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리면 폐기물, 챙기면 보물’ 80년 오랜 시간 잘 익은 고품질 목재가 쏟아지는 30평 한옥 해체 철거 현장|철거와 발굴 사이|한옥 자재 재활용|극한직업|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8 лют 2025
  • ※ 이 영상은 2015년 9월 23일에 방송된 <극한직업 - 한옥 자재 재활용>의 일부입니다.
    빈티지 스타일의 인테리어가 인기를 끌면서 ‘한옥 고목재’로 만든 가구들이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우리 주변에서 한옥이 점차 모습을 감추기 시작하면서 ‘한옥 고목재’를 구하는 일도 쉽지 않아졌다. 때문에 목수들은 한옥 철거 소식이 들리면 전국 어디든 달려간다. 하지만, 한옥 철거 과정에서 ‘고목재’를 구하는 일 또한 만만치가 않다.
    한옥을 짓는 순서와는 정반대로 진행되는 한옥 철거 작업은 지붕을 내리는 것부터 시작된다. 수천 장이 넘는 기와를 한 장 한 장 손으로 옮기고, 보온을 위해 쌓아 올린 황토를 일일이 제거하는 일은 그야말로 고되고 지난한 작업이다. 하지만, ‘한옥 고목재’를 얻기 위해선 반드시 치러야 하는 과정이다. 바짝 마른 흙에서 발생하는 먼지와 세월의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썩어버린 나무는 작업자들을 힘들게 하는 복병. 그렇게 꼬박 일주일이 소요되는 한옥 철거작업이 끝나면 목수는 비로소 최고의 목재를 얻는다.
    하지만, 여기서 끝이 아니다. ‘한옥 고목재 가구’로 만드는 과정 또한 인내의 시간이다. 해묵은 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손이 부르트도록 진행되는 세척작업은 나무를 사랑하는 마음이 없이는 불가능하다. 최고의 목재를 얻기 위해, 그리고 매일 같이 다듬고 만들기 위해 구슬땀을 흘리는 사람들. 한옥 자재의 의미 있는 변신을 꾀하는 목수들을 만나본다.
    -
    경기도 가평, 천 평이 넘는 부지에 가득 쌓인 나무들의 느낌이 일반 목재들과는 사뭇 다르다. 다름 아닌 우리네 전통 한옥에서 나온 ‘고목재’이다. 이곳에서는 매일 ‘고목재’로 가구와 인테리어 소품들을 만들고 있다. 전국에서부터 공수해온 ‘한옥 고목재’들은 우선 이곳저곳에 박힌 못을 빼내고 필요한 재료로 다듬어진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잘라 내야 하는 작업이기 때문에 언제나 톱날로부터의 긴장감을 놓쳐서는 안 된다.
    뿐만 아니라 정교한 소품 작업에서는 손가락 하나로 조각칼을 지탱해 모양을 잡아야 한다. 또한, ‘새목재’와는 또 다르게 먼지를 닦아내고, 기름때를 제거하고, 특별한 연마작업이 필요하기에 일반 목재에 비해 서너 배는 더 손이 간다.
    한편, 빽빽하게 들어선 서울 한복판 주택가 사이로 한옥 한 채가 유달리 눈에 띈다. 80년의 역사가 담긴 이곳은 건축주의 결정에 따라 철거 작업이 진행 중이다. 포크레인을 이용하면 단 이틀 만에 해결되는 규모지만, ‘한옥 고목재’를 비롯해 대부분의 자재를 되살리기 위해 모든 것이 수작업으로 진행된다.
    4000장의 기와를 나르고 2.5톤의 흙은 내리는 작업자들. 다행히 이곳의 목재들은 대부분 상태가 좋다. 때문에 가능한 목재의 손상이 덜 가도록 해체해야 하는 것도 큰일. 하나에 200kg의 무게가 나가는 서까래는 목수 대여섯 명이 붙어야 겨우 움직인다. 이 모든 고된 노동에도 불구하고, 오래된 나무를 되살리고, 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다는 보람으로 오늘도 땀방울을 훔치는 목수들의 모습을 만나본다.
    ✔ 프로그램명 : 극한직업 - 한옥 자재 재활용
    ✔ 방송 일자 : 2015.09.23
    #TV로보는골라듄다큐

КОМЕНТАРІ • 39

  • @jokejoke_go
    @jokejoke_go 3 місяці тому +5

    이거 10년 다 된 영상이에요. 몇년 안된 시간이지만 이 시간 내에 안전에 대한 중요성과 의식이 많이 바뀌었습니다.
    지금은 훨씬 나아졌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저 분들 중에 이젠 일 못하는 분들도 많이 계실거에요. 나이 드셔서.

  • @Blanchedbeansprouts
    @Blanchedbeansprouts 3 місяці тому +2

    0:52 ???:가능한

  • @jasonkim8070
    @jasonkim8070 3 місяці тому +6

    지붕위에 올라앉았다는 황토흙의 양이 몇 톤 이라니... 생각도 못해봤어요

  • @mokwun46
    @mokwun46 3 місяці тому +2

    제품마다. 재료생성연대, 출처, 장인 이름, 만든 때들을 화인을 찍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먼 뒷날 골동품이 되었을 때 참고가 될 것 갔습니다. 미국에서 권경모.

  • @드달안양
    @드달안양 3 місяці тому +1

    이 프로로그램은 쓸데없이 안힘드냐는 말은꼭 물어봄. 진부하기 그지없는 질문, 몸쓰고 일하는 직업에 안힘드는 일이 어디 있다고.

