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두운 별 - 흑색왜성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0 лют 2025
  • . . . .
    흑색왜성(黑色矮星, 영어: black dwarf)은
    백성왜성이 식어서 더 이상 빛을 발하지 않은
    항성 최후의 단계에 있는 이론상의 천체입니다.
    차갑게 식어버려서
    더 이상 빛이나 열을 내보낼 수 없이 냉각된
    더 이상 항성이라 보기도 어려운 천체입니다.
    태양질량 약 9~10배 미만)의 주계열성항성이
    모든 원소를 방출하거나 융합 한 후
    열복사 에 의해 천천히 냉각된 천첻입니다.
    흑색 왜성은 에너지를 잃어가다가
    끝내는 절대영도 직전의 온도까지 내려가버린
    어두운 천체입니다.
    . . .
    Source : / @mr-wooju
    #shorts#우주과학#우주다큐
    nrck999@gmail.com

КОМЕНТАРІ • 462

  • @이산화
    @이산화 Рік тому +1897

    영상 요약
    찾을 수 없는 이유는 빛을 내지 않아 어두워서 보이지 않을 뿐 있을 수도 있습니다만, 이론상 백색왜성이 식는데 수백억년이 걸리기 때문에 발견된다면 천문학계가 뒤집힐 겁니다.

    • @클라우디-l6s
      @클라우디-l6s Рік тому +44

      ​@@FeeSooL 야 너 제발 평소에 책좀 읽어라.

    • @팩-f5t
      @팩-f5t Рік тому +21

      ​@@FeeSooL 가정법을 붙였잖니...

    • @uuualal
      @uuualal Рік тому +20

      ​@@FeeSooL 평소 사람들이랑 대화 가능??

    • @uuualal
      @uuualal Рік тому +17

      @@FeeSooL 본인이 뭘 못알아먹고 있는지 모르는 ... 한심 하네 역시 대화가 안통함

    • @팩-f5t
      @팩-f5t Рік тому +26

      @@FeeSooL 님은 그냥 눈치가 없는거에요.여긴 가정법을 통한 전제조건을 붙이고 대화중인데 갑자기 와서 그게 아닌데~니들 틀렸는데~하면서 대화중에 눈치없이 끼어들면서 사람들 이야기 끊어버리고 사람들이 이거 가정법이잖아요 하니까 응 그거 틀린거야~하는데 애초에 가정법이니 사실일 필요조차 없어요.글쓴이 분은 만약에?라는 전제조건을 붙이고 이야기해서 만약에 흑색외성이 존재한다면 우주의 나이를 잘못알고 있는거네 라고 말하신건데 그걸 눈치 없이 끼어들고 사람들한테 시비털어야지 인생 살맛이 나십니까....

  • @july7th
    @july7th Рік тому +319

    백색외성이 흑색외성이 되기까지 1천억년이 소요되고 세상 모든것에 기원인 빅뱅은 138억년 전에 일어났는데 흑색외성이 발견된다면 천문학계는 혼돈의 카오스가 되겠네요

    • @iztkcg
      @iztkcg Рік тому +5

      관측가능한 거리가 138억년 아닌가용?

    • @july7th
      @july7th Рік тому +47

      @@iztkcg 관측 가능한 우주는 지구에서 어떤 방향으로든 465억 광년으로 알고 있습니다 직경으로 하면 930억 광년 이겠네요

    • @iztkcg
      @iztkcg Рік тому

      @@july7th 그러쿤요

    • @cozy_snow
      @cozy_snow Рік тому +30

      @@july7th 둘 다 맞아요. 138억은 관측 “된” 우주(광행거리), 465억은 그것의 현재 위치(동행거리)
      예전에 교육과정상 관측가능한 거리를 138억으로 교과서에 표기하곤 했었어서(허블 상수의 역수) 그리 아시는 분들이 많을겁니다 ㅎㅎ

    • @에헤헤헤헤-y5o
      @에헤헤헤헤-y5o Рік тому

      존재해선 안되는...

  • @Qatar_0903
    @Qatar_0903 Рік тому +263

    그래서 최근에 허공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항성들이 발견되었을 때 그 중심에 이게 있다는 주장도 있었다죠
    +중간질량 블랙홀이라고 추정중이라네요....

    • @meaning_duck
      @meaning_duck Рік тому +4

      Oh

    • @hjl5785
      @hjl5785 Рік тому +7

      다른 빛나는 항성 앞을 지나간다면 그 항성의 행성으로 간주하게 되지요. 어떻게 발견되었나요?

