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TB 화이트 하드디스크(HDD)가 들어있는 WD 8TB Elements 리뷰 PMR VS SMR [playsin플레이신][4K][60P]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5 лют 2025
- 다시는 웨스턴디지털 HDD를 쓰지 않겠다 다짐했었습니다.
하지만 새벽 2시의 지름신은 저를 굴복시켰습니다.(가격에굴복한건아닙니다)
마침 SMR방식의 HDD인 Seagate Expansion 8TB 에서 적출한 ST8000DM004 8TB HDD를 쓰고있었는데
PMR방식인 ElementsWD 8TB Elements 적출한 WD80EMAZ 8TB HDD는 어떨까 간단한 비교를해봤습니다.
SMR 시게이트 ST8000DM004 8TB VS 웨스턴 디지털 PMR WD80EMAZ 8TB
속으로는 내심 레드가 걸려달라 바랬지만 역시나 로또 5등도 안되면 똥손답게 화이트가 나왔습니다.
하지만 화이트는 깊게 잠들어 어떻게해도 동작하지않았습니다.
어떻게든 WD 화이트 HDD를 사용해보려 노력했습니다.
영상에서 사용된 프로그램들
----------------------------------------------------------------------------
crystalmark.in...
크리스탈 디스크마크
테스트 사양
CPU : i9 9900k
램 : Team T-Force Vulcan 32GB (2 x 16GB) DDR4 3000
메인보드 : ASUS ROG MAXIMUS X HERO (WI-FI AC)(전원부 쿨링)
그래픽 : MSI 1080ti ARMOR (아틱 엑셀레로 하이브리드 III-120 수냉쿨러 장착)
CPU 쿨러 : 쿨러마스터(CoolerMaster ) MasterLiquid ML360R RGB 3열 수냉쿨러
케이스 : Fractal Design Define R6 강화유리 케이스
저장장치 : m.2 ssd 1개 / 2.5인치 ssd1개 / 3.5인치 HDD 1개
파워 : EVGA 1000W T2
----------------------------------------------------------------------------
BGM 정보
Wonder - Chill LoFi Hip-Hop Beat FREE (Copyright free) Music By: LAKEY INSPIRED
Music Credit: LAKEY INSPIRED
Track Name: "Wonder"
Music By: LAKEY INSPIRED @ / lakeyinspired
Original upload HERE - / . .
Official "LAKEY INSPIRED" UA-cam Channel HERE - www.youtube.co....
License for commercial us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3.0 Unported "Share Alike" (CC BY-SA 3.0) License.
Full License HERE - creativecommon....
Music promoted by NCM goo.gl/fh3rEJ
Dj Quads - Intersection (Non-Copyrighted Music)
?Music by Dj Quads?
● @aka-dj-quads
● DjQuads
● / channel
● open.spotify.com/artist/2VZrdImbvB03VWApYtBRr3
● djquads
Download Link: theartistunion...
근데 외장하드 쓸 때
1.전면포트에 연결 해서 쓰는 사람이랑(위에 많은 분들이 이유를 작성해서 스킵)
2. 하드 연결해두고 돌고 있는데 막 만지작 거리는 사람이랑
(PC 배울 때 hdd 헤더와 플래터 간격을 비유할 때 여객기가 지면과 1~2m 떨어져서 저공 비행하는 것과 같다고 배워서 저는 하드 구동 중에는 절대 손 안댑니다. 내 손으로 추락 할 짓 안시키고 싶은 거죠.)
3. 프로그램 돌고 있는데 안전 제거 안하고 HDD 케이블 확 뽑는 사람은...
(2번이랑도 연결 되기도 하는데 헤더가 플래터의 특정 지점에 접점해서 데이터 읽고 쓰는데 전원 오프 시키는 것이라 헤더가 읽고 있던 지점 혹은 그 주변의 표면을 물리적으로 긁어버릴 수도 있다고 알고 있네요.)
하드 데이터 소실될 만한 짓을 했다고 봅니다.
유저G6 안전제거 같는 개같은 소리하네
@@jaywon4294
윈도우자체에 기능있는데요?
모르시면 조용이좀...
3번은 적어도 10년 전 부터 갑작스런 전원 오프에 대비해 헤드를 제자리로 돌려놓을 기술이 생겼습니다.
헤드 자체가 전력을 거의 안 먹어서 앵간한 콘덴서로도 충분하죠.
마우스와 모니터의 LED가 파워 제거시에도 15초간 불이 들어오는 것 처럼...
@@HEAVY_POTATO 윈도우 내에서 빠른제거를 위한 최적화가 디폴트 값으로 지정되어 있다는 점에 착안해서 말씀하신게 아닐까 합니다.
