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TS 모르면 살아남을 수 없다" 4년 전 말한 미국 교수, '오징어게임' 열풍 평가는? / KBS 2021.10.26.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8 лют 2025
  • “한류, BTS를 모르고 21세기 시장경제에서 살아남을 수 없다”. 4년 전 미국 대학 강단에서 나온 말입니다. 당시엔 생소하게 들렸던 이 말이 지금은 현실처럼 느껴지는데요.
    4년이 지난 지금 발언의 주인공인 미국 사회학자, 샘 리처드 교수의 생각이 궁금해졌습니다.
    ‘오징어 게임’ 돌풍 속에 K-콘텐츠의 저력을 어떻게 분석하고 있을지 인터뷰했습니다.
    매 학기 700명이 넘는 학생들과 공개토론으로 진행되는 수업.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립대 샘 리처드 교수의 강의 모습입니다.
    인종 간 편견과 불평등이 주로 수업 주제지만, 최근 몇 년 사이엔 '한류'를 조명한 강의들이 화제가 됐습니다.
    ‘오징어 게임'도 7편까지는 한 번에 몰아보고 남은 2편은 아껴봤다는데요.
    [샘 리처드/美 펜실베이니아 주립대 교수 : "사회학자로서 많은 질문을 던졌어요. 가난한 사람들은 부자들에게 어떻게 착취를 당하나? 어쩌다 사회적으로 불리한 위치에 처하게 됐을까?"]
    ["오징어 게임에서 가난한 사람들은 20세기 말 경제 대부흥 이전의 가난했던 한국으로, 부자들은 지금의 잘 사는 한국으로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그래서 오일남이 한국에 질문을 던지고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경제적으로 풍요로워진 지금 더 행복해졌는지를..."]
    'BTS'나 '먹방'을 소재로 수업했던 것처럼, 오징어 게임도 토론 주제로 다룰 계획이라고 합니다.
    리처드 교수는 특히 서양 중심의 문화 주도권이 아시아로, 특히 한국으로 옮겨가고 있다고 진단하고 있습니다.
    [(2019년 11월) : "한국을 주목해야 하는 이유를 말씀드리겠습니다."]
    ["BTS 신곡이 발표된 지 24시간 만에 '테일러 스위프트'의 음원 다운로드 기록을 갈아치웠다는 소식을 듣게 됐어요."]
    ["이때부터 다른 차원으로 가기 시작했어요. 왜냐면 개인적으로 한국 문화를 즐기고 좋아하던 사람들이 갑자기 하나의 거대한 집단으로 활동하기 시작했거든요."]
    ["그때가 바로 제가 수업에 들어가서 "BTS를 모르고 관심을 갖지 않는다면 세계 시민이 될 수 없다"고 말했던 때입니다."]
    리처드 교수는 한국인 특유의 자신을 낮추고 상대방을 존중하는 경향이, 부족한 점에 집중해 질 높은 콘텐츠를 만들어낸 저력으로 발휘됐다고 분석하는데요.
    ["한국 창작자들은 최적의 지점을 찾아내기 위해 정말 많은 에너지를 쏟아부어요. 그 노력의 결과로."]
    ["노래, 영화, 드라마 등등 정말 잘해요. 그게 한국이 다른 문화와 차별되는 점인 것 같고요."]
    ["K팝이 됐든 한국 영화나 드라마가 됐든, 한국이 더 알려지게 되고, 그러면서 한국은 힘 있는 국가로 품격 있는 국가로 알려지게 되는 거죠."]
    한국이 문화강국의 지위를 유지하기 위한 조언은 다소 의욉니다.
    [샘 리처드/美 펜실베이니아 주립대 교수 : "문화의 중심에 있지 말고, 변두리로 가야 합니다."]
    ["그들만의 고유한 무언가를 하고 있는 사람들을 찾아야 해요. 문화의 중심이나 정상에 있는 사람들한테서 영향을 많이 받지 않
    ▣ KBS 기사 원문보기 : news.kbs.co.kr/...
    ▣ 제보 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홈페이지 : goo.gl/4bWbkG
    ◇ 이메일 : kbs1234@kbs.co.kr
    #K-콘텐츠 #오징어게임 #BTS

КОМЕНТАРІ • 1 тис.

  • @ShrimpRoyalNewRoyal
    @ShrimpRoyalNewRoyal 3 роки тому +640

    교수가 마지막에 말하는게 맞음. 절대 과거에 영광이나 성공에 집착해선 안됨.
    끊임없이 새로운거 시대에 맞는 창작물만이 또 다시 성공 할 수 있는 요인임.

    • @예수는구라다
      @예수는구라다 3 роки тому +18

      일본두고 애기하는 듯ㅋㅋㅋ

    • @네이밍-g8e
      @네이밍-g8e 3 роки тому +24

      @@예수는구라다 언제 우리일이 될지 모릅니다. 우리가 최고라며 안심하고 오만함을 가진다면 우리 일이 될거예요

    • @vollovz
      @vollovz 3 роки тому +13

      앞길을 가로막는 가장 큰 벽은 자신이다 왜? 우월감으로 생긴 편견들은 결국 망상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 @34hg30
      @34hg30 3 роки тому +11

      문화예술은 지원하되 간섭하지 않는무한창작의 자유가 지금 한류를 만든 위대한 정책.한국 콘텐츠 진흥원 -DJ때 설립 역대 정부 처음으로 정부예산중 문화 예산1%. 문화산업 진흥기본법 제정. 한국 콘텐츠 진흥원. 부천만화 정보센터 .서울애니메이션 센터 .한국 게임 산업 진흥원.한류 문화 법적 토대 김대중대통때다 만듬. 김대중은 문화예술은 지원은 하되 간섭을 말자해서 지금까지 한류 문화예술 융성한 토대가 됨이정책이 바로 한류원조

    • @vollovz
      @vollovz 3 роки тому +3

      @@34hg30 공감~~👍👍👍

  • @Yoon-qh8fo
    @Yoon-qh8fo 3 роки тому +854

    마지막 조언은 정말 새겨들어야 할것이다. 창작자들의 자유를 최대한 보장해야한다

    • @hoi9908
      @hoi9908 3 роки тому +3

      3:15

    • @user-nq2wd2zq3v
      @user-nq2wd2zq3v 3 роки тому +18

      그리고 장인, 문화재, 고유 행사 등 한국을 소개할 수 있는 한국적인 것들은 나라에서 개입하여 보존이 필요할 거 같습니다.

    • @ZZZ-n9g
      @ZZZ-n9g 3 роки тому +18

      ㄹㅇ홍콩영화가 하던거 또하고또하다가 쫄딱 망했지

    • @user-yo5jf7qh3j
      @user-yo5jf7qh3j 3 роки тому +12

      ㄹㅇ 국뽕에 차있을게 아니라 이런 작품들이 나올 수 있었던 이유를 생각해봐야 할 듯

    • @lolsydney3175
      @lolsydney3175 3 роки тому +7

      진짜 명언이다 같은걸 하려 하지 마라..

  • @popo-bz4oy
    @popo-bz4oy 3 роки тому +629

    오징어게임 같은걸 또 만들려 하지말고 새로운걸 시도하라는 말씀이 와닿네요 그런걸 의식하기 시작하면 좋은 작품이 나오기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 @sharkdream426
      @sharkdream426 3 роки тому +44

      저 교수의 말이 와닿는게 싸이가 강남스타일을 성공시키고 계속해서 강남스타일 자기복제를 하다가 결국엔 세계인의 관심에서 멀어져갔죠..

    • @deus72
      @deus72 3 роки тому +11

      싸이가 그랬죠... 또다른 강남스타일을 만드러 내려고 노력했지만...

    • @sonymobility4955
      @sonymobility4955 3 роки тому

      한국은 아직 로켓을 제대로 날지 않는다니. 일본은 50년 전에 성공했다.

    • @maylee9271
      @maylee9271 3 роки тому +4

      @@sonymobility4955 과거에 살고 있다고 자랑하시네요. 미완성의 힘을 모르기에 제자리 걸음이죠. 거기에 결정적으로 시기심, 앞을 바라봐야 하는데 로켓도 제대로 못 날린 국가를 부러워 시샘하죠. 경쟁력과 시기심은 달라요.

    • @iiilll726
      @iiilll726 3 роки тому +4

      마지막조언은 사회학자로써 과학적 공감되네요. 중심으로 향한 안착 자본 경쟁 보다는 끝까지 아웃사이드에서 가성비 경쟁이 좋다는 말인듯.

  • @janetlee2438
    @janetlee2438 3 роки тому +763

    리처드 교수의 통찰력에 무한한 존경을 보냅니다.