    • @Qatar_0903
      @Qatar_0903 Рік тому +19

      @@hjl5785 공전을 하고 있는데 그 중심에 아무것도 관측할 수 없었다고 합니다.

    • @야촌-z2f
      @야촌-z2f Рік тому +2

      ㄹ튃

    • @Qatar_0903
      @Qatar_0903 Рік тому +2

      @@alien9651 유튜브에서 소개해 주길래 잡지 가서 봤는데 정확한 이름은 잘 기억이 안 나네요...

  • @therock77
    @therock77 Рік тому +39

    우주아저씨 즐감합니다

  • @콘스탄틴시스
    @콘스탄틴시스 Рік тому +1

    뭔가 숙연해지고, 잔잔한 느낌이네요!

  • @신기루-y5t
    @신기루-y5t Рік тому +3

    가끔 천체물리학은 걍 소설처럼 느껴지기도 함.. 이 숏츠의 내용마냥

  • @boyaknam
    @boyaknam Рік тому +131

    뭔 소린지는 모르겠으나
    목소리는 최고입니다. 우주 아저씨~ ㅎ

    • @xxuwnn
      @xxuwnn Рік тому +3

      걍 별이 식었다고

    • @호에에에엥-f2c
      @호에에에엥-f2c Рік тому

      목소리 tts음성이에요

    • @비가오고-q9u
      @비가오고-q9u Рік тому

      행성 찌꺼기
      냉동시체
      이정도로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 @최유진-h3g8n
      @최유진-h3g8n Рік тому

      ​@@호에에에엥-f2c 너 뭐 알아? 무슨 근거로 말하는거냐? 너 같은애들은 진짜 뭐냐? 무슨 이유로 거짓말을 함?

    • @ax1061
      @ax1061 Рік тому +1

      별이 죽어 시체가 썩다 못해 미라가 되었다 생각하면 됩니다

  • @user-lr4nv4fs2z
    @user-lr4nv4fs2z Рік тому +1

    오..아직 발견될 수 없는 행성이라서 “이론상의 천체” 라고 말씀하셨군요..멋집니다
    빅뱅 이후 우주가 끊임없이 팽창하고 있던데 우주 밖..이라는 표현이 적절할지는 모르겠지만 무튼 우주가 아직 팽창할 공간이 남아있으니 팽창하는 걸텐데 대체 그 공간은 뭐로 채워져있을까요..

  • @BenYaEntertainment
    @BenYaEntertainment Рік тому +1

    존재한다해도 빛을 내지 않으니 다른 무언가로 인해 간접적으로 관측되지 않는 이상 볼 수 없는 천제이겠네요

  • @미술관소사
    @미술관소사 Рік тому +8

    영상이 예쁘고 친절한 설명이 좋아요

  • @슈퍼헨리-y9q
    @슈퍼헨리-y9q Рік тому +77

    천재아저씨!
    응원합니다!

  • @sogoodbye8125
    @sogoodbye8125 Рік тому +5

    우주가 이대로 계속 팽창하면 흑생왜성의 입자도 서로 찢어지고 블랙홀도 호킹복사로 작아지다 소멸해서 아무 빛도 중력도 없이 사실상 시공간이 없는 상태가 된다고 하네요. 최소 1조년 뒤의 일

  • @minkim6879
    @minkim6879 Рік тому +1

    이 형 너무 조아 쇼츠의 종착점 ㅎ 잠이 옴 진짜 신기 ㅎ

  • @박성준-u8x5b
    @박성준-u8x5b Рік тому

    나는 아주 먼 미래에 존재하게 될 이 흑색왜성이라는 존재가 되게 기묘하면서도 정감이 감... 너무나 되게 흥미로워

  • @Dyoa1321
    @Dyoa1321 Рік тому +2

    있다해도 행성과 구분 가능한가요? 질량으로 구분하나? 궁금하네

  • @반태랑-r1c
    @반태랑-r1c Рік тому +1

    감사합니다 대표님

  • @최여원-f2e
    @최여원-f2e Рік тому +1

    목소리가~~홀릭목소리. 같아여. 우주설명과. 찰떡.

  • @TV-ii4wm
    @TV-ii4wm Рік тому +4

    우주아저씨는 어느 별에서 왔나요?

