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75
- 162 374
세재남 과학세상
South Korea
Приєднався 2 жов 2012
- 세재남 과학세상: 세상이 재미있는 남자 반재경 교수(공학박사, 전대학교수)가 운영하는 UA-cam 채널
- 고등학교 [물리학1] 전체 내용을 설명하는 동영상 업로드를 마쳤습니다. [물리학1]을 처음부터 개념 위주로 공부하는데 많이 도움 되었으면 합니다.
- [과학N기술] 과학과 기술에 관한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현재는 전자회로에 대한 영상을 업로드 중입니다.
- [회로이론] 회로이론에 대한 동영상을 업로드 중입니다. 회로이론을 처음부터 학습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채널에 대한 조언이 있으시면 아래 이메일로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jkpan100@gmail.com
- 고등학교 [물리학1] 전체 내용을 설명하는 동영상 업로드를 마쳤습니다. [물리학1]을 처음부터 개념 위주로 공부하는데 많이 도움 되었으면 합니다.
- [과학N기술] 과학과 기술에 관한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현재는 전자회로에 대한 영상을 업로드 중입니다.
- [회로이론] 회로이론에 대한 동영상을 업로드 중입니다. 회로이론을 처음부터 학습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채널에 대한 조언이 있으시면 아래 이메일로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jkpan100@gmail.com
[물리] #18 전자기파 스펙트럼
[물리학 1]의 ^전자기파 스펙트럼^단원을 통합 편집한 내용입니다. #전자기파 #스펙트럼 #전자기파이용 #전자기파종류 #전자기파표시 #전자기파발생 #전자파차폐
03:33 전자기파의 이용
06:51 전자기파의 표시
08:35 전자기파의 발생
12:21 전자기파 종류와 이용
19:41 전자레인지의 원리
33:12 전자파 차폐(Electromagnetic Shielding )
34:45 전자파 차폐 필요성
36:32 전자파 차폐 원리
03:33 전자기파의 이용
06:51 전자기파의 표시
08:35 전자기파의 발생
12:21 전자기파 종류와 이용
19:41 전자레인지의 원리
33:12 전자파 차폐(Electromagnetic Shielding )
34:45 전자파 차폐 필요성
36:32 전자파 차폐 원리
Переглядів: 45
Відео
[회로이론] #24 반전 가산기(Inverting Summer), 비반전 가산기(Noninverting Summer)
Переглядів 7412 годин тому
연산 증폭기를 이용한 반전 가산기(Inverting Summer)와 비반전 가산기(Noninverting Summer)를 설명합니다. #연산증폭기 #반전가산기 #비반전가산기 #summer 00:19 반전 가산기(Inverting Summer) 09:11 비반전 가산기(Noninverting Summer) 16:22 가산기 응용 예: Mixer
[물리] #17 전반사와 광통신
Переглядів 4621 годину тому
[물리학 1]의 ^전반사와 광통신^단원을 통합 편집한 내용입니다. #전반사 #광통신 #광섬유 00:55 전반사와 광통신 개요 06:36 전반사(Total Internal Reflection)란? 10:45 여러가지 전반사 현상 16:50 전반사의 이용_전반사 프리즘 또는 직각 프리즘 22:11 전반사의 이용_다이아몬드 24:38 전반사의 이용_빗물 감지 와이퍼 26:19 전반사의 이용_광섬유(Optical Fiber) 30:46 전반사의 이용_내시경, 광섬유 장식품, 자연 채광 33:44 광통신 시스템 39:12 파장 분할 다중화(WDM) 광통신 시스템
[회로이론] #23 연산 증폭기_비반전 및 반전 증폭기
Переглядів 353День тому
연산 증폭기를 이용한 비반전 증폭기와 반전 증폭기를 설명합니다. #연산증폭기 #비반전증폭기 #반전증폭기 00:17 비반전 증폭기(Noninverting Amplifier) 06:34 반전 증폭기(Inverting Amplifier) 11:44 전압 팔로워(Voltage Follower) 또는 단위 이득 증폭기(Unity Gain Amplifier) 13:17 전압 팔로워(Voltage Follower) 응용 예: 임피던스 매칭
[회로이론] #22 연산 증폭기 기초(Introduction to OP Amp.)
