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 waterproof, Korean eco-friendly non-combustible exterior material, interior material PiN Foam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4 кві 2024
  • I'm really attracted to this waste glass foam eco-friendly interior and exterior
    It is the only insulation, waterproof, non-combustible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 in Korea.
    What should I use as interior material while building a country house, and is there any exterior material that helps with waterproofing and insulation? Don't wander around looking for clues after watching this video. ^^
    The interview video of the CEO is here
    • 땅속에 폐기될 유리로 가공성까지 좋은 내...
    If you're curious about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the PiN Foam
    Go to the website www.burimind.kr or
    Please contact +82)55-723-3043.
    Collaboration and other inquiries living00@naver.com
    Contact us on Kakao Talk pf.kakao.com/_xkYDPV

КОМЕНТАРІ • 179

  • @gaonpa
    @gaonpa  Місяць тому +5

    부림산기 PiN Foam 내외장재가 궁금하시면
    홈페이지 www.burimind.kr 를 방문하시거나
    055-723-3043 로 문의주시면 됩니다.

    • @user-zt6ig3qy5x
      @user-zt6ig3qy5x Місяць тому

      ❤😅

    • @user-nz4if4hg8v
      @user-nz4if4hg8v Місяць тому

      단열재 대용이기 보다는 외부 석재나 타일 벽돌등 외장재대용으로 써야 맞을거같네요.열전도율이 기존 단열재대비 너무 좋지않네요.그러나 단열도 어느정도되면서 방수도되고 가공도 편리하고 시공성도 좋아서 괜찮아보여요.단가가 어떨지모르겠네요.번창하세요.

  • @burro2986
    @burro2986 Місяць тому +15

    끼워맞추는걸로 만들면 더 잘팔리겠는데요 좀더 퀄리티를 높여야될듯 소재는 최고인듯

  • @user-rs6or5ih2b
    @user-rs6or5ih2b 13 днів тому

    우ㅡㅡㅡ와
    이제 화분 정원이 바뀔수 있어요
    너무 깔끔 합니다.❤❤❤❤

  • @wooosing
    @wooosing Місяць тому +19

    이런 중소기업 제품들이 수출 기회를 많이 얻어서 해외로 쭉쭉 널리 널리 알려지면 좋겠습니다.

    • @th9845
      @th9845 Місяць тому

      해외는 더 좋은 제품들이 있어요

    • @sangkichoi5051
      @sangkichoi5051 Місяць тому +3

      안녕하세요. 부림산기입니다.
      싱가포르 복합 환승 터미널에 차음벽 외장재로 현재 수출중에 있습니다.

  • @LOVELOVE-rp9cn
    @LOVELOVE-rp9cn Місяць тому +4

    멋진 소재네요.

  • @user-qv7xj6sz6c
    @user-qv7xj6sz6c Місяць тому +4

    완전맘에 든다요~ 디자인도 색도 넣고 상하 옆면 결착되게 가공도 해주고 무엇보다 기와로도 개발하면 짱 좋을듯 합니다

  • @user-ht7rk9dg1z
    @user-ht7rk9dg1z Місяць тому +4

    와~~~완전 대박 👍 ❤❤❤❤❤❤

    • @sangkichoi5051
      @sangkichoi5051 Місяць тому

      안녕하세요. 부림산기입니다~ 관심주셔서 감사합니다.
      깨지고 버려져서 매립되는 폐유리병을 건축자재로 만든 친환경 녹색 건축 자재이며,
      녹색인증, 우수 재활용(GR)인증, NEP인증, 혁신제품인증까지 획득한 국내 유일의 유리 발포 제품입니다.
      그리고 방수는 기본이며, 가벼워 시공성이 좋은 불연 단열 외장재입니다.

  • @0948one
    @0948one Місяць тому +8

    너무나 멋진 재품입니다 . 조만간 사용 해보도록 할께요

    • @sangkichoi5051
      @sangkichoi5051 Місяць тому +2

      안녕하세요. 부림산기입니다~
      깨지고 버려져서 매립되는 폐유리병을 건축자재로 만든 친환경 녹색 건축 자재이며,
      녹색인증, 우수 재활용(GR)인증, NEP인증, 혁신제품인증까지 획득한 국내 유일의 유리 발포 제품입니다.
      그리고 방수는 기본이며, 가벼워 시공성이 좋은 불연 단열 외장재입니다.

  • @onklim3132
    @onklim3132 Місяць тому +4

    굳이 건축용이 아니더라도 활용도가 높겠네요. 절단이 쉬우니 형상 맞추기도 좋고 내열성도 좋으니 오븐이나 가열로 단열재로 좋아 보입니다. 소량판매처가 있으면 샘플로 구매해서 테스트 해보고 싶네요. 밀가루 반죽 빵 나오듯 생산하는게 보기 좋네요 ㅎㅎ

  • @bsb1556
    @bsb1556 Місяць тому +18

    몇년전 박람회에서 봤었는데 유리로 만드는 제품 부림산기군요 알맞는 가격에 널리 공급해 주세요. 국민 외장재로 성장하시길..

    • @sangkichoi5051
      @sangkichoi5051 Місяць тому

      안녕하세요. 부림산기입니다~
      깨지고 버려져서 매립되는 폐유리병을 건축자재로 만든 친환경 녹색 건축 자재이며,
      녹색인증, 우수 재활용(GR)인증, NEP인증, 혁신제품인증까지 획득한 국내 유일의 유리 발포 제품입니다.
      그리고 방수는 기본이며, 가벼워 시공성이 좋은 불연 단열 외장재입니다.