    • @김준영-l3n6k
      @김준영-l3n6k 3 роки тому +1

      랄티르탈솔

    • @빈스영상
      @빈스영상 3 роки тому +19

      나도 얼마전 그 영상을 봤는데 그때만 해도 ..'에이 뭘 그렇게까지..'라고 생각했는데..
      이젠 한국 자체가 새로운 트렌드가 되고 있다..

    • @diflaus
      @diflaus 3 роки тому +1

      @@김준영-l3n6k 통찰?

    • @jy42745
      @jy42745 3 роки тому

      @@김준영-l3n6k 최하급뜸 ㅇㅇ

    • @sonymobility4955
      @sonymobility4955 3 роки тому

      한국은 아직 로켓을 제대로 날지 않는다니. 일본은 50년 전에 성공했다.

  • @richardlee3205
    @richardlee3205 3 роки тому +489

    샘 리처드 교수님이 한국을 아직 방문한 적이 없다는 것에 완전히 빵 터짐 ㅋㅋㅋㅋㅋㅋ 식스 센스 정도의 반전 ㅋㅋㅋㅋㅋ

    • @jamieseung
      @jamieseung 3 роки тому +9

      저도요ㅋ

    • @pere1004
      @pere1004 3 роки тому +8

      ㅎㅎㅎ

    • @abcde_666
      @abcde_666 3 роки тому +52

      그래서 더 저런 평가를 하신 걸수도..본인이 한국에 간 적 없음에도 관련 소식이 들린다는건 분명 시장 경제에 영향력이 있다는 얘기일테니까요

    • @jakankim2183
      @jakankim2183 3 роки тому +9

      2019년에 그 강의를 했었는데, 바로 그 해 말에 코로나가 터져버렸으니 ㅋㅋ

    • @proceed-l2u
      @proceed-l2u 3 роки тому +11

      너무 잘 알고 계셔서 몇년 살다 가신줄...

  • @토끼풀-d1d
    @토끼풀-d1d 3 роки тому +301

    와 닿네요. 괜히 헐리웃을 따라 한다거나, 기존의 성공한 것을 쫒아가면 안된다는 것을. KPOP이든 영화, 드라마던 외국인이 장점으로 인정하는 다양성이 지속되도록 해야함.

    • @LEEks2004
      @LEEks2004 3 роки тому +8

      바꿔말하면 그래서 헐리웃이
      기울고 한류가,자리 이동이
      되면서 위치가 바뀐다는...
      성공요인도 헐리웃을 따라가지
      않아서이고 앞으로도 독창성을
      키우고 남이 가보지 않은곳,
      그곳에 가서 성공하면 또다시
      성공의 길이다,란 뜻같군요~

    • @mooyook2
      @mooyook2 3 роки тому +1

      @@LEEks2004 빙고요 정확히 보셧어요. 그래서 나와 남을 비교하기 위해 새로운 곳으로의 여행(도전)이 중요하다는 것이구요..

    • @violin7955
      @violin7955 3 роки тому

      와 닿네요 (x) 와닿네요(ㅇ) 띄어쓰기

    • @timothy378
      @timothy378 3 роки тому +1

      비가 미국스타일 그대로 따라하다가 미국에서는 실패한거지

  • @seokryekim3869
    @seokryekim3869 3 роки тому +463

    마지막조언 정말감동입니다. 일본을 보면 가장 잘 알 수 있을것 같아요. 혁신을 두려워하며 정치나 경제 엔터테인먼트 등 현재에 만족하며 거기에서 파생되는 것만으로 살아가고 있는 것 같아요. 개척정신보다는 안주를 선택하니까요. 우리나라도 일본처럼 되지않으려면 도전정신이 필요하겠죠.

    • @hskim-nz8tk
      @hskim-nz8tk 3 роки тому +19

      저도 저말 들으면서 일본생각

    • @fieldlinda9105
      @fieldlinda9105 3 роки тому +2

      어처피 한국도 고령화로 정체될거임

    • @seokryekim3869
      @seokryekim3869 3 роки тому +1

      그럴가능성은 매우 깊지요. 아시아에서 한국다음 어느나라가 유망할까요?

    • @배귀재-k9g
      @배귀재-k9g 3 роки тому +6

      @@seokryekim3869 당분간은 한국이 중심에 있을것으로 보입니다.
      일본은 이미 쇠퇴해버려 애니밖에 남은것이 없고 그마저도 과거에 안주한 나머지, 자국의 비평가들마저 질적 하락을 걱정할 정도죠.
      사회주의 중국의 문화는 별 볼게 없죠.
      통제된 사회속에서 제대로된 창작물은 나올수 없을테니까요.
      노래하고 춤추는것이 전부인 인도의 콘텐츠는 그냥 자기들만의 닫힌 세계가 전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아니, 인도에는 하나가 더 있네요.
      우리나라의 6~70년대의 유치하기 짝이없는 반공영화 비슷한 영화들...
      예를 들어 파키스탄군에게 부모를 모두 잃은 인도 소년이 성년의 인도군인이 되어 파키스탄군을 무찌른다는 어설픈 영화, 드라마.
      이미 늙어버린 유럽에선 기댈것이 없습니다.
      미국이야 문화 콘텐츠의 최대 생산국이자 소비국이니 일단 제쳐두고 미국 다음의 2진을 형성하고있는 국가들이 보여야 하는데 한국을 제외하면 눈에 띄는 국가가 전혀 보이질 않습니다.
      한국의 대중문화도 언젠가는 쇠퇴하겠지만 당분간은 주류를 차지하고있을 가능성이 매우 큽니다.

    • @Ratel464
      @Ratel464 3 роки тому +1

      섬나라를 증명하 듯, 스스로 점점 고립되려고 애쓰는 나라 일본

  • @이상훈-f4d1p
    @이상훈-f4d1p 3 роки тому +522

    마지막 조언이 의외이면서도 다시 생각해보면 소름돋도록 냉철하시네 와우~

    • @sonymobility4955
      @sonymobility4955 3 роки тому

      한국은 아직 로켓을 제대로 날지 않는다니. 일본은 50년 전에 성공했다.

    • @dnwndugodwk
      @dnwndugodwk 3 роки тому +4

      @@sonymobility4955 맞아요. 일본은 배울점이 많은 나라입니다. 하지만 당신에겐 배울 것이 없는 것 같네요.

    • @Aderrorange
      @Aderrorange 3 роки тому

      @@sonymobility4955 covid 19 from your mom

    • @34hg30
      @34hg30 3 роки тому

      한국 콘텐츠 진흥원 -DJ때 설립 역대 정부 처음으로 정부예산중 문화 예산1%. 문화산업 진흥기본법 제정.
      한국 콘텐츠 진흥원.
      부천만화 정보센터 .
      서울애니메이션 센터 .
      한국 게임 산업 진흥원.
      한류 문화 법적 토대 김대중대통때
      다 만듬. 김대중은 문화예술은 지원은 하되 간섭을 말자해서 지금까지 한류 문화예술 융성한 토대가 됨이정책이 바로 한류원조

    • @34hg30
      @34hg30 3 роки тому

      문화의 힘이 세계를 지배한다.
      민주주의는 피와 땀눈물이 동반되어야 한다. 우리의 민주주의는 뿌리가 탄탄하여 흔들리지 않는다. BTS의 피땀눈물 모티브가 된 김대중 연설.
      문화예술은 지원은 하되 간섭을 말자해서 지금까지 한류 문화예술 융성한 토대가 됨. 좋은것은 받이들이자 해서 일본 문화 개방으로 초대박 반전. 오히려 한국 드라마 수출. 겨울연가.욘사마. 가을동화.대장금. 빅히트. 난리남.
      한반도 역사이래 처음으로 일본관광객 물밀듯 밀려옴.
      한류. kpop명칭이 이때 일본서 첫등장햇다, 뒤이어 보아.동방신기
      오리콘 차트 1위햇고 그뒤이어
      빅뱅. 샤이니.소녀시대.원더걸스 때는
      이미 전세계 퍼짐

  • @luckyblue2758
    @luckyblue2758 3 роки тому +644

    우리나라에도 저런 선견지명이 있는
    교육자들이 많았으면 좋겠습니다.
    마지막 조언은 진짜 중요하다고 생각함 👍🏻

    • @우공이산-m1z
      @우공이산-m1z 3 роки тому +11

      맞습니다 현실의 한국대학교수들은 자신의 부를 위해 양심을 파는 사람들이 득시글하죠...

    • @G선상의아리랑
      @G선상의아리랑 3 роки тому +11

      맞아요 한국교수들 중에 이분처럼 현장감 넘치고 살아있는 수업을 하는 이가 몇이나 될까요....