물론 HDD내부에 있는 데이터를 편집하는 작업 중에 안전제거를 하게 되면 사용중이라고 거절되며 이를 무시하고 연결을 끊어버릴 경우 데이터에 손상이 있을 가능성이 있지만요 :(
외장하드는 아니지만 3.5인치 하드 작동중일때 케이스위에서 떨어뜨려도 괜찮던데
진짜 리뷰어중에 가장 유익한듯 ㅋㅋㅋㅋ 레알 볼거리 믾은 리뷰 안에 리뷰 그리고 트러블 슈팅
3.3V 이야기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이 링크에서
www.clien.net/service/board/lecture/11492680
믿을 수 없는 상황, '이건 꿈일거야' ㅋㅋㅋㅋㅋ
진짜 너무나 공감되는 상황이네요.
I know im randomly asking but does someone know a trick to get back into an Instagram account?
I was dumb lost the login password. I would appreciate any assistance you can offer me.
@Lewis Jake Instablaster ;)
@Adonis Royal Thanks for your reply. I found the site thru google and Im in the hacking process now.
Seems to take quite some time so I will reply here later when my account password hopefully is recovered.
@Adonis Royal it did the trick and I now got access to my account again. Im so happy:D
Thank you so much, you saved my account!
@Lewis Jake happy to help xD
밸도 없는분이 되게 폭력적이네~
사람이 그러면 안되는겁니다. 손 아픕니당~
불에 굽던가 망치를 사용하세요~
ㅎㅎ 잘봤음돠~
내껀 화이트군요 ㅠㅠ
죽은 외장하드는 메인보드 뒷면에 연결도 해보았지만 살아나지 못했습니다 ㅜㅜ
아.... 전력이아니라 그냥 사망해버렸구나 A ㅏ....
아 내 자료 돈으로도 살수 없는...
따서 칼갈이로
원래는 그냥 전력문제였는데 이리저리 때리고 만지작 거려서 고장난게 아닐까요 ㅋㅋ
ㅠㅜ
노래 시끄럽지도 않고 설명도 괜찮고 진행도 괜찮고 자잘한 얘기가 재미있어서 구독추천
떡잎부터 남다르셨군요
언제나 쉽게 끝나지 않는군요. 잘보고 있습니다. 행복하고 건강한 12월되세요. ^^
정보 보려고 들어왔다가 한편의 콩트를 보고 가는 기분?ㅋㅋ 재밌게 봤어요
1. 하드 usb 없이 본체에 바로 붙여서 살아나는 경우 있습니다.
2. 그래도 안되면 복구회사 가면 살려줍니다. 수십만원??
---->클린룸에서 하드 뚜껑 따고, 헤드 위치 옮겨주고, 뚜껑 닫고, 가스채워서?
컴퓨터에 연결하고 복사후 폐기.(재사용 불가)
3. 자꾸 때리고 던지면 그 부분 데이타 못 살려냅니다.
편집이 점점 좋아지시네요ㅋ
최근에 이 채널 봤는데 너무 길어서 지루하다 하면서 다 보고있음... 굳...
전 블랙데이때 10tb 구입했거든요. 이 영상 매우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알마에 샀어요?
@@seonhoym 오래 되어서 기억에 없는데 국내에서 보다 훨씬 싸게 구입했습니다.
영상 잘 봤습니다. 플레이신님은 it제품에대한 열정이 정말대단하신거같아요
항상 많이배우고갑니다.
외장하드 폭행장면은 정말 재밌었어요 ㅋ
리뷰속 리뷰ㅋㅋㅋ 잘봤습니당ㅋㅋ
이렇게 유용한 리뷰를!! 너무 재밌네요. Wd 8테라 살지 말지 고민되게 하는 리뷰네요. 구독 하고 갑니다 ㅎㅎ
노력이 정말 가상해서 구독해 드립니다..ㅎㅎ
영상 정말잘보고있습니다 좋은정보 너무감사해요
전면USB에 꼽아서 전원부족으로 딸깍 하는거 같은데..하드를 때리다니.ㅎㅎ 전원 많이 먹는 제품은 메인보드에 직접 연결해야 오류 안남요.
무슨 소리야 전원 케이블이 따로 있는 제품인데.
영상에서 코드 꽂는 거 못봄?
그랬음 이미 백업할때 딸깍 했을듯요.
이분 이야기도 일리가 있는데, 사실이라면...? ㅎㅎㅎ 근데 영상을 보면 전면이라도 USB 3.0에 꽂았음. 2.0은 Y 케이블 필요 하지만 3.0은 불필요.
@@plantece 님 무슨뜻인지 이해못함?
@@plantece 전원케이블 따로 없음.
이 영상을 보니 모듈러파워를 표준화해서 모든 파워를 모듈러로 만들어야 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파워는 자주 업글하는건 아니지만 업글한번 하려면 선을 싹 바꿔야 하니..
만약 모듈러파워의 케이블과 커넥터를 표준화 하고, 장착도 영상에 나온것처럼 바깥쪽으로 하도록 하면..
