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상도 못했던 강 이름 지은 방식 | 세계 강 이름의 유래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20 січ 2022
  • [이동진의 파이아키아 Season 2. 80화]
    (출연자 : 이동진 평론가, SK브로드밴드 이홍연 매니저)
    파이안 여러분! 한강과 미시시피의 지명 뜻이 같다는 사실.. 아셨나요..😲?
    몰랐다면 바로 시청하셔야 합니다😏!
    오늘의 교양이 집사 주제는 '전세계 강 지명 이야기' 입니다!
    파이아키아보고 방대한 지식 쌓을 준비 되셨습니까아! 🧑🏻‍🎤
    🙌 올인원 플레이박스 PlayZ를 소개합니다!
    🟣 OTT를 하나로 모아 콘텐츠를 보기 쉽게🎬
    (웨이브, 티빙, 왓챠, 프라임 비디오, 애플tv+ 등)
    🟣 인기 콘텐츠 스트리밍, 채널Z를 마음껏📺
    (30여개 무료 스트리밍 채널 제공)
    🟣 빅 스크린으로 엔터테인먼트를 실감나게🎮
    (다양한 게임과 노래방까지)
    더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bit.ly/3IkPZrn
    🎬 B tv 에서 아래 영화를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고산자, 대동여지도] - bit.ly/3IqjbfW
    [괴물] - bit.ly/3lohqre
    [더 포스트] - bit.ly/3nLnU46
    #Btv #이동진 #강지명

КОМЕНТАРІ • 238

  • @btv_piarchia
    @btv_piarchia  2 роки тому +24

    전세계 강 이름의 유래에 대해 배우고 관련 영화 관람하러 가자!
    🎬 B tv 에서 아래 영화를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고산자, 대동여지도] - bit.ly/3IqjbfW
    [괴물] - bit.ly/3lohqre
    [더 포스트] - bit.ly/3nLnU46
    🙌 올인원 플레이박스 Play Z를 소개합니다!
    1. OTT를 하나로 모아 콘텐츠를 보기 쉽게🎬
    (웨이브, 티빙, 왓챠, 프라임 비디오, 애플tv+ 등)
    2. 인기 콘텐츠 스트리밍, 채널Z를 마음껏📺
    (30여개 무료 스트리밍 채널 제공)
    3. 빅 스크린으로 엔터테인먼트를 실감나게🎮
    (다양한 게임과 노래방까지)
    Play Z가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bit.ly/3IkPZrn

    • @user-yj7yb1gg8g
      @user-yj7yb1gg8g 2 роки тому

      우리나라한강은 중국한양이란도시에 한강에서따온것이죠 한국은 중국고대도시명에서 많이따옴 그리고중국에 평양도있는데 거긴 관우가태어난곳

    • @user-yj7yb1gg8g
      @user-yj7yb1gg8g 2 роки тому

      경기 호남 영남 강릉 양양 경성 함양등 수많은 도시강군이름이 중국왕조도시에서 따온곳 미국에 유럽지명따온 도시가 많듯이 한국도시유례기원보면 거진다 중국왕조지명들

    • @user-yj7yb1gg8g
      @user-yj7yb1gg8g 2 роки тому

      중국 주자학본산지가 중국영남지방인데 유교나라인 조선에서 여긴 조선판주자 영남지방이다해서 영남이라 불리었습니다 경기지역 영남지역 호남지역 다중국에서따온말들 괜히 우리가 유교배우고 한자쓰고 중국한자이름쓰는게 아님

    • @user-ii9sr9xe9o
      @user-ii9sr9xe9o 2 роки тому +2

      @@user-yj7yb1gg8g 고대에는 고구려 백제 신라. 다 지금 중국 땅에 있었어요. 그런데 별자리의 기운이 한반도로 오면서 조상님들이 한국 땅으로 이주하신거죠. 중국에 지금도 그때의 유적이 남아 있어요. 백제 마을이 중국에 있답니다. 고대 아랍지도를 보면 신라가 동아시아 여러군데에 위치 해 있고 나침판의 (나)는 신라의 (나)입니다. 그당시 신라는 강력한 해양제국이 였습니다.

