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만약 블랙홀에 빨려 들어가면 어떻게 될까요? (4분순삭)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0 лют 2025
- #블랙홀 #블랙홀크기 #지식
안녕하세요 만약 유튜버 고구마머리입니다!
블랙홀에 관련된 내용으로 가져왔습니다! 약간 병맛(?)이 있을 순 있지만 그저 즐거움 요소로 넣었으니 재밌게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만약'이라는 말에는 큰 힘이 담겨있습니다. '만약'은 인류역사에 있어서 수많은 이론과 발견의 불을 붙인 불꽃입니다. 인간이 밝혀낸 대부분의 것들은 “만약 그랬다면 어떻게 될까?”라고 스스로 물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들이었습니다. 우리가 당연하다고 생각했던 것들을 '만약'을 통해서 새로운 관점을 얻고 상상력을 높여보는건 어떨까요?
진짜 우주생각하면 머리가 띵해짐
머리가 띵 머리가띵 하게 차거
green Pig 머리가 띵 아기상어
머리가 띵~!
우주의 크기가 얼마나 되는지 우주에는 얼마나 많은 은하와 또 아직까지 우리가 발견하지 못한 또 다른 물질이 있는지 알 수 없는게
우주입니다. 우주는 100년이 지나도 절대 해부할 수 없는 미스테리한 존재로 남을 겁니다.
머리가 띵하게차가워 불도저 같이 쓸어담어
근데 이런거는 사람이 어떻게 알아내는 건지 궁금하다
천재들은 참..
@@user-ce9yx9sp2d ㅋㅋㅋ
ㅋㅋ
내가 블랙홀 들어가볼게
확인안해봤으니 그냥 대충둘러 대요.
왜요 모르니까
근데 운이ㅈㄴ좋거나 특수장비 덕분에 끝까지 간다면 뭐가 나올까? 진짜 이거는 초등학교 3학년때 블랙홀이 있다는걸 알고나서부터 궁금했음... 과학쌤한테 물어보면 쓸데없는 소리하지말라고하고
초3때부터 관심가지고 궁금해하는거 보고 기특해 할수도 있을텐데 과학쌤이 그런소리하시는건 좀 의외네유
??? : 화이트홀로 나와요! 이지랄
@@VacuumPepE_ 학생. 글내려.
@@폰잘알-f9x 엌ㅋㅋㅋㅋㅋ
선생님께서 모르셔서 그런가..
굳이 의지를 가지고 뛰어들지 않아도 저절로 빨려들어가는 블랙홀 ㅋㅋ
그나저나 우주복입은 고구마 왤케 귀여운 건가요 ㅋㅋ
끌어댕겼다가, 수추기켰다가, 찢어버렸다가 아주 할건 다하는 블랙홀일세.
스티븐 호킹횽님이 특이점 이야기할때 진짜 멋졌는데 ..
고구마에 치즈발린 듯 ㅋㅋㅋ
i know I'm pretty randomly asking but do anyone know of a good site to watch newly released tv shows online ?
@@maysonnehemiah8397 저 영어 잘 몰라요
@@maysonnehemiah8397 .... Netflix?
@@하늘이-w9r 번역기돌려~
우주 생각만하면 갑자기 엄청 복잡하면서 신비로우면서 멍해짐
ㅇㅈㅇㅈ
ㅇㅈ..
✨우주 전체크기 = 축구장2배(축소 가정) // ✨우리은하 = 1mm
✨우리은하 = 지구크기(확대 가정)// ✨태양 = 현미경으로 0.01mm // ✨지구 = 0.0001mm
✨태양계 = 여의도절반크기 // ✨태양 = 주먹크기 // ✨목성 = 구슬 // ✨지구 = 모래알
ㅇㅈ..
ㅇㅈㅋ
한단어 요약: 사망
ㄴㄴ 이론상가능 현제 우리가 원자를 재결합하는 기술이있다면 다시살려낼수있어요 근데 그이후가문제
너굴맨 살려도..... 문제....죠
@@tjwndms5080 근데 뇌가 산소가 공급이 안되서 죽을수도
社亡
장희숙 사망
0:48 〰〰〰〰블랙호오올〰〰〰〰
3:02 〰〰〰〰치〰즈〰〰〰〰
3:33 〰〰〰〰중력특이점~〰〰〰〰
좋아요가 없네
나도 안눌러야징
이거 이어폰으로 듣다가 소름이...
뭔가 깨네요
이거진짜 ㅈ같아요 제작자님 졸면서보는데 소름돋고 놀람;;; 이런거하지마셈 재미없음
@@김홍-h2k 인정
우주에 관한건 항상 의문이 드는게...
진짜일까? 아님 가설일까?