    • @haerangjo126
      @haerangjo126 Місяць тому

      ​@@sangkichoi5051방화인증도 되있을까요?

    • @user-ns6ej1wl5x
      @user-ns6ej1wl5x 22 дні тому

      답답허네 뭐 뭔인증은 기본이고 그한장은 방수되도 짜맞춤아니면 이음사이에. 물들어간다고 댓글 줄줄이자뉴​@@sangkichoi5051

  • @user-hj6qy2qb5q
    @user-hj6qy2qb5q 26 днів тому +3

    제주도 화산석 느낌이 많이 나군요. 이걸로 대체가 가능해 보입니다.
    담장을 만들때 사용해 보고싶군요.

  • @user-er9ym2rr6r
    @user-er9ym2rr6r Місяць тому

    경량 불연 단열 차열 방음 방수 차음 강도면이나 외장용 석재느낌으로 좋아보입니다 방문한번 드릴께요 번창하세요~

    • @sangkichoi5051
      @sangkichoi5051 23 дні тому

      안녕하세요. 부림산기입니다.
      관심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pk2rb2se4k
    @user-pk2rb2se4k Місяць тому +7

    좋은 제품이네요. 단열도 좋고 가볍고 화재 위험도 적고. 제주도의 현무암 같은 느낌이 나네요. 전원주택을 짓는다면 이걸 선택할 것 같습니다.

    • @sangkichoi5051
      @sangkichoi5051 Місяць тому +1

      안녕하세요. 부림산기입니다~
      추운 강원도 지역이나 현무암 분위기를 좋아하는 제주도 지역의 전원주택에 외장재로 시공사례가 많구요.
      가벼워 시공성이 좋아 화재가 우려되는 지역의 불연 단열 외장재로 추천드립니다.

  • @user-ws9ec7fh5i
    @user-ws9ec7fh5i 2 години тому

    암 수로 껴맞출수있으면 더 좋겠네요 스티로폼하고 이음새부위가 차별이 있으면 결착도 잘되고 단열에서도 더 유리하겠네요

  • @user-yc6mf3fx3w
    @user-yc6mf3fx3w Місяць тому +11

    너무 잘봤습니다 좋은소재 소개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목조주택 외장재로 쓸경우 핀폼과 핀폼 사이에 틈은 뭘로 방수를 하면 좋을까요 ?
    이음새부분에 위쪽의 폼이 아래폼을 살짝덮도록 끼워지게 제작되면 좋긴할거 같은데 ..
    세라믹사이딩이나 시멘트사이딩이나 여러사이딩 처럼 ...

    • @bibibicc
      @bibibicc Місяць тому +2

      저건 사이딩이 아니라 그냥 엄청 가벼운 석판의 시공 느낌이라고 봐야죠.
      외부 방수는 원래 석재 사이 하던대로 하면 돼보입니다.

    • @user-vn1yb9ko5g
      @user-vn1yb9ko5g Місяць тому

      감사합니다. 가공이 잘 되고, 가벼운 석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석재처럼 줄눈시공 하시거나 제품사이 밀착해서 시공하실 경우에는 안쪽에 실리콘 시공을 하셔서 코킹역할이 되게끔 하시면 됩니다. 자세한 시공방법은 따로 문의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fama8596
    @fama8596 Місяць тому +2

    20년쯤에 네덜란드에서 폐유리를 같이 소성해서 ALC블럭같이 만든것을 TV에서 봤습니다. 단점은 블럭이 검은색이라고. 왜 그걸 안파나 했는데 딱 그제품 같네요.
    습기도 안 머금으니 단열재로 좋겠네요.

  • @dmdm6597
    @dmdm6597 22 дні тому +1

    획기적인 제품입니다.
    성형틀을 이용하여 다양한 제품을 생산한다면 어떨까 하는 생각도 ....

  • @111go
    @111go Місяць тому +53

    근데 외장재로 쓸려면 끼어맞추기식으로 홈이 있어야 되는데 그냥 대리석처럼 만들면 결국 틈사이는 실리콘 처리밖에 답이 없는데 그러면 단열,차음,방수 성능은 의미가없구먼

    • @user-xg4vk3pg3q
      @user-xg4vk3pg3q Місяць тому

      방수하고 단열하고 붙이면 안되는건가요??

    • @user-we3rg2hr2d
      @user-we3rg2hr2d Місяць тому +1

      잘 몰라서 여쭤보는데 틈 사이 실리콘은 그 면적이 넓지 않은데 그래도 단열이나 방음에 영향이 있나요..?

    • @user-ry4qe4jb9h
      @user-ry4qe4jb9h Місяць тому +1

      좋아보이는데?😊

    • @user-yu1rk6pz4u
      @user-yu1rk6pz4u Місяць тому +6

      @@user-we3rg2hr2d 벽체 구석 쪽이나 창틀 주위에 곰팡이가 잘 피는 이유가 단열재나 방수재의 연결부이기 때문이기도 해요. 실리콘 줄눈 등으로 마감한 연결부는 하자가 발생하기 제일 취약합니다.

