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세계 4위권 AI 강국…일본 정부 비상 [창+] / KBS 2023.08.07.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5 сер 2023
  • [시사기획 창 'AI혁명 - 챗GPT에 AI를 묻다' 중에서]
    챗 GPT가 돌풍을 일으키면서 AI가 우리 삶에 영향을 미치는 속도는 점점 더 빨라지고 있습니다.
    초거대 AI 생태계 구축을 놓고 국내외 글로벌 IT 공룡들 간의 경쟁이 치열합니다. 그야말로 세계는 AI 혁명, AI 전쟁 중입니다.
    배순민 / KT융합기술원 연구소장
    지금까지의 방식과는 다른 경쟁이 일어날 수도 있습니다. 이제는 글로벌 경쟁이고요. 변화의 속도는 더욱 더 빨라졌습니다. 지금은 전속력으로 달려도 정말 하루에 벌어지는 일이 일년에 벌어지는 일과 같이 그 속도감이 정말 너무 어마어마합니다.
    글로벌 IT 기업들은 심각한 경영 위기 상황을 뜻하는 코드 레드를 발령하고 인공지능 탑재를 본격화했습니다.
    챗 GPT 등장 석 달 만에 구글은 대화형 인공지능 ‘바드’를, 마이크로소프트는 AI 챗봇 빙을 서둘러 내놓았습니다. 일론 머스크는 웹사이트에 새로운 인공지능 회사 출범을 알리면서 챗 GPT와 경쟁을 선언했습니다.
    지난 6월 30일, 애플은 새로운 역사를 썼습니다. 시가총액 3조 달러를 달성한 사상 최초의 기업으로 등극한 겁니다. 생성형 AI 열풍에 힙입어, 미국의 7대 빅테크 기업의 시가총액은 11조 달러에 이르렀고, 세계 2위 중국 증시의 약 4800개 상장 기업 시가총액을 넘어섰습니다.
    미중 기술전쟁도 절정에 달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AI 반도체 공급 제한을 통해 첨단 분야에서 중국과 격차를 늘리겠다는 전략을 밝혔습니다. 중국은 이에 대응해 고성능 반도체와 전기차 주요 광물 소재의 수출을 제한하겠다고 맞불을 놓았습니다.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한 중국업체 접근 제한 카드까지 꺼내들었습니다.
    AI 생태계 주도권을 누가 잡을 것인가는 이제 국가 차원의 최우선 과제가 되었습니다.
    하정우 / 네이버클라우드 AI랩 소장
    만약에 이 초거대 AI 플랫폼이 외국 클라우드 기업에 가 있다 그러면 모든 데이터들이 외국 클라우드에 다 저장이 될 수밖에 없다는 얘기에요. 블랙홀처럼 빨아들이게 되겠죠. 데이터 주권이 자연스럽게 AI 주권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이승환 / 국회미래연구원 연구위원
    지금 초거대 인공지능을 만들 수 있는 나라는 전 세계에 지금 네 나라밖에 없습니다. 미국이 만들 수 있고 중국이 만들 수 있고 한국이 만들 수 있어요. 그리고 이스라엘이 지금 만들고 있는데 그럼 우리는 지금 전 세계 4등 안에 들어오는 그런 강국 아닙니까 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는데 실제로 1등과 2등과 3등과 4등 간의 격차가 너무나 많이 벌어져 있기 때문에 지금되게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고요. NA) 1등과 2등 사이 격차가 있긴 하지만, 우리에게도 기회는 있습니다.
    배순민 / KT융합기술원 연구소장
    우리나라는 다양한 산업이 세계 1위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지금 AI 기술과 이 산업 경쟁력을 연결시키면 정말 그 파급력은 그 영향력은 폭발할 수 있을 거 같습니다. 과연 이 기술을 우리가 가진 산업 역량에 접목시킬 수 있느냐라는 과도기라고 할 수 있어요.
    하정우 /
    (구글이 바드가) 업그레이드된 버전을 공개하면서 우리의 제1 외국어는 한국어와 일본어다, 라고 얘기를 했어요. 한국어 시장을 공식적으로 굉장히 강력하게 시동을 걸겠다, 라는 얘기입니다.
    중요한 것은 소프트웨어 기술과 하드웨어 기술을 모두 확보하는 초거대 AI 생태계 구축입니다.
    배순민 / KT융합기술원 연구소장
    하드웨어 스택, 소프트웨어 스택 이런 모든 것들이 갖춰졌을 때만 AI 모델 그리고 데이터가 빛을 발하게 됩니다. 우리가 AI 산업을 하거나 AI 서비스를 했을 때 얻어들인 수익이나 매출은 고스란히 특정 기업으로 흘러 들어가게 돼 있습니다. 이것을 막기 위해서 저희가 단단한 기반 기술이 필요한
    데요, 그래서 현재 우리나라에서 AI 반도체와 같은 기술에 대해서 많은 노력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게임이나 그래픽 작업을 가능케 하는 고사양 컴퓨터가 등장하면서 중앙처리장치 CPU보다 그래픽 처리에 특화된 GPU가 폭넓게 사용돼 왔습니다. AI 등장 이후, 엔비디아의 GPU는 AI 반도체 시장을 독점하다시피 했습니다.
    박성현 / 리벨리온 대표
    AI 스케일이 작을 때는 GPU로 충분합니다. 그러나 이제는 AI 스케일이 너무 커져서 너무 AI 트래픽이 많고 쿼리가 많아지다 보면 이렇게 범용적인 칩보다는 AI 하나에 대해서만큼 딱 전문화된 칩이 필요하다.
    AI에 최적화된 반도체. 즉, 신경처리망장치인 NPU가 필요해진 겁니다. KT가 인공지능 반도체 설계 스타트업인 리벨리온에 300억 원의 전략적 투자를 한 이유입니다. 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서 세계 최정상인 우리에겐 NPU 개발이 새로운 기회가 될 수도 있습니다.
    박성현 / 리벨리온 대표
    서비스를 보면서 모델을 만들고 모델을 보면서 반도체를 만드는 풀스택 AI가 돼서 반도체 선배들이 D RAM에서 한번 주권을 잡아왔듯이 AI 반도체에서 두 번째 패권 싸움을 해보자. 왜냐하면 저희가 잘하거든요. 초거대 모델까지 만들면서 파운드리를 통해서 반도체까지 할 수 있는 나라는 미국, 중국, 대한민국 밖에 없습니다.
    미국과 중국, 한국이 초거대 AI 생태계 구축에 전력을 다하는 모습을 보면서 일본은 마음이 급해졌습니다. 지난 6월, 기시다 총리는 AI 주도권 싸움에 직접 뛰어들며 의지를 보였습니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연말까지 반도체, 바이오·융합 에너지 그리고 AI 분야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고루 갖추도록 투자를 할 것입니다.
    일본 정부 주도로 도쿄에서 열린 최대 규모의 AI 박람회, 일본 대표 기업인 소프트뱅크와 NTT, 후지쓰 등 대기업과 중소기업, 벤처기업 등 300개가 참여했습니다. 사흘 동안 방문한 관람객만 3만 명. 일본에선 이례적인 일입니다.
    인공지능과 사물의 결합, IOT가 핵심이었던 이번 박람회에서 기업들은 인공지능을 탑재시킨 새로운 제품들을 선보였습니다.
    "안녕하세요. 제 이름은 히나타입니다. 17세 소녀예요."
    이 홀로그램 기술은 첨단 기능을 탑재해 표정과 몸짓을 표현하는 높은 기술력을 보여줬습니다. 하지만 사람과 대화를 익히는 부분에서 어려움을 겪다가 챗 GPT를 탑재하면서 제품을 완성했습니다.
    질문: 어떤 책을 좋아하세요?
    히나타: 저는 만화를 아주 좋아해요. 특히, 스포츠나 청춘물에 빠져 있어요.
    사토 야스오 / 올거나이즈 대표-
    최근 6개월 전부터 잇달아 기업으로부터 ‘이것을 도입하고 싶은데 이런 것을 검증해 보면 어떻겠냐’라는 문의가 정말 많이 왔습니다. 이제는 (일본도) 모두가 AI를 이용하지 않고서는 기업을 경영할 수 없다고 판단하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정부도 AI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기로 발표했습니다. 일본전체가 AI를 적극적으로 도입하려는 분위기가 고조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여전히 한계도 있습니다.
    사토 야스오 / 올거나이즈 대표
    미국이나 한국 고객은 새로운 기술을 굉장히 좋아한다고 할까요? 선진적인 면을 평가해서 사용하고 있다는 느낌도 들고 실제로도 그렇습니다. AI 회사가 개발을 위해 트레이닝 데이터 세트 같은 것을 일본어로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 수 있도록 충실하게 지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한국에 비하면 특히 정부 지원이 아직 좀 약하다고 할까.. 미비한 것 같습니다.
    디지털 혁명에서 이미 한 차례 뒤처진 일본. IT와 AI 변혁에서 뒤처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세카구치 와이치 / MM종합연구소 소장
    디지털 변혁, IT 혁명도 마찬가지인데요, 변혁이나 혁명이란 지금까지 해온 것을 바꾼 다는 거예요. 그렇게 되면 거기에는 반드시 반대하는 저항 세력이 있어요. 해외에도 있지만 특히 일본에는 저항 세력이 많아요. 많은 이유가 뭔가 하면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에요. 고령자는 디지털에 친숙하지 않거나 지금까지 해온 대로가 좋은데 왜 바꾸느냐? 이런 생각이 강해요.
    마쓰오 유타카 / 도쿄대 공학부 교수
    한국 같은 나라를 부럽다고 생각하는 것은 글로벌 마켓이 직결되어 있지요. 일본은 어중간하게 국내 시장이 있고. 모두 국내만 노려왔기 때문에 결국은 글로벌하게 활약하는 기업이 나오기 어렵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AI 레벨도 좀처럼이렇게 올라오지 않는, 경쟁적으로 싸울 수 있는 플레이어가 굉장히 적다고 (볼 수 있습니다.)
    미국이나 한국에 비해 늦기는 했지만 4차 산업 혁명을 따라잡기 위해서는 AI 생태계 구축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세카구치 와이치 / MM종합연구소 소장
    AI를 활용함으로써 변혁할 수 있다면 제조 현장과 강한 관리 부분, 이 양쪽을 조합한다면 일본 기업은 더 강해질 수 있어요. 지금까지 뒤처졌던 일본의 방식을 이제 대담하게 바꿀 기회라고 생각해요.
    방송일시 : 2023년 8월 1일(화) 밤 10시 KBS 1TV / 유튜브
    '시사기획 창' 홈페이지 bit.ly/39AXCbF
    유튜브 / @kbssisa
    페이스북 / changkbs
    WAVVE '시사기획 창' 검색
    ▣ KBS 기사 원문보기 : news.kbs.co.kr/news/view.do?nc...
    ▣ 제보 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홈페이지 : goo.gl/4bWbkG
    ◇ 이메일 : kbs1234@kbs.co.kr
    #챗GPT #AI #인공지능

КОМЕНТАРІ • 1,6 тис.