    • @allvinwine5756
      @allvinwine5756 2 роки тому

  • @lo-fi3120
    @lo-fi3120 2 роки тому +203

    안녕하세요. 이동진입니다. 고려 시대의 동경은 경주를 지칭하는 말이기에 바로잡습니다. 오류를 바로잡을 수 있게 해주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 @user-tg6qp1ty7n
      @user-tg6qp1ty7n 2 роки тому +2

      이거 채널에서 고정댓글로 등록해주셔야할듯!!

    • @sammoon5427
      @sammoon5427 9 місяців тому

      존경합니다

    • @ksjo2491
      @ksjo2491 4 місяці тому

      장안의 화제 할때 장안을 저는 고구려의 수도 장안에서 왔다고 생각했었는데요. 고구려 수도 장안이 아니라 중국의 장안이라는 증거 같은게 있는지 궁금합니다.

  • @user-wv2um6vn5t
    @user-wv2um6vn5t 2 роки тому +66

    나중에는 철학용어에 대한 정리,설명도 해주셨으면 좋겠어요.

    • @user-ez4uw5sb2m
      @user-ez4uw5sb2m 2 роки тому +2

      오!! 지짜 굿아이디아

    • @user-gl6rv4mt6v
      @user-gl6rv4mt6v 2 роки тому +1

      오 좋아요

    • @hazardabdul7825
      @hazardabdul7825 2 роки тому +6

      철학에서 쓰이는 용어는 실제적인거라기보단 개개인 철학자의 주관이 심하게 개입돼있는 부분이라서 철학자 한명 소개하고 설명하는데 영상 하나씩 써야될듯요. 그럼 지금 파이아키아 감성이랑 많이 어긋날듯

  • @diidiz
    @diidiz 2 роки тому +15

    진짜 너어무 재밌고, 유익했습니다
    앞으로 이런 컨텐츠들을 자주봤으면 좋겠어요~!˃̵͈̑ᴗ˂̵͈̑

  • @user-lf7mc6vz6w
    @user-lf7mc6vz6w 2 роки тому +7

    영화 외에도 이런 지식 컨텐츠 너무 좋아요~ 그렇기 때문에 형님 사랑합니다

  • @user-to2vl8cg2m
    @user-to2vl8cg2m 2 роки тому +3

    개인적으로 교양이집사 그중에서도 역사와 지리이야기가 가장 좋네요. 자주 부탁드려요!!

  • @user-us7ko7es1x
    @user-us7ko7es1x 2 роки тому +67

    이동진님은 세계사나 세계지리 인강 강사 하셔도 잘하셨을듯

    • @jhintomang2290
      @jhintomang2290 2 роки тому

      동진님 is 뭔들 ㅡ

    • @Australia789
      @Australia789 2 роки тому +3

      @@jakovisce 입시 무시?!

    • @Australia789
      @Australia789 2 роки тому +2

      한국지리는 문상훈쌤 있어서 안되고 세계지리ㄱ

    • @jakovisce
      @jakovisce 2 роки тому

      @@Australia789 ㅇㅇㅋㅋ

  • @user-ez4uw5sb2m
    @user-ez4uw5sb2m 2 роки тому +29

    이홍연 매니저님 진짜 잘 알아듣고 공부도 많이 해오는 거 같음요 ㅎㅎ 평론가님이 존나 뿌듯하실 듯. 예전에는 자꾸 광고 때마다 나와서 "콘텐츠의 바다 오션"이라고 떠들어서 짜증났는데 이제는 좋아졌어요 ㅎㅎ 질문도 정말 좋고

    • @akdrhrh
      @akdrhrh 2 роки тому +6

      ㅋㅋㅋㅋㅋ 콘텐츠의바다 오션 공감돼서 웃긴데 이젠 너무 호감이신 홍연매니저님,, 화이팅입니다

  • @yhk626
    @yhk626 2 роки тому +16

    이 분은 영화평론만 하는 분인 줄 알았는데
    굉장한 데이터베이스를 가지고 있네요
    엄청 노력하신 분입니다.
    너무 잼있고 ...
    궁금했던 이야기입니다.

  • @user-xw8dg2ms3e
    @user-xw8dg2ms3e 2 роки тому +10

    역시 교양이 집사 짱! 오늘 프로는 몇 번 반복 시청해서 확실히 내 것으로 만들면 동진님 같은 깊이는 없겠지만 얇팍하게나마 잘난 척 할 수 있는 좋은 아이템이네요.
    앗! 물론 동진님의 파이아키아를 모르는 사람들 앞에서만요^^

  • @samsonny206
    @samsonny206 2 роки тому

    교양과 지식 넓히게 하는 유익하고 재미 있는 내용이네요~♡

  • @sistgml
    @sistgml 2 роки тому +1

    너무 재미있고 흥미진진해요 ㅎㅎ 세계지리를 공부하고 싶어지네요.