    • @user-ki1wj7ql4t
      @user-ki1wj7ql4t Місяць тому +2

      +금액

  • @user-bv6uc1ft6m
    @user-bv6uc1ft6m Місяць тому +1

    alc 블럭같이 만들면 더 좋을듯 하네요

  • @user-sb3zw8yb8m
    @user-sb3zw8yb8m Місяць тому +5

    정말 좋은 제품이네요 외장재의 실리콘 사용부는 세월이 가면 방수가 취약해집니다. 이제품은 석재와 다르게 가공성이 좋아서
    단면의 중앙에서 단차를 조금만 주고 안쪽면에 실리콘 처리하고 시공하면 방수 및 외관도 좋은 훌륭한 제품이 되겠네요 도면으로
    설명하면 쉽게 전달될 것 같은데 글로 표현한 것이 전달될지 의문이 듭니다 부디 재고하셔서 적용하기바랍니다

    • @sangkichoi5051
      @sangkichoi5051 Місяць тому +1

      안녕하세요. 부림산기입니다~
      좋은 의견 감사드리며, 향후 반영될 수 있게 하겠습니다.
      관심 감사합니다.

  • @user-li6qv9sv1f
    @user-li6qv9sv1f Місяць тому +10

    작년 강릉산불을 보면 집과 펜션들이 다 탔더라구요. 외면제를 이걸로만 둘러도 화재피해가 줄지 않을까 싶네요.
    좋은 소재입니다.

    • @sangkichoi5051
      @sangkichoi5051 Місяць тому +2

      안녕하세요. 부림산기입니다~
      춥고 산불이 많은 강원도 지역에 외장재로 시공사례가 많구요.
      화재 예방 및 피해도 줄일 수 있어 산림청에도 홍보중에 있으며 반응이 좋습니다.
      가벼워 시공성이 좋아 화재가 우려되는 지역의 불연 단열 외장재로 추천드립니다.

  • @bugirun2009
    @bugirun2009 Місяць тому +2

    예전 방송에서
    유리와 석탄가루를 섞어 가공해서 공기 방울같은 층을 가진 특수 단열재를 만든 미국업체 제품의 뛰어난 단열 방음 능력을 보고 부러웠는데
    조금은 다르지만 좋은 제품이 나왔네요 그때 미국 회사의 단열 성능은 너무 놀라울 정도였슴니다

  • @big98901
    @big98901 29 днів тому +1

    대박이네요..
    가격이 중요할듯...요

    • @sangkichoi5051
      @sangkichoi5051 23 дні тому

      안녕하세요. 부림산기입니다.
      경량 제품이고 시공성이 높아 전체적으로 공사 비용이 절감됩니다.
      관심 주셔서 감사합니다~

    • @magmagie7425
      @magmagie7425 22 дні тому +1

      가격이 재료비로 미터x미터, 3cm 두께가 50861원 정도, 한장이 0.6x1.2가 36620원

  • @csk1078
    @csk1078 Місяць тому +3

    아래 답글처럼 홈이 요철로 있어서 서로서로 끼워지게 하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 @sangkichoi5051
      @sangkichoi5051 Місяць тому +1

      안녕하세요. 부림산기입니다~
      좋은 의견 감사드리며, 향후 반영될 수 있게 하겠습니다.
      관심 감사합니다.

  • @bibibicc
    @bibibicc Місяць тому +6

    다른것보다 저 다크그레이 컬러가 참 예쁘네요.

    • @sangkichoi5051
      @sangkichoi5051 Місяць тому +1

      안녕하세요. 부림산기입니다.
      3가지 그레이톤 중에 다크 그레이(차콜색)색이 많은 인기가 있습니다.ㅎ

  • @user-rm2zm4do1y
    @user-rm2zm4do1y 29 днів тому +1

    압축 강도가 얼마인가요
    건물신축시 우래탄으로. 기소단열100mm햇는대
    내려안자요. 요건. 기소단열하면좋을것
    같아요 강도만 충분하다면

  • @sscissoring
    @sscissoring 13 днів тому +1

    유리로 된거면 훤형톱 같은걸로 자를때 나오는 분진은 위험하지 않나요? 석면 같은 그런식으로 나중에 건강 문제같은건 없을지요?

  • @user-fk8xm8st7b
    @user-fk8xm8st7b Місяць тому +3

    외장 단열재 보단 ALC블럭 대체제에 가깝네요.
    Alc블럭의 단점이 습기에 쥐약인데 단가만. 맞는다면 기존 Alc블럭은 사라지겠네요.

  • @zzaezyo
    @zzaezyo Місяць тому +1

    ALC 블럭처럼 집을 지으려면 가벼워서 문제가 생기진 않을까요?

  • @gilbertriver1480
    @gilbertriver1480 Місяць тому

    Good.

  • @user-ip3kq7xx8x
    @user-ip3kq7xx8x 3 дні тому

    여기공장에서 직접직영으로 외장재나 인테리어팀을 둬서 설치보수도 함께 하면 인테리어업이나 건설업으로 연결될수도 있겟습니다.혹시 직영으로 직접시공도 되나요?

  • @musico119
    @musico119 5 днів тому

    여기에 외장 마감재를 붙여서 끼워 맞추게 요철을 집어 넣으면 대박 날 듯.

  • @suta1150
    @suta1150 14 днів тому +2

    보기도 괜찮은듯

  • @user-wo2hf1xs1m
    @user-wo2hf1xs1m 18 днів тому +1

    홈을 파서 암수로 제작하면 시공도 좋고 단열 방음 차폐효과가 뛰어날듯

  • @qkqajrdjTnj
    @qkqajrdjTnj 17 днів тому

    파벽돌 부착할수 있게 만들어야지요

  • @makerkingcat
    @makerkingcat 16 днів тому

    이거 잘 하면 역전지붕에 파쇄석 대신으로 쓸 수 있으려나요? 될 것 같기도 한데..

  • @user-ef1jg1xm5f
    @user-ef1jg1xm5f Місяць тому +2

    유리재활용 이면 가격이 저렴 해야 소비를

  • @user-ce9vn3bu5t
    @user-ce9vn3bu5t 5 днів тому

    사이 사이는 어떻게 방수처리 해야할까요?
    실리콘 처리하는건가요?