  • @user-nw2ry7sm5q
    @user-nw2ry7sm5q 10 місяців тому +1071

    정치인과 법조인을 A.I로 대체하기 위해서라도 반드시 발전되어야 하는 분야입니다.

    • @villagecat5539
      @villagecat5539 10 місяців тому +20

      미국에서 변호사가 대법원 판례를 GPT가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해 작성한 변호사 벌금 5,000불. AI 저개발국 한국 언론들이 퍼트리는 걸 사실처럼 믿으면 바보됩니다. AI가 거짓말을 너무 잘하기 때문에 이런 거짓말을 잡아내는 방법이 없어요. 이런 기술이 가능할지 여부도 불투명 해요.

    • @user-cd4wn1of9q
      @user-cd4wn1of9q 10 місяців тому +15

      k-정치인과 법조인을 우습게 보네. 그렇게 되기전에 AI 기술 까네려 퇴출시켜버리는게 현실적

    • @nameno8314
      @nameno8314 10 місяців тому +8

      기계에 통제 당하는게 꿈꾸는 미래 이신가 봐요

    • @user-ok4il6yh7l
      @user-ok4il6yh7l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nameno8314미개한 정치인들에 지배당하는것보단 낫지😂 거기다 그놈들은 세금도 많이들고 빼돌리지

    • @kr900924
      @kr900924 10 місяців тому +44

      ​@@nameno8314정치인에게 통제받는거보다는 훨씬 합리적일 것 같습니다

  • @eoeo191
    @eoeo191 10 місяців тому +892

    세계 4위권이니 안심하라는 내용이 아니라, 1위 2위, 그리고 3위 4위의 격차가 심하니 안심할 수 없다고 하네요.
    대신 우리나라의 다양한 산업이 세계에서 1위를 하고 있으니 AI 기술과 산업 역량의 접목이 중요하고, AI에 특화된 반도체에서 2차 경쟁을 이어가자는 내용도 있구요.
    제목 때문인지 일본과의 비교에 집중되는 것 같아서.

    • @user-xm4sb4nr4t
      @user-xm4sb4nr4t 10 місяців тому +64

      2,3,4위 큰 의미없다. 미국에 다 흡수될거다 ㅋㅋㅋ

    • @landlord-xi8ee
      @landlord-xi8ee 10 місяців тому +25

      우리나라 모든 첨단산업 분야의 기술은 더이상 경쟁을 버티지못하고 쳐지게 될거다.
      인구 소멸로 인해 젊은 사람 인구 비율이 급속도로 줄어들고있다

    • @user-xm4sb4nr4t
      @user-xm4sb4nr4t 10 місяців тому

      @@landlord-xi8ee 100년뒤면 중국이나 미국에 먹히게 되있음. 자본이됏든 군사력이됏든

    • @PRIMITIAE_030
      @PRIMITIAE_030 10 місяців тому +8

      ​@@landlord-xi8eeㄹㅇ 요즘 출산률 보면 2027년 전에 동북아에서 대규모 전쟁(양안이랑 한국전쟁)이 일어나길 빌어야 할수도 있다고 생각하고 있음... 지금대로면 자멸하고 말거라고 봄.. 적어도 통일을 해야 어느정도 출산률이 완화될거임...
      물론 제가 전쟁 옹호자는 아니고 전쟁 하고싶은 마음도 없지만 일어나면 나쁘지는 않을것같다는 뜻이긴 합니다...

    • @CoreanEarthSpace
      @CoreanEarthSpace 10 місяців тому +41

      ​@@landlord-xi8ee전혀. 인구소멸은 전세계 동일 추세이고 한국이 빠른만큼 빠른정체를 맞이할거고 더빨리 해결책을 찾을지도 모르지. 그리고 인간대체 노동산업기계 1위 국가가 한국임

  • @johnchoi3021
    @johnchoi3021 10 місяців тому +204

    일본의 경우를 바라보며 한국도 4위에 만족하기보다 더욱 분발해서 AI강국으로 1, 2, 3위와의 격차를 줄여나갔으면 좋겠습니다!!!

    • @hsu0l1206
      @hsu0l1206 10 місяців тому +9

      AI는 아직 초기 시장이라서 순위는 언제든지 급격하게 바뀝니다
      오로지 내 앞만 보고 나아가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hanbyeongyeob
      @hanbyeongyeob 10 місяців тому

      친일파 윤석열이 몰라야 합니다. 소부장 규제로 일본 소부장 산업이 어렵다고 소부장 국산화와 노재팬 운동을 한일 관게를 악화시킨 주범이라고 주장하며
      일본 소부장 국내 사용을 장려하겠다고 한 놈이 윤석열입니다. AI 산업에 일본이 쳐졌다는거 알면 윤석열 저놈아 일본 AI 산업 발전을 위해 먼 짓을 할지 모를 놈입니다

    • @abcabcab5861
      @abcabcab5861 10 місяців тому +4

      3위까지 어떻게 정말 잘하면 가능한 부분인데 2위부터 격차가 어마어마해서 10년 내로는 절대 불가능한 순위에요. 근데 10년 후 한국의 경제가 안 좋아 질 걸로 감안하면 굉장히 파급력이 큰 AI 기업이 하나 나와 외부에서 큰 투자금을 조달하지 못하는 이상 불가능.;

    • @U2HS1D
      @U2HS1D 9 місяців тому +1

      5000만 맨파워 갈아넣어 이룩한, 기술 선진국 🇰🇷한국. 인구감소의 문제점을 로보틱스로 해결.

    • @ssabullin
      @ssabullin 8 місяців тому +3

      인력 안뽑는다 AI계통 직군도 얼마 없고 있는곳도 석사이상만 뽑고 과연 강국이 될까?

  • @user-Domani1yi
    @user-Domani1yi 7 місяців тому +46

    판사 대체라도 해야하니 꼭 빨리 발전되면 좋겠습니다.

    • @coffeetime6727
      @coffeetime6727 2 місяці тому

      '사'짜 직업군 대체가 가장 만만하죠. 7,8할은 어렵지 않을듯.

  • @user-np8xi5zd9w
    @user-np8xi5zd9w 10 місяців тому +90

    연구원, 엔지니어 대우가 높아져야 합니다. 같은 회사 안에서라도 연구원, 엔지니어들 대우가 높아야 많은 연구원, 엔지니어들이 쏟아져 나올테고 그럼 그 산업이 발전을 하게 될것이죠..

    • @user-np8xi5zd9w
      @user-np8xi5zd9w 4 місяці тому

      @@user-xb1iy9bw4z 대우가 좋아야 하지.. 엔지니어들이 고생해서 돈벌어오는데.. 딱보니 묻어가는 사람인가보네 그러니 발짝 하지 ㅋㅋ

    • @user-gs4pc6fk7f
      @user-gs4pc6fk7f 4 місяці тому +1

      뭔 소리냐 낮아져야지 주오또 몬하믄서

    • @hakka4946
      @hakka4946 3 місяці тому

      @@user-gs4pc6fk7f 거 뭔 지능 떨어지는 짐승 우는 소리를 텍스트로 쓰고 계십니까?

    • @Youtubekilla
      @Youtubekilla 3 місяці тому

      이미 외국 애들 끌어다 순위 올린거니까 걔네들 대우가 높아졌겠지

    • @user-np8xi5zd9w
      @user-np8xi5zd9w 3 місяці тому +2

      @@user-gs4pc6fk7f 니 얘기지? 회사에서 제일 일 잘하는 사람들 죄다 엔지니어들이다.. 그 사람들 없으면 너네들 아에 일도 없어 이 묻어가는 부서들아

  • @user-pe5my6kd6s
    @user-pe5my6kd6s 10 місяців тому +35

    1위산업과 연결하면 파급력이 크다 맞아요. 하지만 반대로 보면 절대 우리 따라올 수 없을 것 같은 2위 3위 산업국가들이 1위AI와 접목시켜 우리 1위산업 자리를 가져갈 수도 있어요

  • @user-dh7qq5iw9e
    @user-dh7qq5iw9e 10 місяців тому +161

    잼버리도 제대로 개최못하는 나라인데 빨리AI가 대체되어야 합니다.

    • @sws9195
      @sws9195 10 місяців тому +29

      8년동안 세금1100억넘게받고 준비도안했던 관계자들과 지자체. 반민족성향단체가문제.

    • @user-xw8zl3je9q
      @user-xw8zl3je9q 10 місяців тому +15

      ​@@sws9195윤석열이가?

    • @sws9195
      @sws9195 10 місяців тому

      @@user-xw8zl3je9q 박근혜정부가 추진했던 잼버리인데 탄핵
      문정권때 민주당과 지자체가
      세금지원받고 해외여행낭비
      5년동안 현장답사도안하고
      준비한게 하나도없음.
      찾아보면 수두룩하게 나오니깐
      찾아봐라.

    • @user-qr3vi6it5u
      @user-qr3vi6it5u 10 місяців тому +10

      옛날노인들이 아직까지 살아있으면 발전할수 없다는 결론
      생각이 좁아도 너무좁아.에휴

    • @JK-sm9qi
      @JK-sm9qi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user-qr3vi6it5u 당신처럼 세대갈등이나 일으키고 혐오글이나 쓰는 사람들이 더 문제아닐까?