보통 가설이 많아요
수학적 물리학적으로 예측하고 다시 가설을 세운 뒤에 실제로 관측을 합니다
불과 백년전만해도 지구가 둥근지 어쩐지 태양계행성도 있는지조차 몰랐습니다 큰맥락은 전부가설입니다 빅뱅이론도가설이고 우주의 크기나이 전부다 가설입니다
가설이 시작하고 관측 돼거나 증명돼는게 보통이죠
백퍼 가설임 대신 최대한 확률이 높은 가설을 만들었겠지만
영상에선 재밌게 말해서 그렇치
실제론 무서울꺼 같다
화이트홀은 가설일뿐 사실상
이영상 이론이 제일 가능성 높아보이긴함
@@Clssksl12 오 그럼 블랙홀에 사람이 들어가면 죽는다는 것도 사람이 진짜로 들어가본건가요? 무서버라
@@ChewPika-f1t 블랙홀이 중력이 강하기 때문에 만약에 들어가게 된다면
(스파게티화) 몸이 스파게티처럼 느러나는 현상
이 나타날 것입니다. 그리고 몸이 중력의 의해
납작해지며 몸이 산산조각 날것.
와.. 진짜 너무 신기하다.. 이런 과학적인 영상 너무 좋음..
저도여~!
근데 사람의 눈은 빛을 이용해 사물을 보는데
빛까지 빨아들이면
우리는 블랙홀에 들어가도 들어간줄 모릅니다
빛이있어야 보는데 빛이 없거든요
어머
@@mewmeov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들어간지도 모르고들어가면 거기서 시간이 뭠추니 디진지도 모르고 디지는 블랙홀 클라쓰
@@feel294 ???:넌 자신이 죽은지도 모른다
우리몸을 봣을때 흐물흐물한다면 블랙홀에 온걸 알수잇어요
진짜 인류는 대단한 것 같다... 우주로 가는 우주비행선도 만들고 핸드폰을 만들고...
이것이 발명
블랙홀....
핸드폰은 갤럭시? ㅋㅋㅋ
와 진짜 근지러운 곳 ㅔ 제대로 긁어주시네여 항상 블랙홀 들어가면 어떻게 되는지 궁근해서 찾아보면 찢긴다는 소리밖에 없었는데 관찰자 입장에서 보면 멈춰보일 거라던가 까맨지ㅣ는 그런 것들은 처음 들었어요 넘ㅁ무너무 흥미롭고 사이다예요
3:02 아 형 깜짝 놀랐잖아
치이이~즈~
나만 놀란게 아니구나
@@FOCUS_1-Dylan 님 댓글에 또 댓글단사람이 아무도 없는데 시비털지마세요
@@FOCUS_1-Dylan 알았으면 됐어요 뭐라 말해서 죄송해요
@@FOCUS_1-Dylan 님 친구임?
고구마에 빨려들어간 블랙홀머리..😍
다좋은데요...제가 참 고구마님 영상잘보고있는데요..중간중간에 소리지는것도아니고 나름이팩트있게 말씀하신다고 하시는것같은데...그거진짜..중간에 깜짝놀래요...진심으로 별로라는말입니다..
울겠어요..
공갬..
ㅇㅈㅇㅈㅇㅈㅇㅈ
전 재밌던데ㅎㅎ
ㅇㅈ
중간중간에 힘줘서 이야기하는 부분(?) 무서워욬ㅋㅋㅋㅋㅋㅋ ㅠ.ㅠ 깜놀했어욬ㅋㅋㅋ 근데 단어가 잊히진 않아요..귀에 쏙 들어오는 장점이 ㅋㅋ
근처만 가도 진작에 머리랑 발 끝의 중력차이로 이미 분자단위로 찢어지겠지만
만약 버틴다고 치면 특이점에 도달하는 내내 가장 아름다운 광경을 볼 것임.
나랑 비슷한 속도로 빛들도 같이 떨어지니까
어둡진 않을거라고 생각함
나와 별개의 존재였던 빛조차도 나와 같은 운명이 되어가는 거라서, 빛한테 측은한 마음이 들듯...
2:30소름..
블랙홀의 질량이 태양질량의 무려 65억배인데 그게 고작 태양만하다구요...? 절대 그럴리가 없어요.
태양질량 65억배 수준이면 태양권계면 반경 (대략 121AU=180억km) 보다 약 10억 킬로미터 큰 190억km 정도의 반경을 가진 초거대형 블랙홀입니다.
블랙홀은 타 항성들처럼 밀도를 가진 천체가 아니라 특이점에 몰린 엄청난 질량이 주변 시공간을 왜곡시켜서 질량에 비례해 특이점부터 사건의 지평선까지 거리이자 블랙홀의 반지름인 슈바르츠실트 반경이 커집니다.
