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공계 대학원 빤스런 연구실, 이 3가지는 ‘진리’다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9 лют 2025
  • 빤스런 걱정 없이, 좋은 연구실에 들어갈 수 있는 현시대 최고의 방법
    • 대학원 입시 준비 필수 시청 | 성적만 ...

КОМЕНТАРІ • 118

  • @김책임_대학원X바이오
    @김책임_대학원X바이오  3 місяці тому +15

    빤스런 걱정 없이, 좋은 연구실에 들어가는 현시대 최고의 방법
    ua-cam.com/video/YNmi6f9sBqU/v-deo.html

  • @김정훈-x6e
    @김정훈-x6e 3 місяці тому +127

    많이 썼는데요.
    특정될까바 지웠습니다.
    잘못 물린 대학원생들 모두 힘내세요.
    대학원에서의 삶과 행동이 남은 평생을 결정하는게 아닙니다.

    • @김책임_대학원X바이오
      @김책임_대학원X바이오  3 місяці тому +5

      한이 쌓여가는 우리 정훈님😓
      다 이겨내면, 어지간한 고통에 꿈쩍안는 단단한 멘탈을 갖게되실거에요!🎖

  • @wonsukchung2979
    @wonsukchung2979 3 місяці тому +37

    1,2,3번 모두 예외가 되는 연구실이 있습니다. 신생 연구실인데요, 교수님이 처음 부임한 경우 당연히 학생이 아무도 없거나 외국인 한 명만 있는 경우가 많고 논문도 본인이 1저자로 쓴 건 많지만 학생이 쓴 건 당연히 없습니다. 이런 경우는 포닥 시절 교수님의 논문을 통해 간접적으로 볼 수밖에 없습니다.

  • @구-l6b
    @구-l6b 3 місяці тому +80

    대학원 5년 구른 입장에서 댓글 남기자면...
    1. 외국인 많은 연구실 피해야되는 진짜 이유 : 국내 학부생은 어떻게든 주변에서 찌라시를 듣고 이미 거른 곳임. 외국인들은 그 찌라시를 들을 커넥션이 없을 확률이 높으니 고스란히 파리지옥에 들어가는 파리마냥 그 연구실에 들어가는 거고. 그만큼 어떤 이유에서건 죽어나는 연구실.
    2. 이 선배들이 야근을 하는지, 아님 저녁엔 카페 가서 일하는지 알아보셈. 이런 경우면 선배들이 겉으로만 방치되어 보일뿐, 메신저로 교수님과 간간히 연락하며 열심히 일하는 것일수도 있음. (연구주제가 워낙 다양해서 랩미팅을 안한다던가..) 저녁에도 칠렐레팔렐레 놀아제낀다? 그럼 무조건 거르셈.
    3. 재정적으로 빵빵해도 교수님이 엄청 도전적인 분들이면 이런 랩실이 간혹 있음. 학계의 다른 연구자들에게 몰매를 맞더라도 그들을 찍어누를 도전적인 연구에 야망이 있는 사람에겐 괜찮아 보일지도 모름. 하지만, 명심하자. 그 야망이 당신의 졸업을 먹여살리진 않는다.

  • @Key-yz9vp
    @Key-yz9vp 3 місяці тому +75

    1, 2번은 동의함.
    3번은 동의 안 함.
    왜? 저런 건 교수 바이오그래피 사이트만 봐도 나오는 건데 저걸 안 봤다면 네가 미친놈이고 봤다면 애초에 컨택했으면 안 됨ㅋㅋㅋㅋ

    • @더시드도로시
      @더시드도로시 3 місяці тому +5

      내가 자대생 석사출신은 아니지만
      그냥 학부연구원으로 하다가 그 연구실에서 석사들어오던가
      지나가다가 얼핏본 실험실 첫인상이 마음에 들어서 지원할수도 잇긴함
      그리고 바이오그래피 이거 볼줄 모르는 학부출신 많음

    • @후랑크린즈
      @후랑크린즈 3 місяці тому +7

      학부생은 볼 줄 몰라요 ㅋㅋㅋㅋㅋㅋ

    • @doridotos
      @doridotos 3 місяці тому

      @@후랑크린즈😂학부생은 눈이 없나

    • @baboa
      @baboa Місяць тому +1

      @@doridotos그러니까 영상으로 알려주는거잖아? 퐉씨

  • @kyuonghojeong3602
    @kyuonghojeong3602 3 місяці тому +65

    외국인 유학생 정말 공감 갑니다. 제가 서울의 모대학교 단백질공학 실험실에서 석사하였을때 베트남인 5명 국내 석사 박사 합쳐서 3명이었는대 언어도 안통하고 거기다 FPLC 라는 기기는 한대 밖에 없어 예약해서 사용하는대 지들 멋대로 기기 사용하더군요 ㅋㅋㅋ

