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9
- 26 483
또롱수학
Приєднався 24 чер 2013
안녕하세요:) 저는 수학임용준비생입니다. 스스로 공부하기 위해 만든 채널이였는데..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구독해주셔서 감사할 따름입니다🙇♀️ 초반 영상은 오류를 포함해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양해 부탁드려요🥺
Відео
[임용수학] 2024학년도 미적분학 A형 7번 (라이프니츠 적분공식)
Переглядів 5215 місяців тому
[임용수학] 2024학년도 미적분학 A형 7번 (라이프니츠 적분공식)
[복소해석학] 무한대에서의 유수정리, 2023학년도 B형 11번 복소해석 기출문제
Переглядів 1,8 тис.7 місяців тому
[복소해석학] 무한대에서의 유수정리, 2023학년도 B형 11번 복소해석 기출문제
[복소함수론] 특이점 분류, 리만제거가능특이점 정리, Rouche thm, 항등정리
Переглядів 3257 місяців тому
[복소함수론] 특이점 분류, 리만제거가능특이점 정리, Rouche thm, 항등정리
[복소함수론] 지수형식, 오일러항등식, 드무아브르 공식, 복소함수(다항함수, 유리함수, 지수함수) ①
Переглядів 3718 місяців тому
[복소함수론] 지수형식, 오일러항등식, 드무아브르 공식, 복소함수(다항함수, 유리함수, 지수함수) ①
[현대대수학] 1st, 2st, 3st sylow(실로우) 정리와 그 증명
Переглядів 4448 місяців тому
[현대대수학] 1st, 2st, 3st sylow(실로우) 정리와 그 증명
[이산수학] 평면그래프와 관련정리 | 오일러공식, e≤3v-6, 면의 차수의 총합=2e, 쿠라토프스키 정리
Переглядів 4398 місяців тому
[이산수학] 평면그래프와 관련정리 | 오일러공식, e≤3v-6, 면의 차수의 총합=2e, 쿠라토프스키 정리
정말 감사합니다
고급수학 심화탐구주제로 사용해도 되너요
네 선생님:)
하반구가 구를 정확히 반절로 잘랐을 때 단면과 bijection이고 상반구가 저 단면을 제외한 나머지 복소평면 부분과 bijection이라서 합집합이 전체 복소평면 부분이 나오고, 따라서 확장된 복소평면은 C U {북극점(+무한대)} 라고 이해해도 될까요?
네 맞습니다 선생님:)
@ 교수가 너무 못가르쳐서 여기까지 왔는데 정말정말 도움 많이 됐습니다! 다른 영상들도 시청하구 모르는 게 있음 또 댓글 남기겠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
진짜 도움 많이 됐습니다. 교수님보다 잘 가르치세요.
과찬의 말씀 감사합니다!😊
와.. 감사합니다. 이해가 잘되요. 마침 딱 필요한 내용이었어요. 덕뿐에 도움 받습니다. 그런데 유니크라니 스패셜 이라니 영어를 알아듣기가 조금 어렵네요. 영어 사용 감안해도 설명을 장말 잘하세요.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설명 잘들었습니다. 저도 임용수학준비하고 있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너무 잘 이해가 돼요! 글씨도 정갈하고, 증명 과정에 따른 필기 덕분에!
이거보고 현대대수학 기말고사 포기했습니다
수학과 공부하는데 많이 도움 받고있습니다 ㅎㅎ 감사합니다!
와 짱이다
딴딴딴딴딴 ㅋㅋㅋㅋㅋ
ㅋㅋㅋㅋㅋ 진짜 안어려워요 너무 웃겨요 근데 어려운데 어카죠?😢
오늘도 잘 배워가용
우와 이해가 너무 잘돼요!!!
8분에 함수의 분류 설명하실때 불연속함수는 연속함수의 여집합으로 표현하는게 좋을 것 같아요!
영상 일부러 안 보고 문제를 먼저 풀고 댓글 적어봤습니다. 저는 정규직교기저를 Gram-Schmidt로 구할 수 있으리라 생각했는데 막상 시험장에서 그런 계산 하려면 어려울 것 같군요. 더군다나 문제에서 요구한 값이 정규직교기저에 상관없이 유일하다는 게 뭔가 신기하군요..
27:58 재밌는 얘기
영상 잘 보고 있어요~ 감사해요❤ 혹시 아이젠슈타인 정리에 대한 다항식환 4번째 강의는 없나요??
감사합니다! 넹ㅠㅠ 뒤에 더 촬영했어야하는데 미처 못 찍었어용😭 제가 지금 임용이 다가와서 당장은 못찍을 것 같고 기회가 생기면 찍도록 하겠습니다ㅠㅠ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설명 정말 잘하시네용.. 도움 많이 됐어요!
굿노트 속지 어디꺼인지 알 수 있을까요? 상당히 예쁘네요 😃
m.blog.naver.com/xoxojw/221332797258 평소에 가로 속지를 선호하는 편이라 해당 블로그에서 다운받았습니다!
13:10 😂😂😂 13:19 ㅋㅋㅋㅋ
6:24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또롱샘 너무웃겨요
9:21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감사해요
선생님 안녕하세요 질문이 하나 있습니다! 근의 위치정리 증명에서 구간을 반 잘랐을 때 함숫값이 0이 되는 x가 있다는 걸 어떻게 알 수 있나요?!