  • @CAROLINA-dm7ro
    @CAROLINA-dm7ro 2 роки тому +7

    교양이 집사 역시 너무 재밌어요 ㅠㅠ 강 이름들이 다 되게 있어보인다고 생각했는데 물론 지금도 멋있지만 쉽게 부르는 이름들이었군요 ㅋㅋㅋㅋㅋ 이걸 어떻게 이렇게 다 잘 아시는지...... 교양 강의듣는 기분이라 넘 재밌어요⭐️⭐️❤️ 괜히 제가 똑똑해지는 거 같아요 ㅋㅋㅋ

  • @learnmorejh
    @learnmorejh 2 роки тому

    이런 교양 콘텐츠 넘나 좋아요. 명불허전 최고의 지식인 인정합니다!!

  • @renaissanceman_jfk
    @renaissanceman_jfk 2 роки тому +2

    재미있게 잘 봤습니다! ^^ 언어의 어원과 연관되어 있어서 더 흥미로웠습니다. ^^

  • @user-lb7ux8zz4n
    @user-lb7ux8zz4n 2 роки тому +11

    지리학과 학생입니다 저희 교수님 수업보다 재밌어요ㅠㅠㅠ 좋은 영상 잘 보고 갑니다

  • @mieux4604
    @mieux4604 2 роки тому +2

    크 오늘도 꿀잼이네요 감사합니다!

  • @jutifuly
    @jutifuly 2 роки тому

    불금에는 역시 파이아키아지! 😎 궁금했던 적도 있는데 찾아볼 생각은 못 했던 주제인데 넘 신나서 선덧글 후시청합니당 후훗 ❤

  • @user-nn8yi4mw5q
    @user-nn8yi4mw5q 2 роки тому +1

    동진교수님^^~ 오늘 더 멋지시네요 패션도 강의도!

  • @jagan5779
    @jagan5779 2 роки тому +1

    정말 유익하다. 재미있게 잘 봤습니다.

  • @user-yo7od7sn9d
    @user-yo7od7sn9d 2 роки тому

    감사합니다~! 너무 재밌고 유익했습니다~~!!

  • @user-we5zv1px5y
    @user-we5zv1px5y 2 роки тому

    교양이 집사가 제일 재미있습니다. 한편당 기본 세번은 봅니다. 교샹이 집사 더 자주 부탁드려요!!!

  • @user-tf4em3vg8h
    @user-tf4em3vg8h 2 роки тому +12

    이동진 기자 영화만 전문가인줄 알았더니 세계 지리 문화에도 일가견이 있으시네요.

  • @fluffyb2424
    @fluffyb2424 2 роки тому +5

    오 재밌겠다~~ㅎㅎㅎ

  • @user-by6xz8eg3u
    @user-by6xz8eg3u 2 роки тому +6

    22:42
    동쪽에 수도가 있어서라기 보다는, 고려 삼경 중 중심이 되는 개경에서 볼 때 서경이라는 소리죠.
    고려 전기 삼경은 서경-개경-동경(경주)이고, 후기 삼경은 서경-개경-남경(서울)이니까요.

    • @UUxdb
      @UUxdb 2 роки тому +1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동경(=경주)에 대비되어서 서경이라고 불리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 @toltori123
    @toltori123 2 роки тому

    정말 너무 재밌네요. 감사합니다.

  • @koroko9317
    @koroko9317 2 роки тому +1

    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wy6st2sw4d
    @user-wy6st2sw4d 2 роки тому

    잼나게 설명해주시니 머리속에 쓰~윽~
    감사합니다

  • @user-lm5gz1lz4p
    @user-lm5gz1lz4p 2 роки тому +3

    교양이 집사 개꿀잼 (파이 넥타이 멋져요!!)

  • @Soosoomusic
    @Soosoomusic 2 роки тому +1

    재미집니다 진짜 ^^

  • @user-tv3fr4dr8v
    @user-tv3fr4dr8v 2 роки тому

    평소 영화소개 보면서도 정말 박식한분이라 생각했는데 컨텐츠보니 기가막히네요. 대단합니다.

