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잘 봤습니다! 이런 부분이 제가 개인적으로 소위 사회과학이라고 불리는 학문들이 과학의 범주가 아니라고 생각하는 이유가 되는 것 같습니다. 자연과학이나 공학, 의학 등 응용과학에서도 부족한 실험 설계로 비판받아야 할 연구들이 많지만, 평균적인 사회과학의 연구 설계는 표본의 통계적 타당성이나 변인 통제 같은 기초적인 조건 조차 부적격인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상당수의 사회과학 분야 특성상 본질적으로 그런 조건을 통제하는데 한계가 있습니다. 하지만 어떤 방법론을 통해 한계를 극복해 나가야 할지 고민해봐야겠죠.
사회과학 분야의 주제 특성상 단일 연구가 갖게되는 결함은 있을 수밖에 없는 측면이 있지만, 그렇다고 그 분야 자체가 과학이 아니라고 보긴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재현성 검증이나 메타 연구처럼 이전 연구들을 재검증하거나 통합해서 살펴보는 연구 방식 자체가, 이전 연구의 비과학성을 지적하고 폐기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오류와 편향을 파악해서 더 과학적인 결과를 검증하기 위함이죠. 사회과학은 단일 연구보단 다양한 연구를 리뷰하여 이론적인 틀을 세우는 방식을 통해 과학성을 보완하는 분야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단일 연구를 설계할 때부터 노력을 기울여야겠지만요.
영상 잘 봤습니다!
이런 부분이 제가 개인적으로 소위 사회과학이라고 불리는 학문들이 과학의 범주가 아니라고 생각하는 이유가 되는 것 같습니다.
자연과학이나 공학, 의학 등 응용과학에서도 부족한 실험 설계로 비판받아야 할 연구들이 많지만, 평균적인 사회과학의 연구 설계는 표본의 통계적 타당성이나 변인 통제 같은 기초적인 조건 조차 부적격인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상당수의 사회과학 분야 특성상 본질적으로 그런 조건을 통제하는데 한계가 있습니다. 하지만 어떤 방법론을 통해 한계를 극복해 나가야 할지 고민해봐야겠죠.
그러게요 통제가 쉽지 않은 분야라, 정말 귀에걸면 귀걸이인 연구들도 많은 거 같고 더더욱 결과에 확신해서는 안되는 거 같습니다...! 깊은 통찰 남겨주셔 감사합니다 :) 영상 잘 봤다고 응원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 더 좋은 영상으로 찾아뵐게요!
사회과학 분야의 주제 특성상 단일 연구가 갖게되는 결함은 있을 수밖에 없는 측면이 있지만, 그렇다고 그 분야 자체가 과학이 아니라고 보긴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재현성 검증이나 메타 연구처럼 이전 연구들을 재검증하거나 통합해서 살펴보는 연구 방식 자체가, 이전 연구의 비과학성을 지적하고 폐기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오류와 편향을 파악해서 더 과학적인 결과를 검증하기 위함이죠. 사회과학은 단일 연구보단 다양한 연구를 리뷰하여 이론적인 틀을 세우는 방식을 통해 과학성을 보완하는 분야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단일 연구를 설계할 때부터 노력을 기울여야겠지만요.
어떤것이든 무의식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주긴 하겠는데
좀 더 연구돼서 그걸 일반화시킬 수 있으면 재밌겠네요
맞아요 점화효과 중에서도 그래도 검증된 것 중에, 고개를 끄덕이면서 이야기를 들을 때랑 고개를 가로저으며 들을 때랑, 끄덕일 때가 더 동의율이 높았다고 해요 :)
영상 잘 봤습니다~ 이 영상은 끝까지 봐야 지식을 온전하게 얻을 수 있네요ㅎㅎ
끝까지 시청해주시고 응원의 댓글 남겨주셔 감사합니다 🥰 더 도움되는 영상으로 찾아뵐게요 :)
영상 마지막 '그 실험'이 뭘까요?
Amy cuddy의 Power posing 입니다...! 흔히 원더우먼/슈퍼맨 자세라고도 알려져 있고, 슈퍼맨 자세를 하면 점화효과로 인해 자신감이 더 생긴다는 이론입니다~!
감삼당
시청해주시고 응원의 댓글 남겨주셔 감사합니다 🥰 더 좋은 영상으로 찾아뵐게요 :)
너무 말과 자막이 빨라서 몇번이나 뒤로가기눌러서봤네요
ㅠㅠㅠㅠ 불편드려 죄송합니다. 저도 계속 업로드하며 알맞은 템포와 편집속도를 찾아가는 중이니 양해 부탁드려요 ㅠㅠㅠ
그래요? 저는 2배속으로 봤는데..
속도조절해서보면됨
뭔가 이상한 결론이 나는 연구들이 있는거 같은데
끝까지 봐주시면 왜 '뭔가 이상한 결론들이 낫다'는 직감이 드셨는지 아실 수 있습니다 :) 작성자님의 감이 맞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