그리고 그 비례정도는 일반적인 부피를 가진 천체와는 전혀 다릅니다. 소형 블랙홀에서는 어느정도 들어맞지만 초거대질량 블랙홀에서는 전혀 안 맞아요.
이 부분을 수정해주셨으면 하네요.
은하계의 신비...👏👏👏
살면서 항상 궁금했던 내용이에요😊감사합니다
이 채널이 블랙홀처럼 내 시간을 잡아먹는군
졸면서 보다가 중간중간에 급발진하셔서
잠깨ㅛ어요..................ㅎ ㅏ내 심장
솔직히 블랙홀이 다른 미지의 공간으로 이동하는 출구라는 생각이 듦. 마치 심해 물고기들은 바다가 세상 전부일거라 생각하고 그 바깥의 세상에 나가면 무조건 죽는 것이라고 생각하듯.
ㅋㅋㅋ그럼 가보든가
정현수 ㅋㅋㅋ 어케요?
그러게요 블랙홀은 시간 단축능력이있다고들었고 아주무수한능력이있습니다 마치 롤 심해가 챌린저를 바라보듯말이죠
그래서 ㄹㅇ로 블랙홀 가면 뒤짐
블랙홀을 가기전에 우리는 그전에 압 때문에 죽는걸로 알고있습니다
3:02 치즈~~~~~~~~~~~~
이제 자야지..
유튜브: 블랙홀에 빠지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하지않니?
@@박지훈-s7g 번개처럼 나타났다기엔 존나게 느린데여
아..어지간 댓글 내리면 항상 보이네
나:응 죽엌ㅋㅋㅋ
그러다가 보고나서 무서워서 잠못잠ㅋㅋㅋ
예전부터 알고리즘 충이있었구나
최초의 블랙홀 사진은 촛점이 안맞은건가요? 아님 그냥 그렇게 생긴건가요?
중간중간 소리 너무시끄럽
ㅇㅈ 갑자기 훅들어와서 별로임
@@cyc24 왜 그럼 그래도 저분은 노력하시는건데...ㅠ
집중해서 잘 보고있는데 소리도 특이점~~~이런식으로 말해가지거 이상한데다가 소리도 커져서 밤에 보고있는 나같은 사람들은 짜증날수밖에없음.. 첨에 이런 재밋고 신비로운 주제로 잘 영상한다해서 바로 구독했는데 중간에 이런거 나와가지고 취소할까 고민 엄~~~#청많이함 또하면 바로 취소각..
솔직히 좀 심각하게 걸리적거리기는 함... ㄹㅇ 구독취소 각
시끄러운거ㅇㅈ 드립인지 웃기려는진 모르지만 구독취소하고싶게 만듦
궁금한것이 생겼습니다.
지구중심을 지나 반대쪽 끝으로 터널을 파서 사람이 떨어지면 사람의 키가 늘어나나요 줄어드나요?
초속 30만km의 속력으로 움직이는 물체를 사진으로 남겼을때 프레임간의 간격이 30만분의 1초라면 사진속의 물체의 길이가 프레임당 1km가 되며 늘어나보이겠지만 프레임의 간격을 훨씬 더 작게 나누게 되면 각 프레임에는 물체의 형태가 유지된 상태로 남겨지게 됩니다.
블랙홀로 빨려들어간후 특이점에 가까워질수록 몸이 찢겨져 나간다고 하셨는데... 시간이 무한대로 늘어나게 되므로 형태는 유지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블랙홀 중력이 무한대여서 시공간이 늘어난다는것에는 같은 생각이신건데... 블랙홀의 중력장내로 들어간 물체역시 블랙홀의 시공간에서 생각하여야 하는데 블랙홀밖의 영역의 시공간을 적용시켜 물체가 찢겨진다.라고 이야기한건 오류인거 같습니다. 한없이 늘어나 찢겨지는거처럼 보인다가 오히려 맞는 이야기 아닐까요?
미래에 가능하다면, 안락사로 이용해도 될듯..고통없이 한방이네..
안락사 한번 비용 겁나많이 들듯ㅋㅋㅋㅋ
고작 자살 한다고 굳이 비싼 우주선을 타고 갈일이 ㅋㅋㅋ
한번에 여러명태우면..
그냥 질소나 이산화탄소가 가득찬 방에 들어가면 졸린체로 죽습니다 가장 편안하게 죽는 방법중 하나죠
@@mintcool9499 아니 자살하는 사람이 시신회수에 뭔 관심을 갖겠냐..
그만큼 자기 인내심의 한계가 넘어버린걸텐데 뭔 시신회수 따위를 신경쓰고있어..