  • @421311BCI
    @421311BCI Місяць тому

    불 저항 수준은 C급 밖에 없는 것 같은데, ALC도 같이 개선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 @smash0115
    @smash0115 Місяць тому +3

    벽면에 작업시 서로 연결된 어떻게 하나요? 틈사이 방수 문제 해결방법은요?

    • @sangkichoi5051
      @sangkichoi5051 Місяць тому

      안녕하세요~ 부림산기입니다.
      대부분의 외장재와 동일하게 장과 장사이의 연결 틈 부분은 실리콘 마감은 필요합니다.

  • @user-pi4bd3vx6k
    @user-pi4bd3vx6k 27 днів тому

    옥상 방수 대신에 사용해도 되나요

  • @slee2601
    @slee2601 13 днів тому

    좋은 제품같습니다. 건축은 경제성,견고성,심미성이 고려되어야하는데 가격은 모르겠고 어느정도는 갖춘거 같은데요, 시공성도 중요합니다. 재료끼리 연결되는 블록이라 연결부는 아마도 실리콘 같은데요, 그럼 백업제(실리콘전에 하는 재료)같은 것을 쓰는 지요? 아니면 면처리를 해서 그부위에 실리콘을 쏘는 방법도 어떨런지요? 영상중에 폼 이야기가 있었는데 부풀지 않는 폼본드도 있습니다. 조금더 신경쓰면 좋은 제품으로 나갈 수 있을것 같습니다

  • @user-ph7jc8qx1n
    @user-ph7jc8qx1n 21 день тому

    세락믹 사이딩 외벽에 시공도 가능 한가요?

  • @ds3cpx
    @ds3cpx 22 дні тому

    기본단위 사이즈는 어찌 되나요 ? 가격은?

  • @user-zp1bf2do1j
    @user-zp1bf2do1j Місяць тому

    가성비는 어떻습니까? ALC 대비

  • @hot_nacho4055
    @hot_nacho4055 Місяць тому +1

    이거랑 비슷한 인도포장할때 썼던 자재 있는데.. 생각지도 못한 문제가 있더라고요
    외부 기공에 물이 들어가면 겨울철에 이게 얼었다 녹았다 하면서 얼때 얼음이 팽창하면서 겉표면이 으스러 지는 현상...
    이제품도 그럴수 있을거 같이 보이는데.. 괜찮겠죠?

    • @jp-li2bo
      @jp-li2bo Місяць тому

      가공성 흡음성 심미성 내열성 모두좋은데요 그문제가 취약해 보이긴합니다만
      제품이 작은 기포같아 보이고 유리소성이라서 어떨런지요? 궁금하긴 하네요!

    • @sangkichoi5051
      @sangkichoi5051 Місяць тому +1

      안녕하세요. 부림산기입니다~
      물이 흡수되어 겨울철에 얼었다 녹았다 하여 외장재가 팽창되어 파손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문제에 대한 공인 시험인 내동해성 테스트를 완벽하게 통과한 제품이니 걱정을 안하셔도 됩니다.

  • @user-po3vf3eu6b
    @user-po3vf3eu6b Місяць тому +4

    기본 사이즈가 궁금합니다.
    시공업체가 따로 있는지도 알고 싶네요.

    • @sangkichoi5051
      @sangkichoi5051 Місяць тому

      안녕하세요. 부림산기입니다~
      기본 사이즈는 1200mmx600mmx30t 이며, 두께는 30t~180t까지 주문 가능하십니다.
      시공은 영상에서 보시는대로 간편하여, 일반 석재나 타일 시공업체에서 하실수 있습니다.

  • @user-jy2iw5ls7x
    @user-jy2iw5ls7x Місяць тому +2

    좋은 제품 잘 보고 갑니다. 다만 시공이 잘못되면 아무리 좋은 자제라도 성능 발휘 못 한다는 것.

    • @sangkichoi5051
      @sangkichoi5051 Місяць тому

      안녕하세요. 부림산기입니다~
      홍보 영상에서 보시는 대로, 일반 실리콘으로 누구나 쉽게 시공이 가능하십니다.

  • @jmc9678
    @jmc9678 Місяць тому +1

    우레탄폼은 오래되거나 햇볕에 노출되면 산화(?)하여 부스러져서 접착력 유지가 안될것 같네요

    • @sangkichoi5051
      @sangkichoi5051 Місяць тому +2

      안녕하세요. 부림산기입니다~
      접착제로 사용될수 있는 우레탄 폼은 햇빛에 직접 노출되지 않아 산화되지 않으며,
      단열성능이 있는 외장재 제품이어서 접착력 유지도 걱정 안하셔도 됩니다.

  • @user-mi9lh5dd4z
    @user-mi9lh5dd4z Місяць тому +2

    기존 외장 마감재 드라이비트공법제외 석재 판넬 써모.시멘.비닐.세라믹사이딩등 치장벽돌 시멘메지등 조이너구간 실리콘작업없는 마감은 없습니다 멋지게 작업하신후 실리콘 정리는 저희에게 ~ㅎ 혹시 방문드리면 샘플좀
    부탁드립니다 ~~

    • @sangkichoi5051
      @sangkichoi5051 Місяць тому

      안녕하세요. 부림산기입니다~
      홈페이지에 문의 주시면 샘플 드리겠습니다.