    • @sonymobility4955
      @sonymobility4955 3 роки тому +1

      한국은 아직 로켓을 제대로 날지 않는다니. 일본은 50년 전에 성공했다.

    • @luckyblue2758
      @luckyblue2758 3 роки тому +1

      @@sonymobility4955 동문서답 😥

    • @모카밀
      @모카밀 3 роки тому +2

      @@luckyblue2758 저넘 같은걸 도배하고 다니는 토왜임다.

  • @ymk6063
    @ymk6063 3 роки тому +452

    너무도 유명해진 샘 리쳐드교수님이시네요. 한류를 너무도 긍정적으로 바라봐주셔서 항상 감사합니다^^

    • @로또분석전문채널119
      @로또분석전문채널119 3 роки тому +7

      ㅎㅎ 유명하신분인가봐요

    • @키스를날려쓰러뜨리자
      @키스를날려쓰러뜨리자 3 роки тому +6

      이게 방송이냐 국뽕유튜브냐 ㅋㅋㅋㅋㅋ 거의 일본화 다됐구나

    • @금리점하한가
      @금리점하한가 3 роки тому +5

      @@키스를날려쓰러뜨리자 국뽕이 차오른다 할렐루야

    • @이름-b8y
      @이름-b8y 3 роки тому +1

      이제 그만 좀 합시다
      한국을 사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한국을 긍정적으로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도대체 언제까지 이런 소리를 할 건지...

    • @금리점하한가
      @금리점하한가 3 роки тому +1

      @@이름-b8y 국뽕이 최고다 할렐루야 대한민국 만만세

  • @arisooan6793
    @arisooan6793 3 роки тому +200

    교수의 마지막 조언에 깊은 해답이 있다.
    잘 나가다가 빠르게 정점을 찍고 추락하는 다른 지역 문화만 봐도 확실하지.
    우리가 가야 할 길은 홍콩영화 처럼 무한 복제를 반복하는 것이 아님.
    제2,제3의 오징어 게임 제작은 시간 낭비,돈 낭비,에너지 낭비다.
    끊임없이 호기심과 새로움을 원하는 사람 마음을 읽고 진흙 속에서 찾아주기를 기다리는 진주를 찾아내서 빛나게 하는 것.
    그 곳에 답이 있다.
    그러니 미래를 지향하면서 동시에 사라져가는 우리네 전통 문화 흔적을 더욱 신경써서 파내는 노력이 필요하다.

    • @그럼뭐
      @그럼뭐 3 роки тому +3

      단오를 공휴일로 지정하고 지역불균형 해결과 함께 지역문화를 살리는 방향으로 가야해야겠지요.

    • @34hg30
      @34hg30 3 роки тому

      한류가 대단하다. 한류는 우리민족의 고졸한 문화유산을 뽑아 올린 가장 성공한 소프트다. 확실히 우리문화는 격조가 높다. 어떤 문화유산을 봐도 천박하지 않다. 품위 있고 따뜻하다. 우리에게는 고품격 문화유전자가 흐르고 있다. 지원을 하되 간섭하지 않았다. 김대중자서전 발췌.

    • @34hg30
      @34hg30 3 роки тому

      문화의 힘이 세계를 지배한다.
      좋은것은 받아들이자.
      문화예술은 지원하되 간섭하지 말자.
      무한 창작의 자유 보장
      문화개방정책ㅡ 한류붐 최초 일본서 시작.
      역대 정부 처음으로 DJ 정부 예산중
      문화 예산1% 문화산업 지원.
      한국 콘텐츠 진흥원.
      문화산업 진흥기본법 제정.
      부천만화 정보센터.
      서울애니메이션 센터.
      한국 게임 산업 진흥원.
      김대중때 한류 문화 법적 토대 다 만듬
      e스포츠게임 온라인중계.명칭 세계최초
      게임문화사업지원

  • @davinchleon8859
    @davinchleon8859 3 роки тому +155

    "과거 성공에 기대지말고 새롭고 창의적인것에 도전하라"는 말씀~너무나 공감하고 쌤교수의 탁월한 혜안이 느껴집니다~!

    • @난돌-l8c
      @난돌-l8c 3 роки тому

      리니지.. ㅋㅋ

    • @HH-qd3wm
      @HH-qd3wm 3 роки тому

      @@난돌-l8c 앗ㅋㅋㅋㅋ

    • @34hg30
      @34hg30 3 роки тому

      한류가 대단하다. 한류는 우리민족의 고졸한 문화유산을 뽑아 올린 가장 성공한 소프트다. 확실히 우리문화는 격조가 높다. 어떤 문화유산을 봐도 천박하지 않다. 품위 있고 따뜻하다. 우리에게는 고품격 문화유전자가 흐르고 있다. 지원을 하되 간섭하지 않았다. 김대중자서전 발췌.

  • @무직김선달
    @무직김선달 3 роки тому +253

    근데 웃긴건 이분 유투브 돌아다니는데.......... 그 당시 학생들 반응은 시쿤등했음............. 그리고 그 뒤에 이분 말하는대로 다 하나씩 바로 이뤄져서............ 그때 수업들었던 학생들은 다 소름 돋았을 듯.....

    • @jy42745
      @jy42745 3 роки тому +30

      ㄹㅇㅋㅋ
      교수가 아미가 되서 떠드는 소린지 알앗겟지 ㅋㅋㅋ

    • @재밌는거찾아요
      @재밌는거찾아요 3 роки тому +18

      저도 그 영상 봤는데 진짜로 그게 뭐야???
      이런 분위기였죠.
      2년만에 저 교수님이 말한대로 분위기가 달라져서 본인들도 깜짝놀랐을거에요. ㅋㅋㅋ

    • @G선상의아리랑
      @G선상의아리랑 3 роки тому +19

      이런 것이 선견지명 이나 통찰력이라고 하는가 봅니다.....

  • @summer3424
    @summer3424 3 роки тому +204

    교수님의 조언이 맞습니다. 향후 1-20년 간은 다른 아시아 국가들이 하드&소프트파워 측면에서 한국을 따라잡기 힘들기 때문에 한국이 계속 리딩하는 위치에 있을 수 있겠지만 그 후에는 그들도 우리가 했던 경로들을 모방하고 발전시키며 한국을 따라잡을 수 있기 때문에 계속 남들이 생각 못한 새로운 것들을 발굴하도록 노력해야겠죠

    • @shk2826
      @shk2826 3 роки тому +9

      20년까지 안 갈거 같은데요 일단 한 5년정도는 문제없을거 같지만 외국인들도 한국 특유의 신파나 이런걸 질릴 때가 오겠죠 그 때부터가 시작일 듯

    • @tallwood3264
      @tallwood3264 3 роки тому +3

      문화도 역시 초격차 전략이 필요한 것이구나. 전인미답의 세계로...

    • @summer3424
      @summer3424 3 роки тому +12

      @@shk2826 한국컨텐츠가 그렇게 경쟁력 없는 거는 아니라고 생각해요. 신파만 있는 것도 아니고 20년 넘게 아시아권에서는 독보적인 영향력을 끼쳐왔고 최근 몇 년 사이에는 방탄이 서구권 미디어에서 긍정적으로 노출되면서 서구권 내 아시아인에 대한 진입장벽을 확 낮춰놨기 때문에 경쟁력 있는 한국 작품들이 계속 확산되며 문화적 권력을 획득해 나가겠죠. 다만 말씀하신 것처럼 신파라던지 뭔가 진부한 요소를 계속 작품에 넣는다면 다들 질려할 수도 있으니 새로운 아이디어 발굴이 지속적으로 필요할 듯요

    • @summer3424
      @summer3424 3 роки тому +6

      @@tallwood3264 그런 것 같아요. 한류로 인해 서구권 내 아시아 문화에 대한 진입장벽이 낮아졌지만 그 수혜는 다른 아시아 국가들에게도 돌아갔기 때문에 이들도 향후 경제력 상승과 함께 소프트파워 확산에 대한 전략도 고민하겠죠..

    • @소라츄-f3y
      @소라츄-f3y 3 роки тому +7

      이렇게 깨어있는 국민들이 많다는건 우리나라가 앞으로의 행보도 정말 기대됩니다. 국민의 수준이 국가의 경쟁력이니 말이죠. 어렵게 지켜온 우리나라 이젠 누구도 넘볼수 없는 나라가 되길 바랍니다.