  • @etet5012
    @etet5012 10 місяців тому +44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인공지능 기술이 이렇게나 빨리 발전할 줄은 몰랐는데 이 세상에 정말 똑똑한 사람들 많네요

  • @user-ky2tw1bo4p
    @user-ky2tw1bo4p 10 місяців тому +163

    순위가 중요한게 아니다. 덜 주목받는 AI 분야 또는 경쟁력이 다소 쩔어지는 분야하해도 실생활에 활용할 수 있거나 상업화
    할 수 있는지가 중요하다. 1등을 제외하고 순위는 별 의미가 없는 껍데기에 불과하다.

    • @sia.T
      @sia.T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ㅎ 또 1등 타령

    • @user-pp7yl6en1m
      @user-pp7yl6en1m 10 місяців тому +9

      1등 아니면 사실 경쟁력이 없는게 맞다 플랫폼화 되면서 더더욱 승자가 독식하는 구조로 진행되고있다

    • @abcabcab5861
      @abcabcab5861 10 місяців тому

      2등은 왜 빼. 중국이랑도 투자 규모 자체가 수십배이상인데

    • @tudeol12
      @tudeol12 10 місяців тому +3

      이거 일반인대상 TV다큐형식.
      우리나라 수준이 어느정도고
      뭐가 더 필요한지 알려주려는 거겠져..
      그런식으로 생각하면 첨부터 1등 아니면 다 포기해야되나..
      지구에서 미국빼면 다 후발주자 아닌가요?
      AI분야는 그자체뿐만 아니라 여러 첨단산업과 다방면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놓을수도 없는 분야.
      못하니깐..부족한게 많으니.. 더 많이 관심갖고 응원해야 하는거져..

    • @gomymi637
      @gomymi637 10 місяців тому

      맞네요. AI산업의 이익은 오직1등의 우수한 ,AI가 다 쓸어갈것이 당연하겠네요.

  • @RichardMoonkr
    @RichardMoonkr 10 місяців тому +34

    AI의 격차의 문제는 ai가 ai를 테스트하는 레벨까지 오면서 격차가 늘면 늘었지 줄지 않는다는거..

  • @eyeallseeing130
    @eyeallseeing130 9 місяців тому +10

    앞으로 한국 뉴스에 뭔가 흥미로운 주제가 나오면 그 내용을 외신보도나 외국뉴스와 꼭 비교해서 보세요.

  • @hopan9176
    @hopan9176 8 місяців тому +85

    이런 상황인데 정부는 연구 개발비 예산을 줄이고 있다니 걱정이네요...

    • @Bjhakikjin
      @Bjhakikjin 5 місяців тому +9

      걱정마세요 4차산업은 다 늘렸어요

    • @kakaungranduomo2666
      @kakaungranduomo2666 5 місяців тому

      @@oyngman 그렇지 대통령이 중요하지
      문재인 같은 족ㅂ러ㅈ가 한번 더 나타났으면 진짜 나라꼴 어째 됐을까 아찔하노ㅋㅋㅋ
      비응 신 같은 진보대학생 ㅈ8육 샊 이들 국가에 기여한 것도 없이 우리 할매할배 세대들이 이뤄놓은 업적에 밥숟갈만 얹어서 호사란 호사는 다 누리고 살았으면 맨날 대통령탓ㅋㅋㅋㅋㅋㅋㅋㅋ

    • @House_of_Min
      @House_of_Min 5 місяців тому +5

      예산만 준다고 혁신이 일어남?
      너무 안일한 분석임

    • @yaltamanoh8042
      @yaltamanoh8042 5 місяців тому +8

      첨단산업 연구 개발비 팍팍 줄였다가 조~금 늘렸죠. 결론은 대.폭.삭.감. 그리고 예산은 혁신의 필요조건입니다. 충분조건이 아님을 모두가 아는데
      예산 준다고 혁신 나냐? 라고 물으시면 곤란합니다

    • @computermathbiology
      @computermathbiology 4 місяці тому +5

      어휴... ​ 현직 포스텍 학생인데 포스텍 수준에서도 걱정하고 체감이 될 정도로 예산이 많이 삭감되었습니다. 국힘 지지세가 강한 포항인데도 예산 삭감 때문에 여론이 안 좋아요. @@Bjhakikjin

  • @sypark3579
    @sypark3579 10 місяців тому +167

    이제 국가의 국력은 AI경쟁력이 있느냐 없느냐로 나눠질 것이다.

    • @YAHO2000
      @YAHO2000 10 місяців тому +3

      한국이2등?

    • @user-ef9zw9kz3g
      @user-ef9zw9kz3g 10 місяців тому

      지랄한다 니가뭘아는데

    • @user-gp6mn5qm9l
      @user-gp6mn5qm9l 10 місяців тому

      사람을 AI로 교육시키는 북한정부
      AI안하면 공개처형시키는 북한

    • @cherami7335
      @cherami7335 10 місяців тому +4

      Ai 경쟁력은 결국 소수의 천재가 어느 집단에 속해있느냐에 결정됨. 미국 실리콘 밸리 대기업들의 소프트웨어나 데이터 정렬은 정말 극소수의 엔지니어 몇명에 의해 가공되고 학습됨. 사실 공교육의 목적도 이런 소수의 재능받은 사람을 찾아내기 위함이 목적인거지

    • @WorldNownews
      @WorldNownews 10 місяців тому +7

      AI、デジタル強国は必要ない。市民への監視が強まるだけ。

  • @Oops2585
    @Oops2585 10 місяців тому +100

    ai 판사가 가장 필요하지 않을까 싶음...

    • @HongseokSeo-sl6oi
      @HongseokSeo-sl6oi 10 місяців тому

      South Korean 법조계 두뇌는 수준급
      이지만
      그 법조계를 감시•통제•조종하는
      몽골족당 다루가치 짝퉁이가네가
      저지레 쳐 놓는 현상이
      한국 법조계다 이렇게 보면
      맞습다.

    • @JK-sm9qi
      @JK-sm9qi 10 місяців тому

      ai 판사 있으면 국민들이 불만이 더 커질껄요? 부산 돌려차기 이런 넘들 5년 받을 겁니다. 국민정서법이 전혀 안 통할텐데 ?

    • @Oops2585
      @Oops2585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JK-sm9qi 그게 문제라면.. 법이 바뀌어야죠.. 동일한 사건이 판사나 여론에 의해 처벌이 달라지는게 오히려 더 이상한거 아닐까요?

    • @user-kk7nw9nd5u
      @user-kk7nw9nd5u 10 місяців тому

      Ai 판사생기면 이미 95프로 직업이 ai대체된후일듯ㅋㅋ

    • @arvo7091
      @arvo7091 10 місяців тому

      AI 검사요

  • @ppippi_
    @ppippi_ 10 місяців тому +10

    이래저래 분열되고 싸우고 있지만
    다른 분야에서 열심히 싸우는 분들덕에 미래가 보입니다
    힘냅시다
    각자의 영역에서! 각자의 역할에서!

  • @valhalla-yuyu
    @valhalla-yuyu 10 місяців тому +26

    쫒아오는 일본보다 앞선 미국을 취재보도해야 가치가 더 있지 않나요...
    그래서야 시청료의 가치를 실현 되것소 !

  • @ylkim2520
    @ylkim2520 10 місяців тому +107

    AI이나 가상현실 같은 기술의 공용성을 정부가 인식하고 그 기반을 확보해야 행복한 미래 사회가 될 텐데.

    • @user-lw3wi4ue1w
      @user-lw3wi4ue1w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현실은 법안도 안만들음

    • @user-om1dv5zd5v
      @user-om1dv5zd5v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헬조선 되는데 무슨말인지 모르겠다 😅

    • @salong9807
      @salong9807 10 місяців тому

      지들이 연구비도 빼서 챙기고 가짜 김건희 위조나 시켜주는 대학과 정부가 퍽이나 연구에 투자하겠다.

  • @clumsymm
    @clumsymm 10 місяців тому +28

    구글이 한국과 일본에서 네이버랑 야후에 밀린 이유가 한글 문서나 일본어문서는 영어문서에 비해 숫자가 얼마 되지 않아서 구글의 우수한 로봇검색이 힘을 못썻기 때문. 네이버나 야후는 사람 많이써서 수동으로 구글을 따돌렸지만 이제 진짜 AI 승부에서는 네이버와 야후를 초반에 박살내겠다는 전략

    • @lasvegascity
      @lasvegascity 10 місяців тому +5

      진지하게 한국에서 구글이 네이버에 밀림? 주변에 네이버 쓰는 애들이 없는데

    • @mini-wq5bk
      @mini-wq5bk 10 місяців тому +4

      ​@@lasvegascity도대체 어디 사시는 분이신지 궁금하네 한국에서 구글이 네이버에 밀리냐는 질문을??

    • @lasvegascity
      @lasvegascity 10 місяців тому

      @@mini-wq5bk 요즘 다 구글링 하지 네이버 쓰는 애들 없는데... 연배 있으신 분들이 많이 써서 그런가

    • @liberty2016
      @liberty2016 10 місяців тому

      ​@@lasvegascity주변말보단 점유율지표가 확실하죠

    • @asdasdassdwww9784
      @asdasdassdwww9784 10 місяців тому

      구글입장에서 그닥 관심없는 시장임 .. 한국과 일본 포털은 워낙 갈라파고스화라서

  • @semoja
    @semoja 8 місяців тому +12

    한국이 AI강국이 되기위해선 나라에서 AI산업을 지속적으로 육성해야하고 국민들도 다같이 관심을 들여 공부하고 적응해야하지 않을까 싶어요 세상의 모든 일을 자동화하는 세모자입니다..