    • @user-mi9lh5dd4z
      @user-mi9lh5dd4z Місяць тому

      답변 감사합니다 연락드리고 찾아뵈서 조인트 실리콘 충진후 마감느낌한번 확인해보겠습니다 널리 알려져서 번창하셨으면 합니다

  • @koutsider8266
    @koutsider8266 Місяць тому +1

    건축감리로서 단열성, 방수성, 내열성이 완벽하여 외장재로 적극 추천하고 싶은데,
    실리콘 화학적 부착은 장기적으로는 문제가 있어 보이므로 물리적 부착이 필요해 보입니다.
    세로줄눈 부실시공 갑질 벽돌공의 횡포와 기능도에 골치 아픈데, 화장실,욕실의 벽체시공 재료로 영업을 확대하시기를.....

    • @sangkichoi5051
      @sangkichoi5051 27 днів тому

      안녕하세요. 부림산기입니다.
      유리재질 외장재여서 기온차에 의한 열변형이 없고 단열성능이 높아,
      경험상 5년이 넘어가는 저희 시공 사례 건축물로 보면
      접착 시공에도 큰 문제는 없습니다.

  • @khs110401
    @khs110401 16 днів тому

    안녕하세요 pin foam 으로 뭔가를좀 만들어보고싶은데 소량 구매도 가능 한건가요 ??? 그리고 금액이 궁금합니다.

  • @scottcello418
    @scottcello418 Місяць тому +3

    유리재질이면 매우 친환경으로 생각됩니다.

    • @sangkichoi5051
      @sangkichoi5051 Місяць тому

      안녕하세요. 부림산기입니다~
      깨지고 버려져서 매립되는 폐유리병을 건축자재로 개발한 국내 유일의 친환경 녹색 건축 자재입니다.
      그리고 방수는 기본이며, 가벼워 시공성이 좋은 불연 단열 외장재입니다.

  • @seonghobae3176
    @seonghobae3176 10 днів тому +1

    미세먼지처럼 날리는 유리가루가 석면처럼 나중에 문제가 되는거 아닌가요? 미세유리가루 건강문제 이것만 문제없다면 최고의 자재인듯.

  • @natesmgmtm7166
    @natesmgmtm7166 Місяць тому +2

    스타트 부분의 열교는 어떻게 잡나요?
    그리고 장당 가격이라도 알고싶습니다.

    • @sangkichoi5051
      @sangkichoi5051 27 днів тому

      안녕하세요. 부림산기입니다.
      저희 홈페이지 문의란에 연락처 남겨 주시면 답변드리겠습니다.
      관심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ik2es6os8d
    @user-ik2es6os8d Місяць тому +1

    외장제인거죠? 지붕으로도 만들 수 있나? 블록마다 틈세는 뭘로 메우죠?

    • @sangkichoi5051
      @sangkichoi5051 Місяць тому

      안녕하세요~ 부림산기입니다.
      대부분의 외장재와 동일하게 장과 장사이의 연결 틈 부분은 실리콘 마감은 필요합니다.

  • @user-gg3yj5dw7d
    @user-gg3yj5dw7d Місяць тому

    외벽 마감 사례를 봤는데요.
    드라이비트 마감 걷어내고 시공가능하죠?
    별도의 단열재가 필요한 것은 아닌거죠?
    자재비나 시공비는 평방미터당 얼마나 될까요?

    • @gaonpa
      @gaonpa  Місяць тому

      음.. 저라면 드라이비트 위해 그대로 시공을 할 것 같습니다. ^^ 걷어내시면 철거비용과 그 안 단열재까지 손상될테니까요. 자세한 상담은 부림산기쪽으로 문의해 보시어요~^^

  • @sunminzero
    @sunminzero Місяць тому +6

    석재데크대용으론 어떨까 싶네요.. ㅎㅎ
    발로 밟을때 부스럼이 떨어지고 그러는 스타일인지 궁금하네요 ㅎㅎ

    • @user-vn1yb9ko5g
      @user-vn1yb9ko5g Місяць тому

      발로 밟는 용도로를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제품이 얇은 셀의 벌집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갈릴 수 있습니다.

    • @sangkichoi5051
      @sangkichoi5051 Місяць тому

      안녕하세요. 부림산기입니다~
      외벽에 붙이는 방수 단열 외장재로 추천드립니다.

  • @user-rh3yl4vr1t
    @user-rh3yl4vr1t Місяць тому +3

    오염에는 어떨까요?? 외장재이니.. 오염에도 어떨지 궁굼합니다.

    • @sangkichoi5051
      @sangkichoi5051 Місяць тому +3

      안녕하세요~ 부림산기입니다.
      물을 흡수하지 않는 방수제품에 주성분이 유리여서 산, 알칼리등 외부 오염에 아주 강하며
      태양 자외선에도 변색이 전혀 없는 단열성능이 뛰어난 불연 외장재입니다.

  • @njkim6428
    @njkim6428 25 днів тому +3

    비가 오다가 기온이 갑자기 떨어지는 날 얼면 표면 틈이 안 생기나요?

    • @sangkichoi5051
      @sangkichoi5051 23 дні тому

      안녕하세요. 부림산기입니다.
      피엔폼은 방수제품이며 흡수성이 적으며, 기온 변화에 의한 열팽창율이 아주 적고
      단열 성능(0.09W/mk)이 높은 외장 마감재입니다.
      관심주셔서 감사합니다.