    • @김책임_대학원X바이오
      @김책임_대학원X바이오  3 місяці тому +11

      외국인은 교수가 아니라 학생이 뽑아야 됨 🤨

    • @D_lightx
      @D_lightx 2 місяці тому +8

      그나마 베트남이니까 다행이지 파키스탄 박사 애들 라마단은 지들한테나 중요하지 옆에서 논문 서칭하면서 간식 먹는 거에도 발작함ㅋㅋㅋㅋㅋㅋ 그래도 한국어 배우려는 의지가 없어서 직접적인 욕 말고 돌려서 욕하면 못 알아 먹는 게 웃기면서도 괘심함

  • @자전거-f7n
    @자전거-f7n 3 місяці тому +55

    지금 일본에서 학부를 하고 있습니다
    대학원도 일본으로 진학하려고 하는데, 제가 '그 외국인'이 되지 않도록 해야겠네요 ㅋㅋㅋ

  • @robertsaint6495
    @robertsaint6495 3 місяці тому +168

    붙었으면 그냥 무작정 가봐라 밥이라도 사달라고 해봐라 정상적인 곳이면 안사줄리가 없다 그러면서 얘기도 해봐라 미국대학원도 붙었다고 견학가보는 판국인데 왜 안가보냐

    • @김경순-v4l
      @김경순-v4l 2 місяці тому

      돈은...ㅠ

    • @labin1120
      @labin1120 2 місяці тому +12

      가서 근데 무작정 밥 사달라고 하는 건 좀 ..

    • @페르소나-l5b
      @페르소나-l5b 10 днів тому

      붙었으면 빨리 등록금 회수를 알아봐야지 바로 취업해라 쓸때없는 고생하지 말고 너희들을 위한 학위과정이 아니야 교수를 위한거임 봉사를 할거면 독거노인을 도와라

  • @김책임_대학원X바이오
    @김책임_대학원X바이오  3 місяці тому +116

    아 맞다! '여미새' 까먹었다😢

    • @김대원-g1v
      @김대원-g1v 3 місяці тому +19

      그니까 이거 진짜 중요한데 ㅋㅋㅋ

    • @손수잘
      @손수잘 3 місяці тому

      배우신분들인데 그런게 있어요..?

    • @um7673
      @um7673 2 місяці тому +5

      @@손수잘ㅈㄴ많을듯ㅋㅋ

    • @십덕-w3s
      @십덕-w3s 2 місяці тому

      ​@@손수잘남교수한테 몸 팔아서 학점 받는 여학생이 나오는 드라마나 영화가 있는 건 그랬던 사례가 있기 때문임

    • @temporary1-wk3ry
      @temporary1-wk3ry 2 місяці тому

      ㅇㄱㄹㅇ

  • @hanchulshin5685
    @hanchulshin5685 3 місяці тому +14

    좋은 영상입니다. 박사받은지 23년 되었는데, 처음에 대학원 들어갈 때가 생각나네요. 제가 원래 생각했던 연구실(학사논문때 강제로 배정되어, 연구하면서 주제도 흥미가 이고, 친해졌던 선배들이 있던 연구실)에서 박차고 나와 다른 연구실로 갔습니다. 이유는 원래 생각한 연구실의 선배들이 제때에 졸업하지 못하는 사람이 너무 많다는 것이었지요. 뭐 석사를 6학기 하는 사람이 있었으니... 그 이후 제가 석박사를 했던 연구실의 지도교수님이 유명한 말을 남겼는데, " 학생이 제 때, 졸업을 못하는 것은 교수의 문제다" 라는 말이었습니다. 그 연구실 소속 선배들이 제 때, 너무 늦지 않게 학위받고 있는지도 살펴보시길 바랍니다. (영상에서 말한 연구외의 것들로 시간소모가 심하면, 그 결과로 소속 학생들이 학위받기 까지 기간이 늘어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 학생의 역량이 부족해서 늦어지는 경우도 물론 있지만...)

  • @user-odobinggo
    @user-odobinggo 3 місяці тому +17

    2번이랑 비슷한 이유로 힘듬. 코로나때 유학가서 박사하는 중인데 (계산화학) 연구실 사람들이 맨날 반이스라엘운동을 지지하라느니 lgbt를 지지해달라느니 이런다 ㅜㅜ 코로나때라 분위기파악을 못했는데 힘들다.

