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en s
zen s
  • 310
  • 229 497

Відео

통과1단원 화학파트 주기율표와 결합의 종류
Переглядів 1,3 тис.2 роки тому
통과1단원 화학파트 주기율표와 결합의 종류
통과2단원 생물파트 세포의 구조와 세포막의 특징,물질이동
Переглядів 1502 роки тому
통과2단원 생물파트 세포의 구조와 세포막의 특징,물질이동
화1 양적관계와 그래프 분석
Переглядів 1932 роки тому
화1 양적관계와 그래프 분석
통과2단원 물리파트 등가속도 운동,포물선 운동
Переглядів 1362 роки тому
통과2단원 물리파트 등가속도 운동,포물선 운동
통과1단원 지학파트 규산염광물
Переглядів 4002 роки тому
통과1단원 지학파트 규산염광물
[2022][통과] 1단원 신소재파트 - 반도체 (순수반도체, 불순물 반도체(p형 반도체, n형 반도체), 다이오드, LED, 액정, 초전도체, 그래핀,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Переглядів 5842 роки тому
[2022][통과] 1단원 신소재파트 - 반도체 (순수반도체, 불순물 반도체(p형 반도체, n형 반도체), 다이오드, LED, 액정, 초전도체, 그래핀,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통과 1단원 지각파트_CH10 규산염 광물_감람석 휘석 각섬석 흑운모 장석 석영
Переглядів 4542 роки тому
통과 1단원 지각파트_CH10 규산염 광물_감람석 휘석 각섬석 흑운모 장석 석영
통과1단원-_물리파트_신소재_순수반도체, 불순물반도체, p형, n형, 다이오드, LED, 초전도체, 액정, 마이스너 효과, 흑연, 그래핀, 탄소나노튜브, 풀러렌
Переглядів 2212 роки тому
통과1단원-_물리파트_신소재_순수반도체, 불순물반도체, p형, n형, 다이오드, LED, 초전도체, 액정, 마이스너 효과, 흑연, 그래핀, 탄소나노튜브, 풀러렌
[통과_2단원_지구과학파트] CH18 지구시스템의 구성요소(지권, 수권, 기권, 생물권, 외권 )
Переглядів 1802 роки тому
[통과_2단원_지구과학파트] CH18 지구시스템의 구성요소(지권, 수권, 기권, 생물권, 외권 )
[통과_2단원_지구과학파트] CH21 판 경계의 지각변동(해령, 해구, 습곡산맥, 변환단층 등)
Переглядів 2512 роки тому
[통과_2단원_지구과학파트] CH21 판 경계의 지각변동(해령, 해구, 습곡산맥, 변환단층 등
[통과_2단원_지구과학파트] CH20 지각변동과 판 구조론
Переглядів 1332 роки тому
[통과_2단원_지구과학파트] CH20 지각변동과 판 구조론
ch19 지구시스템의 에너지와 물질순환-(6)
Переглядів 1082 роки тому
ch19 지구시스템의 에너지와 물질순환-(6)
ch19 지구시스템의 에너지와 물질순환-(5)
Переглядів 472 роки тому
ch19 지구시스템의 에너지와 물질순환-(5)
ch19 지구시스템의 에너지와 물질순환-(4)
Переглядів 712 роки тому
ch19 지구시스템의 에너지와 물질순환-(4)
ch19 지구시스템의 에너지와 물질순환-(3)
Переглядів 1152 роки тому
ch19 지구시스템의 에너지와 물질순환-(3)
ch19 지구시스템의 에너지와 물질순환-(2)
Переглядів 892 роки тому
ch19 지구시스템의 에너지와 물질순환-(2)
ch19 지구시스템의 에너지와 물질순환-(1)
Переглядів 3012 роки тому
ch19 지구시스템의 에너지와 물질순환-(1)
예비고1 통과[12 25개강] 기본 1주차 - 지각과 생명체 구성물질의 결합규칙성
Переглядів 5263 роки тому
예비고1 통과[12 25개강] 기본 1주차 - 지각과 생명체 구성물질의 결합규칙성
ch19 지구시스템의 에너지와 물질순환 - 태양 복사 에너지, 지구 내부 에너지, 조력 에너지, 고위도, 중위도, 저위도, 물의 순환 탄소순환
Переглядів 4333 роки тому
ch19 지구시스템의 에너지와 물질순환 - 태양 복사 에너지, 지구 내부 에너지, 조력 에너지, 고위도, 중위도, 저위도, 물의 순환 탄소순환
[통합과학] CH 20 지각변동과 판 구조론 - 화산활동, 지진, 연약권, 암석권, 판
Переглядів 3003 роки тому
[통합과학] CH 20 지각변동과 판 구조론 - 화산활동, 지진, 연약권, 암석권, 판
통합과학_지질시대, 시상화석, 표준화석, 대멸종, 판게아
Переглядів 1903 роки тому
통합과학_지질시대, 시상화석, 표준화석, 대멸종, 판게아
통합과학-1단원-CH11 생명체의 구성물질_탄수화물, 단백질, 핵산
Переглядів 4453 роки тому
통합과학-1단원-CH11 생명체의 구성물질_탄수화물, 단백질, 핵산
[ 통합과학 ] 지권의 층상구조 - 지각, 맨틀, 외핵, 내핵
Переглядів 7964 роки тому
[ 통합과학 ] 지권의 층상구조 - 지각, 맨틀, 외핵, 내핵
[ 통합과학 ] 태양계와 지구시스템 비교(overview)
Переглядів 2744 роки тому
[ 통합과학 ] 태양계와 지구시스템 비교(overview)
[ 통합과학 ] 이온결합물질의 성질 중 녹는점, 끓는점, 용해도
Переглядів 4134 роки тому
[ 통합과학 ] 이온결합물질의 성질 중 녹는점, 끓는점, 용해도
[ 통합과학 ] 이온결합물질의 형성
Переглядів 1514 роки тому
[ 통합과학 ] 이온결합물질의 형성
[ 통합과학 ] 이온결합물질의 전기전도성, 결정의 부스러짐
Переглядів 2544 роки тому
[ 통합과학 ] 이온결합물질의 전기전도성, 결정의 부스러짐
[ 통합과학 ] 이온결합물질 OX
Переглядів 844 роки тому
[ 통합과학 ] 이온결합물질 OX
[ 통합과학 ]이온결합물질의 구조
Переглядів 1034 роки тому
[ 통합과학 ]이온결합물질의 구조

