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사는 왜 뭉개지는 걸까? '이것'만 알면 나사 망가트릴 일 없습니다.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6 чер 2024
  • 오늘도 공구남자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나사 안 뭉개지는 방법 리뷰 해봤습니다.
    구독과 좋아요, 알림 설정 한번씩 해주시면 감사드립니다!
    🛠 Specs.
    모델명 : DTD156 / TD110D / PZ피스 / PH피스
    ⏲️ Timestamps.
    00:00 오프닝
    00:15 인사 및 소개
    01:41 첫번쨰 방법
    03:08 두번쨰 방법
    04:53 마지막 방법
    06:14 PH / PZ 맞물림 테스트
    06:57 사용 후기 & 마무리
    📧 Business contacts.
    happyworkers777@gmail.com
    #DTD156 #마끼다 #드릴 #드라이버 #TD110D #가정용 #아연도금피스 #피스 #18v #공구채널 #12V #비트 #PH #PZ

КОМЕНТАРІ • 206

  • @gonggunamja
    @gonggunamja  Місяць тому +1

    마끼다를 3만원으로!? 알리 vs 마끼다 DTD173 전동 드릴 전격 비교!
    ua-cam.com/video/lRLGKLkJOy8/v-deo.htmlsi=xwP4geELWNBrsajM

    • @doubletrouble3241
      @doubletrouble3241 29 днів тому

      나사 살때 포장박스 등에 PH인지 PZ인지 표시되어 있나요?

  • @wkb8409
    @wkb8409 5 місяців тому +20

    볼트에 야마가 잘 나는 이유는 드릴을 충분한 답력으로 볼트롸 드릴팁이 일직선 방향으로 밀착이 된 상태로 세게 밀어주는 힘이 작용하면 야마가 거의 나지 않습니다 그러나 손에 힘을 빼고 건성대는 정도의 상태로 드릴질을 하면 나사못에 드릴팁이 정확히 밀착할수 없어서 헛돌다가 야마가 납니다 영상에서 보니 두손으로 혹은 한손이라도 그 두꺼운 팔뚝의 힘으로 누르니 당연히 볼트와 기리의 밀착이 잘 되서 야마가 안납니다 볼트를 박는 위치가 어디냐에 따라 드릴을 밀어주는 힘이 많거나 적게 힘을 줘야 합니다 천정에 박을때, 어깨보다 높은 위치에 나사못을 박을때... 손목이 꺽이는 위치에 나사못을 박을때...등등은 못과 드라이버 팁의 밀착이 강하게 밀착되기 어려워 헛돌고 야마가 납니다 그런데 나사못이 아주 강한 재질로 만든 나사못이라면? 그래도 각도나 위치에 의해 밀착되기 힘든 경우는 마찬가지로 헛돌게 됩니다 야마는 나사 재질이 강해서 덜 날수도 있겠지요... 잘 봤습니다 ^^

  • @SY-tv5se
    @SY-tv5se 5 місяців тому +5

    Thank you for sharing useful information. I believe the main difference between the Philps head (ph) and the Pozi head (pz) is that the Philips head has 4 radial slots versus the Pozi head has 8 radial slots which would provide more improved cam-out (slipping) when more torque is applied.

  • @user-lq2be7mi4g
    @user-lq2be7mi4g 6 місяців тому +4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 @gonggunamja
      @gonggunamja  6 місяців тому +1

      시청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ㅎㅎ 더 도움 될만한 영상으로 돌아오겠습니다!

  • @guitarclass_Jinsaem
    @guitarclass_Jinsaem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user-ok8cp4kn4p
    @user-ok8cp4kn4p 6 місяців тому +1

    항상감사합니다.