Переглядів 51314 днів тому
연산 증폭기가 포함된 회로를 해석하기 위한 연산 증폭기 기초 내용을 소개합니다. #연산증폭기 #회로해석 #반전단자 #비반전단자 00:14 연산 증폭기(Operational Amplifier)란? 04:40 연산 증폭기의 기능 08:25 연산 증폭기 특성 파라미터 10:17 이상적인 연산 증폭기(Ideal Operational Amplifier) 특성 14:06 [Example]
[물리] #16 파동의 전파와 굴절
Переглядів 9814 днів тому
[물리학 1]의 ^파동의 전파와 굴절^단원을 통합 편집한 내용입니다. #파동 #전파 #wave #propagation #파동의굴절 #굴절과반사 00:40 파동의 발생과 전파(Propagation) 06:07 파동 관련 기술 용어 11:37 파동의 표시, 속력, 종류 25:29 파동의 굴절 - 물결파의 굴절 27:59 굴절 법칙 39:45 파동의 굴절 - 빛의 굴절 39:50 빛의 굴절 현상 예 43:52 빛의 굴절과 반사(Snell's Law) 57:44 빛의 굴절 현상 01:12:23 파동 그래프 해석 문제
[회로이론] #21 최대 전력 전달(Maximum Power Transfer)
Переглядів 19614 днів тому
전기회로로 만들어진 시스템에서 전원에서 부하로 최대로 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조건을 설명합니다. #전력전달 #최대전력전달 #테브난의정리 00:22 최대 전력 전달(Maximum Power Transfer) 07:33 [Example]
[회로이론] #20 전원의 변환(Source Transformation)
Переглядів 11721 день тому
회로를 해석할 때 전압원을 전류원으로 또는 전류원을 전압원으로 변환하는 절차를 설명합니다. #전원변환 #전압원 #전류원 00:18 전압원과 전류원 04:00 전원의 변환(Source Transformation) 과정 08:03 테브난의 정리와 노튼의 정리를 이용한 전원의 변환 11:58 [Example] 전원의 변환 이용한 회로 해석
[물리] #15 전자기 유도_패러데이 법칙, 렌츠의 법칙
Переглядів 13221 день тому
[물리학 1]의 ^전자기 유도^단원을 통합 편집한 내용입니다. #전자기유도 #패러데이법칙 #렌츠의법칙 00:27 패러데이 법칙(Faraday's Law) 11:23 전자기 유도란? 18:07 렌츠의 법칙(Lenz's Law) 37:42 전자기 유도 예제 37:48 [전자기 유도 예제 1] 고정된 코일을 지나는 자기장의 세기가 변하는 경우 52:06 [전자기 유도 예제 2] 자석이 낙하하며 코일을 지나는 경우 55:41 [전자기 유도 예제 3] 도선 고리의 운동과 전자기 유도
[회로이론] #19 노튼의 정리(Norton's Theorem)
Переглядів 25921 день тому
회로를 해석 할 때 유용한 노튼의 정리(Norton's Theorem)를 설명합니다. #회로해석 #노튼정리 00:16 노튼의 정리(Norton's Theorem) 03:11 [Example 1] 노튼 등가회로 구하기 07:35 [Example 2] 노튼의 정리를 이용한 회로 해석
[회로이론] #18 테브난의 정리(Thevenin's Theorem)
Переглядів 33728 днів тому
테브난의 정리(Thevenin's Theorem)가 무엇인가?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회로를 해석하는 문제를 설명합니다. #회로해석 #테브난의정리 #테브난등가회로 00:13 테브난의 정리(Thevenin's Theorem)란? 04:01 [Example 1] 테브난 등가회로 09:26 [Example 2] 테브난의 정리를 이용한 회로 해석 1 14:44 [Example 3] 테브난의 정리를 이용한 회로 해석 2
[회로이론] #17 선형성(Linearity), 중첩의 원리(Principle of Superposition)
Переглядів 154Місяць тому
선형성(Linearity)이 무엇인가? 그리고 중첩의 원리(Principle of Superposition)를 이용하여 회로를 해석하는 절차를 설명합니다. #선형성 #Linearity #중첩의원리 #회로해석 #동질성 #비례성 #Superposition 00:18 선형성(Linearity)이란? 02:56 [Example 1] 선형소자와 비선형소자 07:39 중첩의 원리(Principle of Superposition) 11:27 [Example 2] 중첩의 원리를 이용한 회로 해석
