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특집 다큐멘터리] 바실라 3부 I 바닷길 (2024.12.12/울산MBC)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3 лют 2025

КОМЕНТАРІ • 14

  • @김성진-o1s1m
    @김성진-o1s1m 25 днів тому +2

    너무 잼나게 잘 봤어요. 어렴풋이 알고있던 신라의 해외교역에 대해서 물증까지 보면서 아주 흥미로웠어요.동천강쪽에 목책도 한 번 보러가야겠어요. 아마 처용도 아라비아 사람이 울산경주에 머물먼서 생긴 얘기같네요.이런 다큐는 많이 알려야할듯요.수고 하셨습니다.감사합니다

  • @gribouille7651
    @gribouille7651 3 дні тому

    길용우님의 편안한 내레이션도 감사드립니다! 아주 흥미진진하고 유익한 다큐였어요! 웰메이드👍👍

  • @rhy3378
    @rhy3378 23 дні тому +1

    순식간에 3편 다봄요. 재밌게 잘 보았습니다. 향이 느껴지는 좋은 다큐입니다. 보면서 유향. 침향 궁금해서 주문함 ㅎㅎㅎ. 감사합니다.

  • @ModernBuddhism미주현대불
    @ModernBuddhism미주현대불 9 днів тому +1

    좋은 침향나무는 물에 가라 앉는군요. ㅎㅎ

  • @scbaik254
    @scbaik254 26 днів тому +5

    '이’는 척추동물의 입 안에 있으며 무엇을 물거나 음식물을 씹는 역할을 하는 기관을 이르는 말이고, ‘이빨’은 ‘이’를 낮잡아 이르는 말입니다.
    따라서 부처님 '이빨'은 잘못된 표현입니다.

    • @친위대장
      @친위대장 23 дні тому +4

      그러게요 어지간하면 방송에서는 치아정도로 표현하는 줄 알았는데 계속 이빨이빨하는군요 잔소리같아서 안쓰려다가...

  • @딸기수플레
    @딸기수플레 25 днів тому

    너무 재밌고 유익한 다큐 3부작 잘 봤습니다. 이희수 교수님의 쿠쉬나메 책은 읽은 적이 있는데, 입수쌍조문처럼 실제로도 페르시아와 신라 간의 교류를 보여주는 유물이 있다는 건 이번에 처음 알았습니다. 다음에 경주에 가게 되면 꼭 실물을 보고 싶네요^^

  • @삼화령
    @삼화령 22 дні тому +2

    이빨_'이'를 낮잡아 이르는 말
    줄곧 '이빨'이라고 하네. 지방 mbc라 그런가?
    '이', '치아'라는 말을 두고 굳이 이빨이라고 하는 이유가 뭘까? 대본 작가의 의도인가?
    쿠쉬나메에 대한 귀한 영상이라 1, 2부 잘 봤는데 3부에서 기분이 좀 그렇다.

    • @HaeJkim-m5i
      @HaeJkim-m5i 2 дні тому

      이것도 저것도 다 한국말인데, 사소한것으로 따지는게 생(니/이)빼고 금(니/이)박은 미친것들과 다름없지!! 생이별이지 생니빨이고...1자- 2자- 3자 명사들이요.

  • @진찬현-e7v
    @진찬현-e7v 14 днів тому

    부처님 이빨이 뭐예요
    이나 치아라고 해야죠

  • @등대-x7h
    @등대-x7h 16 днів тому

    스리랑카 1인당 명목GDP가3830달러.. 우리나라돈으로 570만원정도라는건데 하루 5만원을 번다면 '고작'이라는 표현이 안맞는거 아닌가.? 스리랑카에서 우리나라돈으로 5만원이면 고소득이라는 표현이 맞는거 아니여...울산MBC양반들아..

  • @등대-x7h
    @등대-x7h 16 днів тому

    부처님 '이' 것지..이빨이 머시여
    이빨은 국립국어원에 등재된 표준어로서, 이를 '낮잡아' 부르는 말이라고 정의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이빨은 사람을 포함한 동물(호랑이, 사자, 고래, 상어, 공룡 등)의 이를 의미할 때 쓰는 단어이다.
    나무위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