  • @user-us1vs5bk7k
    @user-us1vs5bk7k 6 місяців тому +24

    나사 머리 종류에 맞는 비트가 있어요
    뭉게지는 것은 맞지 않은 비트를 사용 했을때이지요~
    PH와 PZ 확인하고 사용하면 됩니다~

  • @user-lb8bb7zv8y
    @user-lb8bb7zv8y 16 днів тому

    좋은 정보 감사 드립니다 ❤

  • @user-evergreen
    @user-evergreen 6 місяців тому +12

    PH PZ 들어보긴 했는데 정확하게는 잘 몰랐는데 이제 알게 되었네요~~
    아연도금피스도 굿굿!! 정말 유용한 꿀팁 정보 감사합니다^^

    • @gonggunamja
      @gonggunamja  6 місяців тому +3

      매번 댓글과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구독자님 항상 건강하시고 감기 조심하세요 ㅎㅎ😀

    • @user-evergreen
      @user-evergreen 6 місяців тому +1

      @@gonggunamja 네~ 감사합니다^^ 공구남자님도 항상 건강하시고 감기 조심하세요~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

  • @telfax9429
    @telfax9429 6 місяців тому +2

    감사합니다~

  • @starcad
    @starcad 3 місяці тому +9

    해외현장에서 많은 미,영,독일 엔지니어들과 협업한 경험으론
    이들모두 "나사"를 스크류(screw)라고 해요. 나무용은 wood screw , 철판용은 metal screw. 콘크리트느용은 conc. screw. 즉 모재 물성에따라 바꿔주면 됨.
    만약 "bit"라고 하면 구멍뚫는 천공기(drill bit)를 연상할겁니다. 더더군다나 "피스(piece)"라고 했다면 Sorry ! 합니다.
    "나사"는 자해가 소라 "나" + 실 "사" 한자용어지만 우리표준용어가 됐고, 십자 홈부분은 "나사머리"로 표현하면 좋을 것 같네요.

    • @technologicalsingularity1788
      @technologicalsingularity1788 3 місяці тому +3

      진짜 피스라는 말 듣기싫음 ㅋㅋ 어디서 유래된지도 모르는 근본없는 단어

    • @ji-hokim6140
      @ji-hokim6140 27 днів тому

      나사못을 총칭하는 불란서 단어 vis에서 유래된 단어라고 하네여.

    • @technologicalsingularity1788
      @technologicalsingularity1788 27 днів тому

      @@ji-hokim6140 아 그래요??? 이건 처음알았네요 감사합니다

    • @D-coffee111
      @D-coffee111 10 днів тому +1

      사용단어를 통일시켰으면... 영상처럼 야먀돌게 하지 말고..

  • @user-yr6ik1ex7e
    @user-yr6ik1ex7e 6 місяців тому +1

    방심은 금물!!! ㅋㅋㅋ
    굿~ 정보!!! 꿀팁~ 잘봤습니다.....ㅎㅎ

    • @gonggunamja
      @gonggunamja  6 місяців тому

      매번 댓글과 시청 감사합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감기 조심하세요~ㅎㅎ

  • @taylorshin
    @taylorshin 5 місяців тому +2

    저 PH PZ 헛갈리는 문제 때문에 저희 북미에서는 로버트슨이나 토크를 씁니다. 😊

  • @user-yd5ze4gl8k
    @user-yd5ze4gl8k 6 місяців тому +3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추위에 건강관리 잘 하시길 바랍니다

  • @user-uj9rc5um9s
    @user-uj9rc5um9s 2 місяці тому +1

    공장에서 기술자로 일하고있는 한 직장임니다 피스가 자꾸 야마났는데 그 이유를 이제알았네요 감사합니다 공구남자님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억거지로 한 제가 부끄럽네요 ㅎㅎ

  • @BOT-xt8pu
    @BOT-xt8pu 2 місяці тому +2

    처음과 끝에 힘조절만 잘해주면 절대 안나쥬
    급하게 하는 사람들이 문제..
    애초에 나사질 정석은 자동으로 적당이 넣고 마지막에 무조건 손으로 조여주는것

  • @user-kc8qu4ur4s
    @user-kc8qu4ur4s 5 місяців тому +13

    일본말 야마(머리)가 뭐야요?
    한글을 사용해야죠.
    나사 머리

    • @user-wi5vl2qj3b
      @user-wi5vl2qj3b 2 місяці тому

      일본어 야마는 머리가아닙니다 산입니다.
      야마먹엇다는 말은 (나사등의)산이 먹었다는 이야기입니다.
      원래는 우리나라에는 없던 것들이고 유럽이나 미국등지에서 만든것을 일본이 자신들 나름대로 해석하고 정리한것들을 우리가
      가져다 사용하는것이니 용어가 일본어인것은 당연한거죠. 일본이 싫은것과는 별개로 이런용어들까지 배척할필요는 없습니다.
      우리말중에 근대이후에 들어온 말들은 대부분 일본에서 들어온것들 이니까요. 그리고 그전에 들어온 말들은 대부분 중국에서 들어온거고요 20세기 후반이후에 들어온말들은 미국에서 들어온것들이고요. 언어 특히 전문용어들은 발전된곳에서 들어오는것이 자연스러운겁니다. 이걸 부끄러워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 @user-BigPigG
    @user-BigPigG 6 місяців тому +3

