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팔단금 동영상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1 лют 2025
  • 오늘 점심시간에 청암홀에서 무팔단금에 대한 사범이신 백오(白烏)선생의 이론과 질의응답 그리고 황충연시범사범의 8가지초식(?) 동작시범이 있었답니다.
    팔단금(八段錦)은 문(文)과 무(武) 두 종류가 있는데, 무팔단금(武八段錦)은 진(晋)나라 허손(許逊)의 저서인 '영검자도인자오기(靈劍子導引子午記)'에 근원한다.
    그 특징은 초식(招式)이 간단하여 쉽게 익힐 수 있고, 동작이 천천히 전개하고 크면서 반듯하니,이로써 오장(五臟)을 조리하는 것을 주로 함과 동시에, 온몸과 사지를 강건하게 하여 기력(肌力)을 증가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아주 오랜 세월 임상을 통해 증명되고, 그것이 후세에 전해져서 오늘에 이르렀다.
    중국의 문화보존 원칙으로 국내뿐만 아니라 외국에도 소개된 적이 없는 초식(招式)으로 무팔단금을 연마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은 아래와 같다.
    1. 양수탁천리삼초(兩手托天理三焦) - 양수탁천
    → 양손으로 하늘을 밀어서 여는 동작은 삼초를 다스리는 것이요
    2. 좌우개궁사사조(左右開弓似射雕) - 개궁사조
    → 좌우로 활을 벌리는 동작은 수리를 쏘는 것처럼 할 것이다
    (폐와 간을 활성화하는 동작).
    3. 조리비위수단거(調理脾胃須單擧) - 조수단거
    → 비위를 조리하려면 모름지기 한 팔을 들어 올릴 것이요.
    4. 오로칠상향후초(五勞七傷向后瞧) - 상향후초
    → 오로와 칠상을 다스리려면 뒤를 향해 엿볼 것이다.
    5. 양수반족고신요(兩手攀足固腎腰) - 반고신요
    → 양손으로 발을 잡아당기는 동작은 신장과 허리를 견고히 하는 것이다.
    6. 요두파미거심화(搖頭擺尾去心火_ - 요두파미
    → 머리를 흔들고 꼬리를 밀쳐내는 동작은 심화를 제거하는 것이요
    7. 촬권노목중기력(攥拳怒目增氣力) - 촬권노목
    → 주먹을 쥐고 눈을 부릅뜨는 동작은 기력을 증가시키는 것이요
    8. 배후칠전제병소(背后七顚諸病消) - 배후칠전
    → 등 뒤를 일곱 번 떨어뜨리는 동작은 모든 병을 털어내는 것이다.
    관련기사: www.hani.co.kr/...
    동영상은 사범이신 백오선생의 무단팔금동작입니다.

КОМЕНТАРІ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