    • @user-iv3ek5li8m
      @user-iv3ek5li8m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인간에 끝없는 성장 추구와 욕구 경쟁이 과연 미래에 무섭다는 생각이 드는데요~정말 행복한 것일까요~~어느 영화에 우리뇌 생각까지도. 현실인지 가상인지 몰라서~~~계속 해매며 답을 찿으려는 것을보고 인간은 스스로 서고 스스로 망한다는 생각이 들던데요~~~~

  • @hsu0l1206
    @hsu0l1206 10 місяців тому +6

    AI는 아직 초기 시장이라서 순위는 언제든지 급격하게 바뀝니다
    오로지 내 앞만 보고 나아가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user-lw3wi4ue1w
    @user-lw3wi4ue1w 10 місяців тому +18

    그럼 뭐하나~ 국회의원들이 신기술 나올 때마다 샌드박스 적용해주거나 법안 하나 안 만들어서 다 불법으로 낙인 찍고 상용화도 못 시키게 하는데~ 그러다가 미국이 점유율 높이기 시작하면 그때서야 미국법안 그대로 가지고 와서 합법화 ㅎㅎ시키는데 이미 점유율은 미국이 다 가져감

  • @user-rm7od7od1r
    @user-rm7od7od1r 10 місяців тому +47

    문제는 법을 만드는 사람들이 공부를 너~무 안한다는거다. 법을 만들려면 수박 겉핡기라도 알아야 하는데 그것도안하니 자기들이 모르는건 무조건 안된다고 하니...

    • @user-rm7od7od1r
      @user-rm7od7od1r 10 місяців тому

      수정 핡>> 핧

    • @NO-vr3cb
      @NO-vr3cb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핥기에요 국민학교는 나오심?? 이런 양반이 뭔 법 만드는 사람들 욕하고 앉았으니 하하..

    • @_chobi3248
      @_chobi3248 10 місяців тому +12

      법 만드는 사람이 공부 하는게 아니라요.
      국민들이 법 만드는 사람을 뽑는거예요.
      국민들이 당파싸움, 같이 즐기는 사람이 대부분이라
      제대로 가려 뽑지 못해서, 제대로 법 만드는 사람을 못 뽑는거예요.
      그래서 [그나라 정치 수준은, 그나라 국민 수준이다]
      라는 말이 있는거예요.

    • @Chris.O.
      @Chris.O. 10 місяців тому

      @@_chobi3248 이게 진실이죠

  • @user-eu8do6xy3z
    @user-eu8do6xy3z 10 місяців тому +11

    하루빨리 AI판사로 교체하려고 노력하는 한국이 자랑스럽네요

  • @jaglns2182
    @jaglns2182 10 місяців тому +5

    자원도 없고, 땅도 작은데 그 작은 땅이 또 반쪽이고, 식품도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고.. 우리나라는 살아남으려면 4위에 만족하면 안되고 최소 1 2위는 되야 한다.
    정부와 국회의원들은 시간끌지말고 국내기업들에 모든걸 맞춰줘라.

    • @tkim0479
      @tkim0479 5 місяців тому

      굿 아이디어

  • @user-yvorne12559
    @user-yvorne12559 10 місяців тому +161

    초전도체도 그렇고 한분야에 20~30년이상 진명하게 연구매진하시는 과학자분들이 있어서 대한민국의 미래는 밝습니다 . 과학자없는 나라는 앞으로 암담할겁니다
    과학자들은 우리의 미래! 진심 경의를 표합니다!

    • @svcmachine4756
      @svcmachine4756 10 місяців тому +12

      ㅎㅎㅎ
      설레발 작렬!!!!
      ㅎㅎㅎ

    • @user-wv6nv5jo2p
      @user-wv6nv5jo2p 10 місяців тому +14

      대학입시 최상위권 의대 쏠림 뉴스도 못 봤냐??
      한국의 미래 암담해

    • @user-yo1zl2hv2s
      @user-yo1zl2hv2s 10 місяців тому +12

      진짜 공학대학에 인재들이 가줘야 하는데... 의사가 돈을 잘버니 강제할 수도 없고... 진짜 국가 차원에서 공학과를 더 장려해야함.. 혜택도 더주고 일자리도 늘려주고..

    • @chotnt
      @chotnt 10 місяців тому +10

      최근본 댓글중에 제일 웃기네

    • @generalgeneral237
      @generalgeneral237 10 місяців тому +4

      비꼬지마라 요즘 학종 최상위가 진짜 최상위일까?
      그냥 공부기계일뿐이다. 물론 일반화오류를 벗어나기 위해서
      예전보다는 변별력이 떨어진다 표현하고 싶다
      결론적으로는 과학을 하는 학생들이 아직은 많다.
      그 최상위들이 의사하는데 돌팔이는 왜 점점 더 많아지냐?

  • @HyundaiKIA_Sudden_Acceleration
    @HyundaiKIA_Sudden_Acceleration 10 місяців тому +12

    AI판사대체화가 시급합니다.

  • @luckyseven2923
    @luckyseven2923 10 місяців тому +18

    한때 일본도 세계1위 기업이 많았죠. 그런데 버블붕괴를 거쳐, 초고령화와 빈집들이 늘어나면서 경제가 만성적으로 죽어가기 시작했습니다. 젊은이들이 부족해서요... 이제 우리도 얼마전 인구가 드디어 줄기 시작했습니다. 이 주도권 싸움에서 밀리지 않도록 지금 아이들이 몸과 정신이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그리고 결혼과 출산에 부담을 덜 느낄 수 있도록 복지에도 신경 써야 합니다.

    • @user-ud4ff8wu4g
      @user-ud4ff8wu4g 9 місяців тому +1

      이미 늦었어 ㅋㅋㅋㅋ 지금부터 늘어도 모자랄판인데 그냥 탈조선해 개인으로선 그게 최선이다

    • @luckyseven2923
      @luckyseven2923 9 місяців тому +2

      @@user-ud4ff8wu4g 그러게요... 벗어나는 게 빠른 듯... 님은 어디로 가시게요? 저도 다른 나라 두 군데에서 근무해봤는데, 막상 외국인으로서 산다는 게 그것도 불편한 점이 한 두 가지가 아니더라구요... 세금, 연금 문제도 그렇고... 어디 추천할만한데 있어요?

    • @blackmagic9006
      @blackmagic9006 9 місяців тому

      일본이 버블이 있었나요? 30년전부터 경제규모가 미국다음인데? 중국빼고.

    • @luckyseven2923
      @luckyseven2923 9 місяців тому

      @@blackmagic9006아직 젊으시죠? 그 30년 전보다 이전의 일본을 모르신 것 같아서... 일본경제 보고 흔히들 잃어버린 10년, 20년, 이제는 30년까지.. 이런 표현들이 쓰이고 있는 이유.. 애초에 버블이라는 말도 일본경제가 무너지면서 생긴 말이에요. 당시 세계기업 시가총액 Top 50 을 보면 33개가 일본, 그 중 상위 20개 중에 16개 기업이 일본... Top 1 당연히 일본기업 NTT이고, 여기는 2~5위가 합쳐도 못 이길 정도로 거대했습니다. 국내주식시장 삼성의 세계버전? ㅡ,.ㅡ 나머지 50대 기업들은 독일마저 1곳도 없고, 영국, 프랑스가 3~4군데, 나머지는 미국입니다. 그 당시 일본의 위세가 얼마나 대단했는지 얼추 감이 오죠? 얼마나 거품이 꼈었냐면 그때 시세로 도쿄 땅을 팔면 미국 땅을 살 수 있을 정도였거든요...ㅡ,.ㅡ 황궁부지만 팔아도 그 비싼 캘리포니아주나 캐나다땅 통째로 살 수 있음. 그러다 드디어 일본기업이 뉴욕의 중심, 미국인의 자존심인 록펠러센터를 매수하기에 이르렀죠. 당시 미국인의 충격은 어마어마했습니다. 그래서 미국정부가 팔걷고 나서 프라자합의로 지금 같은 달러당 100엔대가 자리잡게 되면서 일본경제버블이 삽시간에 꺼진 겁니다. 그 전엔 달러당 200엔대 이상이라 수출로 세계경제 씹어먹었음. 지금 같은 중국의 저가저품질도 아니었고 중저가고품질..ㅡ,.ㅡ 지금 세계기업 시가총액 검색해봐요. 지금 중국이 잘 나간다고 해도 그 순위에 얼마나 껴있는지... 참고로 80년대 한국은 정말 거지였습니다. 젊은 사람들는 모르겠지만, 서울 상계동만 해도 넝마 줍는 사람들이 있었어요. 필리핀 영상 보면 쓰레기산에서 뭐 줍고 있는... 다른 얘기인데... 그땐 저도 어렸지만, 지금 젊은 사람들이 어르신들 막 대하는 글들 보면 가슴이 아파요. 지금은 일본이랑 한국이랑 1인당 GDP가 거의 같은데, 그 엄청난 격차를 지금 어르신들이 이만큼이나 줄여놓은 거거든요. 아직까지도 제자리인 나라도 수두룩한데 말이죠. 그래서 과거를 모르는 젊은 일본인들 말고 중년 이상의 일본인들이 여전히 유독 한국을 깔보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지금의 필리핀이 한국을 따라잡은 느낌..? 저는 어릴 때 한국과 일본을 오갔기 때문에 아직도 생생하게 기억합니다. 암튼 그렇게 잘 나가던 일본을 미국이 단숨에 꺾어버릴 수 있던 건 바로 달러의 힘이었습니다. 중국이 그래서 위안화를 기축통화로 만드려고 인간힘을 썼던 거고요. 달러패권이라고 하잖아요? 미국의 힘의 근본은 여기에 있어요. 그래서 기축통화 보면 서방에 알랑방구 뀌는 일본 빼고 다 서방국가들입니다. 심지어는 뉴질랜드와 남아프리카공화국이 뭐라고...ㅡ,.ㅡ 교역량이나 기술수준 등 원화가 왜 기축통화가 못 될까요? 이게 진짜 세계를 지배하는 힘의 근원이라 안 넘겨주는 거죠... 뭔 세계경제위기만 왔다하면 한국 달러보유고가 어쩌고저쩌고, 통화스왑 어쩌고... 반면에 일본은 여유부리며 겁나게 생색내면서 스왑해줄까말까 이러고 있고... 그래서 이게 국가간 갈등의 핵심요인으로 자리잡고 있고, 애초에 이걸 해결하려고 탄생한 게 비트코인인 겁니다. 다 달러패권 때문... 그래서 다들 말이 많았지만, 저는 지금의 중국의 결과가 뻔했습니다. 단, 제가 유일하게 걱정되는 건 이렇게 궁지에 몰린 국가의 수장들이 최종수단으로 전쟁을 택할 때가 있어서죠. 대외적으로도 밀리고, 정적도 많은 진핑이가 내부의 불만을 외부로 돌리기 위해 대만과의 전쟁을 선포하지 않기만을 바랄 뿐입니다...