  • @limholim7841
    @limholim7841 3 роки тому +620

    과거의 성공에 기댈수록 역동적인 창의성과 멀어진다..
    와우.
    경계해야할 것이고 이미 일본을 통해 보고 있지 않은가

    • @reginalee7443
      @reginalee7443 3 роки тому +20

      와우. 2

    • @jhshim8372
      @jhshim8372 3 роки тому +8

      @@reginalee7443 소름끼는는 분석이네요

    • @fieldlinda9105
      @fieldlinda9105 3 роки тому +2

      고령화로 망할 나라인데 무슨ㅋㅋ

    • @NULL-c3e
      @NULL-c3e 3 роки тому +2

      한국엔 미래는없다

    • @해리미-q4o
      @해리미-q4o 3 роки тому +6

      @@NULL-c3e 외국에선 한국인만이 한국을 얼마나 위대한줄 모르는 국민이라한다 한국엔 미래가없다 변방의작은나라 우리가 뭐볼게있냐 일본을 따라가려면 20년은 걸린다 한국드라마 k팝이 뭐가 대단하지라며 하찮게 생각한다고

  • @svoice2368
    @svoice2368 3 роки тому +126

    마지막 한국 문화계에 대한 조언이 정말 소름 돋았습니다.
    한번 성공하면 너도나도 다 따라만들어서 성공의 법칙이 존재하는것마냥 뒤따르게 되는게 사람의 심리인데 오히려 그럴수록 성공과 멀어진다는 말씀...
    진짜 엄청난 통찰력이네요~
    존경합니다

  • @도준-q7i
    @도준-q7i 3 роки тому +177

    현실에 안주하고 비슷한것 잘 되는 것만 찍어내는 순간, 잃어버린 500년을 겪게될 일본과 똑같아 진다는 조언 정말 좋은 말씀 같네요. 제 2의 오징어 게임을 만들려 하지 말고 새로운것을 시도해라.

    • @lolsydney3175
      @lolsydney3175 3 роки тому +1

      잃어버린 5백년은 뭐죠?

    • @cxyxjxgx2614
      @cxyxjxgx2614 3 роки тому

      @Justice 한국이나 일본이나 곧 사라질 것은 마찬가지임. 오히려 지금 한국 인구가 더 적기 때문에 한국이 더 먼저 없어질지도?

  • @karlp3380
    @karlp3380 3 роки тому +124

    숱하게 이야기 들어왔지만 공감하지 못했던 이야기가 점점 공감할수 있게 되었습니다.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다."

    • @복기리즘
      @복기리즘 3 роки тому +1

      닥치고 한글부터 다시 배워라.
      숫하게? ㅋㅋ

    • @pere1004
      @pere1004 3 роки тому

      '숱하게'가 맞습니다'

  • @ykhahn7
    @ykhahn7 3 роки тому +154

    오징어 게임이 성공했다고 해서 복제품을 만들지 말고, 변방같은 아예 새로운 도전을 시도해라 라는 말이 와 닿네요.

  • @박준서-w7b
    @박준서-w7b 3 роки тому +115

    kpop의 팬덤 문화 또한 발전하지 않은 문화에서 끄집어냈고, 실제로 많은 외국의 kpop 팬들이 이에 매력을 느끼고 좋아한다고 말합니다. 이렇듯이 kpop 은 앞으로 양산형 아이돌을 만들어내는 것이 아닌, 교수님의 조언처럼 계속해서 본적 없는 새로운 방식을, 다소 생소하더라도 도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해보입니다.

    • @KimHoàngHuy-v4h
      @KimHoàngHuy-v4h 3 роки тому

      여잼 ㅎㅇ 가짜뉴스 믿지말공 틱톡보장!

    • @박준서-w7b
      @박준서-w7b 3 роки тому

      @@KimHoàngHuy-v4h 여잼이라니 ㅋㅋㅋㅋ 프사 누군지 모르나 도대체 뭘보고 여잼이라 하는지 모르겠네

  • @inmyofs
    @inmyofs 3 роки тому +51

    마지막 조언이 정확하네.
    스토리만 슬쩍 바꾼 오징어 게임을 다시 만들지 말라는 조언과 문화의 지금은 문화의 중심에 있는것처럼 보이지만 언젠간 시들해질거라거.
    원래 유행이나 인기는 사그라들기 마련이니까.
    인기 좀 있다고 자아도취에 빠져 한국 문화 최고만 외치는 사람이 되지않기를.(이건 내 생각)
    한국에서 숨은 인재들 많이 발굴하고 매너리즘에 빠져 성공한 작품따라 비슷한 작품만들지말라는 여러의미가 내포 되어 있는듯.
    그리고 솔직히 오징어 게임이 KBS,MBC,SBS 지상파에서 까였다는거 다들 아실거고 우리나라 제작 환경도 바뀌어야함.
    만약에 오징어게임이 SBS,KBS,MBC지상파에서 제작했다?아마 오징어 게임이 오징어게임 아닌 드라마가 됬을거고 그렇게제작됬다면 세계적으로 성공 못 했거라고 생각하니까.
    그리고 오징어 게임이 세계적으로 성공했다고 k드라마 최고라고 외치는것도 좀 그래.
    방송사들보면 죄다 막장드라마 아니면 예전에 시청률 잘나왔던 작품들 비슷한 한것만 제작해 방송하니 지금 침체기라고 생각하는데 그냥 감독이나 각본,시나리오 작가의 제약없이 자유로운 환경의 넷플릭스로 가서 드라마제작해서 서비스되게 하는게 낫다고 생각하는데.
    넷플릭스로 가서 제작하는 진정한 k드라마가 나올 확률이 높은거 같기도 하고.

    • @creemB
      @creemB 3 роки тому +2

      딱히 최고도 아님 그냥 반복되고 같은 패턴에 지겨워져서 서양권 이외의 다른 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는데 그중에 한국의 문화가 제일 받아들이기 좋았던거지 서양이랑 비교해보면 한국은 아직 멀었어요

  • @밤하늘별-k9j
    @밤하늘별-k9j 3 роки тому +241

    서구의 문화우월주의 의식에 빠지지 않은 학자시네요. 한류를 서구문화의 하류문화쯤으로 취급하는 의식이 아직도 서양인들에겐 남아 있을텐데요.. 훌륭하십니다.

    • @34hg30
      @34hg30 3 роки тому

      DJ..한류가 대단하다. 한류는 우리민족의 고졸한 문화유산을 뽑아 올린 가장 성공한 소프트다. 확실히 우리문화는 격조가 높다. 어떤 문화유산을 봐도 천박하지 않다. 품위 있고 따뜻하다. 우리에게는 고품격 문화유전자가 흐르고 있다. 지원을 하되 간섭하지 않았다. 김대중자서전 발췌.

  • @타지마라
    @타지마라 3 роки тому +258

    정말 미국 대학교수 아무나 하는게 아니구나… 마지막 조언에 소름이 돋았다

    • @kylelee1506
      @kylelee1506 3 роки тому +6

      그냥 미국 대학 교수가 아니라 동부의 명문 유펜임~

    • @bethanykim3076
      @bethanykim3076 3 роки тому +6

      @@kylelee1506 아이비리그 계열 유펜이 아닌 펜스테이트 학교죠. 완전 다릅니다. Penn state =/= University of Pennsylvania

    • @34hg30
      @34hg30 3 роки тому +3

      김대중때 이미 20년전에 한류를 만든정책 .미래혜안이 지금저 교수들보다 훨씬 앞서 갔다는게 더 놀랍다. 문화예술은 지원하되 간섭하지 말자. 일본문화개방으로 겨울연가. 욘사마 보아.동방신기. 히트치고. 한류 .kpop명칭이 이때 일본서 시작되어 냇물이 되고 강물이 되고 지금 바다가 되었디.어느날갑 자기 한류가 뜬게 아니다. 김대중의 정책이 한류를 만든 원조였다.
      김대중 98년 취임 하자마자 표현의 자유보장. 자유민주주의 완전 정착.
      표현의자유 기사가 일본신문에도 났고. 김지원 .봉준호감독등 그때 다 등장햇다.
      kbs다큐인사이트한 류역사편에 나옴.

    • @34hg30
      @34hg30 3 роки тому +3

      한국 콘텐츠 진흥원 -DJ때 설립 역대 정부 처음으로 정부예산중 문화 예산1%. 문화산업 진흥기본법 제정.
      한국 콘텐츠 진흥원.
      부천만화 정보센터 .
      서울애니메이션 센터 .
      한국 게임 산업 진흥원.
      한류 문화 법적 토대 김대중대통때
      다 만듬. 김대중은 문화예술은 지원은 하되 간섭을 말자해서 지금까지 한류 문화예술 융성한 토대가 됨이정책이 바로 한류원조

    • @34hg30
      @34hg30 3 роки тому +1

      한류가 대단하다. 한류는 우리민족의 고졸한 문화유산을 뽑아 올린 가장 성공한 소프트다. 확실히 우리문화는 격조가 높다. 어떤 문화유산을 봐도 천박하지 않다. 품위 있고 따뜻하다. 우리에게는 고품격 문화유전자가 흐르고 있다. 지원을 하되 간섭하지 않았다. 김대중자서전 발췌.