    꿀팁 영상이네요 초보들에게 좋은 영상입니다 ㅎㅎ
    영상 잘 보고 감니다 ^^

    • @gonggunamja
      @gonggunamja  6 місяців тому

      도움이 되셨다니 감사합니다! 더욱 도움 될만한 영상으로 찾아오겠습니다 ㅎㅎ

  • @cccdddaaabbb
    @cccdddaaabbb 6 місяців тому +4

    첫번째피스는 1010a 재료로 열처리 안하고 쓰는 제품에 쓰는 재질이고 열처리도 가능은 하지만 두번째피스 1018a or 1022a 재질대비 열처리를 해도 강도 질겨짐이 달라서 강한힘을 받거나 하는건 두번째 피스 쓰는게 맞고 첫번째피스는 보통 사라기리로 구멍을 뚫어놓고 쓰는 제품입니다.
    추가로 1018 or 1022는 너무 강해서 가공이 어려워 소둔(철을 무르게 만듬)한 재질이라 무조건 열처리해야 합니다.

  • @finesse7265
    @finesse7265 5 місяців тому +1

    같은 십자라도 비트 머리가 다른게 존재했었네요... 원래 가끔씩만 써서 나사머리를 자꾸 망가트리면 실력 부족이라며 위로했었는데..

  • @das2255
    @das2255 6 місяців тому +1

    저래서 밀워키 비트세트 구매해서 사용중요

  • @user-un5ec5ul3y
    @user-un5ec5ul3y 6 місяців тому +5

    드릴질이 좀 미숙하신 듯..ㅎㅎ 잘보고가요

  • @user-zt1qp7nr4m
    @user-zt1qp7nr4m 6 місяців тому +2

    영상 잘 봤습니다
    직결나사를 박을때 나사머리가 뭉게지는 경우가 많은데 어떤종류의 비트가 좋은가요?

    • @cccdddaaabbb
      @cccdddaaabbb 6 місяців тому +2

      한국은 나사외경
      2.6 mm 이하 PH1
      3 ~ 5 mm PH2
      그 이상은 보통 PH3 입니다.
      특별한 이유가없다면(수입피스) 보통 위에 규격 비트사면되고 다이소나 이런곳에 여러가지 들어있는 비트는 pz도 많아서 잘보고 쓰셔야합니다

  • @minseopshin8879
    @minseopshin8879 5 місяців тому

    이케아는 무조건 포지드라이브라 비트 잘못써서 머리 뭉개는 경우가 많죠 ㅋ

  • @TV-jt9mo
    @TV-jt9mo 5 місяців тому

    공갈을 포나게 박으시내요 ㅋㅋㅋ ㅋㅋㅋ ❤

  • @user-xk2uk9zb9x
    @user-xk2uk9zb9x 6 місяців тому +1

    PH PZ 꿀지식 얻고 갑니다~

    • @gonggunamja
      @gonggunamja  6 місяців тому

      매번 시청해주시고 댓글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 더 도움되는 영상으로 돌아오겠습니다!

  • @user-ho8ti1bx3g
    @user-ho8ti1bx3g 6 місяців тому +1

    긴 나사 박을때 디월트 비트세트안에 비트홀터 사용하면 될듯 합니다 ☕️

    • @gonggunamja
      @gonggunamja  6 місяців тому

      팁 공유 감사합니다! ㅎㅎ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구독과 좋아요도 해주시면 더 감사드리겠습니다!!👍

    • @user-br5nj9rc4n
      @user-br5nj9rc4n 5 місяців тому

      두분도 정답이 맞긴한데요~ 피스나 볼트도 규격에 맞는 비트를 사용해야 합니다. 비트 하나로 모든걸 박으려 하시는 분들 꽤 많아요~

  • @user-ov8sy7tj8r
    @user-ov8sy7tj8r 4 місяці тому

    설명이 너무 빨라 잘 알아들을 수가 없네요

  • @Nii_nano
    @Nii_nano 6 місяців тому +4

    18볼트 쓸때는 두손으로 안하면 빠가 많이 납니다! 그리구 아넥스 사에서 나오는 토션비트 함께 쓰면 빠가나는 현상을 좀 줄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빠가 자꾸 내다보면 비트도 손상되기 때문에 연속으로 빠가나면 아까워하지 말고 비트를 바꾸시는게 좋습니다!