    • @blackmagic9006
      @blackmagic9006 9 місяців тому

      @@luckyseven2923 당신같으면 이런 띄어쓰기 안되고 긴글을 읽고싶습니까? 바뻐죽겠는데 -----------------------------------------
      아직 젊으시죠? 그 30년 전보다 이전의 일본을 모르신 것 같아서... 일본경제 보고 흔히들 잃어버린 10년, 20년, 이제는 30년까지.. 이런 표현들이 쓰이고 있는 이유.. 애초에 버블이라는 말도 일본경제가 무너지면서 생긴 말이에요. 당시 세계기업 시가총액 Top 50 을 보면 33개가 일본, 그 중 상위 20개 중에 16개 기업이 일본... Top 1 당연히 일본기업 NTT이고, 여기는 2~5위가 합쳐도 못 이길 정도로 거대했습니다. 국내주식시장 삼성의 세계버전? ㅡ,.ㅡ 나머지 50대 기업들은 독일마저 1곳도 없고, 영국, 프랑스가 3~4군데, 나머지는 미국입니다. 그 당시 일본의 위세가 얼마나 대단했는지 얼추 감이 오죠? 얼마나 거품이 꼈었냐면 그때 시세로 도쿄 땅을 팔면 미국 땅을 살 수 있을 정도였거든요...ㅡ,.ㅡ 황궁부지만 팔아도 그 비싼 캘리포니아주나 캐나다땅 통째로 살 수 있음. 그러다 드디어 일본기업이 뉴욕의 중심, 미국인의 자존심인 록펠러센터를 매수하기에 이르렀죠. 당시 미국인의 충격은 어마어마했습니다. 그래서 미국정부가 팔걷고 나서 프라자합의로 지금 같은 달러당 100엔대가 자리잡게 되면서 일본경제버블이 삽시간에 꺼진 겁니다. 그 전엔 달러당 200엔대 이상이라 수출로 세계경제 씹어먹었음. 지금 같은 중국의 저가저품질도 아니었고 중저가고품질..ㅡ,.ㅡ 지금 세계기업 시가총액 검색해봐요. 지금 중국이 잘 나간다고 해도 그 순위에 얼마나 껴있는지... 참고로 80년대 한국은 정말 거지였습니다. 젊은 사람들는 모르겠지만, 서울 상계동만 해도 넝마 줍는 사람들이 있었어요. 필리핀 영상 보면 쓰레기산에서 뭐 줍고 있는... 다른 얘기인데... 그땐 저도 어렸지만, 지금 젊은 사람들이 어르신들 막 대하는 글들 보면 가슴이 아파요. 지금은 일본이랑 한국이랑 1인당 GDP가 거의 같은데, 그 엄청난 격차를 지금 어르신들이 이만큼이나 줄여놓은 거거든요. 아직까지도 제자리인 나라도 수두룩한데 말이죠. 그래서 과거를 모르는 젊은 일본인들 말고 중년 이상의 일본인들이 여전히 유독 한국을 깔보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지금의 필리핀이 한국을 따라잡은 느낌..? 저는 어릴 때 한국과 일본을 오갔기 때문에 아직도 생생하게 기억합니다. 암튼 그렇게 잘 나가던 일본을 미국이 단숨에 꺾어버릴 수 있던 건 바로 달러의 힘이었습니다. 중국이 그래서 위안화를 기축통화로 만드려고 인간힘을 썼던 거고요. 달러패권이라고 하잖아요? 미국의 힘의 근본은 여기에 있어요. 그래서 기축통화 보면 서방에 알랑방구 뀌는 일본 빼고 다 서방국가들입니다. 심지어는 뉴질랜드와 남아프리카공화국이 뭐라고...ㅡ,.ㅡ 교역량이나 기술수준 등 원화가 왜 기축통화가 못 될까요? 이게 진짜 세계를 지배하는 힘의 근원이라 안 넘겨주는 거죠... 뭔 세계경제위기만 왔다하면 한국 달러보유고가 어쩌고저쩌고, 통화스왑 어쩌고... 반면에 일본은 여유부리며 겁나게 생색내면서 스왑해줄까말까 이러고 있고... 그래서 이게 국가간 갈등의 핵심요인으로 자리잡고 있고, 애초에 이걸 해결하려고 탄생한 게 비트코인인 겁니다. 다 달러패권 때문... 그래서 다들 말이 많았지만, 저는 지금의 중국의 결과가 뻔했습니다. 단, 제가 유일하게 걱정되는 건 이렇게 궁지에 몰린 국가의 수장들이 최종수단으로 전쟁을 택할 때가 있어서죠. 대외적으로도 밀리고, 정적도 많은 진핑이가 내부의 불만을 외부로 돌리기 위해 대만과의 전쟁을 선포하지 않기만을 바랄 뿐입니다...

  • @user-wr8ho3uh5n
    @user-wr8ho3uh5n 10 місяців тому +4

    기술의 성장과 그것에 의한 소득 증대~ 그리고 사화로의 낙수 효과~ 이러한 선순환 모델이 크게 나와야 되는데.....너무 기술 성장에만 치우쳐저 있는게 아쉽습니다~! ㅠㅠ

  • @user-wm1mg2oc8k
    @user-wm1mg2oc8k 9 місяців тому +4

    혁신이 1도없어보이는 네이버 카카오 생명이 얼마나갈까?

  • @jameskwon3113
    @jameskwon3113 10 місяців тому +68

    AI 도 중요하지만 이번 잼버리 사태가 다시는 나지 않도록 AI 를 이용해서 미리 문제를 예측하고 예방했으면 좋겠어요

    • @theself-tq6xq
      @theself-tq6xq 10 місяців тому +7

      AI는 학습이 중요합니다. 현재 여당의 행정처리를 학습하면... ... 큰일 납니다..

    • @jameskwon3113
      @jameskwon3113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theself-tq6xq 그러면 다른나라의 정치 잘한경우를 학습하게 해야겠군요

    • @user-di4qd7zf2c
      @user-di4qd7zf2c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Geun_EveninGㅋㅋㅋㅋ 도둑이 너무 많아

    • @graycain
      @graycain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AI가 아니라도 간척지 뻘밭에 잼버리 유치하는 멍청한 짓은 아무나 못할 생각인데요? 염수 때문에 나무도 말라죽어, 바다라 시원한 지하수도 없어, 그리고 방치된 곳이라 각종 바다 해충 문제. 뭘믿고 간척지에 잼버리 한건지? 그냥 전라도의 끝없는 욕심이 낳은 참극임.

    • @lennox6003
      @lennox6003 10 місяців тому +6

      것보다는 아재할배들 유튜브 못하게 막는게 국가발전에 도움이 클듯

  • @user-qy9wj3kj9q
    @user-qy9wj3kj9q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완전좋아. 대한민국 화시팅!

  • @SHKim-uv4wo
    @SHKim-uv4wo 10 місяців тому +4

    AI가 제품 설계 (CAD)를 생성하는 기술이 빨리 나오길 !!!

  • @user-xv4yb6ri4n
    @user-xv4yb6ri4n 10 місяців тому +99

    법조인. 검찰인.언론인을 AI 로 대체하기위해서라도 반드시 발전되야합니다

    • @siriul
      @siriul 10 місяців тому +4

      판사들을 Ai로 대체하는게 1순위 일듯

    • @freestyle6161
      @freestyle6161 5 місяців тому +1

      ㅋㅋㅋ 옳은말씀

    • @user-pm5eb8hq6h
      @user-pm5eb8hq6h 5 місяців тому +2

      정치인 우선

  • @samim3507
    @samim3507 10 місяців тому +5

    제일 마음에 와 닫는 말은 1등과 ai가 결합해야 된다는 말이다. 100% 공감이다. 제발좀 정부에서 봤으면 좋겠다.

  • @abn-rw5ir
    @abn-rw5ir 4 місяці тому +1

    감사합니다 👍 🥤

  • @Ryan_Kim_
    @Ryan_Kim_ 5 місяців тому +1

    3:39 이 분 말씀이 핵심이네

  • @user-sz5pq9ce7s
    @user-sz5pq9ce7s 10 місяців тому +5

    한국이 이분야에서 잘됬으면 좋겠고 잘 되어야 하겠지만
    그간 IT 역사를 보았을때 또 갈라파고스가 될 것 같은 예감이 든다

  • @yamurry2
    @yamurry2 10 місяців тому +16

    언론의 공정성과 정치인 수준은 세계 최하위~

    • @user-ro5ex8pm3q
      @user-ro5ex8pm3q 10 місяців тому

      제일 문제임 국회의원 검사 판사 인공지능 대처가 시급 하다

    • @korea-xp2md
      @korea-xp2md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중국 얘기하고 자빠졌네 ㅋㅋㅋ

  • @user-pb7xh8ws7q
    @user-pb7xh8ws7q 10 місяців тому

    방송시간대가 바뀌었나요?원래 화요일 방송아닌가요?

  • @user-lb6fu3qk6r
    @user-lb6fu3qk6r 5 місяців тому

    고맙습니다

  • @js_41
    @js_41 4 місяці тому +3

    4차 산업 가자구!!ㅎㅎㅎㅎ

  • @user-qq4vk7im1i
    @user-qq4vk7im1i 10 місяців тому +43

    우리나라 최고의 ai가 gpt 3.5의 절반 수준도 못따라잡는게 현실 그런데 현재는 gpt4는 진작 출시했고 곧 있으면 gpt5 그리고 구글이나 마소 같은 기업에선 그에 비등한 ai를 출시 준비중이고 한국은 성과도 없이 아직도 멀었는데도 세계 4위니 뭐니하며 국뽕할 때가 아니다 그 4위마저도 성과가 아닌 그저 적극적인 ai의 도입이나 개발 연구 의지 하나만으로 유지중인건데 좋은 자세이긴 하다만 우리 위로는 넘사벽이고 우리 아래로는 비슷하거나 ai에 대한 도입이나 개발의지가 없을뿐인데 의미도 없는 순위가지고 숫자놀이하며 옆나라랑 비교해서 자존감 채우는것 아무 의미도 없다 우리나라에서 ai에 힘쓰는 분들에게 하는 말이 아니라 매체에서 의미도 없는 순위에 의미부여하며 옆나라 깔보며 오만한 자세를 가지는것에 대해 주의해야할듯 나중에가면 부풀리며 기대 시켰던게 한번 실수해서 넘어지면 반감만 크게 사게 될 일임

    • @sunjangmirae9624
      @sunjangmirae9624 10 місяців тому

      그럽시다 화이팅!!

