 봣습니다. 수고하세요.

  • @hyunsukkim5773
    @hyunsukkim5773 2 роки тому +2

    아무래도 cpu 작동하는 값에 업데이트가 필요할거 같네요 그러면 성능이나 온도도 좀더 안정적으로 될거 같네요

  • @nanim2927
    @nanim2927 2 роки тому +1

    이럴거면 언더볼팅먹인 사양으로 쓸수있는 세팅도 amd 쪽에서 내줘야하는거 아닐까 싶을정도네요
    점수놀이 하고 싶지않고 안정적으로 착한 전력, 착한 성능, 착한발열로 쓰고싶은 사용자들은 인텔이랑 경쟁하려고 억지로 성능 늘린 저 클럭까지는 필요도 없으니까요

  • @carott535
    @carott535 2 роки тому

    게임 하지 않는 저는 차후 7***x pc 맞출때 공랭+ 언터볼팅으로 해도 작업 만족도 놓을 듯 싶어서 좋은 정보 영상입니다
    참 감사합니다.

  • @brokenlanka
    @brokenlanka 2 роки тому

    이제 대세는 언더볼팅일까요? 좋은 리뷰 감사합니다. 😊

  • @Multiorga1
    @Multiorga1 2 роки тому +2

    현제 3700x 사용중인데 .. 강제 올코어4기가 전압 다이어트 해주니 발열 완전 착해졋습니다 7950 도 거의 그런거같군요 ;;

  • @안분지족라이프
    @안분지족라이프 2 роки тому

    공랭을 선호하는데 이번영상 테스트는 정말 꿀정보네요...이렇게 큰차이면 정말 말씀대로 안하면 이상한거네요...테스트하시느라 정말 고생많으셨구요..너무 잘봤습니다...^()^

  • @eddyjeong8520
    @eddyjeong8520 Рік тому

    굿이다 진짜 좋은 채널이다

  • @alyajumahn2620
    @alyajumahn2620 2 роки тому +2

    예전 팔병장 생각나네요
    못쓰는 쓰레기라고 욕 엄청 먹었지만 철 지난 다음에 전압 확 낮춰주면 생각외로 쓸만한 녀석으로 탈바꿈 되던...

  • @jesen6458
    @jesen6458 2 роки тому

    대장급 공랭으로 충분히 온도 잡을수 있네요
    라이젠 마스터에서 7600x CPU 클럭 스피드와 CPU 전압은 어느정도 맞쳐 줘야 되나요?
    라이젠 마스터 쓰면 시스템이 불안하지는 않나요?

    • @minteger
      @minteger  2 роки тому

      다음 영상이 이 주제로 올라갑니다🤓👍

  • @naturalbornweakness
    @naturalbornweakness 5 місяців тому

    저는 ASUS X670E 보드에서 공랭, 실내온도 30도인 상태에서
    PBO - MANUAL - PPT (135W)
    커브옵티마이저 올코어 (-20)
    코어 클럭 리미트 - (5000 MHz)
    온도 리미트 (72C) (안전장치로 해 둔 것이고...이렇게하면 벤치 돌릴 때 최대온도 75도 나오더라구요)
    이렇게 하는게 수동으로 전압 1.08V 주는 것보다 성능이 잘 나오더군요. 대신 온도도 조금 더 높습니다.
    소모하는패키지 W는 비슷한데 온도랑 성능 차이가 나는게 신기하네요

  • @2sump
    @2sump 2 роки тому

    인상깊은 실험이네요.
    언더볼팅이 이렇게 잘먹는다니....
    솔직히 이번 암드는 망했네 생각했는데 이거보고 솔깃해 졌습니다 ㅋㅋㅋㅋ

  • @nngg9778
    @nngg9778 2 роки тому

    이제는 오버클럭이 아니라 '언더볼팅'에 집중해야 겠네요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 @Yong-JuneChang
    @Yong-JuneChang 2 роки тому

    민티저님께서 라이젠 신형의 가이드를 제대로 주신 것 같습니다.👍 성능과 발열의 Sweet Spot이 따로 있었네요!😆
    이번 7000번대 라이젠이 100W/65W에서 성능이 잘 나오는 걸 보고, 기본 클럭이 과도하게 잡힌 거 아닐까 추측했었거든요.

  • @순에너지
    @순에너지 2 роки тому

    언더볼팅 완벽분석 ㅎㄷㄷ .. 레알 대박리뷰다...