КОМЕНТАРІ

  • @chopin-op8xh
    @chopin-op8xh 18 днів тому

    정말질봤어요

  • @SHL-rx3vy
    @SHL-rx3vy 21 день тому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단타들개
    @단타들개 2 місяці тому

    정현파 교류에 대한 이해를 쉽게 할 수 있었습니다. 속이 시원하네요. 별개로 목소리 너무 부드럽고 좋아요

  • @유지민-y8h
    @유지민-y8h 5 місяців тому

    나만 알고 싶은 강의.

  • @니와꾸내와꾸-c3t
    @니와꾸내와꾸-c3t 7 місяців тому

    감사합니다

  • @안봄이-x9w
    @안봄이-x9w 7 місяців тому

    내일 시험인데 도움 정말 많이 됐어요😂❤

  • @이리리0
    @이리리0 7 місяців тому

    감사해요 2024인데 이 강의 짱

  • @융쌤
    @융쌤 8 місяців тому

    감사합니다

  • @김재진-x9o
    @김재진-x9o 8 місяців тому

    친절한 설명 감사합니다

  • @김재진-x9o
    @김재진-x9o 8 місяців тому

    좋은강의 감사합니다

  • @Hilu7707
    @Hilu7707 8 місяців тому

    이해 잘 됩니당

  • @gorgeous9593
    @gorgeous9593 8 місяців тому

    감사합니다

  • @점-x9f
    @점-x9f 8 місяців тому

    그래프 드디어 이해했어요 내일 수행 잘보고 올게요!!!😢😮😊❤ 감사합니다!!!!!!!😊

  • @달콤바나나-c6k
    @달콤바나나-c6k 8 місяців тому

    완벽 그 자체!!