    • @boh8619
      @boh8619 9 місяців тому +1

      이런 국뽕을 이용해 증권사들이 기대감 부풀린후 개미들 끌어들이고 잡아먹는 작전을 펼치고 있다.

  • @user-zz5jn8cx8k
    @user-zz5jn8cx8k 10 місяців тому

    ▶ 개인이든 기업이든 국가든간에
    시대의 흐름에 맞춰 빠르게 ⟨진화⟩하면 앞서나가고
    뒤처지면 퇴보하는게 역사의 순리입니다!

  • @user-xv4nw3ef2p
    @user-xv4nw3ef2p 10 місяців тому

    우리나라 사람 전체 일어섯 우리나라 과학자님들의 밤 낮없이 연구하시는 생각을 하며 깁은 마음으로 존경하는 생각을한시도잊어선안된다 경래

  • @mrhou88
    @mrhou88 10 місяців тому +22

    자만하지말고 정진해야함

  • @runicks3078
    @runicks3078 4 місяці тому +5

    우리나라 AI 강국 절대 아닙니다
    이번 갤럭시에서 AI 도입된것도 기존에있는 AI를 탑제한거 뿐이지 우리나라 자체 AI기술 전혀 없습니다
    전세계 4위다라며 자화자찬할게 아니라 하루라도 빨리 AI인재 키워야되요

    • @user-ed8lu7nf7k
      @user-ed8lu7nf7k 4 місяці тому

      맞음 ㅋㅋㅋ 신문에서도 이대로 있다가는 에이아이 격차가 엄청나게 커질거라고 있었는데 우리나라가 ai 무슨 투자를 한다고 ㅋㅋㅋ 오히려 투자를 낮추던데

  • @JosephPark0217
    @JosephPark0217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꾸준히 해야한다

  • @user-ip2cx2qn6b
    @user-ip2cx2qn6b 4 місяці тому

    기분좋운소식~~~~`

  • @Dhdhfufjdnb
    @Dhdhfufjdnb 9 місяців тому +8

    AI 기술 및 투자규모는 영국이 1-2등 하는걸로 알고있고 그게 사실이에요. 구글이 사용하는 딥마인드나 핀테크 기술 등등 영국이 AI로는 1,2등 선진국이 맞아요. 본 영상이 말하는 국가순위는 아무래도 하드웨어, 반도체든 하드웨어를‘만드는’ ‘생산’능력을 따지는거에요…

  • @tak1635
    @tak1635 10 місяців тому +11

    일본은 특히나 규격이 대부분 일본의 독자규격이라 내수시장과 글로벌시장을 동시에 공략하기가 상당히 힘듬.

    • @TKNemo
      @TKNemo 9 місяців тому

      발전이 없는 지역이라 시간문제입니다

  • @jasonjoe1950
    @jasonjoe1950 10 місяців тому

    등수 매기기 좋아하는 한국사람답다. 이 4위는 누가 어떤 근거로 매긴건가요? 4위라서 어떻게 좀 위로가 되셨나요? 아니면 2등을 못해서 실망하셨나요?

  • @valewalker_rok9402
    @valewalker_rok9402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격차고 안심이고 나발이고 간에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수주로 AI영역의 연구비를 충당해야 하는데 그게 그렇게 쉽게 될리가 없지
    AI 뿐만이 아니라... 다른 새로운 기술들은 계속해서 나올것이고, 그 기술을 습득하기 위해선 이전의 기술로 돈을 벌어서 그 돈으로 새로운 기술의 연구비를 충당해야 한다.
    그 과정에서 인력은 계속해서 갈려나갈 것이다.
    여기서 아주 간단한 답이 나오는데 '돈'과 '인력' +@로 새로운 기술을 뒷바침 할 수 있는 '자원'까지 있는 나라가 어디일까?

  • @gle_Goo
    @gle_Goo 10 місяців тому +3

    우리나 잘하자 ㅠㅠ

  • @432parkave.
    @432parkave. 10 місяців тому +23

    한국인들은 참으로 기민하고 똑똑하고 배우려는 열정이 높고 왠만한건 다 우수한데 사람 보는 눈이 너무 없음. 정치인들 보면 그 국민 수준을 알 수 있다고 하는데 정치인보면 한국인의 약점이 오롯히 들어남..

    • @bogopa4393
      @bogopa4393 10 місяців тому

      머 미국인은 사람보는 눈이높아서 트럼프나 바이든같은 치매노인을 대통령으로 뽑고 앉아있음? 일본은 머 보는눈이높아서 몇십년째 한당이 독재를 하고? ㅋㅋ

    • @jagdishsama4085
      @jagdishsama4085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다른 나라 사는거 다 똑같지만
      인맥 정치질(정치적선택)이 ㅈ되긴함

    • @user-qt4jg7bf1v
      @user-qt4jg7bf1v 10 місяців тому +3

      정치인이 똥이랑 설사밖에없는데 그나마 당내에서 바른소리하면 수박이니 뭐니 쫓아내는게현실

    • @so-what930
      @so-what930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100%공감

    • @user-qt4jg7bf1v
      @user-qt4jg7bf1v 10 місяців тому +3

      @@Hdsdkkonvcd 노벨상은 로비로 받는건데 굳이 안하는거지 김대중이 보여줫잖아 돈주면 받는게 노벨상인데

  • @user-ko6mo5mv6w
    @user-ko6mo5mv6w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양날의 검이 아닐까요? Ai 위험하다고 묻어둘수 없는 기술이죠. 얼마나 우리 삶에 잘 녹여내느냐에 따라 말그대로 대박 아닐까요? 우리나라도 빠르게 움직이고, 적극적인 투자 지원이 필요할거라 생각합니다.

  • @jeonggeunkim6002
    @jeonggeunkim6002 2 місяці тому +1

    AI 산업을 잘발전 시킨다면 인구감소나 노령화에 대응할수 있는 방법도 생길뿐더러 각산업에 파급되는 효과로
    한국의 국민소득이나 경제발전에 큰기여를 할수 있을것 같습니다 안그래도 고임금화로 중국이나 베트남 멕시코
    튀르키예와 동남아 각국에 잃어가는 산업분야와 산업경쟁력도 있는데 그것을 보완하고 경쟁력을 회복시켜줄수
    있는 큰방법 이라고 생각됩니다 최첨단 AI 분야에서 연구하시는 분들 화이팅!

  • @cozyboyboi5427
    @cozyboyboi5427 10 місяців тому +22

    불행인지 다행인지 우리나라는 뭐하나 유망하고 좋다하면 학과던 직장이던 크게 몰리는경향이 커서 ai도 빠르게 관심도 올라가고 겸해서 사람도 돈도 빨리 몰린듯

    • @KoreaLiveTrends
      @KoreaLiveTrends 10 місяців тому +3

      그렇게 Top을 찍죠ㅎ 이번 전쟁에서 우위를 차지해야만 생존할수있는거라 중요하긴 함. AI와 반도체, 퀀텀까지,

    • @user-wt9ut2fn2u
      @user-wt9ut2fn2u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전 초전도체가 더 기대됨. 이번에 실패해도 일반인에 대한 관심이 올라가서 인재들 많이 몰릴듯

    • @smokbig3202
      @smokbig3202 10 місяців тому

      사람이랑 돈만 모인다고 성과 나오는거 아님

  • @odo_odo_yat5641
    @odo_odo_yat5641 6 місяців тому +3

    중국이나 미국에 쏠리면 안된다 우리나라는 스위스같은 나라가 되어야한다고 봄 중립국이자 모든 데이터망의 중심점이 되는 강국 그렇게만 되면 안보도 자연스레 뒤따라오게 되는 최고 중요한 시점이 아닐까 총력을 걸어도 해볼만하다 봄 국가에서 이런 인재들을 활용할 전문화된 독립 기관을 만들어도 괜찮을듯

  • @user-on9uw2gx7o
    @user-on9uw2gx7o 8 місяців тому +2

    정말 AI경쟁속도가 어마어마한것 같다.

  • @user-jh1kb9cw2d
    @user-jh1kb9cw2d 8 місяців тому

    Kbs 응원한다

  • @Chamchikim
    @Chamchikim 10 місяців тому +3

    과학자가 곧 국가의 미래다. 어릴때부터 이런 환경을 만들어줘야한다. 유튜버가 아닌

  • @JiNo-JiNo
    @JiNo-JiNo 10 місяців тому +76

    일반 중소 대학교 정도의 AI학과 정도의 수준이라는게 더 놀랍네 일본이 이번 프로젝트에서 미국,한국,중국의 절반정도도 못 올라온다면 영국과 같은 길을 걸을듯

    • @user-cnksi223
      @user-cnksi223 10 місяців тому +4

      ​@@sharkman0820오하요고사이마스

    • @albertjeong9148
      @albertjeong9148 10 місяців тому +6

      ​@@sharkman0820AI분야 얘기하고 있고 일본수준이 중소대학 수준이라 사실만 얘기한건데 왜이리 부들부들거려 ㅋㅋ

    • @sharkman0820
      @sharkman0820 10 місяців тому

      @@albertjeong9148 일반을 일본으로 봤네요 ㅈㅅ

    • @user-gp6mn5qm9l
      @user-gp6mn5qm9l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우리나라 한국도 일상에 아날로그가 많다는게함정

    • @jun-nx8zk
      @jun-nx8zk 10 місяців тому

      @@albertjeong9148 ai 분야가 떨어진다고 국가수준이 떨어진다고 자위하는거임?? 열등감 표출좀 그만 해라.. 수많은 나라 놔두고 가만히 있는 일본을 왜 가져다가 비교질 .. 징글징글하다

  • @user-ed7bv9ye8g
    @user-ed7bv9ye8g 2 місяці тому

    과학자들 세계최고대우해서 우리나라위해서만 일할수있는 위대한대한민국이되길빌어봅니다

  • @user-mu3iy8fq3d
    @user-mu3iy8fq3d 4 місяці тому

    한국 스타트업들은 현대 사회의 다양한 도전에 대처하며,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고도의 기술력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그들의 노력은 우리의 미래를 더 밝고 효율적으로 만들어나가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들이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이루어내어 세계적인 기업으로 발돋움하기를 기대합니다.