  • @silverfox-u9k
    @silverfox-u9k 2 роки тому +1

    민티저님 감사합니다.. 공랭 쿨러 유저로서 리뷰 너무나 자세하게 감사합니다... 공랭 끝판왕들로 하면 온도 더 착하게 나오겠군요...감사합니다... 13900k도 나오면 공랭 테스트 부탁합니다

  • @whiteknmk
    @whiteknmk 2 роки тому +1

    그래도 작업 성능은 좋으니 나오자마자 msrp 할인은 힘들테고 스윗스팟에 클럭과 전압을 맞춘 논X 라인업이 빠르게 나올 수도 있겠네요.

  • @nvvAve
    @nvvAve 2 роки тому +3

    하이엔드 성능경쟁도 좋지만 언더볼팅 효과가 이정도면
    원래 인텔의 강점이었던 전성비와 착한온도(?) 이미지를 빼앗아 올 절호의 찬스 같아보이는데요
    올코어부스트는 그대로 두고 기본셋팅은 5기가에 언더볼팅한 상태로 출시해서 극강의 전성비를 내세웠으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 들 정도군요

  • @울댕댕
    @울댕댕 2 роки тому +1

    올해본 영상중 최고다 수냉은 쓰기 싫고 전력소비도 과다가 싶었는데 인제 업글할때 이런걱정은 없겠네 아무리 언더볼팅해도 이전 cpu보다 훨좋은데 안할 이유가 없네

  • @달려보까
    @달려보까 2 роки тому

    비싸서 안살거지만 재밌고 좋은정보네요

  • @장정훈-x3q
    @장정훈-x3q 2 роки тому

    와 몰랐던 사실..
    온도 높다고 엄청 까였는데
    이런 정보 매우 감사합니다~

  • @folix7902
    @folix7902 2 роки тому

    감사합니다 덕분에 7950 온도를 낮췄습니다!
    근데 CPU 언더볼팅하면 CPU에 손상이 갈 수 있다는데 괜찮을까요?😞

  • @rebeccacalix
    @rebeccacalix 2 роки тому +4

    요즘 부품들이 전반적인 성능 경쟁 때문인지 플래그십 모델들이 스윗스팟을 한참 넘긴 수준에서 출시되는 것 같네요. CPU건 GPU건 전력 먹는 게 누가봐도 스윗스팟은 아닌... 극한의 오버클러커들은 힘들어진 시대지만, ITX(SFF) 환자들한텐 오히려 좋은 시대가 된건가? ㅋㅋㅋㅋ

  • @Dragon-Riders
    @Dragon-Riders 2 роки тому

    언더볼팅 ㅇㄷ
    좋은거 배워갑니다!!

  • @당나귀는당근좋아해
    @당나귀는당근좋아해 2 роки тому

    고맙습니다.!!

  • @안기오-p5x
    @안기오-p5x Рік тому

    "수냉을 꼭 써야 하는가?"라는 사양에 대한 의문이 깊었던 차에 마침 이 영상을 보게 되어 다행이네요.
    논X도 있기는 한데 .. 성능과 가격이 만족스럽지 못했는데 .. 이 영상을 보고 확신했습니다. 고성능(6만원 이상)공냉으로도 7900번대 구동이 가능하다는 사실.
    수냉은 조립이 낯설고, 관로가 보기에 징그러운 것 같아서 거부감이 들어 고민 많이 했는데 .. 게다가 비용도 더 들고 ..
    어차피 케이스가 제일 큰 것이라서 공기순환 문제는 없으니 .. 굳이 돈을 더 들여서 수냉까지 써야 할 필요가 더욱 줄었습니다.
    7900x에 고성능 공냉을 더하면 ... 7900가격과 비슷하겠네요. 7900이 기쿨 제공 해도 너무 비싸다 했었습니다.
    영상 고맙습니다.

  • @leechris1748
    @leechris1748 2 роки тому

    아 저도 언더볼팅이나 에코모드 보고싶었는데 감사합니다

  • @holiclove
    @holiclove 2 роки тому

    역시 어루만져주어야 하는 암드~
    참 요리조리 용도에 맞게 잘 셋팅해서
    자유도가 참 쓰긴 좋은~ㅎ

  • @keepyourselfoutofher
    @keepyourselfoutofher 2 роки тому +1

    이번 7000번대가 전성비 발열 최악이라더니 언더볼팅을 하면 이렇게나 좋아지네요!! 남들이 모두 오버클럭을 원할 때 언더볼팅 마진을 줘버리는 라이젠...