  • @rwj4625
    @rwj4625 Рік тому +1

    지금의 이론으로는 수 없이 많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모든 항성이 흑색왜성으로 귀결되며 우주의 모든 빛이 사라지겠네요.

    • @이커엽
      @이커엽 Рік тому

      목 위에 달린게 머리면 생각을 좀 해라. 뭔 모든 항성이 흑색왜성이 돼. 일정 질량 넘어가는 항성은 블랙홀 된다. 이 정도 상식은 좀 갖고 살아라.

  • @p.jp.1780
    @p.jp.1780 5 місяців тому +1

    그라니까 !! 항성 여행하다 갑자기 원인도 모르게 셔틀 우주선이 박살날 일은 아직까진 염려 안 해도 된다는 거죠 ??? 큰 근심거리가 하나 줄어서 인류의 수명이 몇 초 늘었네요...

  • @Lululucy1024
    @Lululucy1024 Рік тому +4

    이런 지식은 고등학교 지구과학에서는 따로 다루지 않는거 같은데.. 어디서 배울 수 있나요??
    이런 분야에 관심이 많은데.. 전공을 어떤걸 하면 좋을까요??
    (현 고1입니다..😂

    • @Mr-Wooju
      @Mr-Wooju  Рік тому +8

      보통 천문학과, 천체물리학과, 우주과학과 등의 이름으로 존재합니다
      *미국
      하버드 대학교
      캘리포니아 과학기술 대학교
      프린스턴 대학교
      MIT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
      옥스퍼드 대학교
      *한국
      서울대학교
      한양대학교
      연세대학교
      고려대학교
      충북대학교
      등에 있습니다

  • @oO_Ob
    @oO_Ob Рік тому +1

    백색왜성이 걸리는 기간을 다시 조사하는 게
    아니라 우주의 나이를 다시 조사하는 건가요? 반대로 생각할 수도 있지 않나요..?

  • @milkstar6728
    @milkstar6728 Рік тому +1

    그럼 여기서 궁금한게, 완전히 식고나면 행성이라 부를 수 있는건가요?

  • @osillot
    @osillot Рік тому +4

    블랙홀이 아닌 이상 빛 반사는 하겠죠?

  • @washyourhair303
    @washyourhair303 Рік тому +2

    지구과학 배웠을때가 새록새록 기억나네요ㅎㅎㅎ

  • @hjl5785
    @hjl5785 Рік тому

    다만 목성 전후 크기의 천체를 중심(태양 역할, 빛은 못냄)으로 수성 달 정도의 작은 행성이 돌고 있는 정도는 많을 듯

  • @트랄라라라
    @트랄라라라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저 어제 친구집에서 흑색왜성 봤는데 그럼 우주 나이가 천억년 이상인 건가요?

  • @karions24
    @karions24 Рік тому

    있다고 해도 관측을 할수가 없죠 그냥 행성이라고만 생각할수도 있고

  • @godgod6834
    @godgod6834 Рік тому +1

    궁금한 것이 모든 원소를 방출하면 존재가 불가능할껀데
    흑색왜성은 원소로 이루어진 것이 아닌
    아직 인간이 알지 못하는 암흑에너지.암흑물질 이런거의 종류인가요?
    그리고 절대온도 0근처까지 내려간다면
    저 물질을 찾으면 초전도체를 찾는 것과 마찬가지겠군요.
    만약 저런 물질이 암흑에너지.물질과 관련된거라면 어쩌면..초전도체는 지금까지 나온 원소를 이용해서는 만들 수 없는 물질이 아닐까요

  • @강아지-0
    @강아지-0 Рік тому

    흑생 왜성이 발견될시 엄청난 자원의 보고가 될듯하나.. 각종 채굴난이도가 존재 하겠네요..

  • @브레스쓰는이블조
    @브레스쓰는이블조 Рік тому +1

    "별은 빛을 잃은채 그 뜨거웠던 열기조차 잊고 우주 건너편에서 홀로 차갑게 식어갈 뿐이었다"

  • @문고리-v6m
    @문고리-v6m Рік тому +6

    정말 흑색외성이 있을까요???
    우주는 너무 신비롭고~~ 수억년???
    우리 인생은 순간이네요 ㅜㅜㅜㅜ

    • @milliardzwarthex1537
      @milliardzwarthex1537 Рік тому

      순간조차도 안되져~~
      인간의인생은 째바리 !!! 가안댑니다 ㅠ ㅡ

    • @Jookson
      @Jookson Рік тому +1

      왜성요
      자막도 나옴

    • @physic404
      @physic404 Рік тому

      현재 우주의 나이는 이론적으로 137억년이죠....그에 비해 인간의 수명은 정말 짧네요...