  • @totoluv
    @totoluv 3 роки тому +84

    마지막이 핵심! 사회학자로서의 우리에게 전하는 메세지(변방에 관심을 갖어라 또 다른 오징어게임을 만들지 마라)는 우리가 꼭 명심하고 참고해야 할 부분이네요

  • @eunsookkang3962
    @eunsookkang3962 3 роки тому +299

    좋은지적!! 오징어게임을 또 만들지 말고 없던 새로운거 만듦!!!

    • @kylelee1506
      @kylelee1506 3 роки тому +1

      이제 지옥이 대세가 될거다

    • @sonymobility4955
      @sonymobility4955 3 роки тому

      한국은 아직 로켓을 제대로 날지 않는다니. 일본은 50년 전에 성공했다.

    • @HH-qd3wm
      @HH-qd3wm 3 роки тому

      @@sonymobility4955 팩트1. 미국 것을 일본에 그대로 전수해주었다 (일본 자체개발x 미국이 해줌)
      팩트2. 한국은 다른 국가 도움 없이 자체 개발중. ㄹㅇㅋㅋ

    • @라면좀잘끓여봐
      @라면좀잘끓여봐 3 роки тому

      @@sonymobility4955 그 이상은 없다는거

  • @jamesbee7302
    @jamesbee7302 3 роки тому +52

    제대로 분석하고 파악한 교수의 의견이 한국문화를 이리 높게본다는게 놀랍네요.
    저 교수님 말대로 되어가는중인듯

  • @인생은판타지
    @인생은판타지 3 роки тому +330

    학자들의 선견지명은 정말 놀라워

  • @이름-r2q
    @이름-r2q 3 роки тому +137

    오호~조언이 마음에 와 닿는다 과거의 영광에 빠져 있지 말고 끊임없이 새로운걸 추구하라 맞습니다

    • @Bluesmile662
      @Bluesmile662 3 роки тому +1

      일본이 과거의 영광에 안주하다 문화 변방국으로 추락하고 있죠.
      일본을 닮으면 안됩니다.

  • @hollickersf9914
    @hollickersf9914 3 роки тому +131

    마지막 조언이 참 공감가네요.

  • @umdarkssa6001
    @umdarkssa6001 3 роки тому +230

    이 교수님 한국에 초대 해서 강의 한번 했으면 좋겠음
    인터넷 강의 들었는데 정말 재미 있었음

    • @잭다니엘7잔
      @잭다니엘7잔 3 роки тому +4

      어디서 볼수있나요?

    • @sonymobility4955
      @sonymobility4955 3 роки тому

      한국은 아직 로켓을 제대로 날지 않는다니. 일본은 50년 전에 성공했다.

    • @umdarkssa6001
      @umdarkssa6001 3 роки тому

      @@sonymobility4955 무슨소리야 로켓 날린지가 언젤데
      이제 자랑할껀 로켓 밖에없냐

    • @umdarkssa6001
      @umdarkssa6001 3 роки тому

      @@잭다니엘7잔 교수님 이름 검색하면 나와요

  • @hiderocket
    @hiderocket 3 роки тому +212

    미래를 내다보고. 빠르게 통찰하는능력. 미국학생을 계몽까지..정말 역으로 배워야 할점이 많습니다.

  • @dreamer5958
    @dreamer5958 3 роки тому +113

    방송국은 트로트가 하나 터지기 시작하면 모든 방송국이 트로트 방송을 미친듯이 만들어 내보내기 시작한다. 교수의 조언을 새겨 들어야하는 이유가 아닌가 생각한다.

    • @하하-x3l
      @하하-x3l 3 роки тому +15

      @BT Lennon 뭐가상관없나요…??;;꼭 해외에서 터져야하는 작품을 만들어야하나요? 국내에선 그냥 질떨어지는거 봐도된다는거야뭐야 그게 뒤쳐지는거지

    • @centurionrome8161
      @centurionrome8161 3 роки тому +1

      근데 원래 다 그러한 과정에서 돌고 도는거 뿐.......하나 터지면 우후죽순 생기고 그러다 침체되고 또 다른게 뜨고...이게 바로 문화임...
      이걸 가지고 의도적으로 조종하고 뭐라할게 안됨..이러면서 발전하는거 뿐이지.....
      이건 미국도 영국도 마찬가지임... 과거 미국도 죠스로 신드롬급 대박났을 때 죠스같은 아류들 작품이 쏟아져 나왔던 거 처럼...

    • @today0152
      @today0152 3 роки тому

      @BT Lennon BTS도 처음엔 국내용(?) 아니었을까요?

  • @heyyul_l
    @heyyul_l 3 роки тому +72

    2:24 에 나왔었던 학생입니다 😄 이 영상이 여기까지 올줄 몰랐네요. 학교다닐때 저 교수님 수업이 제일 유명할 정도로 인기가 많았던 수업이었어요!
    저도 학점 다채우고 오바해서 들었던 기억이 나네요 그만큼 가치있었던 수업이었어요 👍🏻👍🏻

    • @도준-q7i
      @도준-q7i 3 роки тому +7

      공부에 자신없다는 3.6 그 학생요? 오오오옷~!

    • @so-what930
      @so-what930 3 роки тому +8

      와우! 영상에서 봤었는데 무지 반갑네요 영상에서 보고 얼마나 자랑스럽던지~ 겸손하신모습 보기좋았어요^^

    • @solana4895
      @solana4895 3 роки тому +2

      존경합니다~ 좋은 영상이였습니다

    • @지민박-x5l
      @지민박-x5l 3 роки тому +2

      옛날에 구독해서 잘보고 있습니다~ 멋있으세요.

    • @bawookim3811
      @bawookim3811 3 роки тому +2

      공부도 수영도 그저그런 수준의 그 분이시군요~~넘 예쁘게 나왔더라는..

  • @leeijijll1119
    @leeijijll1119 3 роки тому +125

    방탄소년단 국위선양 대단하구나. 한글도 널리 알리고. BTS 최고!

  • @sonagirane
    @sonagirane 3 роки тому +159

    홍콩영화가 망한 이유지...전혀 새로운것을 해야되는게 맞다 조언이 정말 소름~~~

    • @ujou0408
      @ujou0408 3 роки тому +9

      너무 깡패영화였죠...우리나라도 너무 살인,폭력,좀비 이런똑으로가면 망함...다양성이 중요함

    • @kylelee1506
      @kylelee1506 3 роки тому +2

      @@ujou0408 느와르라고 해야지

    • @바람소리-f7x
      @바람소리-f7x 3 роки тому +2

      그런데 최근 몇 년 동안 헐리우드 영화 보면..
      양산형 히어로물 아니면 디즈니의 사골의 사골의 사골의 사골 리메이크물로 도배중..
      이미 질려 버릴 정도로 외계 악당과 싸워 지구와 우주를 구하기 바쁜 헐리우드 스타들..

  • @digitalis9658
    @digitalis9658 3 роки тому +51

    '변두리로 가야한다. 성공한 정상의 것을 따라하면 안된다.' 정말 맞는 말이예요. 일본이 그러다 망해가고 있고(사실 이미 망했고), 우리문화를 따라하다 못해 훔쳐가려는 중국이 더이상 발전이 있을까요? 우리가 명심해야할 말입니다.

    • @seungpyo9904
      @seungpyo9904 3 роки тому

      중국은 그래도 내수로 돈 줜나버는데 뭔상관

    • @bryanlee2669
      @bryanlee2669 3 роки тому

      @@seungpyo9904 그 존나게 내수로 벌린돈이 지금처럼 한곳으로만 계속 몰리면 중국이 앞으로 어떻게 될 것 같음? 그리고 인구수로 이제 인도에 따라잡히는데 중국이 그놈의 내수랑 수출로 얼마나 더 오래갈 것 같음? 좀 넓게 보는 시야를 기르삼

  • @treescent3468
    @treescent3468 3 роки тому +131

    마지막 부분 교수 조언에 공감한다. 이제 기획사들도 중국 일본 중심에서 벗어나야 하고 특히 현재의 비슷비슷한 패턴의 아이돌 중심의 음악과 비슷한 스토리와 결말의 드라마에서 벗어나 좀 더 한국적이고 우리만이 할 수 있는 것을 계속 찾아야 한다고 본다. 그리고 TV예능같은 경우도 같은 놈들 여기 저기 꽂아 돌려쓰는 행태도 그만하길... 식상하다.