  • @초보모델러
    @초보모델러 2 роки тому

    새로운 시선이었어요. 리뷰에서는 이런 언더볼팅에 대한 테스트를 못 보았거든요..
    인텔을 이기기 위해서 리사수 누님이 좀 무리한 것 같네요..

  • @danialkim7628
    @danialkim7628 2 роки тому +14

    라이젠 종특인거 같아요. 오버 헤드룸이 좁고 어느 순간부터 허들이 확 높아지다보니 살짝 언더볼팅하는 느낌으로 접근하는게 효율면에서 압도적으로 좋더라구요. 2600, 2700X, 3600, 3900x,5900x 다 수동오버로 써왔는데 다 이렇더라구요.지금 이 영상을 보니 7950X가 코어도 많고 기본 클럭도 높아서 그런지 유독 심하긴 하네요

    • @굿라미
      @굿라미 2 роки тому

      3600도 언더볼팅하면 효과를 볼까요? 현재 기본 PBO 에 순정으로 쓰고있는데 오버를 하면 했지 더 좋아질거란 생각이 안들어서요

    • @님말이맞아
      @님말이맞아 2 роки тому

      PBO 끄고 전압조절해서 수동오버 해도 효과가 큽니다.
      성능/온도 두마리 토끼 잡기 ㅋ

  • @quest_shop
    @quest_shop 2 роки тому

    와 자세한 테스트 감사합니다~!

  • @wijinnam
    @wijinnam 2 роки тому

    언더볼팅 부분은 민티저님 말씀 대로 다 그런 건지 아니면 해당 샘플만 그런 건지 검증해 볼 필요가 있겠네요

  • @yeti984
    @yeti984 2 роки тому +1

    쿨러를 양쪽 CPU에 같은 rpm 기준으로 온도 측정하신 거 맞죠??

  • @게맛살통조림
    @게맛살통조림 2 роки тому

    Offset 으로 언더볼팅하면 어떤결과가 나올지 궁금하네요
    영상 재미있게 봤습니다.

  • @TheThefeelme
    @TheThefeelme Рік тому

    안녕하세요 라이젠7950 3dx 구매하여 라이젠마스터 설치하고 설정조정 할려고 하는데요 저는 컨트롤 모드에 eco.detauit.auto oc 만 있으서 메뉴얼 전혀 나타나지 않아서 지우고 재설치 윈도우 장치보안 코어코리 다 끄고 재설치 하여도 같아서 어떻게 설정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 @dudxkr1987
    @dudxkr1987 2 роки тому +2

    와 이건 귀하다 언더볼팅 효율 미쳤네

  • @sean6455
    @sean6455 2 роки тому

    영상 잘 봤습니다.
    시간이 되신다면 7600도 언더볼팅 하면 좋을거 같네요.

  • @늘보윤
    @늘보윤 2 роки тому +1

    만약 수냉으로도 언더볼팅시 공랭보다 더 크게 효과를 볼 수 있을까요? 현재 개발 작업을 중심으로 사용할거고 중간중간 게임도 돌릴려고 이번에 큰맘먹고 7950x샀습니다. 제가 관리를 잘안하는 편이다보니 공랭쪽을 보긴하는데 성능이 찝찝하게 내려가서 수냉도 생각하고 있습니다. 현재 언리얼 엔진이나 유니티 같은 게임 개발자 환경을 쓰고 있고 이펙트 파티클 쓸때도 많은 렌더링이 필요한데다 게임도 취미로 즐기다보니 날것 그대로 써야하나 영상처럼 언더볼팅해서 써야하나 고민되네요. 그리고 언더볼팅결과가 놀라워서 클럭은 5Ghz로 고정하고 위 영상처럼 볼테이지 고정해놓고 쓰면 괜찮을지 궁금하네요.

    • @humaninside_
      @humaninside_ 2 роки тому +2

      5Ghz 고정 언더볼팅 해서 -20도에 소모전력 40W를 줄였다고 칩시다. 그래서 대충 60~70도 선으로 온도가 내려갔다고 치면, 여기서 수랭으로 바꿔서 이것보다 더 온도를 낮출 이유는 없지 않나요? 참고로 95도로 해도 CPU쓰는덴 문제가 없다고 했으니 애초에 이것보다 낮으면 몇도가 나오든 상관이 없는 것 같아요.

