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은미의원 김누리교수 특별 대담 '광주를 말하다!'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5 лют 2025
  • 일시 : 2022년 1월 27일(목) 오후 7시
    장소 : 광주 서구문화센터 1층 다목적홀
  • Розваги

КОМЕНТАРІ • 29

  • @su26kim
    @su26kim 3 роки тому +15

    김누리교수님을 좋아합니다. 좋은 말씀들 잘 듣고 있습니다.

  • @광규강-r2m
    @광규강-r2m 2 роки тому +8

    김누리 교수님 같은분이 세명만 있어도 대한 민국이 변할수 있겠습니다

  • @미련한곰-s4l
    @미련한곰-s4l 3 роки тому +18

    작년부터 김누리 교수님 강의 찾아보고 있습니다 ^_^// 이런식으로 하나하나 자세히 설명해 주시는게 너무 좋은 것 같습니다 앞으로도 온라인으로도 강연 많이 해주세요

    • @em7086
      @em7086  3 роки тому +4

      고맙습니다. 더 나은 세상을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주민과 소통하겠습니다.

  • @Dignocracy
    @Dignocracy 3 роки тому +14

    존경하는 학자 김누리 선생님을 모셔주셔서 감사드립니다.
    강은미 의원님 하시는 모든 의정활동 다 잘되시길 바랍니다. 관심있게 지켜보고 응원하겠습니다.
    구독 누르고 갑니다

    • @em7086
      @em7086  3 роки тому +4

      고맙습니다!!!

  • @jesj-wx3cq
    @jesj-wx3cq 2 роки тому +7

    이렇게 계속 두드리다보면 우리의 미래세대는 지금보다는 더 아름답게 진보적인 나라가 되어 있을 것 같습니다. 또한 건강한 보수와도 함께 협력할 수 있는 그런 세대가 되어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김누리 교수님 정말 감사합니다.

  • @성일경-d2q
    @성일경-d2q 3 роки тому +18

    아름다운 지식인
    김누리교수님 감사합니다ㆍ

  • @박윤식-b1c
    @박윤식-b1c 2 роки тому +1

    선생님 말씀 전적으로 동감합니다. 저는 집이 몹시 궁핍하여 1954년도에 국민학교에 입학하여 1959년에6학년까지 문교부 혜택을 보았습니다.
    1960년 3월5일 국민학교 졸업했으며 1960년 3월 15일 정 부통령 부정선거로 인하여 4월19일 학생의거로 자유당이 몰락한것을 직접 목격했습니다.
    국민학교 5학년까지는 월사금(300환)을 내고 다닌것 같습니다 .그리고 6학년때에는 매주 마다 객관식으로 석차시험을 본 기억이 있습니다.(경북 김천)
    대한민국의 모든 시험은 객관식으로 인생을 결정한것은 자유당 초창기부터 인것같습니다. 다행히 고등고시 사법과와 행정고시는 1차는 과목당 객관식40문제 (40분) 오전과 오후
    2차는 주관식 과목당 2문제 (2시간) 오전1과목 오후 1과목 4일 간 시험을 본것으로 압니다. 객관식시험으로 인간이 길들여지면 로보트인간으로 변모할것입니다.

    • @박윤식-b1c
      @박윤식-b1c 2 роки тому

      대학교 학기말시험은 주관식 시험이 아닙니까? 예를들어 법학과 형사소송법시험이라면
      체포구속된 피의자 석방제도. 검사의 소송법상의 지위 감정서의 증거능력 등등

  • @광규강-r2m
    @광규강-r2m 2 роки тому +2

    두시간 정도 잘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박윤식-s8x
    @박윤식-s8x 3 роки тому +13

    김누리교수 당신이 대한민국의 지성이며 양심입니다.
    제 21대 대통령은 당신이 했으면 좋겠습니다.

  • @광규강-r2m
    @광규강-r2m 2 роки тому +1

    경쟁을 좋아하는 것은 맛있는 미끼 때문이지요 도룡농과 지렁이는 연못이 얕다고 바닥을 파고 들어가고 송골매와 새매는 산이 얃다고 산 꼭대기에 있는 나무에 둥지를 틀고 산다 가히 안전하다고 할수 있다 그러나 마침내 맛있는 미끼때문에 죽을곳으로 들어가니 어찌 너무 잘살려고 했기 때문이라고 아니 하겠나

  • @daepa875won
    @daepa875won 2 роки тому +3

    주입식 교육이 문제이긴 합니다. 그리고 역사 교육도 강화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7,80년대도 주입식 교육을 했지만, 민주화 운동 열심히 했습니다.