[물리] #14 물질의 자성(Magnetism)
Переглядів 355Місяць тому
[물리학 1]의 ^물질의 자성^단원을 통합 편집한 내용입니다. #자기쌍극자 #자기모멘트 #자성체의특성 #반자성체 #상자성체 #강자성체 #자성체의종류 #자성체의활용 00:35 물질의 자성 04:51 자기 쌍극자 07:10 자기 모멘트 15:05 자성체의 종류(반자성체, 상자성체, 강자성체) 23:45 자성체의 특성 33:14 자성체의 활용
[회로이론] #16 메쉬(Mesh) 전류 해석법(Mesh Current Analysis)
Переглядів 146Місяць тому
회로를 해석하는 방법 중에 하나인 메쉬(Mesh) 전류 해석법을 설명합니다. #메쉬해석법 #망해석법 #회로해석 00:17 메쉬(Mesh) 전류 해석법 07:49 수퍼 메쉬(Supermesh)를 포함한 회로 해석 13:45 [Example]
[회로이론] #15 수퍼 노드(Supernode)를 포함한 회로 해석
Переглядів 106Місяць тому
수퍼 노드(Supernode)를 포함한 회로를 해석하는 절차를 설명합니다. #회로해석 #수퍼노드 #Supernode #노드전압해석법 #마디해석법 #절점해석법 00:19 수퍼 노드(Supernode)를 포함한 회로 해석 05:41 [Example 1] 09:56 [Example 2]
[회로이론] #14 노드(Node) 전압 해석법(Node Voltage Analysis)
Переглядів 100Місяць тому
[회로이론] #14 노드(Node) 전압 해석법(Node Voltage Analysis)
[과학N기술] 원자핵(Atomic Nucleus)?(핵반응 이해를 위한 기본)
Переглядів 83Місяць тому
[과학N기술] 원자핵(Atomic Nucleus)?(핵반응 이해를 위한 기본)
[회로이론] #11 직렬 전압원(Series Voltage Source)과 병렬 전류원(Parallel Current Source)
Переглядів 72Місяць тому
[회로이론] #11 직렬 전압원(Series Voltage Source)과 병렬 전류원(Parallel Current Source)
[물리] #12 발광 다이오드(LED), 광 다이오드(PD), 레이저 다이오드(LD)
Переглядів 428Місяць тому
[물리] #12 발광 다이오드(LED), 광 다이오드(PD), 레이저 다이오드(LD)
[회로이론] #8 저항성 트랜스듀서(Resistive Transducer)
Переглядів 144Місяць тому
[회로이론] #8 저항성 트랜스듀서(Resistive Transducer)
[회로이론] #7 저항(Resistor), 옴의 법칙(Ohm's Law)
Переглядів 1042 місяці тому
[회로이론] #7 저항(Resistor), 옴의 법칙(Ohm's Law)
아니 이런 고급 강의를... 감사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강의 너무나 감사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 뭐좀 여쭤보고싶습니다 채워지지않은 전자껍질늘 갖는 원자는 쌍을 이루지않는 전자가 존재하므로, 전자의 스핀이 원자의 자기모멘트를 만든다. 라고 하이탑 물리1 책에 나와있는데 원자번호28번 니켈은 채워지지않는 전자껒질을 갖는 원자지만 모든 전자들이 쌍을 이루고있는데요 ..? 또 원자번호10번 네온은 다채워진전자껍질을가졌고 모두쌍을 이뤘지만 반자성 자기모멘트를 가져요. 예외가있다는건 책에나와있는데로 원자가자기모멘트를 가지는 이유를 타당하게설명하고있지않다고 생각해서 물어봅니다