업글할때 기존의 선을 그대로 쓸 수 있으니 교체할때 수고가 훨씬 줄고,
파워와 케이블을 따로 팔아서 필요한 만큼의 케이블만 구입하면 되니 경제적이고,
케이블만 양산할 수 있게 되니 보다 좋은 퀄리티의 케이블을 쓸수 있겠군요.
모듈러파워는 깔끔한 케이스 내부를 위한게 아니라,
업글의 편의성을 위해 개발되었어야 한다고 생각이 드네요.
drivesaversdatarecovery.com/ 데이터 리커버리 라는 곳이 있는데 다른곳과 클라스가 완벽하게 다른곳 입니다. ua-cam.com/video/tNUsoangGFs/v-deo.html이영상에서 1:23 부터 보시면 이쪽 사람들은 죽은 하드에서 데이터 빼내는데 선수입니다.
오히려 생산단가는 구형파워들(3v라인 전선이 있는 파워들)이 더 비쌉니다. 그리고 이름 좀 있는 제조 회사들은 신형이라도 아직은 3v라인을 제거 안하고 지원하고 있고요. 싸구려 저가형 파워들이 생산단가를 줄이기 위해서 3v전원 라인이 빠진 파워을 팔더군요. 신형이라고 해서 3v라인이 제거된게 아닙니다. 오히려 호환성면에서는 3v라인이 제거안된 제품이 좋습니다. 사실 요즘 SATA제품중 3v를 사용하는 디바이스가 거의 없는 상태라서 있으나 없으나 큰 문제가 안되긴 합니다. 그러나 만약 자신이 꼭 3v전원이 필요한 SATA디바이스가 있다면 3v라인이 제거된 파워는 피해야 합니다. 참고하세요.
id 플레이신님, wd 외장하드에서 그런소리가 났다면 가까운 데이터 복구 업체에 가서 검사받는걸 추천 드립니다. 왜냐하면 하드는 헤드가 디스크를 긁는 장식으로 데이터가 저장됩니다. 그런데 헤드가 고장나
제어가안돼 딸까닥 딸까닥 소리가 나는겁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계속 전원을 넣으면 디스크가 손상돼
안에 있는정보까지 날라갑니다. 지금은 많이 늦었지만 지금 제가 정보를알아서 그렇습니다.
항상 영상나올때마다 잘 챙겨보고있습니다. 다음13세대는 5.2기가 1.300볼트 기원합니다.
항상 응원합니다!!
싼 건 사두면 필요가 생긴다는 말을 아무도 안 믿었는데, 이미 실천하시는 분이 계셨다니
고3때 16기가...음 플신님 최소 아재 인증 ㅎㅎㅎ
리뷰 잘봤습니다.
짬짬 파워리뷰도 감사합니다. ㅋ
맑고 고운 소맄ㅋㅋㅋㅋㅋㅋㅋ
안녕하세요 쿨* 퀘* 에 리뷰 올리다가 어.. 저도 저 리뷰 곧 편집 할껀데 하면서 방문 드리게 됐습니다.
영상 재밌게 잘 봤습니다.
저랑 엄청 유사하시네요... 저도 wd 3.5인치 블루에서 1테라 95퍼센트 찬 하드 인식 불량으로 통으로 날려먹은 적이 있습니다.....
a/s 갔다가 하드 초기화(no 포맷) 로 살리고 온 다음 하드 복구로 약 80퍼센트 복구하고 그 하드 6년을 더 쓰고 (토렌트 용) 무한 프리징 증상 보여 그만 놔줬습니다.ㅎㅎ
8tb 저도 이번에 구매했고 저도 화이트 뽑았습니다.... (제 영상 네타 미리 해버렸네요 ㅋ) 저도 일단 젠더로 해결은 봤는데 저 젠더가 은근 불량이 있다고 하네요
(영상에 쓰시는 케이블 브랜드가 불량이라는 얘기는 아닙니다.)
저는 그래서 고민하다가 그냥 괜찮은 슬리빙 케이블로 구매를 했습니다.
혹시나... 참고 되셨으면 합니다.
혹시 시게이트 하드는 데이터 사용을 얼마나 하신건가요?\
SMR방식이 속도가 확연하게 느려지는건 데이터가 한번 쓰여지고 난 이후에 같은 자리에 데이터가 다시 한번 쓰여질때 라고 알고 있습니다
기왓장처럼 데이터를 저장해놨다가 중간에 있는걸 지웠다가 다시 써야 하는 방식이니...