  • @jp-li2bo
    @jp-li2bo Місяць тому +2

    폐기할거 같은 부풀었던 빵 같은 재질의 텍스츄어도 좋은걸요! 여러가지 패턴 성형이
    금형에 따라서 가능하겠어요! 예컨데 스톤 느낌의빵돌이거나 활석형 판재도요? 변형
    성이 무궁할거 같네요!번창하시길 기원 합니다

    • @sangkichoi5051
      @sangkichoi5051 Місяць тому

      안녕하세요. 부림산기입니다~ 관심 감사합니다.
      깨지고 버려져서 매립되는 폐유리병을 건축자재로 만든 친환경 녹색 건축 자재이며,
      녹색인증, 우수 재활용(GR)인증, NEP인증, 혁신제품인증까지 획득한 국내 유일의 유리 발포 제품입니다.
      그리고 방수는 기본이며, 가벼워 시공성이 좋은 불연 단열 외장재입니다.

  • @user-tf1vi1ky3o
    @user-tf1vi1ky3o Місяць тому +5

    방수,단열,내화 이제품 최고네

  • @oziraper
    @oziraper Місяць тому

    가격이 가장 중요한데~~~~
    목조의 세라믹사이딩하고 콘크리트 현무암타일하고 가격 비교좀....
    그리고 외장재로 햇을때 때타는 정도는? 영구적으로 때가 안타나요????

    • @sangkichoi5051
      @sangkichoi5051 27 днів тому +1

      안녕하세요~ 부림산기입니다.
      물을 흡수하지 않는 방수제품에 주성분이 유리여서 산, 알칼리등 외부 오염에 아주 강하며
      태양 자외선에도 변색이 전혀 없는 단열성능이 뛰어난 불연 외장재입니다.
      관심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sh1ne8vb4y
    @user-sh1ne8vb4y Місяць тому +5

    외장재로 사용했을때, 먼지가 많은곳에서는 틈사이로 흙먼지 가루가 들어가면 비가와도 청소가 안되고, 얼룩이 많이 남을거 같은데..
    흙을 한번 던져서 테스트 했었으면 좋을듯...

    • @user-vn1yb9ko5g
      @user-vn1yb9ko5g Місяць тому

      강제로 흙을 뿌려보지는 않았는데.. 지금까지 시공된 사례를 참고하면 기공에 먼지가 좀 쌓이더라도 비가 오거나 바람이 불면 다 씻겨져서 세월이 지나도 크게 오염이나 변화가 없는 소재입니다. 홈페이지 시공사례를 참조해주세요.

    • @user-sh1ne8vb4y
      @user-sh1ne8vb4y Місяць тому +1

      @@user-vn1yb9ko5g 시공사례 3군데를 살펴봤는데, 주변이 시멘트 도로라, 얼룩같은거는 안보이네요.
      혹시나 먼지/비 때문에 얼룩이 생기는지 궁금해서 여쭤봤습니다.

    • @sangkichoi5051
      @sangkichoi5051 Місяць тому

      안녕하세요. 부림산기입니다~
      주성분인 유리를 녹여서 만든 제품이고, 흡수율이 적은 완전 방수제품이여서 기본적으로 외부 오염에 아주 강합니다.
      먼지나 흙가루등은 지금까지의 많은 시공사례에서 검증된 제품으로 걱정 안하셔도 됩니다.

  • @user-sc3uo9gt7f
    @user-sc3uo9gt7f 21 день тому +3

    조금 안정성에 문제가 있어보이네요. 주변환경이 어떻게 될지 모르기에 대리석 고정하듯이 해야될듯합니다.

    • @gms8251
      @gms8251 8 днів тому

      ??? 매우 가벼움.

  • @mskim355
    @mskim355 Місяць тому

    영상에 미흡한 부분들이나 이해가 안되는부분들이 많네요.
    제품 자체는 우수한거 같은데 설치 기준 시방서라고 할까요. 설치 기준서나 설치
    주의점등 업체가 설치에 필요한 기준등은
    없어 보입니다.
    저 자재가 외부 방수 자재라면 보통 미터까지
    올려 쌓울 수 있는지요
    단층 2~3미터인지 5층빌딩 약 10미터 높이도 쌓을 수 있는지요.
    겹치는 부분은 별도 실리콘 작업을 해야 하는지 아니면 그냥 쌓아도 되는지 등
    업체가 제시하는 설치 기준 방법은 없네요.

  • @user-dk3ut6ot9c
    @user-dk3ut6ot9c Місяць тому +2

    단열은 어떠한지 궁금하네요

    • @sangkichoi5051
      @sangkichoi5051 Місяць тому +1

      안녕하세요. 부림산기입니다~
      외벽에 붙이는 외장재중에 유일하게 완전 방수에 단열성능(0.09W/mk)이 좋은 외장재 입니다.

    • @burro2986
      @burro2986 Місяць тому

      회사 이름 누가지었나요 부림산기 입에붙지않은 이름이네요 회사명을 바꾸시면 좋을것같다는 생각 적어봅니다 요즘 회사명도 사람이름처럼 중요한듯 기억하기 쉬운 이름으로 지으셔야 좋다봅니다

  • @qkqajrdjTnj
    @qkqajrdjTnj 17 днів тому

    alc 대신 사용하면 좋은데

  • @up_ofj
    @up_ofj Місяць тому +2

    단열도 효과있을까요 오로지외장쪽인가요?

    • @sangkichoi5051
      @sangkichoi5051 Місяць тому

      안녕하세요. 부림산기입니다~
      외벽에 붙이는 외장재중에 유일하게 완전 방수에 우수한 단열성능(0.09W/mk)을
      가지고 있으며, 불연 단열 외장재로 추천합니다.
      관심주셔서 감사합니다.