    • @jino78
      @jino78 3 роки тому +5

      80년대면 모를까 우리가 언제 일본, 중국 중심으로 문화를 만들었나요 ^^ 단어 선택이 잘못된듯
      우리가 문화의 방향성에 대한 주도권을 갖는거랑 시장은 다른거에요

    • @jinchang1051
      @jinchang1051 3 роки тому +8

      그게 소위 한류 3년론이라구 20년 전부터 하던 주구장창 하던 소리임. 3-4년 만 지나면 비슷한 컨셉의 드라마와 아이돌 음악에 해외팬들이 질려버릴 것이다 머 이런 소리ㅋ 삼성 연구소를 필두로 주류 언론도 그런 비관적인 전망을 쏟아냈음. 현실은??? 엔터사가 알아서들 잘함ㅋㅋㅋ

    • @맛을알까
      @맛을알까 3 роки тому +3

      한국 드라마나 영화가 클리쉐를 상당히 극복한게 웹툰을 기반으로 제작하면서부터임. 기안84같은 4차원의 상상력에 황동혁, 박찬욱, 봉준호처럼 명문대 수준의 머리들이 스토리텔링에 참가해도 완성도가 높아짐

  • @gots2000
    @gots2000 3 роки тому +63

    한국을 가본적도 없는 분이 한국문화에 대해 정말 날카로운 식견을 가지고 계시네요. 저런 분들이 강의하는 미국이 세계 최고강대국인 이유중 하나인듯

  • @코헨-m3q
    @코헨-m3q 3 роки тому +87

    정상에 서있을때가 가장외롭지 정상을 밟으면 내려가야 한다는 생각을 누구나 한다.하지만 산은 홀로 서지않는다.
    연결된 길로 천천히 연착륙하고 새로운 창의적 발상전환을 이뤄 저들이 아직 모르는 한국인의 모습을 천천히
    서서히 보여주면 됩니다.격식있게.품위있게.

  • @wootaekjeong5027
    @wootaekjeong5027 3 роки тому +34

    한국과 인연이 없음에도 스타강사로서 강의를 통해 한국의 문화에 대해 미국의 젊은 세대에게 가장 많이 알리고 있는 분이시죠.

  • @충무공이순신-m4j
    @충무공이순신-m4j 3 роки тому +46

    헐리우드가 망해가고 있는 이유는 너무 자본주의적이다라고 생각함
    돈만 되는 이유를 찾다보니 큰 시장에 맞추려고 창의성을 버려버렸다는거임.
    영화와 드라마는 돈이 많이 드는 예술이고 상업성을 빼고는 말할수가 없지만 그렇다고 상업성만 가지고 만들어버리면 창의적가치, 특별함을 잃어버리는
    그저그런 것들만 만들게 된다는거임

    • @sakel1239
      @sakel1239 3 роки тому +13

      ㅇㅇ 먹히는것만 재탕재탕재탕 하다가
      모든 영화,드라마가 다 비슷비슷하게 되어버려서
      관객들이 미국 작품들하고 전혀 다른 한국작품에서 만족을 찾게됨

    • @한국정력공샤
      @한국정력공샤 3 роки тому

      한국작품이 창의성면에서 뛰어난지는 모르겠는데 ㅋㅋ

  • @ilsang1337
    @ilsang1337 3 роки тому +40

    한때 홍콩의 느와르 영화가 잘 나가던 시절 결국 계속 그런 스타일 영화만 찍어 만들어서 바로 쇠퇴의 길을 갔지. 지금처럼 잘 나갈때 일수록 마지막 조언을 정말 잘 새겨 들어야 한다.

  • @lea0390able
    @lea0390able 3 роки тому +36

    국뽕에 빠져 중공처럼 망난이가 되지 말고, 겸손한 마음과 헝그리 정신으로 늘 새로운 것을 추구하라는 조언이네. 저 교수가 이제껏 한 말들 중 제일 인상 깊고 진심으로 와 닿네.

  • @popostory256
    @popostory256 3 роки тому +12

    이야.. 저런 조언은 진짜 정말로 우리에게 필요한,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깊은 조언이다. 저걸 뼈에 깊에 새겨들어야 한국이 더 발전한다. 저 교수님은 한국에 반드시 초청해서 강의한번 들어봐야 한다.

  • @petery7003
    @petery7003 3 роки тому +59

    마지막 조언이 굉장히 의미심장하네요.

  • @kuh312
    @kuh312 3 роки тому +36

    우린 아직도 배울게 많다. 문화의 중심축이 우리쪽으로 이동하고 있는건 맞지만 20세기 최대 문화대국이었던 영국과 미국에게서 아직도 많이 배워야한다.

    • @SFT199
      @SFT199 3 роки тому

      과거의 영광에 기대지 말라는것은 영국미국을 포함한 과거를 벗어나 창조의 영역으로 넘어가야된다고 봐야하지않나요

    • @kuh312
      @kuh312 3 роки тому

      @@SFT199 그 새로운 창조 영역으로 넘어가기 위해서 과거 사례를 배워야 하는거죠. 우리가 빌빌거릴때 미국 영국이 세계 문화를 점령한적이 있으니 그들에게서 배울건 배워야 우리도 더 발전합니다.
      사실 지금 한국 문화 발전상은 미국을 철저히 벤치마킹한 것도 이유중 하나입니다. 20년전 아이돌 문화가 일본에서 한국으로 처음 넘어왔을때 일본 아이돌을 벤치마킹 하지 않고 미국 아이돌을 벤치마킹한게 신의 한수였습니다. 그때문에 젝키, Hot, 신화 같은 쟈니스와 전혀 다른 성격의 아이돌이 나올수 있엌ㅅ으니까요.

    • @SFT199
      @SFT199 3 роки тому

      @@kuh312 님의 말이 틀렸다는게 아니라 맞는말인데요 이영상속 교수님의 말씀은 그 의미가 아닌거같아서 그럽니다

  • @leemoce
    @leemoce 3 роки тому +102

    마지막 조언에 소름돋습니다. 새로운 것에 계속 도전해야 합니다. 수업중에 강의실 구석에서 학생들이 달고나와 딱지치기 하고 있는 영상이 올라오겠네요..ㅋ

  • @cch1027
    @cch1027 3 роки тому +100

    문화의 중심에 있지말고 변두리로 가야합니다
    홍익인간 이념에 부합되는 말이구나

    • @Moviekor
      @Moviekor 3 роки тому

      무슨 헛소리야.. 니네것,니네 민족,니네 유전자만 좋다고 착각하지말고, 일본 중국 필리핀 동남아 변두리에서 오는 모든 인재를 받아서 창의적으로 활동하는 무대를 만들라는거잖아...

    • @sakel1239
      @sakel1239 3 роки тому +8

      @@Moviekor 그런 얘기는 아닌듯요

    • @maylily019kim
      @maylily019kim 3 роки тому +6

      @@Moviekor 너무 갔다 혹 동남아사람?

    • @늦덕아미-g9q
      @늦덕아미-g9q 3 роки тому +5

      @@Moviekor 그런 뜻 아닌데...님 잘못 알아들으셨네요.

    • @식빵의가능성
      @식빵의가능성 3 роки тому

      @@Moviekor 이거는 아니지만 그래도 동남아시아 배우는 찬성

  • @mystery_m1701
    @mystery_m1701 3 роки тому +108

    성공했다고 거만떨다 빛만1경넘게지는 일본두고하는 일침이네 우리나라도 일본꼴나지말라고 교수님이 좋은말씀해주시네!!

  • @밝은하늘-u1d
    @밝은하늘-u1d 3 роки тому +59

    끊임없이 새로운것에 도전하고 심취하라

  • @쌍도너츠
    @쌍도너츠 3 роки тому +92

    4년전 이 교수가 말하는 걸 국뽕이 전했지만
    그때는 대다수가 무시했지 이교수에 대해..
    하지만 지금은??

  • @김원해-j2r
    @김원해-j2r 3 роки тому +24

    정말 대단한 통찰력,마지막 조언은 정말 좋음.

  • @lorenralf911
    @lorenralf911 3 роки тому +16

    마지막 조언은 정말 비수처럼 와닿네 ㄷㄷ...

  • @_8doulam91
    @_8doulam91 3 роки тому +12

    예전에 싸이가 강남스타일로 세계적으로 주목 받은 후 이후에 나온 음악은 왠지 또 다른 강남스타일의 노래들이었다.. 그러다 보니 내가 전부터 좋아했던 싸이만의 색이 없어져서 좀 아쉽단 생각을 했던 기억이 난다.. 이 교수가 말한게 딱 이런걸 보고 말하는거 같다..