먼저 좋은 질문에 감사드립니다. 자기모멘트는 원자나 분자의 자기적 특성을 나타내는 물리적 양으로, 주로 원자 내부의 전자 스핀과 궤도 운동에 의해 발생합니다. 자기모멘트는 물질이 자기장에 어떻게 반응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문의하신 니켈과 네온의 자기모멘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니켈(Nickel, Ni) 원자의 자기모멘트 니켈은 전형적인 강자성체로, 자기모멘트는 주로 원자 내의 스핀에 의해 결정됩니다. 니켈의 원자 번호는 28이며, 전자 구조상 마지막 3d 오비탈에 비어 있는 전자가 존재합니다. 이러한 불완전한 d 오비탈 덕분에 니켈 원자는 강자성체로 자성을 띠게 됩니다. 2. 네온(Neon, Ne) 원자의 자기모멘트 네온은 비활성 기체로, 전자껍질이 완전히 채워져 있기 때문에 원자 내에서 전자 스핀이나 궤도 운동에 의한 자기적 효과가 거의 없습니다. 즉, 네온 원자는 자성을 거의 가지지 않으며, 자기모멘트가 매우 작은 값을 가집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답변 감사합니다! 그럼 채워진 전자껍질에서 전자는 파울리베타원리에 의해 서로 반대되는 스핀을 갖는 전자들이 채워지므로 이들의자기모멘트 합은0이다. 에서 10번네온은 채워진전자껍질로만 이루어져있고 전자가모두쌍을이루기때문에 자기모멘트의 합이0이지만 상자성이라는 자성을 띠게되는이유가 궁금해요
자기모멘트의 합이 정확히 0이 아니더라도 매우 작은 값을 가진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jkpan 하지만 학생들이 배우는 책에는 네온의 전자들의 자기모멘트합은0이다. 그렇기에 네온의 자기모멘트는 0.이다라고 단정지어서 기술되어있습니다. 어떻게생각하실까요 ㅠㅠ? 0에가깝다와 0이다.는 이원자들이 모였을때 완전히 다른 물리법칙인데요..
@@jkpan 또한 28번 니켈처럼 채워지지않는 전자껍질을 가져도 모든전자가 쌍을이루는게 가능한데, (채워지지않는 전자껍질을갖는 원자는 쌍을이루지않는전자가 존재하므로. ). 라고 기술되있는것도 잘못 기술되어있는것아닌가요??
초심자가 공조냉동이나 열관리 등을 공부함에 있어 나침반이 되어주는 강의 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응원합니다
감사합니다.
항상 멋진 강의 해주시는 반교수님, 새해에도 건강하시고 알찬 강의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이맛에 해듣이 가는가 봐요^^ (이대열 가수 정동진에서 작곡가)^^❤❤❤
예 좋았습니다. 감사합니다.
교수님 좋은 강의 내용 잘 들었습니다. 요즘 열심히 하시는 것 같라요^^ 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 꾸준히 좋은 영상 만들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소중한 강의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강의 감사합니다 잘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미 구독 완료 😊
감사합니다.
소중한 강의 감사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연이은 회로이론 영상 아주 좋아요^^
감사합니다🤗
좋은강의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물리학이 어쩌다 이 지경이 되었지요? 상대속도의 폐해] 우주에 둥둥 떠있을때는 내가 움직이는지 물체가 움직이는지 알수가 없으니까 시각적 속도인 상대속도를 이용할수밖에 없겠지만 (그래도 이때도 실제속도를 몰라서 어쩔수없이 상대속도를 쓰는거라는 과학적 사고가 있어야 되는거죠.) 내가 길거리를 걸어가고 있는데도 상대속도의 눈으로 보면 지구가 움직이는지 내가 걷고있는지 모르는거라서 실제속도를 모른다고 우기고 있으니 이게 말이 됩니까 (내가 걷고 있으니 내가 걷는게 실제속도죠.) 내가 길거리를 걷는것처럼 또는 지구가 자전, 공전하는것처럼 실제속도는 존재합니다. 실제속도를 모르겠는 상황에서야 어쩔수없이 상대속도를 쓸수밖에 없겠지만 이게 상대속도라는걸 인지해야 되는것이고요. 그리고 장비를 이용하든 공식을 이용하든 실제속도를 알아내는게 과학이죠. 실제속도를 모르겠다고 해서 상대속도가 실제속도가 되고 상대속도가 진리가 되는것은 아닌거죠. 달리는 자동차의 실제속도가 중요한것이지…달리는 자동차가 바라보는 멈춰있는 나의 상대속도가 중요한것인가요? 상대속도는 시각적 속도라서 헷갈릴뿐입니다. 그래서 상대적이지 않은 이 세상을 상대적이라고 하면서 왜곡이 생기는것이고요. 그러므로 실제속도의 개념 정립이 시급한거 같습니다. 내가 걸어가고 있는데도 지구가 움직이는지 내가 걷는건지 모르는거라고 우기는 물리학자들 보면서 이거 뭐 어찌해야 되는지.