집중하고보는데 갑자기 찢긴다느니 치즈니 특이점이니 하이톤으로 놀래키는데 집중도 흐려지고 저녁에 보는데 간떨어질뻔 했어요...계속 반복될줄도모르고 참고보다가 멈추고 댓달아요 목소리도 좋으시고 주제도 좋은데 ㅠㅠ 이런건 좀 차분하게 설명해주시면 어떨까 합니다 차분한 톤으로도 유머잇게 진행할수있잖아요ㅠ
추천 영상에 떠서 하나 봤는데 다음 영상도 궁금하고 그 다음 영상도 궁금해서 계속 보게 됨ㅋㅋㅋㅋㅋ
너무 재미있고 흥미로운 이야기네요 그런데 개인적으로 중간에 특이점~~ 막 이러는 소리 안 넣으시면 더 좋은 영상이 될 것 같습니다 조금 너무 뜬금없이 나와서 보다가 깜짝 깜짝 놀라게 되네요 평범한 목소리로 나레이션 해 주시는 게 더 보기 좋을 거 같아요 유익한 영상 잘 봤습니다
영상을 보면서 의문이 들었는데, 블랙홀이 순수한 진공상태라고 한다면 관측자(상호관계하는 무언가)가 없을때에는 물질이 입자상태로 존재하지않고 파동상태가 된다라는 이야기처럼 우리 몸을 구성하는 물질들이 파동의 형태로 변환되는것은 아닌가요?
고구마 캐릭터 저작권 등록해두세요 너무 귀엽네요
3:33 엄마 이 고구마 머리 무서워 ㄷㄷㄷ
고구마님 미나의 블랙홀에 한번 빨려들어가보시라요?
3:01 아 ㅆ 깜짝이야..
3:31 진짜 왜 그러세요 ㅜㅠㅠ
시작할때 고구마머리가 너무 재미있어요
블랙홀 밖에서 바라봤을 때의 모습 너무 신기해요!!!
고구마머리~~ 인트로 들음 기분이 좋아져요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이야기도 재밌어염
3:03 어우씨 깜짝이야
저도 깜짝놀랐어요..ㅋㅍㅋㅍㅋㅎㅋ
@@혜인-u5r 엄살부리지마
@@다린이-i4v 깜짝놀랐으니깐 깜짝 놀랐다구하징ㅋㅋㅋ 안 놀랐으면 내가 굳이 이 댓글에 대댓글 달겠어요?
그렇군요. 잘알려주셔서 감사해요
저는 블랙홀 끼리 합쳐질때 그 과정이 어떻게 되는지 너무 궁금하네요.
그냥 생각하면 '부딪히고 합쳐진다 끝' 이지만 지구와 달이 서로에게 중력으로 영향을 주듯이 블랙홀들도 부딪히기 전에 서로에게 영향을 줄텐데 그 영향의 결과가 어떨지 궁금하며 합쳐지는 과정도 너무 궁금하네요.
다 보고나니 치즈~~ ㅋㅋ 이 말이 제일 기억에 남는 ㅎㅎㅎ 재밌네요👍
만약 모든 과정을 견디게 된다면 진짜 어떻게 될까 진짜 궁금하다
모든과정이라면 원자단위로 분해되는 부분까지 무시하고 온전하게 들어갔다는 뜻?
개무식 ㅋㅋ
@@멍멍이-p3o 닉값 제대로 하넼ㅋㅋㅋ 좀 짖지좀 마라
상상이 안가네요
티타늄이나 비브라늄도 0.1프레임 채도 안되서 원자단위로 쪼개는 놈인데 사람이 버틸수가...
사건의 지평선 직전까지라도 버틴다면 빨려들어가는 우주비행사의 입장에서 외부를 봤을때 우주가 초고속으로 망하는 모습을 볼 수 있을겁니다.
강한 중력으로 시공간의 왜곡이 일어나 시간이 무한대로 수렴하기때문
0:48 블랙홀
3:01 치즈
3:33 중력특이점
호불호 갈리는 부분
이거 너무 싫어서 다시는 이 채널 안보려구요ㅡㅡ
그러면 블랙홀이 빛보다 빠르니깐 잘만 활용하면 시간여행도 할 수 있어요??
가까이 가면 빨려들어가는데 어떻게 이용을 할까요,?
딴 소리지만 블랙홀의 중력을 이용해 빨려 들어가지 않을정도의 거리만 유지한다면 중력가속도를 이용해 우주전함의 속도를 에너지없이 올리게하는 가속방법도 있습니다. 상상도 할수 없을정도로 수준 높은 우주항해기술이 필요하겠죠 우주전함이 생기고도 수백수천세대는 넘어야 가능할일일겁니다.