아마 데이터 사용량이 많지 않았던 하드라서 SMR이 더 빠른 결과가 나오지 않았나 싶네요
목소리좋으시고 잘보다갑니다~
와 저랑 똑같은 경험 ㅋㅋㅋ 저도 그래서 딸깍 거린 이후로 시게이트만 씁니다. 밴치마킹은 솔직히 별로인데 저는 10년 넘게 쓰고있는 외장하드도 유일하게 시게이트 제품이네요
저건 오래쓰다보면 전력공급에 문제가 생겨 그런거라..보조전원케이블을 구매해 사용하시면 괜찮습니다
반전을 기대했었는데 아쉽네요^^
재밉었고, 뭔가 한두가지 배우고 갑니다
그리고 그 고장난 하드는 미래를 기달릴필요없이 데이터복구회사에 맡기시면 복원됩니다
내가 형꺼 보면서 느낀건데
1.그래서
2.샀습니다.
제일 매력적이야...♥
분해하실 때 뒷면의 좌우 안쪽 걸쇠 만 따 주시면 됩니다.
방식은 동영상과 같이 스패츌러를 쑤셔넣어서 따주시면 되고,
네 부분 다 분리되면 세로로 세운 상태에서 케이스의 뒤쪽 위를 누르면서,
앞쪽 케이스의 ㄷ자 형을 슬라이드 시켜 빼내시면 됩니다.
그러면 동영상처럼 케이스 파손되지 않고 곱게 벗겨집니다.
딸깍딸깍 하면 전력부족인데..
그래서 와이자 유에스비 케이블 있는건데..
...
전력부족으로 헤드가 파킹되는건데
고장이 아닐가능성이 큰데 말입니다 ㅎㅎ
도시바 외장하드 샀을때 저도 이랬는데.. pc에 물려있는 usb들 제거하니까 됨.(옛날컴퓨터)
아마 백프로에 가까울겁니다 연결도 간접포트 앞에 연결했으니... 충분이 가능성있죠 다만 저 같이 폰이나 타블릿등 포멧방식이 다른지 모르고 주야장천 연결했다가 저 소리나는건 두개 말아먹었거든요...그래서 외장하드 다수 연결할때는 최대한 이차백업용으로 놔두고 일차백업용은 최대한 용량큰거 써요... 외장하드 2,3세개 이상 연결하면 아무리 usb포트에 자체전원을 연결해줘도 안되더라구요 추가 외장하드자체 전원도 연결하는거 써두요 2개까지는 자체연결 전원까지는 됨 그러나 도시바같은거는 두개도 힘든...
파워를 미리 구매해놓으셨다니....컴퓨터를 매우 좋아하시는가 봅니다. ^^ 리뷰 잘 보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정보 많이 올려주세요.~
슁글드(SMR) 하드 디스크는 SSD도 아닌 놈이 마치 낸드 페이지처럼 특정한 크기 단위로만 읽고 쓰기가 가능해서...랜덤 접근이 느릴 수밖에 없죠. SSD마냥 펌웨어에서 Translation Layer를 구현해야 하고 ㅋㅋ 데이터 날아가면 그 섹터 하나만 날아가는게 아니라 주변도 같이 날아가니 ECC 코드도 생성해서 적어야 하고 이래저래 특이한 놈입니다. 하지만 순차읽기 쓰기는 더 나을 수 있는데, 기록밀도가 높으니 동일한 RPM에서 더 많이 읽을 수 있는거죠.
리뷰속 리뷰 잘봤습니다
꿀 컨텐츠네요! 광고까지보고갑니닷
(ㅠㅠ) 뭔가 회사에서 일하고 있는 저의 모습 같았습니다.
안되는 구나.. 이렇게 해볼까?
안되는 구나.. 이렇게 해볼까?
안되는 구나..
그래도 프레이신님은 결말은 해피네요 (ㅠㅠ) 부럽습니다.
하드는 전원 넣었을땐 절대 절대 절대 움직이거나 들고 흔들면 안됩니다 ㅋ 세게 충격받지도 않았는데 떨어뜨리지도 않았는데 왜? 라고 말하는 사람은 무식한겁니다 외장하드라고 해서 전원넣고 들고 이리저리 움직이면 그하드는 언제든 맛갑니다 그래서 ssd 를 쓰,라는 거죠. 플레이신님이한것처럼 전원 넣은 외장하드 들고 움직이면 지금 아니더라도 언제든 맛갑니다. 하드(외장 하드도 마찬가지)를 안전하게 움직일수 있는 유일한 때는 전원 뺀후 모터가 정지한 뒤부터입니다
외장 ssd가 답?
배우고 감니당
그 외장하드 문제가 생기는게 갈수록 전력을 많이 먹게되서 보조 전원 케이블 하나 사서 달면 될수도 있습니다. 저는 그렇게 쓰고 있어요.
진짜 요즘 하드 한번 죽으면 안에 엄청난 내용이 날아감.