  • @리스트블랙-j5k
    @리스트블랙-j5k 3 роки тому +8

    진짜 똑똑한 사람..제대로 짚었네..그래서 한국 관광 홍보 영상도 대박인듯..이제까지 안했던거, 창의적인거..머드 맥스나 서울 홍보영상 대박임..흥해라 한국

  • @유리A
    @유리A 3 роки тому +21

    좋아하는 교수님인데 뉴스에 나와서 놀랐네요ㅎㅎㅎ
    선견지명이 장난 아니세요~!
    뉴스에서 봐서 반가웠어요~~

  • @bangdoll4500
    @bangdoll4500 3 роки тому +100

    과거의 성공에 기대면... 갈라파고스 일본이 되는 것임.

    • @ohlaksil
      @ohlaksil 3 роки тому +2

      일본을 빗대어서 하는 말 같기도 하네요.

  • @jcmh74
    @jcmh74 3 роки тому +115

    작은 성공이 큰 실패를 만드는 법이죠. 과거의 성공에 안주했던 일본이 정체되어 지속적으로 추락하고 있는 모습을 반면교사로 삼아야 합니다.

  • @dgdrwweqwq
    @dgdrwweqwq 3 роки тому +19

    제2의 무엇이 되려 하지 말고, 제 1의 내가 되는 것이 한류다...

  • @jwback9184
    @jwback9184 3 роки тому +24

    일부 미국에 사는 한국인들이 자기 동네사람들은 BTS 모른다며 한국국뽕취급하더니, 이제는 뭐라고 말할려나? 오징어 게임도 모른다고 하면 요즘 시대에 안사세요? 해야 할 판.

  • @톡쏘쏘
    @톡쏘쏘 3 роки тому +21

    강남스타일 2를 만들기 위해 노력했지만 실패했던 이유...
    사실 오징어게임 2를 만든다면 왠지 벌써 식상 할 것 같은 기분.
    완전 새로운 이야기면 모르지만 연장선의 스토리라면 어려울 것 같다.

  • @lhj06251
    @lhj06251 3 роки тому +17

    대단한 통찰력과 선견지명이네 한국을 한번도 와보지 않고도 저런 신념을 가지고 그것도 펜셀베니아 주립대에서 몇년전부터 저런 강의를 할 수 있다는거 대단하다.

  • @Jeff-tz7mn
    @Jeff-tz7mn 3 роки тому +14

    마지막 조언은 특히 kpop이 새겨 들어야 될것 같습니다. 아이돌은 좋은것이나 아이돌에만 집중되는건 나중에 일본처럼 될수도 있단 생각이 듭니다.

    • @늦덕아미-g9q
      @늦덕아미-g9q 3 роки тому +1

      아이돌이라도 새로운 컨셉의 아이돌이면 또 다르죠.

    • @지선-t3j
      @지선-t3j 3 роки тому

      실력있는 아이돌은 도태되지 않습니다.
      계속 발전한다면 전체적으로 급이 많이 떨어지는 일본 아이돌들처럼 될일은 없을거에요.

    • @HH-qd3wm
      @HH-qd3wm 3 роки тому

      내가 하고싶은말이 이거임. 가요는 들을게 없어진지 오래야.... 나같은 취향의 사람들은 사운드클라우드를 뒤적거리지 ㅠㅠ

  • @hikinod5664
    @hikinod5664 3 роки тому +10

    변두리로 가라는 말이 되게 공감가네요. 훌륭한 말씀같습니다!

  • @junok1574
    @junok1574 3 роки тому +10

    우리나라는 땅도 작고 강국들 사이에 껴있어서 새로운 시도를 안하면 생존하기 힘든 나라라 변화도 빠르고 받아들이는 것도 빠른듯해요. 물론 부작용도 있고요.

  • @나콩이-z5o
    @나콩이-z5o 3 роки тому +44

    리처드교수는 친한파가 아니어서 더 객관적이고 신뢰가 간다. 정말 선지력에 대단

  • @soo-c5w
    @soo-c5w 3 роки тому +36

    맞아요 우리는 우리자신이 늘 부족하다고 생각하죠~
    충분히 훌륭한사람인데도 말이죠

  • @왕꾸루르르잼
    @왕꾸루르르잼 3 роки тому +10

    저런 교수님에게 수업 받는 학생들이 너무나 부러울 따름.

  • @도준-q7i
    @도준-q7i 3 роки тому +32

    문화계 블랙리스트나 만들어서 한류 전파 막으려는 국내 세력들은 반성해라.

    • @wuf8i2bndoqkqnd
      @wuf8i2bndoqkqnd 3 роки тому +2

      일본언론지사역할하는 언론과 일본정치지사역할하는 정당의 지난 역사를 보면 대한민국 대중문화를 감시하고 간섭했죠.
      국민이 현명해져야합니다.
      그들은 늘 존재할겁니다.

  • @Bjoqmspngmwo17639
    @Bjoqmspngmwo17639 3 роки тому +7

    홍콩액션 영화에서 일본 아니메이션 그리고 한국 문화로 이동하는 아시아문화의 흐름
    이게 흐름이 아닌 미국과 유럽과 같은 지속적인 문화적 영향이 계속 되려면 단순히 문화콘텐츠만 찍어내서는 안되고 지속적으로 다른 분야와 연결되어야함
    저 교수말이 맞는게, 모든 이런 자극적인 콘텐츠에는 유통기한이 있고 결국 우리는 또다른 자극적인 것만을 찍어내기보다 변하지않는 고유가치와 분야와 연결시켜야한다고 생각함.
    이를테면 한국 음식이라든지 역사라든지 그런거랑 연결되었을때 진정 한국의 문화가 영원히
    자리 잡을 수 있다고 생각함

  • @sss-p6z
    @sss-p6z 3 роки тому +17

    한국 컨텐츠들이 중저개발 국가들의 파시즘의 부활을 막는데 일조함
    국경막고 세뇌해봐야 문화의 힘은 못막지.. 자유민주주의 첨병같은 역할.. 노인공경,예의,이타적가치관,정 문화 등은 보너스

  • @돌체라떼-j7t
    @돌체라떼-j7t 3 роки тому +2

    너무 맞는 조언. 완벽히 다른 컨텐츠의 창조. 힘들어도 우리가 살길

  • @teddybear-g4k
    @teddybear-g4k 3 роки тому +8

    그냥 한국빠인줄 알았는데, 마지막 충고 듣고 소름... 이 분은 진짜구나.

  • @kyy1624
    @kyy1624 3 роки тому +2

    샘 리차드 (Sam Richard?) 교수... 어쩐지 몸짓과 목소리 등이 익숙하다 했는데
    20~30년전 내가 UCLA 대학원에서 사회학 공부할 때 함께 공부하고 비교적 친하게 지냈던 학우 같다.
    그는 교수로 있고 나는 한국에서 평범한 삶을 살고 있다.
    귀국후 한 동안 대학 강단에 서기도 했지만 오래 전 학문을 접고 학계를 완전히 떠났다.
    박사 후 학문을 계속 잇지 못한 것에 질책할 때도 있고 아쉬움도 조금은 남아 있지만 교수가 되지 못한 것에 후회는 하지 않는다.
    공부할 때엔 정말 열심히 했기 때문이다.
    그를 보니 다시 학문에 대한 열정이 생기는 것 같기도 하다.
    내 나이 60대 초반인데...
    한국을 한번도 방문한 적 없다 하는데 방문하면 만나 보고 싶기도 하다.
    함께 술도 하고...
    그가 쓴 책에 대해 알고도 싶고...
    나 사는 곳으로 초대하고도 싶고...
    영어 듣기 능력은 전성기 시절에 비해 조금 떨어졌지만, 말하기 능력은 많이 부족하다.
    미국 교수 정년은 따로 없기에 언젠가 내가 다시 학문에 관심을 가진다면 그와 접촉할 기회는 있겠지...
    학문하는 사람은 학문하는 사람과 만나야 정상이지만 그는 괴짜이니 학문인과 비학문인의 만남도 수용할 것 같은데 나는 망설여진다.
    자슥... 어쩌다 한국에 관심을 많이 갖게 됐는지...
    내 영향은 없었는지... ㅎ
    아마 UCLA가 있는 LA에서 공부한 영향이 약간은 있지 않았을까 생각해 본다.

  • @dandan_17
    @dandan_17 3 роки тому +60

    대중이 좋아한다고 따라가지 말고 가장 한국적인것 독창적인 것에 집중하라는 말씀 같습니다.

    • @LogicalArgument
      @LogicalArgument 3 роки тому +1

      한국적인것에 머무르지말고 북한과 통일해서 한국에서 사라진 새로운 옛 한국을 찾으라는 말입니다.