    • @user-js2ez2wf8k
      @user-js2ez2wf8k 5 місяців тому +1

      빠가는 일본말인데 좋은 우리말 사용합시다

  • @tomgstomgs
    @tomgstomgs 6 місяців тому +7

    일부러 조준을 잘못하는건가요? 처음에 나사 박는데 자꾸 옆으로 뉘여서 삑사리나게 하시는데

  • @Jonathan79428
    @Jonathan79428 5 місяців тому +1

    가정에서 쓰는 미니 임팩 종류 뭐가 좋을까요?, 3V, 12V, 18V 여럿 있는데,,, 여러 비트들 구해 모으고 있고, 나사 뭉개진거 적출하는것, 너트 부셔버리는것, 가지가지들 사다 모으고 있는 중인데

    • @HSDW_FF
      @HSDW_FF Місяць тому

      돈 더쓰셔서 좋은 임팩사세요 가정용은 진짜 쓰지도못해요 ㅋㅋ12v 이상

  • @skstktlal
    @skstktlal 6 місяців тому

    오~~~완전 개꿀팁

  • @user-uv7dk2do9k
    @user-uv7dk2do9k 6 місяців тому

    모르는 사람이보면 정말 꿀 ^^ ㅎㅎ

  • @user-ce9ce3nl1u
    @user-ce9ce3nl1u 2 місяці тому

    시중에 PZ는 잘나오지 않고요. PH2 제품이 많이 나옵니다.

  • @user-zv5oi3zt5n
    @user-zv5oi3zt5n 6 місяців тому +1

    구독자는 몇백명대인데 조회수는 몇만이네요👍 잠재력이라 할까 가능성이랄까 왠지 기대되는 공구 유튜버인것 같습니다👍화이팅입니다 ☕

    • @gonggunamja
      @gonggunamja  6 місяців тому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ㅎㅎ
      더욱 성장하고 발전하는 채널이 되겠습니다!👍

  • @jeoung9821
    @jeoung9821 6 місяців тому +2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몰랐어요.

  • @canadianruraluncle199
    @canadianruraluncle199 6 місяців тому +2

    서지 임팩드라이버 사용도 좋습니다. 비트사이즈가 너무 차이만 안나면 PZ든 PH든 안튀고 잘 들어갑니다.

    • @user-op8jf6nj5d
      @user-op8jf6nj5d 5 місяців тому

      저도 쓰고 있는데 확실히 좋은듯..

  • @hahman1st
    @hahman1st 5 місяців тому

    십자티랑 안맞는 피스를 쓸때 또는 잘 안눌러줘서 헛돌때 빠가 잘 생깁니다

  • @CrazyRedDuck
    @CrazyRedDuck 6 місяців тому +11

    임팩으로 피스 박으실때 꼭 두손으로 하시는게 좋으세요.
    무조건 왼손으로 드릴 뒤통수를 누르셔야 비트가 피스에서 이탈되는 경우가 적어집니다.
    고수들이 한손으로도 잘하는건 누르는 힘의 정도를 익숙하셔서 그러시는 거구 고수 아닌 이상 꼭 뒤통수를 누르면서 드릴과 피스가 일직선 상으로 만들어야 이탈되지 않습니다.