인식됬을때 나도모르게현실 오! 해버렸다 ㅋㅋㅋ 축하합니다 ㅋㅋㅋ
1:40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개웃김 ㅋㅋㅋㅋㅋㅋ
2:18 가격에 굴복한 유튜버ㅋㅋㅋ
12:24 심하게 긍정적인 해석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12:54 아니 태새전환한지 10분밖에 안됐는데 배신을 ㅋㅋㅋㅋㅋㅋ
17:02 미치기 시작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17:23 뭐가 자꾸 나와요........ㅋㅋㅋㅋㅋ
간간히 군생활드립 ㅋㅋㅋㅋㅋㅋㅋㅋㅋ
18:30 케이블 하나로 해결될것을.... ㅠㅠ
청주 현대코아 얘기하니까 갑자기 추억이 돋네요. 충북대 근처에 있던 거기 맞죠? 저도 현대코아에서 컴퓨터 부품 많이사고 근처에 세진컴퓨터에서 컴도 사고 그랬었는데... 지금은 청주에 안 살지만 그 동네에 추억이 많아요.
뒤늦게 적어보자면 3핀 to 사타 케이블 같은 것 연결하면 오히려 화재의 위험이 더 클겁니다. 따라서 그냥 절연해서 쓰시는 편이...
하드디스크 고장은 컨트롤러 고장이 대부분 입니다.
정말 중요한 데이터라면, 같은 제품 중고라도 사서 임시로 컨트롤러만 바꿔 끼어서 데이터 건져낼 수 있습니다.
참고로, 보통 컨트롤러 분해해 내려면 별모양 렌치가 필요합니다.
하여간 렌치만 있으면 엄청 쉽습니다.
하드디스크를 웹하드 등에서 다운로드 받으실 때는 별도의 망가져도 되는 하드디스크를 경유하여 다운로드 받으세요.
다운로드 받는 하드디스크는 엄청나게 일을 많이 해서 수명이 짧아집니다.
여기서 또 하나 중요한 팁은 동일한 크기의 하드디스크 라면, SATA 방식보다는 E-IDE방식이 이상하게도 수명이 오래갑니다.
그리고 용량이 큰 하드디스크 들은 저장밀도가 높아서 그런지 빨리 망가집니다. 저용량(400GB 이하) 하드디스크들이 수명이 깁니다.
결론적으로 웹에서 대용량 파일을 다운로드 받는 하드디스크는 E-IDE방식의 저용량 하드디스크에 먼저 다운로드를 받고
다른 하드디스크로 옮기시기를 추천 드립니다.
제목하고 내용에 조금 혼동이 있는것같아 적어봅니다
PMR 수직 으로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식 | | | | |
LMR 수평 으로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식 - - - - -
이중에서 PMR 방식과 비교되는 LMR 방식은 현재 사용하지 않으므로
PMR 방식중
/CMR 트랙 일렬로 | | | | | |
PMR <
\SMR 트랙 기왓장처럼 겹쳐서 ╫╫╫╫
그래서 SMR하드와 CMR 하드로 비교하는것이 맞음
SMR하드를 CMR하드와 비교했을때 트랙을 기왓장 처럼 겹쳐놓기 때문에 용량을 쉽게 늘릴 수 있어서 용량대비 가격이 낮은 장점이 있지만 헤더로 데이터를 수정하거나 삭제하는 작업을 할 때 주변 가까운 트랙에도 영향을 주기때문에
수정하거나 삭제하는 등 쓰기작업을 할때는 쓰기작업하는 트랙은 물론 주변트랙까지 묶어서 한 묶음의 트랙 데이터를 다시 순서대로 써야되므로 쓰기속도가 느려집니다
쓰기작업을 할때마다 한 묶음씩 트랙을 관리하기 때문에 수명도 CMR에 비해서 짧은 방식입니다
SMR 방식은 용량대비 가격이 낮기 때문에 백업용도로 한번에 쓰고 읽기작업만 하는경우에는 좋지만 쓰기작업도 많이 하는 일반용도로는 적합하지 않는 방식
CMR방식은 SMR방식보다 조금 비싸기는 하지만 데이터에 바로 접근해서 수정할수 있기때문에 쓰기 안정성이 좋음
일반사용자 용도로는 CMR하드를 구매해야 속도가 저하되는 문제없이 안정적으로 사용할수 있음
그러나 판매처에는 정확하게 하드방식을 적지않고 *SMR(PMR), 확인요망(PMR)* 이렇게 애매하게 적으므로 CMR과 SMR 구분하기 어렵습니다
그러므로 동급사양을 기준으로 SMR CMR 구분방법은 -(SMR 거르는 방법)- SMR하드는 보통 쓰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하드디스크 버퍼메모리를 많이 늘리는데
하드디스크 사양을 보면 주로 64M, 128M, 256M 적혀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이 부분은 버퍼메모리를 뜻하고 64M는 상대적으로 버퍼메모리가 적은편에 속하기 때문에 CMR
나머지 128M, 256M은 버퍼메모리가 크기때문에 SMR방식의 하드이므로 거르는것이 좋습니다
CMR SMR방식 참고자료
rootblog.tistory.com/89
재미있게 말씀을 잘 하시네요...
