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플 아닙니다) 04:16 원주율에서 말하는 율은 비율의 율입니다. [원주율(圓周率, 문화어: 원주률)은 원둘레와 지름의 비 즉, 원의 지름에 대한 둘레의 비율을 나타내는 수학 상수이다.] 수학, 과학의 묘미는 법칙의 일관성 같네요. 하나에서 규칙이 발견되면 그 도형이 크든 작든 동일하게 적용된다는 것. 컨텐츠는 잘 봤습니다. 잘 만드셨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그런데 수학 영상에 이런 말 해도 될지 모르겠지만 영상 내내 '값이', '값을' 등의 발음을 [가비], [가블]이라고 해서 많이 거슬립니다. 어린 학생들도 많이 볼 영상일텐데 조금 교정해주셨으면 합니다. 제대로 된 발음은 [갑시], [갑슬] 입니다. 물론 최종적으로 [갑씨], [갑쓸]로 발음되겠지만요.....
동감합니다. 수학도 중요하고 국어도 중요합니다. 기본적인 발음과 장단음의 구분법. 수학의 기초가 되는분은 이런 꼼꼼함까지 고려해주면 감사한거죠.😇😇 저도 이공계출신에 특히 수학분야에 애정이 있고, 잘못된 표현이나 국어학적으로 틀린 부분도 지적하는게 진정한 수학적인 사고방식이라 주장합니다.❤❤❤
@@sshharam 계산기나 엑셀 등에서 를 자동으로 3~8자리 정도 제공해 주는건 미리 공학자들이 프로그램에 상수값을 등록 해놨기 때문입니다. 메모리와 프로세싱 능력을 극단적으로 절약해야 하는 우주선용 컴퓨터는 시중의 계산기나 엑셀에 기본적으로 있는 기능이 많이 빠져있어 만 입력한다고 자동으로 파이값을 뱉어주지 않습니다.
원주율의 역사에 대한 정리 감명깊게 잘봤읍니다.
리만 가설도 그렇구요
신기하고 재밌네요❤
을 모르더라도 고대 마차 바퀴를 만드는데 전혀 지장이 없을 듯!
(악플 아닙니다) 04:16 원주율에서 말하는 율은 비율의 율입니다. [원주율(圓周率, 문화어: 원주률)은 원둘레와 지름의 비 즉, 원의 지름에 대한 둘레의 비율을 나타내는 수학 상수이다.]
수학, 과학의 묘미는 법칙의 일관성 같네요. 하나에서 규칙이 발견되면 그 도형이 크든 작든 동일하게 적용된다는 것. 컨텐츠는 잘 봤습니다. 잘 만드셨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그런데 수학 영상에 이런 말 해도 될지 모르겠지만 영상 내내 '값이', '값을' 등의 발음을 [가비], [가블]이라고 해서 많이 거슬립니다. 어린 학생들도 많이 볼 영상일텐데 조금 교정해주셨으면 합니다. 제대로 된 발음은 [갑시], [갑슬] 입니다. 물론 최종적으로 [갑씨], [갑쓸]로 발음되겠지만요.....
^^!
별 개쓸데없는 트집잡고 있네 이좋은영상에
@@zen20709문과신가 보죠. ㅎㅎㅎ
동감합니다.
수학도 중요하고 국어도 중요합니다. 기본적인 발음과 장단음의 구분법.
수학의 기초가 되는분은 이런 꼼꼼함까지 고려해주면 감사한거죠.😇😇
저도 이공계출신에 특히 수학분야에 애정이 있고, 잘못된 표현이나 국어학적으로 틀린 부분도 지적하는게 진정한 수학적인 사고방식이라 주장합니다.❤❤❤
아폴로 우주선의 궤도 계산 컴퓨터도 원주율을 3으로 놓고 계산했다고 합니다
와 ㅋㅋㅋㅋㅋㅋ
절대 아닐것 같은데 어디서 그런 걸 볼 수 있을까요?
그럴리가 없어요! 로 넣기만 하면 될 일을 왜 그런?
@@sshharam 계산기나 엑셀 등에서 를 자동으로 3~8자리 정도 제공해 주는건 미리 공학자들이 프로그램에 상수값을 등록 해놨기 때문입니다. 메모리와 프로세싱 능력을 극단적으로 절약해야 하는 우주선용 컴퓨터는 시중의 계산기나 엑셀에 기본적으로 있는 기능이 많이 빠져있어 만 입력한다고 자동으로 파이값을 뱉어주지 않습니다.
다 좋은데 글씨는 좀 쓰지 마시길... 시간만 늘어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