왜곡된 물리학이 치유되는 방법은 이 세상이 상대적이지 않다는걸 인정하고 상대속도가 아닌 실제속도로 돌아가는 방법밖에 없는거 같네요. 실제속도를 모르시겠다고요? 전지전능하신 하나님은 우주 전체의 실제속도를 아실거 아닙니까? 이걸 알아내기 위해 과학이 따라가야죠.
원래 에너지(E)라는것은 실제로 존재하는게 아니라 인간이 편의상 수치로 에너지(E)라고 쓰던건데 물리학자들은 이걸 실제 에너지(E)가 존재하는걸로 크게 착각한겁니다. 예로) 열, 전기 같은거죠. 열, 전기는 에너지(E)가 아니라 이걸 인간이 에너지(E)로 생각하고 이용하는것뿐이죠. 그래서 E=mc2 이거는 무슨 에너지인지 실체가 없어서 맞는건지 측정을 해볼수도 없잖아요..
천동설을 믿던 사람들이 갈릴레이에게 묻습니다. “지구가 도는거면 왜 우리는 지구가 도는것을 느끼지를 못하는가?” 갈릴레이가 대답합니다. “그것은 관성때문입니다.” (여기까지는 매우 좋았는데) 갈릴레이는 관성때문에 정지해있는거를 착각해서 ‘상대성원리'라고 착각하는 바람에 후손들은 이 세상은 상대적이라고 착각하게됨. 1)천동설 - 태양이 움직임. 2)지동설 - 지구가 움직임. 3)상대설 - 지구가 움직이는지 태양이 움직이는지 알수가 없음(현대의 물리학) (이것이 역사적 사실이고 진실임…)
갈릴레이의 ‘상대성원리’는 이름과 개념이 수정되어져야 합니다. 이름은 ‘관성의 원리’로 수정해야 합니다 등속으로 움직이는 공간에서의 정지 현상은 상대적인것이 아니고 ‘관성의 원리’에 의해서 정지해있는것과 같은 현상이 발생하는것 뿐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개념도 수정되어져야 합니다. “등속으로 움직이는 공간에서는 관성때문에 정지해있는것과 같은 물리 현상이 발생한다. 그러나 관성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것들은 예외로 한다.” 이게 올바른거 같습니다. <기존의 ‘상대성원리’의 이름과 개념의 문제점.> 1.상대적이지 않은것을 상대적이라고 착각할 위험이 크다고 봅니다. (이것은 단지 관찰자가 등속의 공간에 있기 때문에 정지해있는처럼 느끼는것이지 실제로 멈춘것은 아니기때문입니다.) 2. “정지해 있든, 등속을 하든 물리법칙은 달라지지 않는다.”고만 하면 등속으로 음직이고 있는 공간을 정지해있는걸로 착각할수가 있고 물리법칙이 관성에 영향을 받는 물리법칙인지 모든 물리법칙인지 알수가 없으니까요.
[시각적 차이란?] 1.관찰 시점에 따라서 다르게 보이는 차이.. 2.빛의 속도가 무한하지 않아서 빛의 속도만큼 느리게 빛이 관찰자의 눈에 도달하는 차이. (상대성이론에서는 이 두가지를 계속 혼동하고 있는데 상대성원리, 상대성이론이 1번을 착각하는것이라 볼수있고 동시성의 상대성, 길이수축에서는 2번을 착각하고 있다고 볼수가 있죠.)