처음엔 그저 하드웨어 정보를 얻기 위해 보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플레이신 님이 고생하는 걸 보기 위해 보기 시작했습니다.
저도 모르던 제 취향을 알게 됐습니다.
S.......
갑자기 SMR 얘기가 나와서 검색하다 오게 됐는데요.
이미 5년이나 지나버렸지만 아직 가지고 계실 거라 믿고!! 말씀드려봅니다.
외장하드 어쩌면 고장 난 게 아닐 수 있습니다!!!
저도 2.5인치 외장하드가 있는데 데스크탑 전면에 있는 USB 3.0포트에는 인식이 오락가락하는데
메인보드에 직접 연결하거나, 자체 전원을 가진 USB 허브에 연결하면 제대로 작동합니다.
아마 전원 출력의 문제인가 싶습니다.
근데 적출은 왜 하는건지요? usb 3.0에 연결하는거랑 속도 차이도 없고..
3t 6t 8t 14t wd 외장하드는 쓰는데 관세이내로 사려다 보니 다들 년식이 다르고 클수록 나중에
산건데.. 용량이 작을수록 속도는 더 빠르더군요. 쓰시는거랑 같은 8t 외장은 3.0usb에 연결속도랑
똑같이 나오네요.
엄청힘들어보이는데 정밀하게 잘 하신다 ㅋㅋ
중요한 자료는 여러 클라우드에 동시에 올려두세요 안전빵으로...
외장하드보다 더 안전해요
원래 자기의 경험에 따라 씨게이트냐 웬디냐 다 갈리게 됩니다. ㅎㅎ 딸깍거리는건 전원부족 문제나 외장하드와 usb인터페이스를 연결해주는 컨트롤러 문제일 수도 있겠네요.
외장하드선 usb 꼽는 선이 두 갈래로 나온 Y케이블로 전원보조 해주면 작동 될 수 있습니다. sata하드의 경우 제 것도 한개만 끼우면 딸깍 거리네요. 두개 끼우면 정상 작동 합니다.
영상잘보고가요
오래된 영상이네여~~ 하드 복사속도는 아마도 버퍼용량에 영향을 받을거에용
하핳 저랑 같은 파워시네요! 저는 불량이 와서 연타로 은 파워시네요! 저는 불량이 와서 RMA보냈는데 또 불량이 왔었죠... 지금은 잘쓰고 있지만요~
09년도에 구입한 1테라 하드디스크 돌아가시지도 않고 지금도 살아계십니다.. 케바케인듯 합니다 ㅋㅋ
저 대딩 때 256메가 집드라이브 들고 학교 가니 애들이 신문물이라며 막 구경하곤 했지요.
교수조차 이제 256메가가 나오냐며 신기해하던 그 시절... 배추도사 무도사~~ 그게 20여년 전이네요.
그 때 256메가 집드라이브가 10만원 정도 했던 것 같아요. 요즘 10만원이면 8테라도 살 수 있다고 하더군요.
겨우 20년만에 200메가 좀 넘던 하드가 지금은 8테라, 30테라까지 나오다니... 5만배 10만배 넘는 용량 변화네요.
한 10년 후에는 페타급의 하드가 나오지 않을까 싶네요.
아 구독부터 일단 누르고 저렇게 삽질해야 진정한 리뷰죠 ㅎㅎㅎ케이블 모아놓은거 진짜 공감...
키보드 변환부터 파워변환 심지어 usb포트부터 ㅋㅋㅋ다 있어야함 무슨 상황이 발생할지가...
저도 wd에 안좋은 감정에 시게이트만 3테라 3개 2테라 3 1테라 2...진짜 재수없으면 저러니
같은 자료를 다 몇개로 복사해놓는다는;;;이번 wd ssd올만에 샀는데...얼마나 버틸지가...
2테라 웬디를 지금 버리지 못하고 아직도 갖고 있다는;;;;재료만 백업하고 방치하고 2년 지난거라
사용하다 고장났으면 as라도 보냈으련만...미치는거죠;;;ㅋ
저 파워문제에 대해서 좀 설명을 해보자면, 3번핀이 최신 SATA 파워규격에서 PWDIS 핀으로 바뀌었기 때문입니다. 용도는 컨크롤러에서 하드 드라이브에 문제가 발생했을 시 컴퓨터 전원을 내리지 않고 하드드라이브를 하드리셋이 가능하게 하기 위함입니다. 하드 드라이브의 컨트롤러 자체를 리셋해버리는게 가능하다는거죠. 1번과 2번 핀은 기존 그대로 3.3V 공급용핀으로 쓰입니다. 제가 아는한 현재 나오는 데스크탑용 파워는 전부 혹은 거의 전부 1,2,3번 핀에 모두 3.3V 전원을 공급하기 때문에 해당 하드 드라이브와 호환이 되지 않습니다. 3번핀이 없이 나와야 하는데 그렇게 된걸 본적이 없네요.