    • @polygont8
      @polygont8 Рік тому

      아직은 없...

  • @Gaeguring
    @Gaeguring Рік тому +1

    백색외성은 밀도가 엄청나게 높음.
    단순하게 설명해서 1cm*1cm*1cm 큐브가 1톤정도의 밀도를 이루는 수준이라서 열에너지가 복사에 의해서만 아주 천천히 식는 상태라 아직 흑색왜성이 발견된적이 없음

  • @kkm3042
    @kkm3042 Рік тому

    다음엔 백색외성, 그다음엔
    타노스의별. 그다음엔 에얼리언의
    별도 알려주세요~ 상상력님~!

  • @털융털융
    @털융털융 Рік тому

    아이언스타같은건가요?

  • @boringpeanut
    @boringpeanut Рік тому +11

    우리는 우주의 전체 역사중 정말 극초반이라 별을 볼수있는거라고 하네요😢

  • @HumaniJin
    @HumaniJin Рік тому +1

    고체가 아닌데 식으면 원래의 둥근 모양을 유지할수가 있나요?

    • @신소유-e3t
      @신소유-e3t Рік тому

      왜성은 중력이 너무 강해서 고저차가 센티미터 단위임

  • @Kangsinjoong
    @Kangsinjoong Рік тому

    중력은 있을까요?

  • @sohminsup2669
    @sohminsup2669 Рік тому +2

    지구도 언젠가 수명을 다 할 날이 오겠죠...

  • @manjubeolpan
    @manjubeolpan Рік тому +1

    우리는 은하에서 우주를 연구하는 몇번째 생명체일까? 인류는 흑색왜성을 구경할때까지 문명을 유지할수 있을까?

  • @kyj-o6b
    @kyj-o6b Рік тому

    과학자들은 일단 아무 말이나 내뱉고 누군가가 조작해서 사실로 꾸며내든 우연하게 찾길 바라는듯

  • @ZETA_
    @ZETA_ Рік тому

    _백색왜성이 식는 데 저렇게 오래 걸리는 게 신기하다._

  • @apple010
    @apple010 Рік тому +2

    모든 원소를 내뱃으면 그냥 없는거 아님?

  • @notbad5912
    @notbad5912 Рік тому +1

    근데 에너지는 플러스에서 마니어스로 흐르는데
    저정도 질량의 절대마이너스 행성이 있으면 주변의 에너지를 빨아들일거같은데 어떨거같아요?

    • @dd-dj3in
      @dd-dj3in 9 місяців тому

      착각을 하시는것 같은데 -와+는 전자기력이고 절대마이너스라는 뜻은 그냥 절대온도K이 0이라는것입니다

  • @난짱구-j5r
    @난짱구-j5r Рік тому +1

    있써도 발견 못하는 항성
    형을 형 이라고 부른지 못하는 허균의 심정

  • @7oonwoo
    @7oonwoo Рік тому +1

    빅뱅도 사실 가설에 의한 이론
    정설이 되었지만
    알지 못하는 것이 존재하고 있을 수도

  • @이조-s5c
    @이조-s5c Рік тому +1

    ㅋㅋㅋㅋㅋ관측 불가능한 블랙홀을 관측했더니
    이젠 이론상으로 아직 안생긴게 뜨네

  • @i55614162
    @i55614162 Рік тому

    무언가를 이론으로 정립할 때 관측값이 없어도 될만큼 흑색왜성은 명백한 이론적 근거가 있는 건가요..?

    • @dd-dj3in
      @dd-dj3in 9 місяців тому

      아니요 흑색왜성은 존재할것같다고 추측을 하는것이지 실제로 발견된적은 없어서 아직 정확한 이야기는 아닙니다

  • @야훼철도
    @야훼철도 Рік тому

    풀영상은 없나요?

  • @민영-j7v
    @민영-j7v Рік тому +1

    멍청한 질문일수도 있는데 정말 궁금해서 물이봅니다~ 항성은 가스로 만들어진 별인데 흑색왜성이 되서 완전 식으면 행성처럼 딱딱한 지표면이 생기는건가요??