    • @zzimman5219
      @zzimman5219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이게 정답이지.. 장비탓이 아니라 임팩트건을 쓸꺼면 진짜 손으로 임팩트를 주면서 써야지 이탈안함.. 전동드릴 처음써보거나 잘 안써본사람들이 힘줘야하는거 모른채로 하다 아작남

    • @HSDW_FF
      @HSDW_FF Місяць тому

      조금만 숙련되면 저런거 아무상관없는데 ㅋ

  • @wwl8803
    @wwl8803 3 місяці тому

    일반적으로 ph2 규격 비트면 ph3와 pz2,pz3도 스킬빨로 조이는데 큰 문제는 없습니다. 단지 아무리 숙련된 전문가라고 해도 맞지 않는 규격의 볼트에 비트를 쓰면 마모는 피할 수 없습니다. 힘조절 잘못하면 나가는거구요.
    그래서 불가피한 경우가 아니라면 피스던 비트던 규격에 맞추는게 중요하죠. 문제는 우리나라 현장이 하도 여러나라의 규격이 혼재되어있는 경향이 있어서 전문가라 하더라도 편의상 다소간에 피스나 볼트에 손상이 생기더라도 작업편의적인 방향으로 익숙하신 분들이 많다는거죠...

  • @SWCRDi
    @SWCRDi 3 місяці тому +2

    뜬금 없이... 피스가 아니라 비스입니다.
    일반적으로 6mm 이하의 작은 나사를 "비스 (vis)" 라고 합니다.
    테클 걸려는 글 아니니 오해 없으시기 바랍니다 ^^

  • @user-cq3us2cb1e
    @user-cq3us2cb1e 6 місяців тому +1

    소방배관일을 하고 있는데 헤드브라켓 높이 조절 하는데 야마가 가끔 뭉게져서 그런게 혹시 pz 인가 확인해봐야겠네요

  • @robinjhk
    @robinjhk 6 місяців тому

    비트도 비트고 나사도 나사고 드라이버도 드라이버고 다 적당히 맞는게 있는군요

  • @user-uh2gg2iu9l
    @user-uh2gg2iu9l 6 місяців тому +3

    왜~그렇게 박죠 ~~ㅎㅎㅎㅎ초보자처럼 말이죠

  • @ZELLO_LTE_WALKIETALKIE
    @ZELLO_LTE_WALKIETALKIE 6 місяців тому +1

    여기에 플러스해서 전기용 드라이버가 또 따로 있습니다. 전기 플러그 나사 보면 1자로도 되고 십자로도 되게 나사가 되어 있는데 십자보다는 일자롤 하는 게 그것 보다는 전기용 비트를 사용하는 게 좋습니다. 일반 십자로 돌리면 다 뭉게져서 전기 플러그용 나사는 구하기도 힘들어서 애를 먹습니다.

    • @gonggunamja
      @gonggunamja  6 місяців тому

      소중한 지식 공유 감사합니다! 아직 많이 배워야겠습니다 ㅎㅎ
      구독과 좋아요도 해주시면 더 많이 감사하겠습니다!!

  • @ekfjlsrl
    @ekfjlsrl 6 місяців тому +1

    그러니까, PH비트는 PH피스못에, PZ비트는 PZ피스못에 사용해야 덜 뭉개진다는 것이죠?

  • @lexigone
    @lexigone 6 місяців тому

    pre-drill !

  • @veryberry6592
    @veryberry6592 6 місяців тому +1

    사이즈 맞게 하면 문제 없음.

  • @user-cj6jk7pr6g
    @user-cj6jk7pr6g 3 місяці тому

    비트문제였군요 ㄷㄷㄷ

  • @goozit
    @goozit 4 місяці тому

    십자 드라이버와 나사홈도 양대 규격이 있다는 것만 알아도 큰거 배우는 겁니다. 이거 모르면 평생 나사 박다 고생합니다. 드라이버 딱 보면 날의 각도가 달라요. 하나로 통일 되면 좋겠지만 그렇지 않은게 현실입니다

  • @hotgod4284
    @hotgod4284 25 днів тому

    야마가 표준말인가요?

  • @rainkim8076
    @rainkim8076 Місяць тому

    그래서 그런건 아니고, 피스와 드릴날이 일직선이 되도록 꽉 밀고 세게 누르듯(야마방지위한 힘) 박아야 싸구려라도 야마도 덜나고 잘 박힘.

  • @bergkampdennis5673
    @bergkampdennis5673 9 днів тому

    bosch를쓰세여

  • @jeongtaekim4559
    @jeongtaekim4559 6 місяців тому

    약한 나무 소나무는 쉽게 들어가요. 손으로 돌려도 됨.