그리고 저 하드에 있는 PWDIS 기능도 일반 데스크탑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전원핀이 백프레인에 연결되어 있는 일부 NAS 나 서버 외장하드 컨트롤러 정도에서만 가능하지요.
저는 3번핀에 캡톤테이프 붇이는 방법으로 해결했습니다. (10TB 화이트 라벨) 어뎁터를 사용할수도 있지만, 저같은경우에는 선이 좀 지저분해지는 문제가 있어서..
아마존 구매를 하기 위해서..유튜브를 한다 ㅋㅋㅋ 매번 잘 보고 갑니다
바라쿠다 2테라, 웬디 블루 2테라를 다 써보았지만 아직 하드가 죽은적은 없습니다만 하드에서 덜그럭거리는 소리는 웬디에서 지속적으로 납니다. 하드이고 제대로 사타 전원 직결해서 쓰고있긴 하지만 이 영상 보니 갑자기 불길하군요. 이미 시게이트 하드가 메인이긴 하지만요.
저도 외장하드 2~3개 정도 구매한 지 한 달도 안 돼서 같은 증상으로 데이터 여럿 날려 먹었는데
문의 해보니까 컴퓨터 본체 전면 포트에 연결해서 그렇다고 하네요.
틱틱 소리 들리는 게 전압 부족 때문이라는데 전면 포트 쪽은 전압이 적절하게 공급 안 될 때가 많다고 합니다.
전압 부족으로 논리적, 물리적 고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니까 가급적 뒷면 포트 쪽으로 아니면 보조전원이라도 같이 연결해줘야한다고
하던데 이후 구매한 외장하드들은 뒷면 포트에 연결해서 사용하고 있고 현재까지 고장 없이 잘 쓰고 있습니다.
이 댓글 없으면 달려고 했는데 아니나 다를까 좋은 댓글이 있었네요!! ㅎㅎ
아하 가급적 메인보드에 직접 연결하는게 좋을거같네요. 감사합니다.
@@playsin 이걸 그때 당시에 아셨다면,,,,,,
정말 감사합니다!!! 같은모델 10테라 외장하드를 그냥 쓰고 있었는데 플레이신님 덕분에 뜯어내서 본체에 안착시켰어요!!! 콘센트 하나 줄어드니 정말 행복하네요 ㅠㅠㅠ 정말로 감사합니다!!!
잘보고가용
공구 노란색 손잡이 드라이버 어느 제품 인가요 ?? 필요해서 ㅎ 어디서 구매하셨는지 가르쳐주세요 가격도 ^^
엄청 유용한 정보네요
크리스탈디스크인포 로 보니까 하드온도가 수시로 50도 이상 올라가곤 하는데 다른분들은 문제없이 쓰고 계신지....
가지고 있는 WD제품 중 발열로는 최강입니다. 뜨끈뜨근 온풍나오네요.
웨스턴디지털 hdd를 싫어하는 이유가 뭔가요? 저도 hdd를 좀 사용해야하는데 ㅎㅎㅎ
혹시 내장에도 꼽아보셨나요? 3.0에서도 전원부족으로 헤드가 딸깍거릴 정도면 내장으로 직접 연결하면 살릴수 있을지도....?
외장하드 패는거 재밌네요 ㅎㅎ..
저도 이번에 폰에 있던 마이크로 sd카드가 뻑이나서 작동이 안되고 있기 때문에 짜증나네요
850 P2의 파워 케이블을 제거 하시는 이유가 있나요? 어차피 같은 회사라서 호환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같은 회사도 호환이 안되는 건가요? ㅎㅎ
잘보고갑니다. 13:35 그래픽카드에 수냉을 따로달으신건가요? 키트가 있다면 이름좀 알고싶습니다
아틱 엑셀레로 하이프리드3 120 입니다
흠...외장케이스가 고장이 났을수도 저도 사은품으로 받아서 잘 쓰던 엘지외장하드가 고장났는데 혹시나 해서 분해해서 데스크탑에 꽂으니 잘 되더란....외장하드 케이스 구입해서 잘 쓰고 있습니다. ^^;증상이 딸깍 딸깍 딱 저런 상황이였죠...조카꺼도 그런증상이라 분해해서 했는데 그건 케이스와 하드 둘다 고장이였...혹시 모르니 분해해서 데탑에 물려보시는것이...오래되어서 버리셨을려나...ㅋㅋ
근데 5까지는 포켓형으로 깔끔하게 나오다가 6기가 이후부터 본체형 비슷하게 껍데기가 크게 나오는 이유가 있나요??