    • @늘보윤
      @늘보윤 2 роки тому +2

      @@humaninside_ 답변 감사해용! 다만 이번에 오래쓸 것을 생각하고 큰맘먹고 산 CPU다보니 어떻게든 조금이라도 무리 안시키고 CPU에 좋은 환경을 맞춰서 돌리고 싶어서 별 차이 안나더라도 나은 쪽으로 맞출까 하고 있었거든요. 그러다 영상 보다보니 공랭은 이러한데 수냉은 어느정도 더 효과를 볼수 있나하고 궁금해서 물어봤습니다. 참.. 선택장애가 와서 둘다 장단점이 있는 선택지니 고민이 되는건 어쩔수가 없네요 ㅠㅠ

    • @nvvAve
      @nvvAve 2 роки тому +3

      @@humaninside_ 일단 발열이 쿨링소음과 실내온도에 까지 영향을 주는것 때문에 거부감이 크고 시퓨야 생산공정에서 몇백도를 견뎌나온 제품이니 큰 상관은 없지만 메인보드와 전원부가 그 온도를 얼마나 버텨주느냐의 문제도 있고 바이오스 설정으로 맥스온도에 다다르면 자동으로 쓰로틀링이 걸리게 되어 있어 최대한 낮춰주는 쪽으로 노력하는게 이상한건 아니죠

    • @FirstClassStar
      @FirstClassStar 2 роки тому +1

      @@늘보윤 킹치만, 수냉은 언젠가 터지니...

    • @으아니왜때려요
      @으아니왜때려요 2 роки тому

      농헙을 달아주시면 조용하고 쾌적하게 쓰실 수 있을듯요 수냉은 시끄러워서 ㅠ

  • @miliori
    @miliori 2 роки тому +1

    궁금했던 부분들을 다 찝어주셔서 잘보고 가네요 감사합니다~ 언더볼팅 결과를 보니 초보자들도 할 수 있는 에코모드도 궁금해집니다

  • @복코해유
    @복코해유 2 роки тому

    ​7000 시리즈는 전부 언더볼팅해야한다... 언더볼팅하고 스로틀갭 90도 걸면 클럭 0.2g 상승 온도 90 가능 7600x 공랭 rc1700 가능 ua-cam.com/video/CkzYE_rwnps/v-deo.html

  • @mementomori5900
    @mementomori5900 2 роки тому

    대박이네요.^^ 언더볼팅 정도도 CPU 수율, 메인보드에 따라 달라지겠죠?

  • @다판-o5c
    @다판-o5c 2 роки тому

    라이젠은 언더볼팅 인텔은 오버클럭 인텔이약간 보수적으로 출시를하는걸까요 x670 보드 쓸만한라인업 특히asus 가 아직 소식이없어서 cpu놔두고 손가락만빠는중

  • @이철구-j2v
    @이철구-j2v 2 роки тому +1

    초보자가 들어도 잘 이해할 수가 있네요..

  • @훈기타
    @훈기타 2 роки тому +5

    다른쪽에서 실험한것도 봤는데 민티저님도 하셨군요!
    정말 정확한 실험과 결과도출을 하셨고 제일의미있는 실험을 하셨습니다
    다른곳에서 실험한결과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이 cpu는 성능을 위해 억지로 전압을 올린 상태입니다
    아니면 로직을 잘못 짰거나 바이오스문제일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현재론 오히려 클럭고정으로 쓰는게 효율이 더 좋게나오는 결과를 만들어 냈습니다
    이번에나온 라이젠 cpu는 인텔을 이기기위해 5.2~3ghz 벽을 깨기위해 억지로 낸 감이 있습니다
    언더볼팅 즉 고정 hz로 써야만 할것으로 보이며 발열과 먹는 와트수 대비 나오는 성능으로보아
    언더볼팅을 안할 이유가 없는거 같습니다
    그리고 언더볼팅시 공랭으로 이용할수도 있다는것이 포인트가 되겠습니다
    대신 요번 인텔 13세대가 발열테스트와 전압 테스트를 라이젠보다 훨신 웃도는지 봐야겠지요

  • @Yesandyessy
    @Yesandyessy Рік тому

    구독박고 갑니다.
    프리미어 영상작업에도 12900k vs 7950x 고민이 됩니다.
    12900k가 더 작업 환경에 맞긴한데, 기존에 쓰는 체제가 라이젠이라 어떻게 하는게 좋을지 참 ㅜㅜ

  • @allday4693
    @allday4693 Рік тому

    궁금한게 있습니다~ 언더볼팅 할때 pbo도 활성화 하는게 좋나요? 일단 언급이 없으셔서 pbo는 끄고 영상처럼 클럭이랑 전압만 조절했는데 이게 맞나요?

    • @minteger
      @minteger  Рік тому

      PBO는 끄시면 안돼요~꼭 켜두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