  • @user-hu8gh9wo4n
    @user-hu8gh9wo4n Місяць тому

    야마는 일본 말로 '산'이라는 뜻입니다. 나사못의 나사산을 의미히는 거죠. 그러므로 '야마 난다'가 아니고 '야마 나간다' 또는 '야마 뭉개진다' 라고 말해야 합니다.

  • @user-vt5hr3bj2n
    @user-vt5hr3bj2n 5 місяців тому

    그와중에 공구성능 실화야? 역시 일제 ㅅㅂ

  • @acdsee1372
    @acdsee1372 6 місяців тому +2

    PH PZ 둘 차이는 알고 설명하는거냐???
    왜 만들어 졌는지 아냐고? 어떤 용도인지?

  • @milkyway8271
    @milkyway8271 2 місяці тому

    ph,pz가 아닙니다ph2는 나사크기를 얘기하는거지 우리나라 ㅡㅡ아니고요. 야마가 안맞는것은 사실은 지금은 잘쓰지않는 jis의 p라는규격 똔 0,00등으로 표시되는규격이 따로있습니다. 베셀드라이버가 일제라서인기가있는게아니고 jis규격이라서인데 이게좀 복잡해서 ㅡㅡph는p로제작된피스에는 헛돌게되는게 이것갖고 말이많은겁니다.특히정밀분야가그런데ㅡㅡ각설하고 나사는 이미있는거고 내가 비트를 고를때 ph나pz는 피하면 될겁니다.더쉽게표현하면 비트각도가 넓고 가운데 십자부분이 얊은것선택하면 다 될겁니다.순전히 개인적인 생각입니다.공감하실분만 공감하세요.

  • @user-ye8xy7vf5k
    @user-ye8xy7vf5k 6 місяців тому +1

    PZ 에 맞는 토크에 아연도금 피스
    이러면 완벽 조합 인가요?

  • @user-gb9ty6sp6d
    @user-gb9ty6sp6d 5 місяців тому

    애진작에 빠가 잘 안나는 나사만 만들면 안되나, 그놈의 가격때문에...

  • @user-uv8yu4wx2j
    @user-uv8yu4wx2j Місяць тому

    6분 10초 ~15초쯤에 12v 드릴 일부러 각도 트는데 당연히 야마날수밖에 없는걸 무조건 안된다고 하는건 주작 아닌가요? 12v든 18v든 드릴로 피스조차 못박으면 일이나 제대로 할수있나... 현장에서 쓰는 대부분 피스는 영상에서 말하는 PH계열이고 드릴비트도 PH계열인데 그상태로 야마가 난다고 하면 피스와 드릴비트 사이 이물질이나 비트 자력으로 인한 철판쇳조각이 같이 붙어서 서로 밀착이 안된상태도 체크해야합니다 피스와 비트 드릴과 손까지 일직선상에 있으면서 적당힌 세기로 밀어주면 충분히 박히는걸 피스는 일직선인데 드릴이 대각선이면 야마는 무조건 나요 이걸 숙련된 기술자가 하면 좁은 틈에서도 피스와 드릴를 일직선으로 유지할수 있는게 경력이고 실력입니다

  • @user-qe3br4gg1l
    @user-qe3br4gg1l 6 місяців тому +2

    야마 낼라고 비틀고 하는 모습 잘 보이내요

  • @altruso9595
    @altruso9595 2 місяці тому

    PH2

  • @user-hp4eq9ux6i
    @user-hp4eq9ux6i 5 місяців тому

    사용자의 숙련도, 사용하는 공구 특성의 이해, 용도에 적합한 비트 사용. 이 삼박자가 중요하지 설명하신 내용은 조금 아쉽네요.

  • @user-cg5ow2us6t
    @user-cg5ow2us6t 6 місяців тому

    비트 좋은거 쓰면 왠만한건 다 잘 돌아가건뎅

  • @jeakim4152
    @jeakim4152 3 місяці тому

    영상의 makita 제품은 made in China 이겠찌 !
    그러니 절대 사면 안된다

  • @youngminoh1494
    @youngminoh1494 4 місяці тому

    영상 잘 보았습니다.
    드릴을 굳이 일본것을 써야 하나요?
    한국 공구는 없나 조금 아쉽네요.
    그리고 용어 선택도 조금 더 신경써 주시면 좋을것같아요

  • @user-ps8be5pi9l
    @user-ps8be5pi9l 6 місяців тому +3

    탭이 안 맞은 것 같아요...