제가 전자제품덕후라(3d프린터 전시장가서 8시간동안 구경만 한적있는 덕후)이런게 매우 맘에 듭니다 더욱더 통장을 털어서 리뷰를...하앍
이동시 충격이 가해진것 아닌가요?
물리적인 충격으로 헤드가 고정된거같네요 먼지없는 클린룸에서 뚜껑 따서 헤드 정상위치로 돌려주심 될겁니다
이게 적출해서 사용하는게 가성비로 싸게 용량은 크게 쓸수 있어서 적출해서 사용하는 건가요?
외장하드 연결하고 안전하게 장치제거를 하고 외장하드를 빼야 되는데 혹시 안하시고 외장하드를 usb에 빼신거 아닌가요??
안하시고 빼시면 하드 고장이 잘납니다...
저도 이런 일이있었는데 usb 보드 부분이 고장이 났더군요 안쪽의 하드 분해후 세타케이블연결해보시는게 어떠실지 싶네요
초기 외장하드가 작게만들긴했지만 전력소모가 커서 문제가 많긴햇죠. 요즘엔 저전력이라 그런지 이런문제없는데요.. 시기가 안좋앗던듯합니다 ㅎㅎ.
저도 wd하드 몇번 날리고 rma받고도 또 망가졌어요 1.5,2테라 제품이 그런게 많아서 히타치만 최대한 삽니다. 그래도 8tb 는 wd로 샀어요 ㅋㅋ 그리고 파워컨넥터에서 3.3v 단자를 빼고 전기테이프로 절연하고 쓰면되지요. 파워가 사실 신형 구형 구분이없어요. 우리가사용하는 전원 아답터 사용하면 알죠. 전기가 신형 구형 구별이 있나요? 그냥 같은건데 단자배열차이정도죠.
아니 1000W 티타늄 파워는 언제 지르셨대요ㅋㅋㅋㅋㅋ
하드 리뷰가 아니라 파워 리뷰 잘봤습니다ㅋㅋㅋ
파워 리뷰를 위한 큰 그림이네요;
이지스토어는 도전 안 해보셨나요?
결론은, SATA - IDE 변환케이블을 사용하면 된다는 것이네요. 파워 상관없이.....
외장하드에 있는 자료가 무엇이길래 ㅎㅎ...
아직도 안버리시나요
아마도 으흠...
8TB도 부족함 으흠..
우리 노모가 ㅠㅠ
나의 소중한 직박구리속의
직캠. 님들 뭔생각하고 자세하보기 누름?
미국 여자가 춤추는 영상 ㅋㅋㄱㅋㄱㅋ
화이트나 레드나 큰 차이는 없더라구요
전원핀 1~3을 캡톤테이프로 막아야 한다는 귀찮은점 빼놓고는요
양심 갈아먹은 smr 시게이트는 안쓰는게 답입니다. 그렇다고 가격이 싼것도 아니고
HDD에서 기록 방식이란,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식의 기술을 의미합니다. 이는 플래터(Disc)에 자성이 기록되는 방향(LMR, PMR)과 데이터가 기록되는 트랙을 사용하는 방식(CMR, SMR)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흔히 PMR과 SMR을 대비되는 개념으로 혼동하지만, 사실은 LMR과 PMR이 대비되는 개념이며, CMR과 SMR이 대비되는 개념입니다. 최근 출시되는 하드디스크는 모두 PMR 방식이며, 따라서 CMR(PMR)인지, SMR(PMR) 인지로 구분해야 합니다. 출처: 다나와 용어사전
혹시 1.5테라? 외장하드가 다른 컴에서도 똑같은 양상인가요? 제가 사용하던 외장하드가 컴퓨터 전력(usb포트에 다른것을 많이 꽂았을때 파워의 전력)이 모자르면 저런소리와 함께 하드를 읽지 못하더라구요. 컴퓨터 파워의 전력이 모자른게 아닌지 란 생각을 하게되어 댓글남겨봅니다. 또한 전력이 모자른 상태로 usb에 자주 꽂으면 망가진다합니다.
---------------------------------------------
영상보다가 댓글달았는데 영상을 다보니 제가 갠히 댓글단거 같단 생각이 드네요..그래도 혹시나 하고 댓글은 남겨놓을께요. 컴알못이라.....혹시 잘못된 댓글이면 죄송합니다.
목소리만 들었을때는 20대 중반쯤으로 추측했는데, 생각보다 나이가 있으시네요.
옵테인 메모리 사용해보시는거 어떠세요??
이 영상을 보고 저도 WD 8TB를 기다리는 중입니다
저도 웬디샀다 1년만에 뻑나서 에잇 시게 갔는데 시게이트 가도 수명은 얼추 비슷하더군요 역시 인생은 뽑기운
이런 영상 너무 감사드립니다ㅠㅠ
15:52 지금은 하드 수평으로 놓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