안녕하세요... 물질파 야구공 예제에서 야구공을 플랑크 차수정도만큼 아주 느린 속도로 던지면 측정가능한 파장이 나올것 같은데... 이런경우는 어떻게 해석하시나요?
좋은 질문 감사합니다. 실제로 야구공 속도를 10^-20 m/s 정도로 만든다는 것이 불가능하지 않을까요? 계산상으로는 플랑크상수에 버금가게 할 수 있겠지요. 하지만 실험상으로 측정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거의 대학교 다니는 것 같은 강의이군요. 감사합니다.
관심에 감사드립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관심에 감사드립니다.
바쁘신 와중에도 마카오를 다녀 오셨네요. 멋져요!
ㅎㅎㅎ
우다다다다다다다..... 내용은 좋은데 말씀 속도가 좀 빠릅니다~
반 교수님 강의 훌륭해요^^
감사합니다.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이해가 너무 잘 됩니다
다행입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잘 들었슴다 꾸준히 영상이 올라왔음 좋겠는데요
먼저 관심에 감사드립니다. 꾸준히 영상을 올리는 것이 쉽지 않네요. 많이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너무 쉽고 자세한 강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많은 도움을 받았습니다!
도움을 받으셨다니 다행입니다. 감사합니다.
CD표면이 무지개빛으로 보이는 원리가 빛의 회절과 간섭때문이라고 배웠는데요, 빛의 회절은 이해가 됩니다. 직진하는 성질을 가진 자연광이 CD 표면의 미세한 홈(장애물)을 만나 경로가 달라지면서 굴절률에 따라 반사되는 빛의 색깔과 형태가 달라지는 것으로 이해했습니다. 그렇다면 여기서 말하는 간섭은 어떤 현상인가요? 홈에 부딪쳐 회절될때 반사된 빛끼리 서로 간섭을 한다는 의미인가요? 아니면 애초에 직진하는 빛 안에 서로 다른 파동이 존재해서 서로 간섭하는건가요? 궁금합니다.
먼저 좋은 질문에 감사드립니다. 대부분 잘 이해하고 계신 것 같습니다. CD표면에서 회절된 빛의 간섭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회절격자(diffraction grating)의 동작 원리를 알아보면 좋겠습니다. 회절격자는 투과형과 반사형이 있는데 질문하신 CD표면은 반사형 회절격자와 비슷하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아주 가깝게 있는 많은 홈들에서 빛이 반사하는 현상을 보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회절격자는 들어간 파장(람다)에 따라서 dsin(각도)=m*람다(여기에서 d는 격자 슬릿간격이고, CD에서는 미세한 홈 간격) 수식을 만족하면서 보강간섭을 일으키며 여러 개의 점(각도에 따라서)으로 스크린에 나타나게 됩니다. 여기에서 들어간 빛이 가시광선(380~740 nm, 여러 개의 파장으로 생각)을 포함하고 있는 태양광이라면 파장에 따라서 보강간섭된 빛이 연속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무지개색으로 보입니다. 보는 위치(스크린 위치에 해당)에 따라서 보이는 색이 달라지면서 보입니다. 질문하신 간섭현상은 여기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보강간섭으로 생각합니다. 그림을 그리고 간단한 수식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편할 텐데 문장으로만 설명하다 보니 좀 전달하기에 부족한 것 같습니다. 우선 회절격자(diffraction grating)의 동작원리를 보시면 많이 도움이 되고 다른 광학소자를 이해하는데도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이러한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Noise의 Filtering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습니다. 과거 가정용 46/49 MHz, 900 MHz의 무선전화기에 채택되었으며 Philips와 Sony가 공동개발한 CD(Compact Disk)에도 적용되었습니다. 최초로 개발한 회사는 Dolby입니다. Log함수를 사용해 증폭하면 Masking되는 작은 신호를 최소화 할 수 있고, 특히 무선 음성 통신에서는 절대적입니다.