    • @dd-dj3in
      @dd-dj3in 9 місяців тому

      흑색왜성의 질량은 아주 크기때문에 기체로 이루어져있어도 압력때문에 고체상태입니다
      그리고 항성은 기체가 아닌 전자와 원자핵이 불리된 상태인 플라즈마 상태입니다

  • @deusexmachina2472
    @deusexmachina2472 5 місяців тому

    흑색외성이 존재할 만큼 우주의 나이가 오래되지 않아 발견 안된건지?
    흑색외성이 존재하더라도 발견할 방법이 아직 없는건지?

  • @adriant1631
    @adriant1631 Рік тому

    다크메터가 흑색왜성의 다른 형태일 수도 있지요. 적색왜성이 흑색왜성의 이전 상태라는 것도 가정일 뿐.

  • @laskaris6346
    @laskaris6346 Рік тому

    일곱 문장 중 앞 다섯 문장이 모두 "~천체입니다" 로 끝나는거 되게 신경쓰이네요 ㅋㅋㅋ

  • @서원용-y2r
    @서원용-y2r Рік тому

    고도로 발달한 우주문명이 백색왜성에서 에너지를 뽑아먹어 흑색왜성이 될수도 있지 않을까 생각함.

  • @leekhai488
    @leekhai488 Рік тому +2

    흑색왜성이 발견되면 빅뱅 이론 다시 재검해야 하겠군요...우주의 나이가 150 억년이 아니라 훨씬 오래되었다는 거니.😊

    • @unlee6736
      @unlee6736 Рік тому +1

      구지말하자면 우리 우주는 지금 알아낸 나이가 맞긴하지만 우리우주 빅뱅 이전부터 다른우주가 존재했었다라고 해석될거같아요.

    • @논현동-r2g
      @논현동-r2g Рік тому +1

      관측가능한 은하가 138억년이니 빅뱅은 138억년 전에 일어났고 따라서 우주의 나이는 138억년이라는 논리인데, 그러나 관측가능한 은하라는 것이 함정이죠.
      그 너머에 또 138억년 떨어진 은하가 있다면 우주의 나이는 276억년이 됩니다.
      276억년을 날아가 그 지점에서 또 관측했는데, 138억년 떨어진 은하가 발견된다면 우주의 나이는 계속 수정되어야 하죠.
      원래 우주의 나이를 138억년이라고 추정조차 하지 말아야 합니다.
      우리가 관측가능한 은하라고 했지 그 너머에 뭐가 있는지 그 너머에 수천억년 떨어진 은하가 존재할지 모르니 말입니다.
      난 빅뱅을 믿지 않습니다.
      천체물리학자들이 빅뱅은 약 138억년 전에 일어났다고 하는데, 관측 가능한 정도의 기술가지고 우주의 나이를 정해버리는 건 정말 경솔한 거죠.
      우리 은하가 우주의 중심도 아니고 아주 변방에 있을 수도 있는데, 어찌 138억년의 은하를 발견했다고 해서 우주 나이를 정해버리냐고요.
      빅뱅을 상상할 때 우리 은하가 빅뱅의 시작점에 있고 우리 은하로부터 138억년을 팽창해서 우주의 나이는 138억년..............
      138억년 너머에 수조, 수천조...수경광년이 펼쳐 있을지 누가 알 수 있을까요?

    • @Jmsae
      @Jmsae Рік тому +2

      ​@@논현동-r2g확실해지기기 진까지 이론을 내놓지 않는 건 어리석고 미련한 짓이라고 생각함. 이론을 내고 그걸 믿는 게 경솔한 게 아니고. 특히나 이런 엄청난 거시세계를 다루거나 미시세계를 다루는 학문들에서는, 그렇게 확실해질때까지 손가락만 빨다가는 영원히 발전할 수 없음

  • @hittherm9213
    @hittherm9213 Рік тому

    흑색왜성의 물질은 결국 우주에서 제일 단단한 것이겠네요. 어마무지한 압력과 열을 견뎌냈으니...

  • @강재운-o7h
    @강재운-o7h Рік тому

    우주아저씨다😂

  • @아나스타샤-l9y
    @아나스타샤-l9y Рік тому

    흑색왜성의 주요성분이 무엇인지 가장 궁금하네요

  • @강알리
    @강알리 6 місяців тому

    설사와 열과 빛을 방출하지 못 한다니 슬프다.

  • @suyeonkimleeparkchoi
    @suyeonkimleeparkchoi Рік тому +1

    핵융합을 안하면 수축해버리니까 존재하겠어요?