  • @IlIIlllIIll
    @IlIIlllIIll 2 місяці тому +5

    인서울 교직원 대학원부서 출신입니다. 만약 우리 대학원의 외국인 비율중 대다수가 중국, 베트남이라면 바로 빤스런 하십쇼... 인도인이 중요한게 아닙니다... 외국인 비율 채워야 교육부 예산이 나오기때문에 내국인보다 장학금 더 퍼주면서 불체자들 브로커통해 입학만 시키는게 퍼다합니다... 대학원 지원하기전에 제발 대학정보공한번만 훑어보고 지원하세요...😂😂

  • @helookscool
    @helookscool 3 місяці тому +10

    외국인 미친, 하.... 각종장학금, 연구비와 관련된 그런 행정문제들을 내가 떠맡게됨. 심지어 자기 신용카드 만들고 뭐 중고차 사는거까지 관여하게 될 수도 있음. 심지어 이슬람이면 국내 학회갈때 식당같은것도 내가 신경써야됨. 교수님이 압둘라도 같이 먹을 수 있는 식당 찾아봐~ 반드시 이러심.

    • @김책임_대학원X바이오
      @김책임_대학원X바이오  3 місяці тому +2

      ㅋㅋㅋㅋㅋㅋ할랄~~~~~~~

    • @Orbit_Cadi
      @Orbit_Cadi 3 місяці тому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 미친 ㅇㄱㄹㅇ ㅋㅋㅋ 연구 외적으로 신경써야되는게 ㅈㄴ 많아지는게 열받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a12fgg
    @a12fgg Місяць тому +2

    김책임님 영상 도움 많이 되었습니다 ㅎㅎ 1. 외국인중에 짬되는 외국인 한명한테 먼저 한국행정 다 알려주고 그외국인이 밑에 외국인들한테 다 알려줄 수 있으면 추천합니다. 아니면 그런 성깔이라도 있으면 좋습니다ㅎㅎ 2. 저런 교수님들이 의외로 정치잘하고 연구비는 잘따서 오히려 스스로 하고싶어하는 포닥들 입장에선 가기 괜찮습니다 ㅎㅎ 그런 포닥들이 가주면 저렇게 노는 학생들도 흥미있고 영향받아 바뀌는 경우도 있습니다 ㅎㅎ 3. 환경, 지구과학쪽은 연구 스케일이 커서 논문 한편 나오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잘 확인해보고 물론 저런 연구실에서는 교수님과 상의해서 작은 스케일에서 빨리 논문을 써서 실적들을 쌓는게 커리어에 좋다고 봅니다. 평가가 논문이 아닌 프로덕트나 다른 지표들이 있는 것들도 있으니 최대한 모아놓으시면 도움됩니다.

  • @Gravitation.
    @Gravitation. 3 місяці тому +8

    참고만 하세요. 그 어떤 함정도 빠지기 전까진 모릅니다. 적당히 알아보고 내가 원하는 곳 하고 싶은 곳 들어가서 하다가 트랜스퍼 자퇴 등등 고민하고 있는 당신을 본다면 그냥 지체없이 나오세요. 여기서 지금 나가면 내가 패배잔가? 낙인찍혀서 아무데도 못갈까? 장담하건데 당신이 생각하는 그 어떤 나쁜 일도 일어나지 않을겁니다. 제일 나쁜 일은 내가 나를 괴롭히고 있는 일에서 구해주지 않는겁니다. 길어야 1년이면 다 알게 됩니다. 지금 나이에서 1년 2년 땅에 버려진다고 한들 아무것도 바뀌지 않습니다. 지금 나이 20대 중후반이겠죠. 3년 버렸다고 치고 더해보세요. 주변에 패배자들 뿐인가요?

    • @김책임_대학원X바이오
      @김책임_대학원X바이오  2 місяці тому

      좋은 조언 이십니다🥹
      이런 댓글들을 보고 힘들어하는 학생들의 선택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어요🔥

    • @coconutcrap2
      @coconutcrap2 2 місяці тому +1

      지리농

  • @예잇-y5j
    @예잇-y5j 3 місяці тому +43

    외국인 비율 80퍼 넘는(+외국인은 전부 타대생일 수밖에 없으므로 타대생 비율 압도적인) 랩실인데 교수님이 좋은 분이라 한국인 학생들이 이것저것 시간 뺏기는 거 알고 연구적/외적으로 더 챙겨주십니다. 랩실 잡무 빼준다거나 적은 노력으로 실적 쌓을만한 거 먼저 던져주시기도 하고 등등.. 무조건 빤스런하진 말고 거기 한국인 학생들이 불만이 많은지 보세요!