  • @user-dk9js7gj2h
    @user-dk9js7gj2h 2 роки тому

    재미있게 들었습니다 👍👍

  • @user-hp9sg4qc2y
    @user-hp9sg4qc2y 2 роки тому +1

    재밌습니다. 감사드려요~ ^^

  • @user-jz1ri2ep6p
    @user-jz1ri2ep6p 2 роки тому +5

    예전에 구글지도로 보니 충북 동부와 전북 북부 경계쪽에 각각 호수가 많더군요. 예전에는 중국식 명칭을 그냥 따왔나보다 생각했는데 지도로 보니 충청도를 호서 전라도를 호남이라고 부르는 이유를 알겠더군요.

    • @honshin23
      @honshin23 2 роки тому

      한반도가 중국 대륙의 압축판이란 소리도 있음...

  • @annong705
    @annong705 2 роки тому +1

    와... 진짜 너무 재밌다...

  • @user-db8ld1sb6u
    @user-db8ld1sb6u 2 роки тому +1

    잼잇네요

  • @ultrabae11
    @ultrabae11 2 роки тому

    너무 유익한 채널

  • @hello_monorail
    @hello_monorail 2 роки тому +1

    진짜..왕 유익..

  • @gunnhyok8914
    @gunnhyok8914 2 роки тому +1

    정말 좋은 정보네요. 서경.남경. 허베이 헷갈리니 다시 한번 더 봐서 머리속에 넣어야겠어요.

  • @Wamong_Lre
    @Wamong_Lre 2 роки тому +2

    오늘도 잘 봤습니다. 더 포스트 보러갑니다.

  • @user-ob7nw9qj5n
    @user-ob7nw9qj5n 2 роки тому

    교양이 집사 시간이 가장 좋습니다♥♥

  • @KingGodJinin
    @KingGodJinin 2 роки тому +10

    감독, 배우 집중탐구 시리즈도 다시 보고 싶어요 ㅠㅠ

  • @sohuhwhat1702
    @sohuhwhat1702 2 роки тому +1

    대학교 1학년때 세계문화사 시간에 중간고사 문제가 중국성이름 주관식으로 맞추는 거였는데 통으로 외웠었는데, 이게 이런 단순한 기준이 있었네요. 그때도 무슨 기준이 있겠지 싶었지만 일단 우격다짐으로 했었는데, 역시나 인문학은 재밌습니다.
    이동진 평론가님 좋은 내용의 강의 감사합니다.

  • @plankton1983
    @plankton1983 2 роки тому +4

    건강한 알거리들 감사합니다ㅎㅎ

  • @user-ik6fk3yg6l
    @user-ik6fk3yg6l 2 роки тому +2

    대단하십니다.
    중국에서 강과 하를 무슨 기준으로 구별을 했을까 궁금했었는데,
    아주 옛날에 강 이라는 단어는 그냥 양자강을 가르키는 거였고,
    하 라는 단어는 황하강 자체를 가르키는 단어였다.
    지리 인식이 넓어지면서 북쪽은 황하, 요하, 열하 등으로 구분할 필요가 생겼고,
    남쪽은 장강, 주강 등으로 구분을 했군요...
    하노이가 동경이고 베트남 발음으로 통킹이라는 것도 처음 알았습니다.

  • @phoenixk2433
    @phoenixk2433 2 роки тому +1

    감사함니다 다양한지식과정보임니다

  • @jaejun1623
    @jaejun1623 2 роки тому +1

    재밌습니다

  • @qqea
    @qqea 2 роки тому +1

    와~교양이 집사당♡♡

  • @user-wi6uq6gd9b
    @user-wi6uq6gd9b 2 роки тому +1

    존경스럽습니다

  • @user-fo1sz5wg8q
    @user-fo1sz5wg8q 2 роки тому +3

    충격 적이다....73년 생인데 만약 중고등학교때 지리.세계사 선생님이 저런식으로 가르치셧다면 아마도 죽을때까지 안잊엇을듯하다..첨듣는 듯 생소한데 귀에 쏙 들어오네..

  • @cdkor76
    @cdkor76 2 роки тому +1

    오호~~ 그렇군.
    대단한걸 알았네요.