  • @난사랭
    @난사랭 Рік тому +1

    식게되면 항성 중심은 금속 코어로 굳어지게 되나? 내부에 중력을 유지시켜줄 존재가 뭔지 궁금하네

    • @04halo
      @04halo Рік тому +1

      질량은 있으니 중력도 있을텐데 열도 빛도 방사능도 안나오는 크기에 따라 다르겠시난 덩치큰 운석1 수준이 될듯요

    • @최지웅-i1r
      @최지웅-i1r Рік тому +1

      철입니다

  • @MIRU-qw2io
    @MIRU-qw2io Рік тому +1

    흥미롭군

  • @leehyunsung9790
    @leehyunsung9790 Рік тому +1

    흑색 왜성을 공전하는 행성이 있다면 발견 할수도 있지 않을까요?

    • @I_smell_sus
      @I_smell_sus Рік тому

      그 행성은 어떻게 찾을건데

    • @leehyunsung9790
      @leehyunsung9790 Рік тому

      @@I_smell_sus 아무것도 없는데 그곳에서 공전하는 별 ^^

    • @I_smell_sus
      @I_smell_sus Рік тому

      @@leehyunsung9790 그러니까 그 공전하는 행성이 보여야 뭘 하기라도 하지 그리고 저 흑색 왜성도 움직이는데?

    • @leehyunsung9790
      @leehyunsung9790 Рік тому

      블랙홀도 보이는데 찾아보면 있겠지요^^

    • @I_smell_sus
      @I_smell_sus Рік тому

      @@leehyunsung9790 블랙홀은 주변 빛을 왜곡시키기라도 하지 저건 보기가 힘듦

  • @한명진-b1j
    @한명진-b1j Рік тому +1

    주의점: 여전히 그 크기는 어마무시해서 올라탈려고 했다간 찌뿌러져 죽는다.

  • @므느으르
    @므느으르 Рік тому +3

    만약에 존재하면 진짜 천문학 뒤집어지겠네

  • @overload8989
    @overload8989 Рік тому +1

    우주아저씨가 얘기하는건 하나같이 와닿지않을 것들이지만
    저 섹쉬한목소리는 즉각와닿는단말이야

  • @이추강
    @이추강 Рік тому

    모든 별이나 먼지나 모두 같은 우주 유기물일 뿐입니다. 우리 지구나 태양도 마찬가지이구요. 이합집산 할 뿐이죠

  • @i--i.
    @i--i. Рік тому +4

    태양이 저 상태로 변하게 해서 종말이란 것을 표현하면 좋을 것 같음

    • @mnm9139
      @mnm9139 Рік тому

      태양은 가벼워서 백색왜성이 되지 못해요.

    • @i--i.
      @i--i. Рік тому

      @@mnm9139 아이디어 구상 메모 입니다

    • @user-rr2wq9tb5v
      @user-rr2wq9tb5v Рік тому

      ​@@mnm9139태양은 주계열성 항성으로 적색거성이 된 후 행성상성운을 만들며 죽어가며 백색왜성이 됩니다. 태양이 되지 못하는 것은 질량이 더 큰 항성의 잔해인 중성자별이나 블랙홀 입니다.

  • @exp_runan2972
    @exp_runan2972 Рік тому +2

    까@매서 못본다고 하는건줄 알았는데 진짜로 없는 킹론상 천체였구나 ㅋㅋㅋ

    • @아라썩
      @아라썩 Рік тому

      이론상이지만 나중에 존재할수밖에 없는 ㅋㅋ

  • @토끼킥
    @토끼킥 Рік тому +2

    생각보다 우리 우주 애기네

  • @Chan-BM
    @Chan-BM Рік тому

    왜성도 다 식을때까비 수백억년이 걸릴만큼 에너지가 많은데, 초신성폭발같은 작용을 일으키는 항성들은 진짜 어마어마 하구나...

    • @Meunuaru
      @Meunuaru Рік тому

      초신성 폭발하는 항성들은 엄청 무거운 별들이라 수명이 수백만년~수천만년 정도로 짧은 별들임

  • @jimin_0522
    @jimin_0522 Рік тому +1

    현우주가 흑색왜성 속 세상이 아닐까?

