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분석] LG디스플레이만 유독 어려운 이유 & 왜 삼성디스플레이는 괜찮지?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9 лют 2025
  • 같은 업종 안에서도 면밀히 비교하셔야 합니다
    ---------------------------------------------------------------------------------------------------------------
    오프라인강의 중 나왔던 질문을 영상으로 다시 정리드립니다.
    똑같은 디스플레이 패널 기업인데, 똑같이 OLED하는데
    LG디스플레이와 삼성디스플레이, 두 기업의 상황이 너무나 다른 이유를 정리합니다.
    ---------------------------------------------------------------------------------------------------------------
    💲 수강신청 soomgo.com/pro...
    🔎 인스타그램 / kev.investment
    💡 blog.naver.com...
    📧 kevinvestment.inc@gmail.com

КОМЕНТАРІ • 24

  • @초코너구리-z3r
    @초코너구리-z3r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내용 분석 잘들었습니다. 영상 내용이 매우 좋네요.

  • @gogochan3607
    @gogochan3607 7 місяців тому +3

    삼성이나 엘지나 OLED TV를 생산합니다. QLED는 LCD 기반이 맞긴 맞는데, 삼성은 QLED, OLED, QD-OLED 등을 제조하기 때문에, 삼성 OLED VS 엘지 OLED 를 비교하셔야 합니다.

  • @sangjaepark9617
    @sangjaepark9617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삼성과 LG디스플레이 비교 설명 잘 들었습니다..
    LG디스플레이가 왜 힘든지 알겠네요..ㅠㅠ

  • @어둠의그림자-n1c
    @어둠의그림자-n1c 10 місяців тому +3

    큰 형의 차이죠. OLED 스마트폰을 선택한 삼성전자와, LCD를 선택한 LG전자
    삼전에 OLED를 공급하며 키운 능력으로 애플과 중국 업체들에까지 공급하며 성장해온 삼성디스플레이
    결국 폰을 접은 LG전자때문에 사업 시계열 자체를 5년 잃어버린 LG디스플레이

    • @kevinvestment
      @kevinvestment  10 місяців тому

      정확한 분석이라고 생각하며, 저도 깊이 동감합니다^^

    • @CARA227-v5y
      @CARA227-v5y 9 місяців тому +3

      그냥 경영눙력이 삼디보다 떨어짐 코로나 특수때 엘디는 직원 더 뽑았지만 삼디는 돈 잘받고 중국에 매각함 코로나 끝나고 엘디는 직원 감축함 반짝 특수 지나고 중국에 매각하려니 가격 후려쳐서 고민중 엘전에서 전혀 신경 안쓰나 봄 삼디는 삼전이 주도함

  • @석풍선생
    @석풍선생 8 місяців тому +3

    삼성디스플레이는 QLED 안만듭니다. QD-OLED를 만들죠. 삼성디스플레이가 기술력에서 떨어진다면 중소형도 벌써 LG디스플레이가 다 먹어야 하는거 아닌가 싶네요. 기술력에 대한 설명을 너무 허술하게 하신 듯 합니다.

  • @행복-v3f
    @행복-v3f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거기다 개인과 기관이 던질때 외귝인 보유율은 이미 20프로이상 lg디플을 늘려 보유하고 있으니

  • @Moderately5
    @Moderately5 11 місяців тому +5

    LG디스플레이의 정책 실패죠..
    레티나까지는 정말 잘했는데..
    삼디가 정말 잘 대응했다고 봅니다.

    • @kevinvestment
      @kevinvestment  11 місяців тому

      함께 분석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 @이그레이스-k2i
    @이그레이스-k2i 11 місяців тому +4

    전체 OLED 디스플레이 이득의 85% 를 삼성 디스플레이가 갖고 가고있다 합니다.

    • @kevinvestment
      @kevinvestment  11 місяців тому

      좋은 의견 감사드립니다. 마찬가지 생각입니다^^

  • @user-oy1fg3wtgfhhn
    @user-oy1fg3wtgfhhn 5 місяців тому +5

    그럼LGD는 향후 망하는길밖에없네요?

  • @손군
    @손군 5 місяців тому +1

    21년 같은 주기가 7년뒤에 온다는 분석이 맞는분석인가 ㅋㅋㅋㅋㅋㅋ 21년은 코로나로 인해서 일시적 TV 수요가 늘어난거고
    6~8년은 일반적인 교체기간인데, 특수성을 분석에 넣는거 자체가 잘못된 분석. 7년안에 갑자기 코로나시즌2하면 TV수요 확 늘텐데 그러면 그땐 뭐라할건지..ㅋㅋㅋ

    • @뚜롱이의세상
      @뚜롱이의세상 5 місяців тому

      글쎄... 나는 코로나 특수성으로 교체주기가 당겨져서 21년부터 주기를 다시 계산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그럼 그때부터 7년 정도 잡고 보는게 맞는거 아닌가?
      코로나 시즌2는 주식시장에서 어차피 예견할 수 없는 변수라 반영하는게 의미 없는 변수 같고...
      님 댓글에서 잘난척은 신나게 해놨는데 논리는 1도 없는 느낌이네 하튼 미약한 잘난척 잘봤수다

  • @신비로움-r8q
    @신비로움-r8q 9 місяців тому +1

    베터리 시장도 이와 비슷 하려나 요새 ㅠ lfp ncm 중에서 쓰는 사람 입장에서 효용적 가치가 lfp와 ncm차이가 없다고 느낀다면 비싼 ncm 보다는 중국산 lfp를 선호 할 듯 물론 ira 법안이나 유로에서 보호 무역으로 밀어주고는 있다고 하나 언제까지 버틸 수 있을 지 …

    • @kevinvestment
      @kevinvestment  9 місяців тому

      이미 작년부터 두드러지는 추세 중 하나입니다 LFP의 전성비가 빠르게 개선되면서 실사용자 입장에서 NCM이 탑재된 차와 이전만큼 큰 차이까지 벌어지지 않게 되었습니다. 한국 배터리 3사도 뒤늦게 LFP 양산/고도화에 진입한 것도 이 때문입니다.

  • @ash78041
    @ash78041 6 місяців тому

    크기가 큰 액정이 비싸다고 생각했는데

  • @네덜란드속담
    @네덜란드속담 3 місяці тому

    개나소나 분석하네ㅋㅋ LGD 다시 살아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