  • @user-ud2ek8uu2q
    @user-ud2ek8uu2q 2 роки тому +1

    요즘 이걸로 상식 쌓네요ㅎㅎ

  • @user-ib2hn1mw8m
    @user-ib2hn1mw8m 2 роки тому +1

    너무 유익하면서도 귀에 쏙쏙 들어오는 강의였어요. 지리를 싫어하는 틴에이저들에게 보여주고 싶네요.
    추천 영화도 잘 챙겨볼께요 ♡

  • @user-yk7sx6gh1u
    @user-yk7sx6gh1u 2 роки тому +1

    참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user-tp5vf7zu9z
    @user-tp5vf7zu9z 2 роки тому

    유익하고 재밌는 내용 감사 합니다
    조금 천천히 말했으면 듣기가 더 좋았을것 같아요

  • @ohminjin8031
    @ohminjin8031 2 роки тому

    어디에서도 얻을 수 없는 이야기👍
    🌍 세계여행 다니는 것 같아요

  • @user-di4ki4fp7b
    @user-di4ki4fp7b 2 роки тому +1

    동진이형 얘기 듣고 있으면 나도 같이 똑똑해지는 기분

  • @user-sg2ko5fr3p
    @user-sg2ko5fr3p 2 роки тому +8

    이번 새해소원은 파이아키아 채널이 더 흥하는 것입니다,,

  • @littleforest2020
    @littleforest2020 2 роки тому +3

    진짜 지식이 방대한 이동진 평론가님 대단대단! 항상 날렵하시고 컨디션도 좋아보이셔서 진짜 자기관리 잘하시는 것 부럽습니다~!

    • @dck3647
      @dck3647 2 роки тому

      방대한 지식이 오류면,,,? 아니 안만 못하지...ㅋㅋ

  • @yeschan2213
    @yeschan2213 2 роки тому

    아 재밌어..세지 다시 듣는 거 같고 너무 좋다

  • @user-iy6th2yl1m
    @user-iy6th2yl1m 2 роки тому +1

    좋은 말씀 잘 들었습니다.
    하나의 사실과계의 오류가 있네요.
    베트남어는 수식어가 뒤에있는 구조라서 동경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경동을 의미합니다.
    동낑에서 낑은 한자경을 의미하므로, 낑(하노이) 동으로 하노이의 동쪽이란 뜻입니다.
    하노이 서쪽에 큰 호수가 이름이 호떠이입니다.
    동서남북의 베트남어는 동, 떠이, 남, 박입니다.

  • @user-ux7gz5pk6h
    @user-ux7gz5pk6h 2 роки тому +1

    25분 순삭이네요 감사합니다

  • @user-eb5sx4ut5z
    @user-eb5sx4ut5z 2 роки тому +1

    깊이있는 내용 감사드립니다
    중국 강남문화를 좋아해서 남경이란 도시 엄청 좋아함

  • @young2796
    @young2796 2 роки тому

    국가시리즈부터 보고오겠습니당

  • @MinkyuB.
    @MinkyuB. 2 роки тому +5

    예전에 홍상수 감독님 깊은 소개 해 주신 컨텐츠 너무 좋았는데, 다른 한국 감독님들도 비슷하게 해주시면 너무 좋을 것 같아요!!

  • @BKN910711
    @BKN910711 2 роки тому +2

    우리나라 지명에 또 추가하면 영동지방과 영서지방이 있죠. 여기서의 영은 대관령을 기준으로 한다네요.

  • @dmldml4
    @dmldml4 2 роки тому +10

    낙양지가귀라는 말이 만들어진건 후한, 위를 넘어 진나라, 서진 시절이었군요. 그리고 막연하게 당나라 수도는 당연히 장안 아닌가, 했는데 낙양도 수도 역할을 여러번 했었네요. 영상 너무 잘봤습니다!

    • @user-yf5zk8ir1t
      @user-yf5zk8ir1t 2 роки тому +2

      저도 이 글을 쓰고 싶었는데 반갑습니다(낙양지가귀는 사마염이 세운 그 진나라 시절 이야기). 또 지금 찾아보니 당나라가 낙양을 수도로 한 건 마지막 3년 정도라네요.

  • @user-gi1jm9kp4j
    @user-gi1jm9kp4j 2 роки тому

    금요일 밤도 파이아키아와 함께!