  • @user-co2ll7gc6w
    @user-co2ll7gc6w 10 місяців тому +3

    국회원을 모두 AI로 대체하면 어찌될까

  • @user-jr1pd6fq4z
    @user-jr1pd6fq4z 10 місяців тому +42

    너무 선을 넘으면 천조국의 견제를 받을 가능성..100% 너무 눈에 튀지 않게.

    • @user-ow7zc3kx7q
      @user-ow7zc3kx7q 10 місяців тому +26

      그럴 일은 절대 없지 ㅋㅋㅋ 개발자 대우가 천조국과 천지차인데 잘난 개발자님들은 천조국가서 연봉 10억씩 찍을텐데 뭐하러 사농공상의 조선에 남아있겠냐??

    • @svcmachine4756
      @svcmachine4756 10 місяців тому

      결정적인 순간에 대가리 깨버리면 됨!!!!
      ㅎㅎ

    • @faint0121
      @faint0121 10 місяців тому +9

      ㅋㅋㅋㅋㅋ국뽕 제대로드갔네 ㅋㅋㅋ절대 그럴리없음 이미 한국도 미국에서 만든 모델,알고리즘 쓰고있기때문에

    • @user-ab5cd6ef5g
      @user-ab5cd6ef5g 10 місяців тому +6

      @@user-ow7zc3kx7q ㅋㅋㅋㅋㅋ 이게 맞긴해 ㅋㅋㅋㅋ 미국은 우리 견제할 필요도 없음 어차피 알아서 넘어가니까 ㅋㅋㅋㅋ
      중국과는 다르게 미국으로 넘어가는 건 오히려 능력있는 사람 취급받으니까

    • @Yes_you_
      @Yes_you_ 10 місяців тому +8

      견제안해도 이과생 천시하는 한국에서 자발적으로 탈출한다 걱정마셈ㅋㅋ

  • @user-bs9wk2vc6j
    @user-bs9wk2vc6j 2 місяці тому

    기존 대기업 구도에서 벗어나 새로운 AI 관련 분야로 확장해서 미래 국가 경쟁력 강화하고 밥벌이 산업 하나 확실하게 키워야 하는 시기. 특히나 천연자원도 없으니 기술력으로 승부해야하는데 제발 좋은 결과가 있길...

  • @eye2id
    @eye2id 10 місяців тому

    헉...그럴리가...

  • @hobbyholic_LoveLive
    @hobbyholic_LoveLive 10 місяців тому +20

    어떤 이력의 지도자가 우리에게 필요한지는 극명합니다.

    • @SayNoToChauvinism
      @SayNoToChauvinism 10 місяців тому +3

      2020년대에도 한민족이 어쩌고 저쩌고 그러는 정당이 국회 180석 차지한게 한국 유권자 수준이니 ㅠ

    • @dikaiosune2790
      @dikaiosune2790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법기술자들 퇴진 시키고 차라리 경제학자 출신이나 공학자들을 정치권으로 진출 시켜야지

    • @jangkyo
      @jangkyo 10 місяців тому

      @@SayNoToChauvinism 지능 낮은 2직볘춘이 왓냐? ㅋㅋ

    • @cheongsobu
      @cheongsobu 10 місяців тому

      ​@@SayNoToChauvinism2008년에는 문화 블랙리스트 만들고 셧다운제같은 법 만들던 정당이 200석이었음ㅋㅋ 그때보다야 낫지

  • @jyddow
    @jyddow 10 місяців тому +25

    일본의 국가 시스템은 보수적이고 아직도 아날로그 시스템을 유지하는것처럼 보이지만 한번 바뀌기 시작하면 예측하지 못할정도로 빠르게 받아들이고 변함 한국이 잘하는건 빠르게 시작하지만 그걸 유지하는건 잘못함 시간 흐른뒤에 돌아보면 뒤쳐저있음 어떻게 하는걸 아는것과 어떻게 하고 있는건 많이 다름

    • @aaabbaaa1976
      @aaabbaaa1976 9 місяців тому +1

      뭘 빠르게 받아들여요. 80년대 한국보다 정보화 앞서 있었지만 지금 한참 뒤쳐져 있는데

    • @jyddow
      @jyddow 9 місяців тому +6

      @@aaabbaaa1976 제 글을 제대로 읽으세요 정보화에 대한 내용이 아니고 국가시스템을 말한겁니다 빠르게 받아들인다는 것만 보고 댓글을 단것 같은데요

    • @blackmagic9006
      @blackmagic9006 9 місяців тому

      @@aaabbaaa1976 일본에서 일해보셨어요?

    • @user-do4no1lw1y
      @user-do4no1lw1y 9 місяців тому +6

      qr코드도 일본이 만들고 전세계 공정로봇은 90%이상이 일본산인데 안하는거지 못하는게 아님

    • @user-jn5nj2yt5n
      @user-jn5nj2yt5n 9 місяців тому +2

      지금 술꾼 한마리가 일본 부흥을 위해 힘쓰고 있습니다

  • @user-lu2bh8pn7z
    @user-lu2bh8pn7z 5 місяців тому

    에너지를 에네르기라고 하는구나ㅎㅎ

  • @seoungwooklee8395
    @seoungwooklee8395 8 місяців тому +2

    몇위인게 증요한게 아니라
    인공지능 경쟁은 4위가 끝이라고 봐야함.
    나머지 나라는 경쟁속도와 매몰비용을 감당할 수 없음.

  • @user-jn2eg8bs8y
    @user-jn2eg8bs8y 10 місяців тому +10

    내 보기엔 AI도 방산과 마찬가지로 미국을 제외한 시장에 대한 성장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본다.
    AI가 미치는 파급력이 워낙 강력하기 때문에 자칫 미국에 대한 종속이 심해질 수 있다.
    따라서 각 국가는 해당 국가의 AI를 바랄 것이고, 네이버가 바로 그 전략을 가지고 있다.

  • @muscleup4979
    @muscleup4979 10 місяців тому +3

    우리나라 법자체가 후진국이라 후퇴하는길 밖에 없다. 한국이 소통과 커뮤니케이션 무역으로 성공했는데 이제는 포화상태인듯

  • @69MadnezZ
    @69MadnezZ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기술 천대하는 국가라 암울

  • @rera2511
    @rera2511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그닥 좋은 건 아닌듯 ai가 빠른 속도로 발전될수록 제한되는 부분들이 많아질거고 몰론 긍정적인 영향은 있겠지만 그만큼 닥쳐오는 문제들을 어떻게 극복해야할지 첫 스타트? 시발점이 되기때문에 큰 난행들을 겪는데 극복하지 못할 수도 있는 것들이라 걱정됨 우리보다 앞서 나아가서 그 문제들을 극복한 나라들이 많으면 많을수록 좋을텐데 말이지.

  • @SausageTaste
    @SausageTaste 10 місяців тому +26

    한국의 고령화 속도는 일본보다 빠른데. 한국도 최신 기술 못따라가고 둬쳐질 날이 곧 오지 않을까 싶네요. 물론 일본만큼 내수시장이 안락하지 않아서, 끊임없이 혁신하라고 목에 칼이 들어오는 정도는 한국이 훨 심하긴 하지만….

    • @user-lr6nq1uu9f
      @user-lr6nq1uu9f 10 місяців тому +7

      우리 나라는 일본과 꽤 다릅니다. 나이가 들수록 보수화가 되긴하지만, 우리 나라 사람들은 뒤쳐지고 도태되면 죽는다는 것이 뼈속까지 학습 되어 있어요. 나이든 사람들이 변화에 적응이 늦을수는 있어도 변화 그 자체에 대한 거부감이 적대감은 거의 없다고 봐도 됩니다.

    • @SausageTaste
      @SausageTaste 10 місяців тому +9

      @@user-lr6nq1uu9f 제가 한 말이 그거예요. 일본은 내수시장이 크고 안락해서 사람들이 쉽게 현실에 안주하게 되지만. 한국은 발 한번 삐끗하면 언제든지 다시 가난으로 추락할 수 있기 때문에, 사람들이 상대적으로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도전을 하겠죠.

    • @user-uj6ed1pr1k
      @user-uj6ed1pr1k 10 місяців тому

      ​@@user-lr6nq1uu9f그런 나라가 0.7출산율로 누구보다 도태예정국 ㅋㅋㅋ

    • @user-db2fu8gx1x
      @user-db2fu8gx1x 5 місяців тому

      ​@@SausageTaste근데 외람된 얘기지만 과학기술과는 별개로 이런 한국사회의 특징과 성향이 결국 가뜩이나 심한 과열경쟁을 더욱 더 부추긴다 하면서 쓰잘데없이 뭐라 해대니 어떻게 보면 아직도 참 볼썽사납고 미성숙한 국민성의 나라이구나라는 생각도 동시에 듭니다

  • @jwp409
    @jwp409 10 місяців тому +22

    1위에서 10까지 기업들이 죄다 미국일텐데 일본이랑 비교하는게 의미가 있을까싶은데

    • @user-uz8ow5qo1t
      @user-uz8ow5qo1t 10 місяців тому +6

      한국은 꼭 뭐만하면 일본이랑비교하고싶나봄 ㅋㅋ

    • @nirvana2084
      @nirvana2084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user-uz8ow5qo1t앞질러야 하니까 :) 생각좀

  • @giwonkim2487
    @giwonkim2487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우리 기업들 지금까지 잘 해왔잖아요. 멀지 않은 미래 우리의 삶과 먹거리가 우리 기업과 청춘들에게
    달려있네요.
    앞으로도 잘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user-in3sj8fy7y
    @user-in3sj8fy7y 2 місяці тому

    지도자를 잘 뽑아야해요..그래야 국가가 발전하지요...