  • @itebec
    @itebec 22 дні тому

    실제 시공된 현장 영상이 없는게 아쉽네요

    • @gaonpa
      @gaonpa  22 дні тому

      ua-cam.com/video/nakFdAlw_h4/v-deo.html 영상 올려두었습니다.^^

  • @arm15377
    @arm15377 Місяць тому +4

    실외 바닥재 사용 가능한지 궁금함

    • @sangkichoi5051
      @sangkichoi5051 Місяць тому +3

      안녕하세요. 부림산기입니다~
      외벽에 붙이는 방수 단열 외장재로 추천드립니다.

  • @user-zj9dz1jv4k
    @user-zj9dz1jv4k Місяць тому +5

    외장으로 할 경우 장과 장사이에 틈이 있는데 대리석마감처럼 사이사이에 실리콘 마감을 해야 하는건지 알고 싶습니다

    • @sangkichoi5051
      @sangkichoi5051 Місяць тому +1

      안녕하세요~ 부림산기입니다.
      대부분의 외장재와 동일하게 장과 장사이의 연결 틈 부분은 실리콘 마감은 필요합니다.
      관심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qf8di5be7u
      @user-qf8di5be7u Місяць тому

      시공시 권장하시는 실리콘은요~~?​@@sangkichoi5051

  • @user-ku2rn7ej4x
    @user-ku2rn7ej4x Місяць тому +1

    수영장 벽면 바닥 외장재로 괞찬나요?

    • @sangkichoi5051
      @sangkichoi5051 Місяць тому

      안녕하세요. 부림산기입니다~ 관심주셔서 감사합니다.
      물이 흡수되지 않는 방수제품이며, 수영장 바닥보다는 벽면외장재에는 추천드리며
      자세한건 저희 홈페이지나 전화로 문의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jmc9678
    @jmc9678 Місяць тому +1

    유리가루를 가열하면 발포가 되나요?

  • @user-fi5kc7mn8u
    @user-fi5kc7mn8u Місяць тому +1

    홈페이지 트레픽 초과로 접속이 안되네요`~ ㅎㅎ

    • @sangkichoi5051
      @sangkichoi5051 Місяць тому

      안녕하세요. 부림산기입니다~
      조치하여 지금은 원할히 접속이 됩니다.
      관심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vv4bs7gi3q
    @user-vv4bs7gi3q Місяць тому

    얼마나 많이 방문하면 트래픽 초과로 접속이 안될까요? 홈페이지 운영자 머 하나요? 빨리 용량 늘리세요!

    • @sangkichoi5051
      @sangkichoi5051 Місяць тому

      안녕하세요. 부림산기입니다~
      조치하여 지금은 원할히 접속이 잘될겁니다.
      관심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rm3nx1ro2v
    @user-rm3nx1ro2v Місяць тому

    기존에 지어진 판넬 집에도 가능할까요?

    • @sangkichoi5051
      @sangkichoi5051 27 днів тому

      안녕하세요. 부림산기입니다.
      판넬하우스에 접착식으로 시공 가능한 방수제품의 불연 단열 외장재입니다.
      저희 카페 시공 유튜브 참조 하시면 해답을 찾으실겁니다.
      관심주셔서 감사합니다~

  • @rooferyoon6620
    @rooferyoon6620 24 дні тому

    시공 1~2년후부터 이음부 사이로 물 질질새고 창틀 위부터 누수 발생할듯

  • @user-mp4ys9dg7z
    @user-mp4ys9dg7z Місяць тому +1

    럭셔리 요트 내장(소음 및 진동)로도 작업가능한가여?

    • @sangkichoi5051
      @sangkichoi5051 Місяць тому +1

      안녕하세요. 부림산기입니다~
      홈페이지 문의 주시면 자세한 답변 드리겠습니다.

  • @Doomoon7777
    @Doomoon7777 Місяць тому

    기스나면 복원은 어찌 복원하나요?

    • @sangkichoi5051
      @sangkichoi5051 27 днів тому

      안녕하세요. 부림산기입니다.
      저희 제품을 가루로 만들어 접착제와 섞어 기스면에 도포하시면 복원이 됩니다.
      관심주셔서 감사합니다~

  • @poseidon2345
    @poseidon2345 Місяць тому

    제품별 가격은 어디서 보나요?

    • @sangkichoi5051
      @sangkichoi5051 Місяць тому

      안녕하세요~ 부림산기입니다.
      홈페이지 오셔서 문의 주시면 답변드리겠습니다.
      관심주셔서 감사합니다.

  • @jp-mp8rn
    @jp-mp8rn Місяць тому

    인체에 영향은 없는 친환경 자재인가요?😂

    • @sangkichoi5051
      @sangkichoi5051 Місяць тому

      안녕하세요. 부림산기입니다~
      유리가루를 고온에서 녹여서 만든 제품이라 중금속 검출 테스트로 인체에 무해가 검증된 제품이며,인체에 유해하다면 정부에서 NEP, 혁신제품인증을 주지 않겠죠?
      부스러져도 야외의 황사보다도 입자가 크지 않고 입자 크기가 일반 모래와 같아 걱정 안하셔도 됩니다.

  • @user-bc9ed8sx6e
    @user-bc9ed8sx6e Місяць тому

    단열재 굿입니다😅

    • @sangkichoi5051
      @sangkichoi5051 23 дні тому

      안녕하세요. 부림산기입니다.
      피엔폼은 방수제품이며 흡수성이 적으며, 기온 변화에 의한 열팽창율이 아주 적고
      단열 성능(0.09W/mk)이 높은 외장 마감재입니다.
      관심주셔서 감사합니다.