    • @Alopin
      @Alopin 3 місяці тому +2

      교수님 적발 !!!
      혹은 추노 적발!!!

    • @예잇-y5j
      @예잇-y5j 3 місяці тому

      @@Alopin 아닌데요ㅠ 그리고 알럼나이들 다들 미국 탑스쿨 혹은 탑 몇십위권에 포닥 가있워요

    • @sudo42b
      @sudo42b 3 місяці тому +8

      그럼 본인이 문제일 확률이 높아요.. 잡무(행정처리, 제안서 등)를 빼준다는건 본인이 잡무하는데 믿음이 안가서 그런거일 수 있어요.

    • @elsielee7993
      @elsielee7993 2 місяці тому +3

      @@sudo42b실적 될 만한 거 먼저 주시는 거 봐서는 잡무라는 게 청소나 비품 정리같은 간단한 일이겠죠.
      애초에 한국어가 안되는데 행정을 외국인한테 맡기지도 않을 거고, 제안서 작업을 잡무라고 보기는 힘들죠 ㅎㅎ;

  • @abcdefghijl9838
    @abcdefghijl9838 2 місяці тому +4

    자대생 타대생은 타대생 많은 랩실 안가는게 맞습니다. 제가 신입생때는 자대생이 많아서 매일 야근하고 연구얘기도 많이하는 분위기가 기본이였는데 몇년 후 타대생이 많아지면서부터 연구실 그냥 망했습니다. 분모분자도 모르고 한글도 못 뗀 애들이 면접을 어떻게 뚫었는지 모르겠지만 타대생 대부분은 연구에 관심도 없고요 좀 뭐라고하면 신고할 것 같아서 뭐라고 하지도 못하고.. 이런애들 월급주려고 과제를 따고있는 자대생들 모습이 너무 불쌍하더라고요. 외국인이랑 타대생은 큰 차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 @Leear91
    @Leear91 3 місяці тому +21

    1번은 너무너무 공감되네요 우리나라에 오는 학생들이야 뭐 뻔하죠 이런말 하긴 그렇지만 저급한 애들이 많이 옵니다 ㅋㅋ 중국도 일부대학은 한국인 많이 받았는데 들어오는 애들 수준 너무 떨어져서 지금은 외국애들 진짜 개깐깐하게 받고 그 개나소나 받던 시기에 입학했던 애들은 업계에서도 거른다는 말이 있을정도인데요 뭐 미국이나 유럽도 아닌 우리나라에 오는 외부인들은 제가 겪어봤을때 학위만 딸려고 오는거지 연구할려고 뜻이 있는 애들이 오진 않으니까요

  • @int6997
    @int6997 3 місяці тому +17

    외국인 비율 높으면 진짜 문제있는 연구실임.
    입장 바꿔서 생각해봐요. 진짜 실력 있고 연구에 뜻있는 외국인이 굳이 대한민국의 연구실에서 생활하려할까요? 내가 그런 실력있는 외국인이라면 한국 같은데 말고 미국 top 스쿨의 대학원을 갈 것 같은데?
    대한민국에 오는 외국인들은 거의 높은 확률로 그냥 학위만 필요해서 오는 애들이 대부분임. 연구실에 외국인이 많다? 연구 실력도 떨어지는 곳이라고 볼 수 있음.

  • @zxcv36691
    @zxcv36691 2 місяці тому +2

    대학원 랩 크기가 크거나, 사람 자체가 많은 연구실이면 외국인 비율은 크게 문제가 안되더군요. 외국인 포닥이 실적 잘 내고 캐리하는 곳도 있어서...대신 석사 학부생이 없거나 석사 졸업생이 적은 연구실은 많이 알아보시는게 맞습니다. 제가 있던 연구실이 외국인들 많고 실적 내고 외국인들 성격도 좋고 생활영어도 배울 수 있어서 좋은데(특히 주별 발표에서 영어 회화 능력 키우기 좋음) 체계가 좀 허술할 수 있어요...석사 졸이 많은 연구실 발표 보면 쉽게 졸업 하던데 그렇지 않은 연구실은 난이도 자체가...제가 허접이라서 그런거겠지만요... 석사끼리 대화도 힘들고 자기주도성 능력개발이 좀 힘든거 같았어요. 박사 과정 선배님들 참 좋은 분들이었는데

  • @kysm4893
    @kysm4893 3 місяці тому +17

    ........대학원에 오신다고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당신이 어떤 랩실을 들어가던 그곳은 대한민국 최악입니다.