@@리사수-b4m 스윙바이 항법임. 블랙홀 까진 아니여도 태양계 행성들을 이용해서 자주 씀
그래서 블랙홀을 이용한 공간도약인 차원도약이나 워프 / 텔레포트를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블랙홀을 중간 단계로만 봐야 합니다. 원하는 지점으로 워프를 하려면 A지점의 시공간과 B지점의 시공간을 블랙홀의 힘으로 연결 시켜 순간적으로 그 틈을 이동해야 성공합니다 만약 그렇지 못하고 블랙홀 자체로 이동해 버릴 경우 믹서기에 갈리듯이 분자단위로 갈려 죽게 됩니다.
시간여행도 이와 같은 방법으로 가는데 특이점은 공간이동시에는 A와 B공간과 동일한 시간대였다면 시간여행은 동일한 공간에서의 시간 지점을 찾아서 연결해야 하는데 그 연결할 시간지점의 중계기 설치가 불가능 하므로 실제론 과거 여행은 거의 불가능합니다.
쉽게 이야기해서 시간여향은 2200년의 시간대 서울에 시공간을 감지할 중계기를 설치하고 미래인 2205년 서울에 중계기로 시간지점을 포착하여 이동하면 2200년에서 미래인 2205년으로 갈수 있고 반대로 2205년에서 2200년으로 갈수 있습니다.
다만 중계기가 설치되지 않은 시간대로는 이동이 불가능 하므로 아주 옜날로는 갈수 없습니다.
아주 옛날의 시공간의 좌표를 미래에서 포착할 방법이 현실적으로 없기 때문입니다.
이는그래서 블랙홀을 이용한 공간도약인 차원도약이나 워프 / 텔레포트를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블랙홀을 중간 단계로만 봐야 합니다. 원하는 지점으로 워프를 하려면 A지점의 시공간과 B지점의 시공간을 블랙홀의 힘으로 연결 시켜 순간적으로 그 틈을 이동해야 성공합니다 만약 그렇지 못하고 블랙홀 자체로 이동해 버릴 경우 믹서기에 갈리듯이 분자단위로 갈려 죽게 됩니다.
-- 유명한 착각 및 오류 --- (특수상대성 이론의 현상이라고 본 하필 키팅 실험은 그저 가속도에 의한 시계 고장현상)
이런 현실을 부정하고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을 잘못 배운 일부사람은 속도가 빨라지면 시간여행이 가능하다는
치명적인 오류인 착각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필 키팅실험이라는 1971년 실험이 대표적인데
실험 내용은
원자 시계 총 8개를 만든 후 그중의 반인 4개는 지상에 나머지 4개는 비행기에 싫어 세계를 여행을 하게 한 뒤
서로의 시간을 비교하는 간단한 실험이죠.
실험 결과 비행기에 설치된 시계가 더 느려졌습니다.
이걸 보고 속도가 빨라지면 시간이 느려진다고 믿는 경향이 생겼는데
이는 기본 물리학을 간과했기 때문에 이러난 치명적인 오류에 불가합니다.
우리는 지상에서 우주로 로켓을 타고 갈때 60kg인 사람이 10배 중력에 의하여 600kg으로 변하는 현상을 알고 있습니다.
이와 마찬가지 현상이 원자 시계건 일반 시계건 그대로 적용이 됩니다.
시계는 1초의 정확한 움직을 위해서 반드시 선행 조건으로 시계에 어떠한 힘과 충격이 가해지지 않아야 합니다.
시계의 1초 초침이 움직이기 위해서는 1초 초침의 무게와 (질량 아님)시계의 운동에너지와 저항값을 합산하여 정확히 1초에 1번 움직이게 힘의 평형을 통한 시간을 제는 기계가 시계입니다.
[[ ex : 1초는 초침의 질량을 건전지의 출력으로 나눈 후 기계동작 1칸 움직임을 위한 10N의 힘을 받을 때 저항 10이라고 가정했을때 정확히 1초에 1칸 움직인다.
(초침 무게 = 건전지의 힘 ÷ 초침 질량)
(초침의 질량 ÷ 건전지 출력) × 움직이는데 필요한 힘 ÷ 기타 잡다한 기계적 및 공기저항 = 1
(초침의 질량 10 ÷ 건전지 출력 10) × 10( 움직이는데 필요한 힘) ÷ 10(기타 잡다한 저항) = 1 = 1초에 1칸
(10 ÷ 10) × 10 ÷ 10 = 1
정상일 때~
그러나 중력가속도가 가해지면 초침은 20G이 된다고 가정하면 나머지 원동력인 10N의 힘도 동일하고 정항 10값도 동일하고 단지 초침만 중량이 증가한 것처럽 보이게 되면?