  • @jeero8238
    @jeero8238 2 роки тому +10

    파이아키아에서 교양이 집사는 아니지만, 평론가님 음악도 좋아하시는데
    최고 영화 음악/ 음악 영화 뽑는 것도 재미있을거 같아요
    어쩌면 로파이 채널에서 앨범, 책 제목만 나열하는 것도 좋았는데
    좋아하시는 20세기 영화 제목만 나열하는 것도 정말 좋을거 같아요

  • @goat6959
    @goat6959 Рік тому

    정말 궁금해서 그러는데 영상에 나온 세계지도 구입처 알 수 있을까요? 온라인에서 세계지도 구입하려는데 아무리 서치해도 이 영상에 나오는 세계지도를 못찾겠네요. 제가 딱 원하는 스타일의 지도인데...

  • @user-td7xo3xy3p
    @user-td7xo3xy3p 2 роки тому +1

    강이름이 정말 그들만의 언어로 강이라고 불리면서 유래되었다고는 한번도 생각을 해보지 않았어요 내용 잘봤습니다

  • @Lee_il_0124
    @Lee_il_0124 2 роки тому

    감사합니다

  • @itwasjustbored
    @itwasjustbored 2 роки тому +2

    사실상 인간 나무위키 이동진ㅋㅋㅋㅋ 이동진 평론가님도 자기 전에 나무위키 파도 타나요?

  • @user-es6jb2bg5f
    @user-es6jb2bg5f 2 роки тому +5

    두개가 틀리셨고
    빠진것도 있네요
    한국은 개경을
    중심으로 해서
    동경은 경주
    서경은 평양이고
    중국의 산동과 산서는
    태항산맥이 아닌
    태산이고
    문화권에서 랜드/란드
    는 스탄이나 국(国)과
    데쉬처럼 출발이 땅
    이라는 의미임

    • @user-ge8rt9qf6k
      @user-ge8rt9qf6k 2 роки тому +1

      저도 이렇게 알고 있네요
      다른 것도 알게 돼서 기뻐요

  • @user-se6vv7pb1w
    @user-se6vv7pb1w 2 роки тому +1

    영화 평론가를 넘어 지식 전파자...당신의 한계는 어디까지인가요? ㅋㅋㅋ

  • @leesoo6779
    @leesoo6779 2 роки тому

    아마조네스 부분에서 절개 - (베어 열어 젖히다. 잘라 넓히다) 가 아닌... 절제 - (잘라 제거하다. 없애다) 가 옳은 표현 같은데요???
    자막에는 바르게 표시되겠지 했는데, 그대로 나와서 조금 놀랐습니다. (물론 내용은 너무도 좋았습니다. 전개 방식도요)
    그나저나 안타깝지요. 보호구로 가리면 되는 것을 잘라내다니... 현대 남자 양궁궁수도 가슴과 꼭지부분이 쓸려 보호구 착용하지요.

  • @user-cw7cb1cw8y
    @user-cw7cb1cw8y 2 роки тому

    세계지도를 하나 사고 싶게 하는 강의네요 :)

  • @trevyschao4526
    @trevyschao4526 2 роки тому +1

    항상 방대한 지식을 알기쉽게 알려주셔서 너무 고맙습니다.
    문학에도 조예가 깊으실텐데 궁금한게 있어서 한번 컨텐츠로 다뤄주싶사 한번 청해봅니다.
    고전들에서 보면 ‘신탁’에 대한 서사가 꽤 나오던데 이 주제 소재로 서구 문학의 뿌리와 다양한 변주등 신탁에 대한 거 함 꾸며주시면 고맙겠습니다.

  • @user-kn1ym7vi9h
    @user-kn1ym7vi9h 2 роки тому +1

    이동진 평론가님이 옷을 참 잘 입으시는 듯.

  • @user-bg4wj6dd8z
    @user-bg4wj6dd8z 2 роки тому

    샘 재미 있다.

  • @user-mm1kj7st1g
    @user-mm1kj7st1g 2 роки тому +1

    와 말 진짜 잘하시네

  • @user-sd3wq8zh9s
    @user-sd3wq8zh9s 2 роки тому +1

    말을 청산유수로 잘하시네요

  • @wmw2213
    @wmw2213 2 роки тому +2

    죽으면 북망산천 간다고 하는데 그 북망산이 낙양 북쪽에 있는 산이라는 이야기도 재미있었지요 ㅎㅎㅎ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user-yq3cm1pj2z
      @user-yq3cm1pj2z 2 роки тому

      망월, 망우리.