대수 및 역대수 증폭기에 대한 답변이 아니고 중간 댓글에 대한 답변입니다. 글의 순서가 오해하게 만들었네요. 감사합니다.
광증폭 중계기 개발할 때, 사용 했었음...
아~ 그러셨군요. 감사합니다.
전자공학 전공 학부생입니다. 공부에정말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었다니 다행입니다. 감사합니다. 친구들과 함께 공부해보세요.
유익한 내용 감사합니다, 선생님 혹시 ‘국부발진부’가 무엇인가요?
먼저 질문 감사합니다! 국부 발진기(LO, Local Oscillator)는 믹서(Mixer)와 함께 사용되어 수신 신호의 주파수를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수신된 주파수와 혼합하여 원하는 1차 중간 주파수를 만들기 위한 발진기이며, 통상 초단파(VHF) 대역에서는 21.4MHz가 차이 나는 주파수, 900MHz 대역에서는 45MHz가 차이 나는 주파수를 발진시켜 믹서로 공급합니다. 주요 용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 수신기: 수신 신호를 더 낮은 중간 주파수(IF)로 변환하기 위해 사용됨. • 송신기: 송신 주파수를 생성하는 데 사용됨. • 위상 동기 루프(PLL): 안정적인 주파수 생성을 위해 LO가 PLL 시스템에 사용됨. 따라서 국부 발진기는 통신 및 전자 장치에서 필수적인 부품 중 하나입니다. 답변이 이해하시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계속 공부 하겠습니다, 선생님^^
Audio에서는 Dolby, 통신에서는 Compander(Companding and Expanding)이라 합니다. Noise는 일정 Level로 발생하기 때문에 작은신호는 Noise에 의해 Masking되어 신호의 Encoding이 불가할 수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큰신호는 Noise의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를 위해 Log증폭기를 사용하여 작은신호는 크게 증폭하고 큰신호는 작게 증폭하여 Noise의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 이를 Companding이라 합니다. 이를 Decoding하기 위해서는 Anti Log증폭기가 사용됩니다. 이를 Expanding이라 합니다.
추가적인 유용한 설명에 감사드립니다.
노이즈랑 작은 신호랑 어떻게 구분함? 노이즈는 emi emc 설계 이외에 해결 방벅이 없는 것 아님? 증폭은 노이즈를 구분 못함...
@dongyulee2095 먼저 관심에감사드립니다. 노이즈는 아시는 것처럼 열잡음, 산탄잡음, 백색잡음 등 아주 여러가지가 있는데 이들의 스펵트럼 등 특성을 알아내서 적당한 filter를 통과한 후 S/N비를 좋게하여 이를 증폭할 수 있겠습니다. 물론 말씀하신 전자파 차폐하는 방법이 작은 신호에서는 가장 효율적일 거라고 생각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dongyulee2095 Noise가 포함된 신호에서 상대적으로 작은신호는 묻히고, 큰 신호는 영향을 받지않아, 작은신호를 최대한 살리기 위해서 Log증폭을 하는것입니다. Noise의 Filtering 과는 전혀 상관없습니다. 과거 가정용 46/49Hz, 900 MHz의 무선전화기의 Handset과 Base간 통신에 응용되었으며, Sony와 Philips가 공동개발한 CD(Compact Disc)에도 적용되었읍니다
교수님 좋은 영상 공유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광케이블은 빛의 전반사를 이용하는 것인데요 혹시 빛의 직진하는 특성을 이용하면은 정보전달이 좀 덜 되는 것인가요? 문득 빛을 직진으로 보내면 파장이 더 빠르게 갈 것 같은데. 혹시 제가 잘 못 알고 있는 것인가요? 물리학을 안 배운 사람으로서 질문드립니다. ^^