  • @한뚝배기-z5x
    @한뚝배기-z5x 3 місяці тому +4

    타대생 비율이 높은곳이랑 연구 퀄리티랑은 관계가 없을수도 있는건 맞지만
    다른 이슈가 있어서 그런것일 순 있습니다.
    연구는 그냥저냥 뽑히는데, 재떨이를 맞아가면서 뽑았다거나...자대생들이 "기피"한건지 아니면 못 뽑힌건지의 차이가 중요할듯 합니다...

  • @jiresma5880
    @jiresma5880 3 місяці тому +13

    16년에 등록금 지원 없이 1년차 월17만원 2년차 월54만원 인건비 받았다. 내가 첫학기부터 부모님께 힘들다고 했지만 버티라고 해서 버텼다. 무시하고 나갈걸 그랬다.

  • @한국과학기술원-n4g
    @한국과학기술원-n4g 3 місяці тому +2

    외국인문제 동의합니다. 박사 4년차입니다. 연구실에 외국인 비율이 10-15퍼 정도였는데 이 사람들 뒤치닥거리 하다보면 '난 학위받으려 대학원 왔는데 이걸 왜하고있지?' 라는 생각이 절로듭니다. 그마저도 연구에 도움이라도 되면 모르겠는데 외국인 계좌계설, 통신사 가입, 장비 구매 이런거 한두번 해주면.. 하.. 외국인도 불편하겠지만 이걸 해주는 학생들은 단순히 옆자리앉아서.. 일몇번해줘서.. 그 학생 잡무를 해주고있습니다. 간혹 보면 한국어 잘하는 외국학생도 있습니다만 들어가기전에는 모르는 일이고 굳이 모험을 하실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몇몇 썰 및 카더라를 풀자면... 연구실 청소할때 인도 파키 방글라 에서 온 학생은 자기는 이런거 할줄 모른다고 안하는 학생(신분이 높았나봅니다.) 코로나 시절 외국나갔다가 귀국했는데 코로나 걸려 시설 격리중 도시락 메뉴 불만제기 통역..? (이슬람이어서 할랄 아니면 고기 못먹는데 도시락엔 이를 반영 x) 과제나 프로젝트할때 자기는 라마단기간이어서 해떠있을때는 금식한다고 낮에 빌빌거리다가 저녀ㄱ되고 일 안끝났을때 밥으러 간다고 칼같이 빤쓰런... 다같이 힘든건 상관없는데 이런거 보고있으면 힘이 쭉쭉 빠집니다

    • @8528845444555
      @8528845444555 3 місяці тому

      all 외국인 (한국인 학생들은 저 들어갈 때 다 졸업함)만 있던 랩실에 행정지원 학부생(석사가 해야되는데 한국인 석사가 없어서 뽑힘)으로 있다가 1주일만에 도망나왔습니다.
      냄새부터 언어소통 비자 월세 통신 풀링체 다 그러려니 했는데 명목상 교수님 산하에 있던 외국인 학생이 스쿠터 타고다니다가 사람을 쳤다는 경찰 전화받고 바로 나왔습니다. 1번 격하게 공감합니다...

  • @진리-o2r
    @진리-o2r 3 місяці тому +4

    타대생 비율이 높다는건 보통 자대생 기피가 있어서라... 조심해서 나쁠거없죠

    • @김책임_대학원X바이오
      @김책임_대학원X바이오  3 місяці тому +1

      제가 '조심할 필요조차 없는 잘못된 오해'여서 언급드린 것 입니당 ㅎㅎ
      자대생 기피 = 안 좋은 랩실,
      자대생 선호 = 좋은 랩실?!
      그냥 그 방의 분위기, 교수의 선호도, 개개인의 능력차 때문이지, '타대생 비율'로 연구실을 평가하는건 시간낭비 입니다. 타대생의 비율을 알기도 어렵고, 평가요소가 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3명의 교수와 20명 이상의 박사들과 얘기한 끝에 내린 결론 입니다🫡