(초침의 질량 20 ÷ 건전지 출력 10 ) × 움직이는데 필요한 힘 10 ÷ 기타 잡다한 기계적 및 공기저항 10 = 2
(20 ÷ 10)×10÷10=2
2초에 1칸 움직여 마치 2초를 1초처럼 가게 되는 착시가 난다.
이렇듯 간단하게 원리가 설명되어 버린다.
건전지가 떨어진 시계가 시간이 변하는 것도 이 식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초침 10g 약이 떨어져 10N의 반인 5N 만큼만 저항값 10은 그대로
(초침의 질량 10 ÷ 건전지 출력5) × 움직이는데 필요한 힘 10 ÷ 기타 잡다한 기계적 및 공기저항 10 = 1
(10 ÷ 5)×10÷10= 2
이래서 약이 떨어지면 시계는 느려지는 것이다. ]]
따라서 비행기등에 태우면 가속도의 등으로 시계 초침의 무게는 변하게 되고 무거워진 초침은 그만큼 더 많은 파워가 있어야 정확히 1초에 1칸을 움직에게 되지만 실제 시계의 파워인 운동에너지량은 그대로이기 때문에 시계 초침으 무거워진 초침의 무게만큼 비례하여 움직이는 속도가 떨어지는 현상에 지나지 않지요.
해당 실험은 가속도에 의한 시계 초침 무게 변화에 따라 시계가 더이상 1초에 1칸을 못 움직이는 상태가 되어 버렷기 때문에
시간이 느려지는 현상에 지나지 않습니다.
이런 엉터리 실험을 억지로 특수상대성 이론에 끼워맞추는 것은 어불성설입니다.
특수상대성 이론에 대한 실험은 아직 이뤄지지 않았으며
특수 상대성 이론 관련 실험 관측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광속으로 날아야 하는 전제 조건이 있습니다.
PS - 광속이 아닌 곳에서는 특수상대성이론 현상이 나지 않는 이유는
이런 현상이 무시가 가능할 만큼 빛의 속도가 너무 빠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하필 키팅 실험은 특수상대성 이론을 증명하는 실험이라고 보면 안됩니다.
뭔가 이영상을 보니깐 블랙홀이 생명 같이 느껴져요 뭔가 소화하는 과정이랄까?
우리는 똥임?
블랙홀의 중심으로 갈수록 중력은 세지고 빛조차 빠져나갈수없는 사건의 지평선에서부터 모든 물체와 원자가 빛의속도로 빨려들어가니까.. 블랙홀의 사건의지평선 너머에는 빛보다 빠르게 움직이겠네요? .. 우주에 빛보다 빠른건 없다고했는데 먼가 말이 안돼여
질문이요!
1.시간이 정지했다면 기억은 자신이 본그순간이 반복되지 않을까요?
2.시간이 공간과 위치가 바뀌면 공간에의해 시간이 진행되기 때문에
위치가 갑자기 변화하지 않을까요?
1. 떨어지는 입장에서는 시간이 동일하게 흐는것으로 느껴집니다. 시간이 멈춘다는 표현은 바깥에서 블랙홀로 빨려들어가는 사람을 볼때 정지한것처럼 보인단 것일뿐, 떨어지는 입장에서는 시간의 흐름에 변화를 느끼지 못합니다.
2. 빛의 속도를 넘어서는 중력탈출속도를 가지고 움직이지 않는 한, 블랙홀로 빨려들어가는 상황 자체는 바뀌지 않습니다.
고구마 머리 너무 귀여워요( 7살아들부탁으로 댓글달았어요.^^ ♡♡♡ )
시간이 멈추면서 이동은 계속 할 수가 있는건가 애초에 시간이 멈춘다는게 뭐지 너무 어려운 것 같다
애초애 시간은 절대적이 아니에요 상대적입니다
시간이 멈춘다기 보다는 멈춘것처럼 보이는게 맞는거죠
평평한 천 위에 무거운 아령을 올려두면 아령이 올라가있는 부분은 아래로 푹 꺼지겠죠 그리고 같은 천위에 아무것도 올리지 않은채로 두 천 위에 구슬을 굴렸을때를 비교해 보면 첫번째는 아령근처로 가면 구슬이 아래로 떨어지면서 위에서 보면 구슬이 제자리에 멈춘 것 처럼 보일겁니다 하지만 두번째 구슬은 같은거리를 같은 속도로 움직이겠죠
쉽게 설명해서 블랙홀로 떨어진다는 것은 첫번째 상황과 비슷합니다.
블랙홀에 빨려들어가고 있으나 밖에서 보면 제자리에 멈춰있는것처럼 보이는거죠
우주정거장만 하더라도 지구에서의 시간과는 맞지 않게 아주 미세하게 느리게 가서 주기적으로 지구의 시간과 맞춘다고 하더라고요. 중력의 차이때문에
시간이 멈췃는데 나만 시간이 계속 흘러가는 거라고 보시면 될 듯.