  • @tgkang2848
    @tgkang2848 6 місяців тому

    음...저거 궁금하긴 했는데 그냥 무시하고 살았음

  • @user-lh5gc7vq5o
    @user-lh5gc7vq5o 6 місяців тому

    피스가 아니고 나사 못이네요
    나마 못 가지고 피스 라고 하면 어떡하나요

  • @user-vp8rd1hp1q
    @user-vp8rd1hp1q Місяць тому

    여러번 끊어서 박아주고 마지막은 손으로

  • @ubu3431
    @ubu3431 Місяць тому

    와 비트 PZ PH 는 누가 안 가르쳐주면 평생 모르겠는데요?

  • @user-xx9nr2kj7q
    @user-xx9nr2kj7q 2 місяці тому

    굿못하는사람이마당탓하고 일못한사람이연장탓한다ㅡㅡ
    임팩 볼트체결은 별기술없어도되지만 피스는 오직 힘이다ㅡ

  • @hl3qnf
    @hl3qnf 26 днів тому

    토크 드릴 사용하는게 정석 입니다
    쟁이라고 대충 어깨너머로 배워서 일하는 분들 공부좀 하세요~~
    나사 머리 망가 트리는 작업자는 나는 왕초보 라고 광고 하는겁니다.

  • @user-gd4rf7cc2k
    @user-gd4rf7cc2k 6 місяців тому

    아니 수직만 맞추면 야마 절때 안나는데.. 실력이 너무...

  • @user-wz9cr3cn2h
    @user-wz9cr3cn2h 5 місяців тому

    힘도 정 방향으로 제대로 안주면서 쎄게 빠르게 박을라고 토크 올려 박으면 야마 나는거지 뭘

  • @user-cy3lj4rz8r
    @user-cy3lj4rz8r 6 днів тому

    좋은 우리말 두고 야마 야마 꼭 일본어를 써야 하는지?

  • @pwogud
    @pwogud Місяць тому

    임팩보다는 드릴을쓰고...12보다는 10.8쓰는게 낫지 않을까요... 피스박을때 임팩쓰는건 아닌것 같아요...

  • @user-pi6mi1ob9e
    @user-pi6mi1ob9e 5 місяців тому

    통일을 좀 시킬것이지 나사회사에서

  • @nestsp9117
    @nestsp9117 3 місяці тому

    야마를 낸다는게 무슨말인가요?
    그냥 나사산 이라고 하세요
    요즘 건설현장에서도 야마라고 말하지않아요.

  • @inilykim1062
    @inilykim1062 5 місяців тому +3

    이쪽 분야는 왜이리 일본어가 많은지 씁쓸하네

  • @jhy021863
    @jhy021863 6 місяців тому

    그냥 대가리 뭉게진 피스든 나사 못은 빼고 다시 박으세요 그거 교체 하기 싫어 하고 귀찮아 하는 그본인들이 바뀌어야 한다 생각 하는 사람임

  • @user-wx7be9um7i
    @user-wx7be9um7i 5 місяців тому +2

    야마가 뭐여

  • @user-fu4fc5qx7w
    @user-fu4fc5qx7w Місяць тому

    실력이 아니고 PH PZ 요거 구분해서 비트를 쓰세요...

  • @user-kf2wi4mt4v
    @user-kf2wi4mt4v 5 місяців тому +1

    ㅡㅡ 왜 처음에 시연할때 처음엔 개각이고 두번째꺼 할때는 수직 딱 맞춰서 하냐 개 억까네

  • @tjxpuck
    @tjxpuck 2 місяці тому

    야마돌게 왜자꾸 야마라고 그래?

  • @user-eg9bt2hv7z
    @user-eg9bt2hv7z 14 днів тому

    이번에 우원식이 찍은 국회의원이 반드시 색출하여 책임을 물어라 그렇지 않으면 민주당 영원히 끝이고 조국혁신당 간다.