  • @user-pu8zs3fo1n
    @user-pu8zs3fo1n 9 місяців тому

    이해 잘되용

  • @소볼오
    @소볼오 9 місяців тому

    톤 낮은 카키색 옷, 청명하고 무뚝뚝한 여성 톤, 적당히 울리는 마이크 잔음과 쓰이는 맵의 시각적 안정감..약간 낮은 해상도 담백한 제목. 완벽한 힐링 영상.

  • @jang2033
    @jang2033 9 місяців тому

    선생님 혹시 이상기체 정의를 [절대온도가 0K일 때 부피가 0이 되는 기체]라고 적혀있다면 이때 부피는 기체 자체의 부피를 얘기하는 것이고 이 영상에서처럼 자체 크기는 무시하고 점으로 인식한다는 부분을 얘기하는거라 이해하면 좋을까요?? 음 자체 부피는 절대온도가 0이 아녀도 0인 것 같아서 뭔가 더 알아야할 것 같은데 흑흑 ㅜㅜ 답변이 달릴진 모르겠지만 그래도 이상기체 강의 이해가 안돼서 유투브 여기저기 찾아다녔는데 가장 설명이 친절하고 직관적이네요. 다른 영상들도 참고해보려구요. 정말 감사합니다!

  • @jang2033
    @jang2033 9 місяців тому

    와 설명 진짜 너무 좋네요.

  • @에에에에엥-n6f
    @에에에에엥-n6f 10 місяців тому

    진짜 멋있으세요….

  • @faraday88
    @faraday88 11 місяців тому

    강사님이 참 잘 가르치시네요 학생들 좋겠다 ㅎ

  • @Bl.i1116
    @Bl.i1116 11 місяців тому

    최고에여 감사합니다!!

  • @sungjongkim5928
    @sungjongkim5928 Рік тому

    😊

  • @오리너구리-m4c
    @오리너구리-m4c Рік тому

    선생님.. 질문있어요^^ 영상3분15초에서 그리신 코일의 자기장이요. 그 자기장은 무시하는건가요? 자기장이 두가지(자석의 자기장, 코일의 자기장)인데, 왜 자석의 자기장만 고려하나요?

  • @LIMJU2
    @LIMJU2 Рік тому

    감사합니다

  • @Youngmeister7596
    @Youngmeister7596 Рік тому

    에너지 자격증 준비에 너무 도움됩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 @김짱가-q9w
    @김짱가-q9w Рік тому

    넘 설명 좋아요. 선생님 감사합니다~~~^^

  • @콩아지-s8p
    @콩아지-s8p Рік тому

    감사합니다

  • @hcsung826
    @hcsung826 Рік тому

    궁금했는데, 친절히 알려주셔서 잘 이해헸습니다. 감사해요

  • @Jabdukchodingbutim16
    @Jabdukchodingbutim16 Рік тому

    샘 영상 보고 이번 중간 과학 만점 받았어요!!(중3) 작년에 무슨 일주 운동? 부분이 도저히 이해가 안 가서 유튜브에 강의 찾아보다가 선생님 영상을 발견했었죠,, 그때 이후로 과학 공부가 다른 과목들 보다 재미있다고 느끼게 됐어요😚 선생님을 발견한 후에는 점수가 90점 밑으로 떨어진 적이 없답니다 ㅎㅅㅎ 고등학교 가서도 과학 잘 하고 싶어요..! 앞으로도 자주 찾아뵐게요💗

  • @turtlephysics322
    @turtlephysics322 Рік тому

    훌륭한 강의 잘 들었습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윤희-u9x
    @윤희-u9x Рік тому

    오..설명 엄청 깔끔하고 좋네요. 뭔가 목소리가 길라임같아요

  • @aaaraaam
    @aaaraaam Рік тому

    와 다른 영상들보고 이해 못했는데 이 영상보고 바로 이해가 되버렸어요 감사합니다 🥹

  • @mounttop
    @mounttop Рік тому

    직장인인데 공조냉동기사 전기파트 공부하다 여기까지 왔네요. 감사히 잘 보았습니다.

