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름켜=형성층이라 하고 수목은 목질(변재와 심재)부분과 표피부분 사이에 0.2미리 두께층의 형성층이 있고 그 사이를 두고 표피부분방향의 스펀지 형태의 체관과 나무 나이테 외곽 변재부분의 물관이 있다고 다른 유투브에서 말하더군요. 형성층을 맞춰서 접목하라기에 보이지 않아 판단할 수 없는 부분을 각기 대목과 접수 부위를 찾아 접목하나 해서 참 어렵겠다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선생님께서는 물관과 체관을 일반적인 형성층이라 하시네요.
배나무, 사과, 넝쿨 식물은 부름켜층이 두꺼워 45도 드릴링으로 가능하지만, 감나무는 구멍을 위에서 밑으로 대목 표면을 비스듬히 길게 뚫어야 접목부위가 넓어 활착이 잘됩니다. 감나무를 45도 중심을 향해 대목을 뚫어면 실제로 부름켜 면적이 너무 적어 접목성공율이 많이 떨어집니다. 외국의 자료를 참고하세요~
드릴접으로 체리나무를 했는데 접수에서 싹이 크다가 죽었습니다
왜그런지 좀 알려 주세요
부름켜=형성층이라 하고
수목은 목질(변재와 심재)부분과 표피부분 사이에 0.2미리 두께층의 형성층이 있고 그 사이를 두고 표피부분방향의 스펀지 형태의 체관과 나무 나이테 외곽
변재부분의 물관이 있다고 다른 유투브에서 말하더군요.
형성층을 맞춰서 접목하라기에 보이지 않아 판단할 수 없는 부분을 각기 대목과 접수 부위를 찾아 접목하나 해서
참 어렵겠다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선생님께서는 물관과 체관을 일반적인 형성층이라 하시네요.
배나무, 사과, 넝쿨 식물은 부름켜층이 두꺼워 45도 드릴링으로 가능하지만, 감나무는 구멍을 위에서 밑으로 대목 표면을 비스듬히 길게 뚫어야 접목부위가 넓어 활착이 잘됩니다. 감나무를 45도 중심을 향해 대목을 뚫어면 실제로 부름켜 면적이 너무 적어 접목성공율이 많이 떨어집니다. 외국의 자료를 참고하세요~
밤나무 새싹이 나온 4월중순, 접목 가능해요
포도나무 갱신하려고 하는데 5월중순인데 좀 늦었을까요?
화질이 선명해서 잘 이해할수 있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과연 성공 확율이 얼마나 되는지 궁금합니다
작년에 한것이 잘 살았나요.
일반 실리콘이 아니죠?
잘 보고갑니다.
감사합니다^-^
시청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