  • @Hangover_Soup
    @Hangover_Soup 4 місяці тому +1

    18볼트도 토크 단계 조절하는게 있어 약하게 하면 되지 12볼트를 쓰라는 댓글은 뭔 개솔

  • @neoeobz
    @neoeobz 6 місяців тому +39

    야마 난다? 일본어 야마는 산으로 나사산이 뭉겨졌을 때 사용했고 나사 +,- 머리가 뭉게진 것을 빠가 났다라고 했죠. 바른 용어로 고쳐 쓰지는 못 망정 일본 잔재 용어도 모질라서 혼용해서 사용 하는 것이 더 혼동만 가져오는 것 같네요. 다수에게 보여지는 만큼 좀 더 책임감을 갖고 올바른 용어를 사용하면 어떨까요? 나사 머리가 뭉게 졌다, 나사 산이 뭉겨졌다. 뭉게짐이 생겼다. 절대 일본말 쓴다고 전문가 처럼 안보입니다.

    • @bond9620
      @bond9620 2 місяці тому

      뭉게졌다-뭉개졌다
      뭉겨졌다-뭉개졌다
      뭉게짐-뭉개짐
      불편러 자슥 기본적인 맞춤법도 모르면서 국어쓰기를 남에게 강요하고 있나ㅋ

    • @user-gk3mc5no5n
      @user-gk3mc5no5n Місяць тому +5

      ​@@user-li5gy7su9gㅋㅋ시원

    • @paran822
      @paran822 Місяць тому

      @@user-gk3mc5no5n쪽팔리다 이놈아

    • @user-rg5zh6es3p
      @user-rg5zh6es3p Місяць тому +3

      답답한 양반이네

    • @ji-hokim6140
      @ji-hokim6140 28 днів тому +3

      그냥 상황에 안맞는 용어선택이었다까지만 했으면 좋았을텐데...어줍잖게 왜말타령까지 하니깐 안타깝네요. 1800년대 메이지유신 이후 서양문물을 배우는 과정에서 일본에서 만들어진 단어가 너무 너무 너무 많고, 이 말들은 현재 한국의 모든분야에서 모든국민들이 사용중임. 가끔 티비서 야채 란 단어로 왜말이라고 호들갑떨땐 병신쇼 같음 ㅋㅋ

  • @bagaudae1971
    @bagaudae1971 5 місяців тому

    일단 장갑부터 벗고 기본이 안되어 있음...

    • @gonggunamja
      @gonggunamja  5 місяців тому

      임팩 사용시 장갑을 안끼는게 정석인가요??
      제가 열심히 공부하며 영상제작중인데
      아직 잘 몰라서요!
      왜 인지 내용 조금만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XL883L
    @XL883L 9 днів тому

    피스x 비스o

  • @tomkang8638
    @tomkang8638 2 місяці тому

    야 마.....?

  • @user-ec5tk8ji5n
    @user-ec5tk8ji5n 6 місяців тому +8

    야마라~~
    별로 좋지 않은것 같은데요

  • @CH-rh5vb
    @CH-rh5vb Місяць тому

    아직도 나사못을 '피스'라고 하세요? ㄷㄷㄷ 대체 왜?? 그나마 '비스'라고 하면 그러려니 하겠지만 피스는 대체 뭔지...

  • @user-lk2vb8xz9z
    @user-lk2vb8xz9z 3 місяці тому

    ㅅㅂ 영상보고있자니 야마도네

  • @user-gc5qw2pv1h
    @user-gc5qw2pv1h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야마가 뭔말이여. 전문용어인가? 꼭 비속어를 써야 하는지.

  • @user-pv8sm5ly6o
    @user-pv8sm5ly6o 5 місяців тому +1

    누가봐도 각도가. 삐딱하게 박고있네 장난해

  • @user-hx8ki7vd1m
    @user-hx8ki7vd1m 6 місяців тому +2

    답답해서 못보겠네 완전 몸치 기계치

  • @user-kj4sd9nq1g
    @user-kj4sd9nq1g 2 місяці тому

    야마가 뭥미,,, 배운사람이..ㅎㅎ 일본사람인가요? 공인이니 바른언어, 적절한 언어, 한국어를 잘 사용하세요..

  • @limext6504
    @limext6504 6 місяців тому +6

    야마 야마 야마 2023년에도 야마라는 말을 쓰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