  • @크리스탈-p1z
    @크리스탈-p1z Рік тому

    지린다!!!

  • @sangmyeongshin
    @sangmyeongshin Рік тому

    2023. 6. 8. 13:45 잘 보고 있습니다

  • @sangmyeongshin
    @sangmyeongshin Рік тому

    2023. 6. 8. 13:40 잘 보고 있습니다

  • @honey-jr4pd
    @honey-jr4pd Рік тому

    진짜감사합니다 아무리 책을 읽어봐도 개념이 안잡혔었는데 이해가 너무 잘되네요

  • @TrueAndTree
    @TrueAndTree Рік тому

    수준급의 강의 잘 봤습니다.

  • @sm22446
    @sm22446 Рік тому

    감사합니다

  • @형준-y4i
    @형준-y4i Рік тому

    너무 유익합니다 시험 5시간전에 보는중이에요

  • @김명환-d2c
    @김명환-d2c Рік тому

    감사합니다. 잘 이해됐습니다.

  • @정의진-q8g
    @정의진-q8g Рік тому

    센세 강의 어디서 볼수있어요?

  • @16-jf8xy
    @16-jf8xy Рік тому

    감사합니다 수업에 정말 도움이 되네요

  • @ufk3jds-u6y
    @ufk3jds-u6y Рік тому

    고마워!!

  • @이준석-n7b
    @이준석-n7b Рік тому

    띠틈이 아니라 띠간격 아닌가요?

  • @탄수는저녁에
    @탄수는저녁에 Рік тому

    빛은 전자를 튀어 나오게 한다. 빛이 파동이라면 빛의 세기에 따라 1. 전자가 튀어나올지 안 튀어나올지 결정된다. 2. 튀어나오는 전자의 최대 운동에너지의 크기가 달라진다. 3. 바로 튀어나오지는 않고 충분한 시간이 흐른 후 에너지가 충분히 축적되면 튀어나온다. 그런데 이 3가지가 모두 틀렸다. 빛이 입자라면 광자 1개당 에너지(E)=hf에 따라 1. 광전자가 튀어나올지 안 튀어나올지가 결정된다. 2. 광전자가 튀어나올 때의 운동에너지의 크기가 달라진다. 결론적으로 광자 1개가 갖고있는 문턱진동수에 따라 광자가 튀어나올지 안 튀어나올지 튀어나오는 광자의 운동에너지 등이 결정된다. 그런데 '파동이라면', 그리고 '입자라면' 이 전제가 이해가 안된다. 파동과 입자에 대해 잘 모르겠다 ㅜㅜ 설명잘해주시는교수님 감사합니다.

    • @탄수는저녁에
      @탄수는저녁에 Рік тому

      파동이라면 에너지의 크기가 개별 입자들의 합이 아니기 때문에 전자의 방출이 빛의 세기가 같다면 같아야 한다. 입자라면 에너지의 크기가 같더라도 개별 입자의 에너지의 크기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전자의 방출이 달라질 수 있다. 이런 느낌인가. 입자와 파동의 차이.

  • @성삼경-z5t
    @성삼경-z5t 2 роки тому

    <<< 기적의 무한동력 >>> 지상의 낙원을 위하여 다함께 동참 합시다.^^ ua-cam.com/video/9OqjAZLXhug/v-deo.html

  • @jjangskymaru9111
    @jjangskymaru9111 2 роки тому

    기술사 공부 중인데.. 기초가 부족한 부분에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envious1194
    @envious1194 2 роки тому

    아 융터르 제바아아아아아아아알

  • @닥터준
    @닥터준 2 роки тому

    와우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