  • @돼지-v5p
    @돼지-v5p Рік тому +1

    정대영도까지 내려간거면 초전도체 아닐까

  • @jnote5568
    @jnote5568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생각보다 우주의 나이가 무한하게 길지는 않은거임 ㅎㅎㅎㅎ 그러면 이 우주가 단 하나이고 유일무이한 것일까?? 다른 우주는 없을까? 생각해 볼 수 밖에 읎음

  • @allamm-ht2qr
    @allamm-ht2qr Рік тому +1

    생각보다 우리 우주가 어리구나

  • @abdrad6731
    @abdrad6731 Рік тому

    근디짜피인류는 저걸발견하기전에 죽지않나요?

  • @칸진-p8k
    @칸진-p8k Рік тому +1

    와 뭐지 이아저씨 목소리..뭔가...뭐지..뭘까..

  • @동글토리-w9r
    @동글토리-w9r Рік тому

    가상은 아니겠지 스스로 빛을 발하지 아니하니 지구에선 관측이 어려울뿐

  • @mr.nobody5882
    @mr.nobody5882 Рік тому +1

    어쩌면 보이드에 블랙홀이 자잘한거 다 삼키고 저런것들로 가득차서 아무것도 안보이는게 아닐까..

  • @visions91
    @visions91 Рік тому

    뭔가 재테크 채널에 나올 것 샅은 목소리인데

  • @LRLWATCH
    @LRLWATCH 5 місяців тому

    이론상의 천체입니다.
    그러던 어느날 "발견했다!!" 😂

  • @gentleguy57
    @gentleguy57 Рік тому +2

    가상의 천체를 어떻게 발견해낸건가요?
    원리가 어찌되지.. 우주는 참으로 신기합니다

  • @Apriltrue
    @Apriltrue Рік тому

    나 어릴땐 빅뱅도 하나위 가설일 뿐이였는데 사실로 밝혀진것 처럼 이것도 그럴것 같아요

  • @한얼-k1s
    @한얼-k1s Рік тому +1

    있다해도 어차피 우리는 못본다는거군

  • @hjl5785
    @hjl5785 Рік тому +1

    다른 별의 앞을 지나가면 포착가능.

  • @WalkAlone39
    @WalkAlone39 Рік тому

    혹시.. 블랙홀?

  • @조현주-l5c
    @조현주-l5c Рік тому +1

    꿈의 아다만타이트 광물이 있는 별~~

  • @존시나-e5y
    @존시나-e5y Рік тому

    여태까지 백색왜성이 끝인줄 알았는데 아니였네

  • @Poland_Macropodidae
    @Poland_Macropodidae Рік тому +1

    백색왜성은 영화 문 폴 에서 고대 우주인이 수세기에 걸쳐 만들어낸 거대 우주선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됩니다

  • @박준영-f4e
    @박준영-f4e Рік тому +9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 @Evan_surE
    @Evan_surE Рік тому

    우리의 dna에 이 목소리 주파수는 자장가

  • @재킴이유
    @재킴이유 Рік тому +1

    흑색왜성이 이론으로만 존재하는거구나
    몰랐네

  • @seraiz
    @seraiz Рік тому +1

    50억년 후의 지구모습

  • @윤희찬-f6u
    @윤희찬-f6u Рік тому +1

    오 재밌는 이론이네요.ㅎㅎ 항성이 에너지를 다하면 블랙홀이 된다니~ 흑색외성이 된다니~ 뭐 이론은 많으니까요~ 재미로 봐야겠지요.

  • @mikimiki2838
    @mikimiki2838 Рік тому +1

    중력장이나 자기장으로찾을수있지않나

  • @한국인그게나다
    @한국인그게나다 Рік тому

    그래서 우주는 도대체 어떻게 생긴걸까요
    누가 만든걸까요 그냥 자연스럽게 존재하는걸까요 끝은 있는걸까요 정말 궁금한데
    점점 졸려오네요 숙면땡큐

    • @iztkcg
      @iztkcg Рік тому

      그걸 알아내는것도 과학의난제죠

  • @geeeekker
    @geeeekker Рік тому +1

    약간 나긋나긋한 김보성 목소리

  • @user-rf6sx1ko9h
    @user-rf6sx1ko9h Рік тому +1

    토르가 스톰브레이커를 만들때쓴거

  • @hj2592
    @hj2592 Рік тому

    극한직업 류승룡 배우가 더빙하는 것 같아여

  • @신소유-e3t
    @신소유-e3t Рік тому +1

    흑색왜성이 수조억년의 시간이 지나면 다이아몬드 행성이 됟다던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