먼저 관심에 감사드립니다. 광통신 시스템에 사용하는 광케이블은 기본적으로 굴절률이 다른 가늘고 긴 유리로 된 괌섬유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광섬유에 직진성이 강한 레이저 빛을 들어가게 하면 전반사에서 나타나는 임계각 이내로 들어가는 빛은 멀리까지 갈 수 있습니다. 문의하신 문맥으로 보면 빛이 직진한다고 하신 내용이 전반사 하지 않고 광섬유의 중심을 지나는 것을 얘기한다면 전반사를 거치면서 온 빛과는 지나온 거리가 다르기 때문에 광섬유를 빠져 나올 때는 중심으로 온 빛이 먼저 나오겠습니다. 이때 전반사하는 각도에 따라 빛이 나오는 시간이 다릅니다. 이로 인하여 광통신 속도를 저해하는 분산(펄스의 퍼짐)이라는 것이 생깁니다. 물론 이를 줄일 수 있는 광섬유 구조도 개발되어 사용하고 있습니다. 질문하신 내용 중에서 파장이라는 개념은 조금 다른 내용입니다. 파장이라는 개념은 빛의 색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물론 유리에서 빛의 색에 따라서 속도가 달라집니다. 전공하지 않은 독자가 이해하기에 좀 어려운 내용에 관심을 가져 주심에 감사드립니다. 답변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jkpan 교수님 자세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꾸벅
선생님 안녕하세요 핸드폰 고장으로 베터리가 부풀어 핸드폰사이 틈이생겨서 손에 찌릿찌릿 전기가 왔습니다 3일뒤 교체하기는 했는데 교체하기전 이틀동안 만지기도그래서 이틀동안 잠옷위에 올려두었습니다.잠옷이 뜨거웠습니다 이후 잠옷을 입으니 찌릿찌릿한 느낌이 들어 찝찝해서 다른 잠옷들과함께 빨래를 하였는데 다른 잠옷들까지 찌릿찌릿한 느낌입니다 제 착각인건지, 기분탓인건가요? 일반의류, 면에도 전기가 통하나요? 이동하나요? 잠옷을 버려야하나요? 전문가 답변 기다립니다ㅠㅠ
핸폰 배터리로 고생하셨군요. 문의하신 배터리로 인하여 잠옷으로 전기가 이전하고~ 다른 잠옷까지로 영향을 줄 수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전기는 충전기가 아니면 머물(저장될) 수가 없습니다. 옷에서 전기가 발생하는 것을 느끼는 일은 정전기 현상입니다. 이때도 전기는 순간적으로 생기고 방전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관심에 감사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교수님 이번학기에 복학하는데 이거 들으면서 전자회로 열심히 공부하려고 합니다. 앞으로 많은 영상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정말 쉽고 재밌어요!
감사합니다.
설명 너무 이해잘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교수님, 덕분에 많이 배우기 시작합니다. 귀중한 가르침 감사드립니다.
도움이 되신다니 다행입니다. 감사합니다.
강의 잘 보고 들었습니다.감사합니다.TEM설치시 주의사항중 진동,소음의 범위는 어떻게 되나요?
먼저 관심에 감사드립니다. TEM은 매우 높은 해상도를 요구하는 장비로, 설치 환경의 진동과 소음이 장비의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TEM 설치할 방은 진동을 0.1 um/s이하로, 소음은 40-50 dB 범위에서 설치하는 것이 이상적이라고 나와 있습니다. 정확한 요구 사항은 TEM 제조업체의 매뉴얼과 설치 기준을 참조하는 것이 좋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P채널은 PNP(IGBT 포함)와 유사한 동작을 하고 N채널이NPN(IGBT 포함)과 유사동작을 할것이다. 주의할점은 강의에 쓰인 벌크형(바디 다이오드가 빠진) 심벌에서는 화살표 방향이 반대임에 명심할것.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관심에 감사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전기 초보인데 선생님의 강의가 쏙쏙히 들어옵니다 설명을 초보가 듣기에도 잘해주시네요 전기 기초 부분에서도 많이 강의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시간이 되면 회로이론 부분도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구독 했어요...
관심에 감사드립니다.
BJT 관련 영상 통틀어서 가장 쉽게 설명해주시네요! 정말 감사합니다.
관심에 감사드립니다.
전압 이득 구하기 34:44
속도가 너무 느린데.
작업하는 실제 속도입니다. 감사합니다.
랩핑기가 느리다는 말이예요.ㅎ 저는 쓰리암 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