    • @davidjacobs8558
      @davidjacobs8558 2 роки тому +2

      낙양성 십리허에 높고 낮은- 저 무-덤은 영웅호걸이 몇몇이냐 절세가인이 그 누구냐 .
      여기서 낙양성에서 십리쯤 떨어진 무덤들이 있는 산이 북망산을 말하는것이고,
      중국인들은 낙양이 세계의 중심이라고 생각했죠.

  • @user-fv8wr7jy6s
    @user-fv8wr7jy6s 2 роки тому +1

    와우

  • @user-en3hp7rd7m
    @user-en3hp7rd7m 2 роки тому

    강(江)은 대지의 젖줄, 강없는 땅은 곧 사막인데 .. 사막은 삭막하죠.
    재미난 이야기 잘 들었고 ... 덕분에 못 봤던 영화도 감상해보네요.

  • @user-sb5fk2kw2z
    @user-sb5fk2kw2z 2 роки тому +1

    아! 이토록 깊고 넓은 지식의 강이라니!

  • @user-ss7hv9md5r
    @user-ss7hv9md5r 2 роки тому

    헐 묘하네요

  • @dck3647
    @dck3647 2 роки тому +1

    서경이 지금의 평양이 아닙니다,,아 답답해..식민사관이 그래로 베어나오네요...미시시피 더 알아보세요.ㅎㅎ

  • @user-jr5dz1cl8f
    @user-jr5dz1cl8f 2 роки тому

    계,

  • @user-vx7pu9uk8v
    @user-vx7pu9uk8v 2 роки тому

    22:21 이동진 평론가님 의견 보충하자면 개경을 중심으로 지금의 평양인 서경과 지금의 경주인 동경으로 나뉘고 이후 지금의 서울 삼각산 아래가 주목받으면서 남경이라고 불렸습니다.

  • @lnr6738
    @lnr6738 2 роки тому +1

    말 진짜 빠르게 하심 ㅋㅋ 2배속 같아요

  • @anotherlevel8650
    @anotherlevel8650 2 роки тому

    그러면 동진님은 소위 국어 내, 일본어의 잔재라고 불리기도 하는 부분 역시 긍정적으로 보시나요?

  • @user-qh6mj8ys3y
    @user-qh6mj8ys3y 2 роки тому +2

    이동진님 탈모때문에 고생하십니다.
    가발 어디서 하셨나요.
    자연스럽네요

  • @ssto4427
    @ssto4427 2 роки тому +1

    시간 가는줄 모르겠네여 ㅋㅋ

  • @user-lr4gj9du4t
    @user-lr4gj9du4t 2 роки тому +1

    저런 해박한 지식 부럽다
    섹시하기까지 하네

  • @user-qc9ez1jb4h
    @user-qc9ez1jb4h 2 роки тому +1

    신라관등의 거서간이 카이사르란 주장도
    있는데! 신라는 로마의 동쪽끝 동맹국 아닐까요!
    신라 황금보금이 동맹의 징표?

  • @user-ww1in4ph5i
    @user-ww1in4ph5i Рік тому

    ㅋㅋㅋ지팡이 뭔가 했는데 손부채 손잡이였네ㅋㅋㅋ

  • @user-bk3kq5uj2l
    @user-bk3kq5uj2l 2 роки тому +1

    호남의 호는 금강이나 벽골제도 아니고 익산에 있었다가 지금은 사라진 황등제, 황등호 입니다. 동아대백과 사전이나 익산군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jinhyungahn6544
      @jinhyungahn6544 2 роки тому

      초등학교 교과서에는 금강을 예전에 호강이라고 불렀다는 것으로 설명하더군요

  • @fierwalt
    @fierwalt 2 роки тому +2

    고려의 동경은 경주 아니었남...남경은 한양이고...

  • @user-je4pk4pn9x
    @user-je4pk4pn9x 2 роки тому

    타이틀은 흔한 교양같은데 내용은 너무 신박하고 유익한 지식이네요. 결국 고대 인간들이 세상 속에서 자신들을 인지하는 범위가 얼마나 좁았고 그게 누구와 어디를 기준으로 잡혔는가? 기준이 어디인가는 정치와도 관련되어 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