@@L.S.W 블랙홀 죽으면 그냥 없어지는걸로 알고있습니다
블랙홀은 양자역학과 고대역학이 성립되지않는 새로운 개념인가요? 아니면 지금 설명하시는 이론은 기존 역학들로 추측한 가설인가요? 그냥 ‘그렇다’라고 하셔서 너무 먼얘기들같네요
치즈 할 때 진짜 개깜짝 놀랐네 ㅠㅠㅠㅠㅠ
블랙홀 할때도 놀람 공포가 따로 없음 ㅋ
ㅇㅈ
ㅇㅈ.. 개놀램.. 왜 이런 연출을 ㅠ
몰입도 ㄹㅇ 확 떨어짐 중간마다 무슨 이상한 연출하는거;
bill wurtz 채널의 history of the entire world, i guess 영상이 생각나네요.
블랙홀안에는 다른공간이있는건가요?
지나가던 이괍니다
블랙홀에 도착하면 사건의 지평성에서 몸이 원자 상태로 분리되어 붙어있게 됩니다
여기서 그 원자를 떼서 다시 붙이면 원래 상태가 되는지에 대한 의문이 들수 있는데 사건의 지평선에서 원자상태로 몸이 분리될 때 그 원자가 가지는 모든 정보가 사라지기 때문에 형태를 알아보기 힘들겁니다
계속 지나가겠습니다
사람은 모르지만 고구마는 아는구나... 역시 다르네...
3:02 아오.....시골닭 겁나 깜짝 놀랐네ㅠ
?
ㅋ
너무 재밌네요 ㅎㅎ
진짜 그 시간 이링 공간 역할이 바뀌는게 진짜 믿기함들고 신기하다..과학으론 설명이 힘들겟지..
시간이 멈춘다면서요. 시간이 멈췄는데 죽어요? 시간이 멈췄으면 그냥 스톱 상태 아닌가요 ? 멈췄는데 어떻게 치즈가 되나요
난 아무리 생각해도 시간이 멈춘다는 개념이 상상이 안간다.. 블랙홀로 들어가면서 속으로 초를 재면 시간이 가는거 아닌가...
와 이렇게 들으니또 다르네요
ㅇㅈ
저도 같은생각
본인한테는 시간이 멈춘다는 개념이 없지만 상대방이 볼때에는 시간이 멈춘거라 보이기 때문에..
시간이멈춘다는건 본인기준이아니라
완전 상대적인거임
그래서 사람이죽는데는 얼마나 걸리나요?
우주도끝이있나요????????????
우주는 지금 팽창하고 있답니다 계속 커지고 있어서 아직 까지는 끝이 없다고 표현하는게 맞겠네요!
우주에끝은 아마도없을겁니다.
2차원 존재인 그림자가 아무리 멀리 가봐야 2차원인 '면' 위이듯이, 3차원 존재인 사람들 입장에서는 아무리 멀리가봐야 우주라는 '공간'을 벗어날 수 없으므로 인간 입장에서는 우주의 끝이 없다고 보는게 타당할 것 같습니다. 다만 4차원 이상의 존재에게는 우주의 끝이 존재하겠죠. '공간'을 벗어난 존재니까요.
처음 관측된 블랙홀은 M87 입니다.
태양 질량 10배 가량의 항성은 블랙홀이 되지 못하고 중성자별이 됩니다.
단순 이론상으로 태양이 반지름 10km 가량으로 작아지면 블랙홀이 될 수 있으므로, 태양 10배 질량의 항성이 서울시만해지면 블랙홀이 된다는건 잘못된 계산입니다.
은하 전체와 맞먹는 에너지를 낸다는게 잘 이해는 안되지만, 그 정도 폭발을 일으키려면 보통 태양보다 수십만배에서 수백만배는 질량이 커야 합니다.
블랙홀 주변에 빨려 가는 동안에도 강착원반 부근의 어마어마한 속도와 양의 가스와 열에너지에 휩싸이게 되므로 아무일이 없을 수는 없습니다.
영상 재밌게 잘 보고 가는데 잘못된 사항이 몇개 있어서 말씀 드려요.
3:03 깜짝이야 ㅠㅠ
나중에 가능하면 블랙홀 안에 뭐가있는지 안에 들어가면 무슨일이 일어나는지 알려주실수있나요? 뭐 화이트홀이랑 연결된다던가..?