    • @진리-o2r
      @진리-o2r 3 місяці тому +2

      @김책임_대학원X바이오
      평가 지표로 쓰긴 그래도 참고할만은 하다봐요. 무조건 그렇다는 아니어도 대학원 다니다가 망한랩실 잘나가는 랩실들 보다보면 다들 체감 하니 저런 말도 나오는 것이니까요. 출신 정도는 자기소개하면서도 듣는 내용이니 얻기 힘든 정보도 아니고요.... 물론 설포카는 빼고 🙂

  • @ukko500
    @ukko500 3 місяці тому +7

    1번과 비슷한 케이스이긴 한데
    대학원생 대신 포닥이 많음
    행정 담당 선생님이 따로 계셔서 크게 신경 쓸건 없기도 했고
    내가 경험했던 인도인들은 좋았어서
    이것도 꼭 지레 겁먹을 필요는 없는듯 해요

    • @김책임_대학원X바이오
      @김책임_대학원X바이오  3 місяці тому

      오! 행정 담당 선생님이라는 예외가 있으면 되겠군요👍

    • @난나난난
      @난나난난 Місяць тому

      오 저도 외국인이 절반 되는 랩실이지만 나쁘지 않다고 생각하였는데 행정 선생님이 계세요

  • @이석현-i7q
    @이석현-i7q 3 місяці тому +1

    여기서 단 한 개라도 포함되면 한 달 이내 빤스런하세요 진짜 인생의 낭비입니다

  • @hwe965
    @hwe965 2 місяці тому

    저는 인도 중국 파키스탄 포닥이 70프로 이상 연구실에서 졸업했습니다 ㅋㅋㅋ 들어가자마자 박사석사분들 연구실 옮기고 바로 취업하러 런하시길레 그냥 혼자 열심히 하면 해결될 줄 알았는데 겨우 석사2년 하면서도 참 온갖 서류처리 잡무를 다 해버렸네요 심지어 얘네들 방도 구해줬습니다 ㅋㅋㅋ 진짜 인생경험 했네요

  • @ohsungc2
    @ohsungc2 3 місяці тому +3

    2번도 상상도 못했네 무시무시하다

  • @8parsdgeg482
    @8parsdgeg482 Місяць тому +1

    인도사람들 소고기 안 먹는 것도 식당갈 때 고려해야함

  • @인생은라이트하게
    @인생은라이트하게 3 місяці тому +2

    멋찌다..

  • @saw_Laown
    @saw_Laown 3 місяці тому +4

    그래서 그런 연구실들 제외하고 남아있는 연구실들이 정상적임? 저런거 다 제외하고 몇개나 남음?

    • @laaileciel8240
      @laaileciel8240 3 місяці тому +2

      저런 데가 많은 대학은 자대 대학원을 안 가죠

  • @iconolk7338
    @iconolk7338 3 місяці тому +1

    행정문제... 왜냐면 외국은 그런걸 하는 행정원이 따로 있기 때문이죠.
    뭐 그것도 케이스마다 다르긴 하겠지만 한국은 "모든"케이스라는 점에서 다르긴 합니다.

  • @ohsungc2
    @ohsungc2 3 місяці тому +9

    와 시바 1번 상상도 못했네진짜

  • @nondeterministic
    @nondeterministic 2 місяці тому +2

    5년에 하나도없는건 너무한거아님? 매년 1개도 A* tier conference에 꾸준히 출판못하는곳들은 다 넘겨야된다고 생각했는데, CS라 다른가

    • @김영재-k5o
      @김영재-k5o 2 місяці тому

      CS인데 그런상황이면 학교에서부터 거르겠는데

    • @nondeterministic
      @nondeterministic 2 місяці тому

      @ 내가 질문을 이해못한거임? 찐으로 헷갈려서그럼. 교수 1명, 박사과정 5명있으면, 교수가 마지막저자로 아무 A* 컨퍼에 일년에 적어도 한편내는게 거르는 상황임? 그것도 못하는 교수가 더 이상한 교수 아님? 박사과정 졸업하려면 6년안에 보통 3개 플래그쉽 컨퍼에 논문내야 하는데, 그러면 평균 2년에 한면 학생이 내는꼴인데, 교수가 5명 담당하면 당연히 하나는 나와야 하는상황인데?

    • @김영재-k5o
      @김영재-k5o 2 місяці тому

      @@nondeterministic 아 제가 잘못이해했습니다. CS면 5년동안 한편도 없는 경우가 이해가 안된다는 부분이라고 이해했네용 ㅎㅎ...