  • @yunago2972
    @yunago2972 3 місяці тому +1

    제자가 없다는것이 참 아쉽습니다

  • @정성환-z2q
    @정성환-z2q 3 місяці тому +2

    안전은 개나줘~~~~
    기본적인 안전구는 착용합시다~

  • @BJPark-r6q
    @BJPark-r6q 3 місяці тому +1

    나무는 진짜 종이부터해서 버릴게 하나도 없는 인간과 절대 뗄수 없는 존재

  • @전미숙-w6u
    @전미숙-w6u 3 місяці тому +1

    시간이가면 썩는거야 수백년은 사기야 정신차려 수리 보수하며 수백년이지

  • @stern121
    @stern121 3 місяці тому +3

    나무는 정말 보석같은 존재다.
    어떤 것도 할 수 있고 마지막엔 뗄감까지....고마운 존재다.

  • @조태연-d7t
    @조태연-d7t 3 місяці тому

    힘들고 위험한 일이지만 ㅂ보람은 있겠네요

  • @lordsoju
    @lordsoju 3 місяці тому +1

    브라이언 메이 기타가 그의 집 벽난로 뜯을 때 나온 마호가니 고목을 사용하여 기가막힌 소리를 내지. 일명 레드 스페셜

  • @진보현-j9o
    @진보현-j9o 3 місяці тому +1

    안 힘들고 안 위함한 일이 어디있나?
    말끝마다 위험하고 힘들다면서 안전의식이라곤 하나도 안보임.

    • @망치가방
      @망치가방 3 місяці тому

      저때는 그랬다 이너마.
      현제는 그래도 많이 개선됬다.

  • @seo4156
    @seo4156 3 місяці тому +4

    철거할때 매우 위험하다고 하시는데 분진마스크도 안하시고
    안전모도 착용하지 않으셨네요.
    사고라는건 기본 준수를 하지않아 발생되는겁니다. 안전 기본수칙도 지키지 않으시면서 위험하네 어쩌네 거론하시는게 이게 상식적인가요?

  • @doroshi99
    @doroshi99 3 місяці тому +3

    위험하다 입으로는 말하는데 안전모도 안쓰고있네

  • @신촌깡
    @신촌깡 3 місяці тому

    합판쪼가리 폐목으로 톱밥을 만든다고ㅋ 소.돼지다 뒤집니다ㅋㅋ

  • @김금례-h5k
    @김금례-h5k 3 місяці тому +1

    건축물 목재도 재활용 하는 줄은 몰랐네.

  • @momosyndrome
    @momosyndrome 3 місяці тому +12

    재탕삼탕 언제까지 똑같은 영상 올릴거에요?

  • @user-ABbadroomdirty
    @user-ABbadroomdirty 3 місяці тому

    일본이 이런식으로 경복궁을 털어갔지...

  • @Hicamping269
    @Hicamping269 3 місяці тому +1

    나무못 파상풍 조심하라우
    안전모에 안전화에
    마스크또는 진공마스크
    장갑필수.
    안전하게

  • @colorpepsi7516
    @colorpepsi7516 3 місяці тому +1

    똑같은영상 왜올림?

  • @SIR-sm3kg
    @SIR-sm3kg 3 місяці тому

    에휴.. 덥구 귀찮아도 안전 헬멧좀 쓰시지;;;

  • @동인랑
    @동인랑 3 місяці тому +2

    위험 하다면서 보호장구는 없다.
    기본인 헬멧도 안쓰고, 여기가
    중국인가?

  • @김혁세-n9r
    @김혁세-n9r 3 місяці тому +2

    마스크,안전모,도 안쓰고 이런영상 보내도되나 산업안전법 위반 고발 해야겠네

  • @지산족장이수열
    @지산족장이수열 3 місяці тому

    짐가방에 베레모에 안전모는 어따뒀는지 흔적도 안보이고
    전문적으로 일하시면 그에 따르게 안전조치좀 하고 하시죠
    마 내가 수십년 해왔는데 하이바 안쓰고 안전벨트없이도 다해왔어~ 네네 그러시겠조
    까딱하는 단 한순간 때문에 쓰는겁니다
    안전모 안전벨트 무겁고 갑갑하고 힘들조 그 단한번때문에 쓰는거라구요 머리 빵꾸 나실까봐요~
    촬영틴도 좀 신경쓰시죠 어렵게 일하시는 분들 맞기는한데요
    이런영상 퍼질때마자 현장서 안전모를 왜 써야 하는지도 모르고 오는 일당용역 아저씨들 많아서 그럽니다
    댓글에 남기겠죠 뭘 얼마나 차아는데 이따위 댓글쓰냐 니가 이현장을 아냐 부터 주절주절
    몰라도 일당이 아무리 쎄도 목슴은 하나입니다
    제발 가족들좀 생각하시죠

  • @병훈-m8b
    @병훈-m8b 3 місяці тому +6

    안전의식은 하나도 없네요....최소한 안전모라도 착용해야 하는데

  • @kschoi7337
    @kschoi7337 3 місяці тому +1

    14분 9~10대 대들보 빼낼때 작업을 멍청하게 하네요. 나무 망치를 사용해서 빼내는데 그렇게 할 게 아니라, 소형 유압 자키를 가져다가 유압자키를 밀어올리면 쉽고
    큰 힘으로 빠르게 빼내는 방법을 구사해라! 제발 머리를 써라.

  • @박봉규-o5t
    @박봉규-o5t 3 місяці тому

    소리가 안 나온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