화이트홀 이론은 폐기됐고 호킹복사로 내보내는데 어려워서 영상으로 나올지는 모르겠네요
면적은 서울급인데 질량은 태양의 5배,빛까지 빨아드리는 속도 초속 30만km....대단하네
그것보다 더 대단한것은 시간. 공간까지 빨아들인다는게 더 신기하고 대단하다는것임
한마디로
뒤지지...않...을..까요..?
3:02 아씨 깜짝이야 집중하면서 보다가 식겁했다
그냥 인간의 추측일뿐 정확한건 아무도 모름
빛의속도보다빠른속도를가지면시간여행이가능하다던디
블랙홀에들어가면시간여행가능할지도 초속30만km이빛의속도인디중력이점점커져서더빨라질수도
그 전에 블랙홀의 중력을 견딜 우주선이 있어야 할텐데
@@o0o36 ㅇㅈ
빛의 속도 보다 안 빨라도 시간여행은 가능합니다.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에 의하면 가만이 있는 사람과 움직이는 사람의 시간은 다르게 흐르니 그것이 매우 미세하더라도 우리 모두 각각의 시간차를 같고 있습니다.
그리고 시간여행은 맞지만 과거로 갈수는 없고 미래를 조금더 빨리 갈 수 있는것 뿐입니다.
또한 빛의 속도보다 빠른것은 존재하지 않고
빛의 속도가 약 30만km입니다.
@@makle742 질량이 없는 물체는 빛보다
빠를수 있습니다
@@o0o36 내 친구가 말하길
질량이 없는것도 빛의 속도가 한계점이랍니다
빛의 속도를 넘을수 있을때는
공간이 불안정할때뿐
재밌어서 구독 눌렀습니다!
가끔씩 드는 생각인데 블랙홀이 빨아들인 것들은 다 어디로 갈까? 난 왠지 어딘가에 모여있다가 빅뱅으로 한번에 터트리는 거 가틈.
ㅇㅈ 그리고 그때 누군가 승리 할꺼임
@@_tv7136 그리고 그 승리가 빅뱅을 망치지
도태된 카르마의 검은빛암흑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저는 이게 궁금해요
1년도에 처음 사람은
누가 낳았을까
고민많이한 흔적이 보이네요
저때 중력에 의한 고통을 느낄 수 있나요??
이사람 재밌네 ㅋㅋ
썸네일 사진이 뭔가요//??
아아 이제 자야징~
??:야 야 블랙홀에 빨려들어가면 몬일 생기는지 알아 ㅎㅎ??
아아 어떡해 너무재밌어요♡♡
진짜 좋아요
그냥 한마디로 우주는 위험하니 갈 돈이 있으면 생각해보자.
몇배가 무거운걸 어떻게 암???그리고 블랙홀이 탸양을 먹으면??
ㅈㄴ어렵고,갈 일도 없음
구독은 누름 하트 줘~
고구마 목소리랑 얼굴
귀엽닼
치즈~ 중력특이점~ 할때 소름돋게 말하네
고로 구독 안함 ㅎㅎ
시간은 어떻게 빨아드라는거에요?
3:29 목성보다 더 찢어짐?
태양이 태양계 전체질량의 99%이상을 차지하고(목성은 걍 좀 큰 돌멩이사이즈) 그태양의 최소 10배이상의 질량을 지녀야 블랙홀이 될수 있으니까 목성과 비교하는건 좀...
고구마 아저씨 짱이에요...개꿀잼
전 원래 호기심이 많은 성격이라서 엄마한테 이것저것 물어보지만 대부분의질문은 엄마도 잘 모른다고 하십니다
제가 가장 궁금했던 것이 블랙홀에 들어가면 어떤세계가 나올까?였었는데 저의 궁금증에 딱 맞는 영상을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영상도 기대하겠습니다 ~~
2:34 근데 공간과 시간이 바뀐다 하더라도 지구에서의 시간은 계속 흘러가지 않을까.. 조금 이해가 안돼는데 그냥 공간만 앞으로 나아가는거고 시간은 같이 계속 흐르고있는거 아닌가요..??
고구마캐릭터 왤케귀엽냐ㅋㅋㅋㅋㅋㅋ
0:09 2017에 관측한사진도 있나요?
어딘가로 한없이 빨려들어가고 있다는 게 몸으로는 느껴지는데
주변에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다면
진짜 어둠속에서 자유낙하하는 기분이 제대로 들겠네요~
자이로드롭x2500배 낙하라니 재밌겠네요
블랙홀 생성과 성장과정 및 블랙홀 역할ua-cam.com/video/fHATbr8pRVc/v-deo.html ( Birth of "TWO ZONE COSMOLOGY OF COEXISTENCE" 공존의 두영역 우주론 고안에 의한 이론 COPYRIGHTED BY HYUN BO SIN
진짜 세상 모든게 너무 신기하지않음?
고구마 항상 행복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