    • @김영재-k5o
      @김영재-k5o 2 місяці тому +1

      @@nondeterministic 석박 학생수에 따라 다르긴 하겠지만, 1년에 1개도 적은편이긴 한듯

    • @nondeterministic
      @nondeterministic 2 місяці тому

      @@김영재-k5o ㄹㅇ+1

  • @meenalien4446
    @meenalien4446 2 місяці тому

    사실 이런 결정도 인기 분야이면 그냥 결정하는 거지 비인기 분야 희망하면 피할 방법 없음 선택지가 없어서 ㅋㅋㅋㅋㅋㅋㅋㅋ

  • @seokminkang935
    @seokminkang935 3 місяці тому +13

    인건비 안주면 안가는게...... 로또도아니고

  • @Shwhsudhw
    @Shwhsudhw 3 місяці тому +2

    학부 연구생이 1저자로 논문을 쓰는 랩실이 있는데 여기 들어가서 제 논문을 쓰는 것이 취업에 도움이 될까요 ?

    • @김책임_대학원X바이오
      @김책임_대학원X바이오  3 місяці тому +1

      학부생이 논문쓰면 무조건 좋은 줄 아시는 분들이 많아요🥲
      내가 원하는 직무가 무엇인지에 따라 다르며, 어떤 주제냐에 따라 다르며, 이 논문을 위한 시간에 내 어떤 것을 포기하는지에 따라 다~ 다릅니다😊

    • @Shwhsudhw
      @Shwhsudhw 3 місяці тому

      @ 찾아보고 있는데 혹시 이 주제를 다루신 영상이 있을까요 ?

    • @geunho__
      @geunho__ 3 місяці тому

      저는 학부생때 공동1저자로 논문을 쓴적이있는데요
      석사때 연구한 분야, 일하는 직무랑 다른분야라서 크게 도움이 되지는 않았어요.
      석사후 취업은 논문 1~2편정도 있으면 그만이고... 더 많다고 크게 도움이 되지는 않는것같아요

  • @kei-kc8d
    @kei-kc8d Місяць тому

    주인장은 왜 빤스런 못하심?

  • @amazingfarm123
    @amazingfarm123 2 місяці тому

    그래서 한국은 글로벌화랑 거리가 멀어…

  • @Semi_Conductors
    @Semi_Conductors 2 місяці тому

    일주일중에 한번 세미나하고 나머지는 거의 방치형인데 런각인가요

  • @LaCodileClimbing
    @LaCodileClimbing 3 місяці тому +3

    죽을 각오하고 도전하세요. 오일러도 엄청나게 일을 많이 했으니까

  • @자유민주주의00
    @자유민주주의00 3 місяці тому

    인정!

  • @S.Wa.
    @S.Wa. 2 місяці тому

    1번은 30%보다 좀 낮춰도 될듯요

  • @TheLyb0684
    @TheLyb0684 2 місяці тому +1

    역시나 린도린도린도

  • @McDriveMaster
    @McDriveMaster 8 днів тому

    저는 외국인 20명중 16명인 방에 있었습니다 도망치세요 ㅋㅋ
    한국인만 있는 랩실로 건너오니까 엄청 편하네요.

  • @mou5e817
    @mou5e817 3 місяці тому +3

    2번 방목형 실험실에서 석사 졸업하고 박사 1년하다가 결국 적응 못하고 나왔는데요. 사수도 석사 1년차에 졸업해서 기본적인 케어(?) 없이 지냈습니다. 인턴 경험없이 들어갔는데 교수님의 인성은 좋았지만 대학원 과정은 스스로 해결방법을 모색하고 찾아가는 과정이라 거의 방치형으로 지내다가 지쳐서 나가게 됐네요.. 새로 지도교수님을 찾던가 다른 학교로 가야하는 상황인데 막막합니다ㅠ

    • @김책임_대학원X바이오
      @김책임_대학원X바이오  3 місяці тому

      이궁ㅠㅠ전공이 무엇이실까요?
      전기, 전자, 에너지 전공이신 분들도 컨설팅 수강하시기는 하는데..
      좋은 연구실을 다시 찾아보는게 좋을 것 같아요😓

    • @mou5e817
      @mou5e817 3 місяці тому

      저 분자생물학 쪽 전공했습니다. 의대 실험실에서 지냈는데 계속 지치고 힘들어하다가 교수님이 여기까지만 하자 이렇게 말씀하셔서 나가게 됐습니다. 근데 대학원 과정이 안 맞는 건지, 아니면 지쳐서 이렇게 됐는지 확인해보고 싶어서 밤에 몰래 잘 안되던 실험을 한번 해봤는데 그냥 지쳐서 그런 거였다는 걸 알게 됐습니다. 근데 한편으로는 그냥 취업을 하는 게 낫지 않을까? 제가 계속 고집을 부리는 건가? 하는 마음이 들어서 고민하고 있습니다. 일단 지도교수였던 분은 이후 행보는 알아서 하라고 해서 도움을 없다고 보면 될 거 같은데 같이 지냈던 외국인 포닥분은 어디 지원할 때 자기가 추천서 써주겠다고는 해서 일단 취업을 할지 아니면 다른 랩실을 찾아봐야할지 고민중입니다.