  • @kompetenz3648
    @kompetenz3648 2 роки тому +1

    한국은 능력주의가 아닙니다. Seilschaft, Connection 세계입니다. 밀어주고 댕겨주고, 남은 못하게 막고.
    줄이 없으면, 아무것도 안되는 세계 입니다.

  • @광규강-r2m
    @광규강-r2m 2 роки тому +1

    한국 사람들은 글씨체가 보기 좋아야지 뜻이 좋은 것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눈으로 판단 하지 마음으로 판단하지 않으며 오로지 패를 지어 싸우기를 좋아하지 다같이 잘사는 것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 @lemontree6024
    @lemontree6024 2 роки тому +3

    동일 노동 동일 임금 지급. 고세율 고복지 달성. 어떤 직업을 가져도 중산층에 수렴하는 경제 사회 구조. 월세 내고 살아도 혼인하는 것을 당연하게 여길 정도의 기본 소득 이 네가지중 두가지 이상이 달성 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 @saturncool3753
    @saturncool3753 2 роки тому +1

    나 이거 해결하는 방법 압니다
    부자아빠 가난한아빠 책의 저자
    로버트 기요사키 선생님의 전 서적을 독서하게되면
    현 시대의 통념에서 벗어나게 됩니다
    그냥 단지 단순한 독서를 하기보단
    경제학에 근거한 독서를 해야
    현 시대의 문제에대해
    정확히 관통할 수 있는 통찰력을
    소유할 수 있게 됩니다

  • @광규강-r2m
    @광규강-r2m 2 роки тому +1

    한달에 27 만원 버는 노인일자리에서 한결같이 하는말이 복지를 하다보면 나라가 망한다고 합니다 일하는 노인들이 생각하는 복지가 무엇 이길래 나라가 망한다고 할 까요?

  • @kkcpgy
    @kkcpgy 2 роки тому +1

    열매를 똑똑 따먹는 권력자 ㅎ

  • @광규강-r2m
    @광규강-r2m 2 роки тому +1

    公 자는 팔자안에 내가 있는 모습을 그린 글자입니다 말하자면 팔자대로 산다는 것이고 바꿔 말하면 타고난 저마다의 소질을 발휘하여 산다는 뜻입니다 倫 자는 밭을 갈고 책을 읽는 모습을 그린 글자입니다 말하자면 주경야독 을 말하는 것이고 바꿔 말하면 자신이 일군 밭에서 나오는 곡식으로 만족하고 책을 읽어 더불어 사는 것을 배운다는 것입니다 중용장구에서 윤리를 설명하는 것이 자신이 일군 밭에서 나오는 곡식에 만족하고 빈부에 차이를 원망하지 않는것이라 합니다 그말은 자신이 일군 만큼 나오는 결과에 만족한다는 뜻입니다 현실은 자신은 일구지도 않고 너무도 많은 것을 불로소득하여 남의것을 빼앗는 다는 것입니다

  • @이성휘-m3c
    @이성휘-m3c 2 роки тому +5

    왜 이런분을 교육계의 리더로 세우지 않는지요?

  • @박윤식-s8x
    @박윤식-s8x 3 роки тому +6

    6.8혁명이 언제 일어난혁명이며 무엇을 뜻하는것입니까?

    • @jesj-wx3cq
      @jesj-wx3cq 2 роки тому +4

      1968년이 기폭이 되어 유럽이 중심이 되어 전세계로 이 흐름이 퍼져 나갔습니다. 우리의 1968년과는 너무나 다른 아름다운 저항이 피어나는 세상이 밖에서는 있었더라구요. 현실로 이루어 질 수 없는 걸 알면서도, 우리 인간이 마음속 깊숙히서 원하는 해방의 모습을 한번 시도해보았던 의미 있는 운동이었다고 생각합니다.
      1968년 68혁명으로 구글 이미지 검색으로 찾아보시면 직접적으로 느낄 수 있는 사진이 많이 있습니다.

    • @대뫼-u4j
      @대뫼-u4j 2 роки тому +1

      우리의 68은 친일군사반란.오까모도박정희가 3선개헌으로 영구집권을 획책하며 철권을휘두르며 군부압제를 서슴치않았던 시절이었지요.

  • @DoDo-cy4xs
    @DoDo-cy4xs 2 роки тому +1

    11:21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