  • @msforest3453
    @msforest3453 3 роки тому +1

    요즘 이게 진정 현실인가 싶을 정도로 한국의 문화부흥기(?)를 보고 있는 거 같아서 자랑스럽고 기쁘면서도 이 문화적인 흐름이 찰나로 끝날까 우려도 되는데요. 더 정확히 말하면 한국이라는 나라에 대한 더 긍정적이고 다양한 문화의 측면을 더 보여주기도 전에 깜짝 반응으로만 그칠까 걱정이 되는데요. 그래서인지 마지막에 리차드교수님께서 던져주신 메시지에 더 집중하게 되네요. 오징어게임 2편을 만들면 안된다는 것은 저도 진심으로 동의해요. 1편으로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1편과 비교되는 2편을 만들기 보다는 다른 새로운 드라마와 영화, 예능에 투자되기를 바라고 있어요. 이런 수준의 고민을 해야 하는 우리나라가 자랑스럽네요.

  • @choi8471
    @choi8471 3 роки тому +3

    어느한곳에 국한되지 않는
    진정한 학자이신듯~
    영화도 가끔 흥행이되면 속편도 만드는데
    마지막 부탁
    같은류의 컨텐츠는만들지마라
    옳으신 통찰력이신듯
    우리것에 관심을 갖어주시니
    교수님 고맙습니다

  • @jamesk7374
    @jamesk7374 3 роки тому +6

    마지막 조언은 핵심이다. 받아적어라.

  • @moguloo7945
    @moguloo7945 3 роки тому +7

    마지막 조언이 진짜 값지네요. 역시 미래를 내다보는 저런분들이 해외에 많다는것 또한 대단한것 같음. 저런분들이 또 한국에 투자하겠지...넥플릭스 처럼 ㅋㅋㅋㅋㅋ

  • @ysj6491
    @ysj6491 3 роки тому +1

    저도 시즌제의 유혹에 안빠졌으면 합니다. 결국 인기 있는 시리즈를 만들면 만들수록 카피제품만 늘어날 뿐입니다. 새로운 시도와 도전이 우리의 힘이죠.

  • @superassist
    @superassist 3 роки тому +8

    마지막 충고는 일리가있다 주류를 쫒지말고 창의성을 잃지말라는 뜻으로 받아들이면 될듯

  • @TheCygnet14
    @TheCygnet14 3 роки тому +2

    역시 마지막 말에서 왜 교수님인지를 확실히 보여주시네요. 정부는 이런 교수님한테 정부지원 같은거 먼저 좀 하고 한국에 오셨을때 더 많은 한국을 알고 느끼고 돌아가실수 있게 했으면 좋겠다.

  • @국짐당이싫어요
    @국짐당이싫어요 3 роки тому +5

    존경할 만한 사회학자 교수내요~~꼭 한국으로 연수 오세요. 우리의 리더 RM이 봤으면 좋겠다.

  • @사이다-r1x
    @사이다-r1x 3 роки тому +1

    국가에서 교수님 초대했으면 좋겠네요.. 몇년전부터 저렇게 한국을 알리고 계시는데.. 초대해서 보답해야 도리라고 보입니다

  • @jayunun0weru
    @jayunun0weru 3 роки тому +18

    한국이ㆍ세계중심국 되어가는것 ㆍ크게 한국미래 ㆍ바라봐야 ㆍ경제ㆍ문화 선진국되는길 저항과 ㆍ시련은 있다

  • @eun-milee9443
    @eun-milee9443 3 роки тому +2

    정말 맞는 말 같아요, 제발 BTS가 성공한 이유, 오징어 게임이 성공한 이유,,, 이런거 알려고 안햇으면 좋겠습니다. 공식 같은거,,, 그냥 자유롭게 간섭안하고 지원해주는게 답인 것 같아요. 넷플릭스가 한 일은 그것 뿐입니다.

  • @푸른들이랑
    @푸른들이랑 3 роки тому +7

    이런 석학들의 의견을 잘 수렴 해야 할것

  • @SeaMind-c1e
    @SeaMind-c1e 3 роки тому +1

    마지막 조언이 울림을 주네요.

  • @김보리-c8v
    @김보리-c8v 3 роки тому +3

    오징어게임을 또 만들지말고 다른 걸 창작하라는 말은 맞는듯
    시즌2가 시즌1처럼 되긴 어려울듯 결국 가장 한국적인걸 찾으란 얘기

    • @centurionrome8161
      @centurionrome8161 3 роки тому

      답답하게 이해하셨네....오징어게임 부류의 아류작들 만들지 말라는 얘기지 시즌 2 만들지 말라는 얘기가 아님.......

  • @maylee9271
    @maylee9271 3 роки тому

    정말 마지막 조언, 우리 민족이 겸손하게 받아들여야 할 조언인 것 같아요. 겸손 모드.

  • @나스카-y6h
    @나스카-y6h 3 роки тому +5

    이 사람 영상 대부분 봤었는데 이 사람은 내가 보기엔 오로지 경제적인 관점에서 냉철하게 한국을 바라본다.강의의 내용이 급속도로 성장한 나라가 한국이고 그런나라에 집중하라~ 집중해야 21세기를 잘 살아갈수 있다라고 한다. 그게 4년전이고 이제 강의의 내용이 현실이 되고 있는 요즘이고....인터뷰 내용중에 주류가 아닌것을 찾아줄것을 부탁하는데 맞는 말이다. 우리문화 중 주류로 자리잡지 않은 더 많은 좋은 문화가 많으니 창작자들은 그 쪽을 더 들여다 볼 필요가 있다~!

  • @rkgaram07
    @rkgaram07 3 роки тому +1

    창작자들의 자유를 최대한 존중해줘야하고, 또 새로운 걸 시도해라는 말씀에 깊이 공감을 합니다. 우리는 틀에 얽매이기 보다는 계속해서 더 나은 방향을 찾는 교육, 그리고 환경 등 인프라를 최대한 구축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 @k-mindbank
    @k-mindbank 3 роки тому +10

    한국이 문화강국의 지위를 유지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 샘 리처드 교수: "(인기)문화의 중심에 있지 말고, (인기 문화의) 변두리로 가야 합니다. 그들만의 고유한 무언가를 하고 있는 사람들을 찾아야 해요. 문화의 중심이나 정상에 있는 사람들한테서 영향을 많이 받지 않는 사람들을요. 과거의 성공에 기댈수록 역동적인 창의성과는 점점 멀어지게 됩니다. 이게 한국 창작자들에게 전하는 저의 메시지입니다. 오징어 게임을 또 만들려고 하지 마세요. 시도하지 마세요. 완전히 다른 새로운 걸 하세요."

  • @Anderson-hj4kd
    @Anderson-hj4kd 3 роки тому +1

    마지막 조언이 인상 깊네요.

  • @그카믄-f6g
    @그카믄-f6g 3 роки тому +28

    마지막에 핵심을 찌름.
    오징어 게임 아류작만 만들어 대다가는 홍콩된다.

  • @seoryeongim2535
    @seoryeongim2535 3 роки тому +1

    마지막조언이 정답.

  • @짱그니-e7g
    @짱그니-e7g 3 роки тому +8

    "한국인들 부족한 점에 집중해 질높은 컨텐츠를 만들어" .. 서양애들 한국어 할 줄 안다고 하면.. 가나다라 읽는 수준인데..
    한국사람들 영어 잘 못한다는 의미는 .. CNN안들린다는 뜻임..

  • @gwangwoojung5977
    @gwangwoojung5977 3 роки тому

    몇 년전부터 유튜브를 통해 보고 있던 학자인데 한국의 대한 미래를 너무나 잘보고 있어서 적잖이 놀라게 하는 분.. 거의 관심이 없거나 약간의 관심이 있었던 시절에 한국의 움직임을 미리 알아채고 학생들을 가르쳤다는 것에 감탄할 뿐 입니다.

  • @hskim-nz8tk
    @hskim-nz8tk 3 роки тому +34

    한국을 한번도 와본적이 없는사람이 저런생각과 말을 한다는게 대단하다

  • @chrisp1961
    @chrisp1961 3 роки тому +1

    여기서 정치 이야기를 하는데 대한 반감을 가질분들이 많이 있겠지만...
    기본소득이 우리에게 가져올 가장 큰 선물은 사람들이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할수있는 여건을 만들어주고 이를 통해 더 많은 창의력을 발휘할수 있게 된다는것입니다.
    물론 게으름에 손드는 사람도 있겠지요.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은 어떻게 하면 더 효과적으로 일하고 재미있게 놀수있을까를 생각하지요.
    그게 인간의 본성이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