    • @김책임_대학원X바이오
      @김책임_대학원X바이오  3 місяці тому

      @@mou5e817 하...저는 '이런분이 좋은 곳에서 연구를 했다면 어떤 결과물이 나왔을까?'라는 생각을 해요😓
      지치고 상처 받은 마음을 저따위가 달래줄 수는 없지만, 희망과 용기를 잃지않고 계속 도전해보셨으면 합니다! 응원합니다! 🙆‍♂️

    • @mou5e817
      @mou5e817 3 місяці тому

      @@김책임_대학원X바이오일단은 좋은 주제로 연구를 했었는데 새로운 분야로 도전해보고 싶다는 계기가 된 것 같습니다. 두서없이 긴 글을 쓴 거 같은데 읽어주시고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조금 더 일찍 영상을 접했다면 어땠을까 싶지만 지금부터라도 할 수 있는 것을 찾아보려합니다. 응원해주셔서 감사해요!

  • @uandikk82
    @uandikk82 3 місяці тому +2

    이거 보고 동요했다면 오지마세요. 서로불행임

  • @Milkywayloveme
    @Milkywayloveme 2 місяці тому +1

    하.... 할말하않... 인도인 남자....

  • @붓싼싸나이
    @붓싼싸나이 3 місяці тому

    메일로 문의드릴 수 있을까요?

  • @dajhlfhraeolfrr
    @dajhlfhraeolfrr 2 місяці тому

    대학원을 빤스런 하시지

  • @더시드도로시
    @더시드도로시 3 місяці тому +3

    와 나 석사졸업할때
    나랑 같이 졸업하는 파키스탄 친구 생각나네 ㅋㅋㅋ
    같은 팀도 아닌 옆실험실인데 내가 걔 뒤치닥거리 많이 햇지
    표절검사, 서류정리, 졸업심사(예심본심) 어레인지 다 파키스탄 학생꺼 까지 내가 햇다.

    • @김책임_대학원X바이오
      @김책임_대학원X바이오  3 місяці тому

      착한 친구네 ㅋ 그 녀석들 뭐하고 있으려나~

    • @ori5581
      @ori5581 3 місяці тому

      한국은 그런 수준 낮은 애들한테도 영주권준다고 난리임 요즘

  • @Brandon-r2c
    @Brandon-r2c 3 місяці тому +11

    R&D는 지난 몇년간 지나치게 높여놓은거지 ㅋㅋ 나도 교수지만 양심 좀 차리자. 사기업 과제 따올 능력 하나 없는 정부 혈세에만 의존하는 게 그게 공학이냐. 일부면 몰라도 수십조를 때려붓는게.

    • @into_the_newworld
      @into_the_newworld 3 місяці тому

      인적자원 밖에 없는 나라에서 그렇게라도 하는게 정상이지 않음? 그 정부 혈세도 다른곳에서 제대로 쓰이고 있는데 r&d 예산이 너무 터무니 없이 높다 하는것도 아니고

    • @Brandon-r2c
      @Brandon-r2c 3 місяці тому +4

      @@into_the_newworld 그러니까 어느정도 지원은 이해할 수 있는 것이지만, 전세계에서 GDP 대비 R&D 지원이 1위일 정도로 높은 건 지표만 봐도 뭔가 과하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죠. 공대는 돈 버는 곳이고 그러한 훈련을 하는 곳이지 국가 세금 얻어 먹으면서 편하게 호의호식 하는 곳이 아닙니다.

  • @ralee5952
    @ralee5952 3 місяці тому +1

    빤그런 어떻게해

  • @12345torre
    @12345torre 3 місяці тому +1

    지금 젊은 조교수님 첫 학생인데
    제가 잘해야 앞으로 랩실 운영에 도움이 되겠네요.
    책임감이 느껴지는 영상입니다.
    감사합니다.

  • @이연-d8c
    @이연-d8c 2 місяці тому

    근데 보통 대학원 가서 선배들한데 물어보면 그냥 다 오지 말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