  • @rareiron1511
    @rareiron1511 26 днів тому

    외장에 붙이면 저게 내구성이 있겠니? 몇년지나면 실리콘이 떨어지지 ㅋㅋㅋ

  • @gutzza4361
    @gutzza4361 Місяць тому +1

    다른 색상은 있나요

    • @sangkichoi5051
      @sangkichoi5051 Місяць тому

      안녕하세요. 부림산기입니다~
      색상은 3가지 그레이톤이 있습니다.
      회색, 진회색, 차콜색

    • @user-co1fj2lw5r
      @user-co1fj2lw5r 21 день тому

      화이트나 베이지 밝은 색상이 있으면 좋겠어요

  • @reiraymond8743
    @reiraymond8743 Місяць тому

    자재 자체는 좋은데, 긁힘등에 약해, 최종 시공 이후 표면 경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있으면 정말 좋은 자재일 듯...
    그리고 내장용으로는 현재 30mm가 최소 두께인데, 너무 두꺼움, 두께 5mm~10mm 정도로 낮출 수 있다면 좋을 듯...
    그리고, 메지라인 맞춰 몰딩등에 끼워 넣을 수 있는 시스템으로 만들면, 좀더 깔끔히 시공할 수 있을듯...
    현재까지 시공 사례를 보면, 메지라인의 오와열이 딱딱 안떨어져 "덕지덕지" 느낌...

  • @sanqlqjs
    @sanqlqjs Місяць тому +6

    '헤베' 일본 잔재입니다. 제곱미터로 변경해서 사용해주세요

    • @bbans_run
      @bbans_run Місяць тому +1

      ㅈㄹ을 해쌌네

    • @sanqlqjs
      @sanqlqjs Місяць тому +4

      @@bbans_run 잔재같은 인간이 여기 있네

    • @doit4781
      @doit4781 Місяць тому

      제곱미터는 미제인가?ㅎ

    • @sanqlqjs
      @sanqlqjs Місяць тому

      @@doit4781 외래어인지 인지하고 다른 대체단어가 없는 상황에서 사용하는 경우는 괜찮지만
      일본에 침략당해 여러 단어들이 썩여 있어
      우리도 모르게 사용되는 단어들이 있는데
      그런경우는 알고나서 고치는게 좋지 않습니까?
      타코야끼를 타코야끼라고 부른다고 뭐라하겠습니까?
      소크라테스가 악법도 법이라는 말을 했다고
      많은 사람들이 알고있는데 이경우도 일본의
      제국주의자들의 자신들의 법을 정당화 시켜
      우리 국민들을 조종하려고 만든 말입니다.
      이렇게 잘못 사용되는 경우는 고쳐나가는 게
      좋은거 아닐까요?

  • @user-rg7jo3to5x
    @user-rg7jo3to5x Місяць тому +1

    시간이지나면석면처럼유리가루먹을거같은데쓰레기로도못버려욬ㅋㅋㅋ아닛듯요

    • @sangkichoi5051
      @sangkichoi5051 Місяць тому

      안녕하세요. 부림산기입니다~
      유리병에 물을 담아서 먹어도 무해 하듯이, 유리를 고온에서 녹여서 만든 제품이라 무해성이 검증된 제품이며,
      부스러져도 야외의 초미립 황사보다도 입자가 큰 모레알 정도여서 걱정 안하셔도 됩니다.

  • @user-rg7jo3to5x
    @user-rg7jo3to5x Місяць тому

    석면이랑차이가

    • @sangkichoi5051
      @sangkichoi5051 Місяць тому

      안녕하세요. 부림산기입니다~
      유리가루를 고온에서 녹여서 만든 제품이라 중금속 검출 테스트로 검증된 인체에 무해한 정부 인증을 받은 제품이며,
      부스러져도 야외의 황사보다도 입자가 크지 않고 입자가 일반 모래 크기로 인체에 무해하여 걱정 안하셔도 됩니다.

  • @user-wv6cj6qw9u
    @user-wv6cj6qw9u Місяць тому +2

    무기질? 유기질?

    • @sangkichoi5051
      @sangkichoi5051 Місяць тому +1

      폐유리병을 90%이상 주원료로 800도 고온에서 발포한 무기성이며, 녹색 건축 자재 인증을 받은 친환경 불연 단열 외장재입니다.

  • @onebbanchi
    @onebbanchi Місяць тому +1

    돈 안된다고 기술 '중국'에 넘기지 마시고 꿋꿋이 '대한민국'에서 살아남으시길 바랍니다.

  • @RAY_1457
    @RAY_1457 Місяць тому

    실리콘본드로 붙인다 음 불연성 실리콘 본드인가 보네
    그럼 인정 인데
    저설명처럼 목조주택 용 이라하면 본드가지고만 시공하면 제품은 않 타더라도 떨어지겠군

    • @sangkichoi5051
      @sangkichoi5051 27 днів тому

      안녕하세요~ 부림산기입니다.
      주성분이 유리여서 산, 알칼리등 외부 오염에 아주 강하며
      제품자체가 불연이고 단열성능이 높아서 접착제 열변형이 적습니다.

  • @Alex-us3ng
    @Alex-us3ng 22 дні тому

    가격이 문제겠군요. 강도가 좀 많이 약해보이는게 맘에 걸리네요

    • @sangkichoi5051
      @sangkichoi5051 8 днів тому

      안녕하세요. 부림산기입니다.
      가볍고, 시공성이 높아 전체적인 공사비용은 절감되구요.
      강도가 높아지면 석재처럼 무거워지구요.
      한번 외벽 시공되면 지진과 같은 큰 외력이 없는 한 파손 우려는 적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