  • @balkorak2
    @balkorak2 10 місяців тому +78

    올해 우리나라의 AI종합순위는 6위입니다. 작년 7위, 재작년 8위에서 그래도 1계단씩 계속 상승중..
    1위는 미국이고 2위 중국, 3위 싱가폴, 4위 영국, 5위 캐나다, 6위 한국, 7위 이스라엘, 8위 독일, 9위 스위스, 10위 핀란드 이고 일본은 12위, 대만은 26위... 일본, 대만은 매년 계속 하락중.. 미국 >>>>>> 중국 >> 나머지 >> 떨거지 .. 이런 구도에서 3위권 형성.. 상위권에는 소위 말하는 대표적인 강소국들이 대거 포진해 있네요.

    • @SayNoToChauvinism
      @SayNoToChauvinism 10 місяців тому +36

      일본에 그 누구보다도 관심을 많이 가지는 관음증 코리아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balkorak2
      @balkorak2 10 місяців тому +5

      관심 있어서 2019년부터 매년 AI종합순위를 지켜보고 있는데 몇위부터 떨어지고 있는지 관심 많으면 알려줄까?

    • @SayNoToChauvinism
      @SayNoToChauvinism 10 місяців тому +18

      @@balkorak2 어짜피 미국 중국 양자 대결이니 관심없음.
      울산이 전국 8위 인구라 그래봤자
      대부분 사람들은 서울, 많이 쳐줘봤자 부산 정도에서 관심 끝나는 거랑 같은 원리.

    • @firhwa9779
      @firhwa9779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중국? ㅋㅋㅋㅋㅋ 기술 도둑질로 먹고사는 미개한 후진국이 무슨 ㅎ

    • @smokbig3202
      @smokbig3202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애초에 이거 뽑는 기관이 어디인데?ㅋㅋㅋㅋㅋ

  • @user-wt8yn6mn9e
    @user-wt8yn6mn9e 10 місяців тому +6

    일본이 저렇게 유지만 해준다면... 우리가 기술 개발해서 침투시키는 것도 나쁘지 않은 시장 같은데...

    • @SayNoToChauvinism
      @SayNoToChauvinism 10 місяців тому +8

      일본에 그 누구보다도 관심을 많이 가지는 관음증 코리아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nirvana2084
      @nirvana2084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SayNoToChauvinism 일본이 더 심하지ㅋㅋㅋ방송에서 아침부터 저녁까지 틀고 서점엔 혐한책 베스트셀러 ㅋㅋ 아이돌 음악 들으면서 신오쿠보에서 치즈닭갈비 먹고 한국 드라마 봄 :)

    • @SayNoToChauvinism
      @SayNoToChauvinism 10 місяців тому +4

      @@nirvana2084 한국이 더 심하지ㅋㅋㅋ방송에서 아침부터 저녁까지 틀고 서점엔 반일책 베스트셀러ㅋㅋ애니보면서 전국에서 초밥 먹고 일본 게임 함:)

    • @Croatam31
      @Croatam31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SayNoToChauvinism 어느 방송이 일본을 아침부터 저녁까지 틀고 서점 어디에 대체 반일책이 베스트셀러... 일본이 그런다는 소리는 들었었는데 혹시 돌려까는거임..?

    • @DK-vf3rs
      @DK-vf3rs 5 місяців тому

      @@SayNoToChauvinism도대체 우리나라 어디에 반일책 베스트셀러인 서점이 있냐ㅋㅋㅋㅋㅋ

  • @Jota80kr
    @Jota80kr 10 місяців тому

    1초 1분의 전쟁이다. 화이팅.

  • @user-jh3yi7be5r
    @user-jh3yi7be5r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차라리 우리나라 ai기술화를 좀더 개발해서 '인류 영생'? 같은? 것을 데이터화해서 뇌의 기억 데이터 업로딩해서 전산에서 살게 하는게 모든 위기 극복을 할 수 있을 거 같은데. 출산율 걱정없이 현재 인구 상황유지만 되어도 아무 탈 없게

  • @user-dw7fu7un6k
    @user-dw7fu7un6k 10 місяців тому +4

    일본이 AI를 도입한다면 우리와 엄청난 차이가 발생하겠다.

    • @user-cz5cy1ud1k
      @user-cz5cy1ud1k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어;;
      아쉽게도 그렇지 않음
      일본의 핵심 문제가 뭔지 알게 된다면
      일본이 AI를 도입한다는 게 어떤 건지 알게 될거임
      일본은 기본적으로 국가의 돈은 많으니까 해외의 AI를 돈을 주고 도입한다. 가 옳은 표현이지
      자기들이 만든다는 전제는 없애도 됨
      그리고 그 기술제어권은 일본에는 당연하게도 없을거고
      차라리 한국에서 경쟁이라는 키워드를 없애는 게 더 빠를 수 있음

  • @user-rz2wo6jg1w
    @user-rz2wo6jg1w 10 місяців тому +4

    우리나라가 크게 발전되게 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user-dx5dk2wg5g
    @user-dx5dk2wg5g 10 місяців тому

    히나타 좋네 저런걸 만들어야지...

  • @LoveIsLuv_
    @LoveIsLuv_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CHAT GTP Android version 처음 사용하고 놀랐다.

  • @Harry_Mione
    @Harry_Mione 10 місяців тому +4

    어차피 미국 중국에 비하면 다 거기서 거기인 수준 아닌가

    • @user-fm1tk5mw9j
      @user-fm1tk5mw9j 4 місяці тому

      아니요 3~10위권 국가와 그 밑에 라인도 차이가 많습니다

  • @user-rn5nr3gb2m
    @user-rn5nr3gb2m 10 місяців тому +6

    우리 사법부와 떡검을 대체할 AI 개발이 시급하다.

  • @user-xd7px9eh1c
    @user-xd7px9eh1c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손정의 소프트 회장이 15년전부터 AI ai하고 투자하고 외치고 다녔는데
    금전적으론 이익못보고 손해만봐 앞으로가 성패를 좌우하겠지.

  • @DanielHLee-wv6xz
    @DanielHLee-wv6xz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일본은 아직 전자결재도 이뤄지지않는데 어떻게 AI를 정부와 국민이 받아들이고 지원할 수 있을까요? 우리도 문제인게 소프트웨어 파워가 하드웨어에 비해 너무 약하다는 겁니다. 이 둘이 함께 가야 시너지가 커지는데 아직 소프트웨어가 미국에 비해 많이 떨어지는 부분이 아쉽네요.

    • @wh-xh2cd
      @wh-xh2cd 10 місяців тому +6

      いつの時代ですか?もうとっくに生活ではデジタルですww現金はわざと

  • @user-ib1mk1nd2w
    @user-ib1mk1nd2w 10 місяців тому +24

    참 KBS 애쓴다.. 일본이나 순위 놀이 그만하고 미국이나 중국을 어떻게 따라 잡을지를 집중보도하지.

    • @user-ub6nc4hp2d
      @user-ub6nc4hp2d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ㄹㅇ 어그로 맛집

    • @kikyo0000
      @kikyo0000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2찍 일본 까이니까 ㅂㄷㅂㄷ 긁힘?

    • @user-ik7ec7nd6n
      @user-ik7ec7nd6n 10 місяців тому +3

      ​@@kikyo0000상식적으로 공영방송에서 이런 영상 올리는게 맞음?ㅋㅋㅋ

    • @kikyo0000
      @kikyo0000 10 місяців тому

      @@user-ik7ec7nd6n 댓글모음 보니까 주인님 나라 욕먹어서 제대로 긁힌 일뽕새기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Aruna_Hari
      @Aruna_Hari 10 місяців тому

      ​@@kikyo0000전과4범 지지자 본인등판 ㅋㅋㅋㅋㅋ
      빠른시일내에 스스로 목숨을 끊어주시길

  • @user-fy9mq8zf2x
    @user-fy9mq8zf2x 10 місяців тому +7

    잼버리 대회 준비도 못하는데...무슨 4위인가요?ㅜㅜ
    사람을 살리는 일도 못하고 죽이는 일을 만드는데...

  • @penjd55
    @penjd55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과학기술부가 콘트롤 타워 역활을 잘해줘야

  • @gustavrob5830
    @gustavrob5830 7 днів тому

    라인강탈은 제2의 국권상실의 시발점같은

  • @sjpark6341
    @sjpark6341 10 місяців тому +14

    빨리 퇴직하고.
    이 초고속 열차에서 내려.
    느린 삶을 살고 싶네요.
    우리 윗대 퇴직자들하고는 느낌이 다릅니다.
    너무 빠르네요

    • @user-mc7yb1gu2x
      @user-mc7yb1gu2x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윗대는 주6일은 기본이고 많은분듀이 쉬는날 없이 일했죠 그리고 그분들의 어린시절을 생각해보면 청년시절도 발전속도는 엄청나다고 체감했겠죠

  • @jaysbar4u
    @jaysbar4u 10 місяців тому +10

    로봇 밀집도에서도 압도적인 세계 1위더군요. 그 밖에 전기차 충전기 보급률이 전기차 1대 당 충전기 하나로 역시 압도적으로 세계 1위. 단 급속 충전기 비율은 낮은 편

    • @_chobi3248
      @_chobi3248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중국이요? 미국??

    • @tarantulaweb.
      @tarantulaweb.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_chobi3248전세계 로봇 밀도 상위 5개국은 1위 한국 2위 싱가포르 3위 독일 4위 중국 5위 일본 순이고 로봇 생산량은 일본이 세계 1위 이고 우리나라가
      세계 어느 나라 보다 로봇이 압도적으로 많은데 그 원인 중 산업쪽에서 노조들이 파업을 자주 해서 생산 자동화 시스템과 로봇 투입을 많이 하고 있는 것도 원인 이랍니다

  • @user-dv9dm6pl4k
    @user-dv9dm6pl4k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이스트소프트에비하면 갓난아이수준이네

  • @sum4188
    @sum4188 9 місяців тому

    뛰지 말고 날자~날아 오르자~세계 1위로 차이를 최소 10년은 앞서자!!! 우리 과학자들 최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