선생님 안녕하세요 ㅎㅎ 초창기영상이라 부족한점이 많네요ㅠㅠ 0이 되는 점을 찾는 것이 주안점이므로, 구간을 잘랐을 때 0이되는 점을 찾아 구간열을 선택한다기 보다는 다음과 같이 이해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일반성을 잃지않고 f(a)<0, f(b)>0 라 하자. (구간 I_1:=[a=a_1, b=b_1]) p_1 := 1/2(a_1 + b_1) 만약 f(p_1) > 0 라면 구간I_2를 [a_1,p_1]로 잡아줍니다. 만약 f(p_1) < 0 라면 구간I_2를 [p_1,b_1] 로 잡아줍니다. 여기서 포인트는 구간열 I_n=[a_n,b_n]을 만들 때 a_n은 음수가 되게 b_n은 양수가 되게 잡아주는 것입니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해서 구간열을 만들고 닫힌구간축소열정리를 적용하면 0이되는 점 c를 찾을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저 포인트에 의문이 들어서 뒤에 이어지는 설명을 흘려들었나봐요😂 다시 보고 들으니 충분히 이해가 됩니다 감사합니다!!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선생님!! 너무 감사합니다!! 이쁜목소리, 이쁜 글씨체, 쏙쏙 들어오는 설명 정말 감사해요! 개념관련해서 더 올려주셔도 좋을거같아요! 지갑사정상 인강 잘 못듣는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강의 영상 정말 감사합니다.
좋은 강의 영상 정말 감사합니다.
강의 너무 좋아서 열심히 보고 있는데요 혹시 강의해주신 내용 pdf 파일로 받을수 있을까요? 물론 강의만으로도 너무 감사히 보고있어요👍🏻
도움 되셨다니 뿌듯하네요 ㅎㅎ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자료는 강의영상 촬영 후에 삭제했어요ㅠㅠ 차후 영상에서는 자료 사용시, 자료도 같이 업로드할 수 있도록 해보겠습니다! 좋은하루 되세욥!!
너무 쉬운 설명 감사해요😍
쏙쏙 이해 잘 되요! 그리고 목소리 너무 예뻐요❤
로랑급수에 대한 증명과정이 없는게 아쉽네요 ㅠㅠ
정역에서는 소원이면 기약원이고 UFD부터는 기약원이면 소원이다가 성립되어서 둘이 동치로 알고 있는데.. 소수의 개념의 2가지 성질인데 둘이 본질적으로는 같다. 도메인에 따라서 어떤 성질이 발현되느냐의 차이이다. 이렇게 이해하면 될까요??😇
네네! 맞습니다 ㅎㅎ
재생목록이 거꾸로 되어있어요😢
막힌 부분이 있었는데 덕분에 해결 되었어요. 감사합니다.
최고에용! 감사합니다~!
도움 많이 됐습니다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설명을 넘 쉽게 잘해주셔서 많은 도움 받고 있어요~ 넘 감사해요!!
정규화부분군을 이용하면 되는거구나.. 근데 뭔가 GP 위수가 G의위수 나누기 G_P인거로 잘 비틀어도 할수있을거 같은데 잘은 모르겠네요
코시정리 보니까 되게 관련 없을것같은 행동을 하는데 결과가 너무 신기하네요 시그마 취했을때 한칸씩 이동해서 반드시 X의 원소중 순서쌍의 각 성분값이 같아지는 친구가 있을수밖에 없다니.. 혼자 이해하려 했으면 무슨 소리가 하고싶은건가 하다가 꽤 고전했을것같네요
17:33 궤도의 갯수가 p^n의 약수이면 p^n의 약수는 p^k꼴밖에 안되니까 궤도의 개수가 p의 배수일뿐더러 p^k승인건가요?.. 그렇다면 실로우 3 정리랑 연관지어 생각한게 좀 잘못된거 같네요 흠 근데 왜 더 약한조건만 제시했는지 궁금하네요
아 증명을 더 따라갔어야 했네요.. 결국 합한걸 이야기해야만하니 강한조건을 쓸수없군요!
15:30 실로우3정리에 실로우 p군 개수가 pk+1 꼴인게 이 정리랑 상관있는건가보내요 기본 한개는 있으니까 거기에 X_G 의 원소를 작용한 군들이 다른 실로우 p군이 되는거 같긴한데 그럼 저 작용하는 원소는 실로우 2정리의 그 원소가 되는거 같은데 사실 X_G를 정확하게 알진 못해서 궁금하네요
현대를 학창시절에 안해서 시험 준비하려고 겉핥기로만 공부중인데 뭔가 딱 빈틈이 된것 위주로 특히 궁금했었던거 위주로 잡아주시니 좋네요
임의의 실로우 p부분군 H랑 전체집합의 원소 g에대해 실로우 p부분군 K가 존재해서 g*Hg=K 가 성립하는 g의 동치류 ~K 의 전체집합 X 에 대해서 X의 위수가 X_H의 위수랑 법 p만큼 차이나고 X_H의 원소는 g*Hg=H인 g의 동치류 즉 ~H 뿐이므로 1개 따라서 X의 위수는 pk+1꼴이고 이게 곧 실로우 p부분군의 개수이므로 p부분군의 개수가 pk+1|m 이구나.. 틀린부분도 있겠지만 이걸 하다니 만족이네요
일어나서 생각해보니 뭔가 애매하네요
지나가던 컴퓨터공학생입니다, 감사합니다.
이해가 쏙쏙! 좋은영상 감사해요
14:15 dθ 지워주세용ㅜ 오타입니다😂
수포자 확실한가요???? 너무 대단하신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