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와와와와와 앱이름 뭡니까?
니엄마
와 이섹은…😊
시험 전날에 이걸 보고있는 내가 미친짓이다
Mt bromo be like
기차길 휜 것까지 너무 완벽한 영상... 잘 보고 갑니다
아놔^^,,,,,
정말 최고예요
*^^*^^*^^*
이거보고 수렴형 경계 이해했습니다... 감사합니다
^^….
최고의 영상
이 영상 없이는 발산형 경계를 이해할 수 없게 되었어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혹시 발산형 경계에서 해령이 만들어지는 것도 볼 수 있을까요..?
이해가 바로되노
안녕하세요. tvN 벌거벗은 세계사 팀 입니다. 자료 사용 관련하여 문의 드립니다. 출처 알 수 있을까요?
대신 답변 드립니다 dynamic plates 라는 어플입니다
@@juwonjeong4792 감사합니다 :)
우리나라에서는 이 어플 쓸 수 없나요?
마그마: 해령은 맨틀대류의 상승부에 해당하기때문에 아래에서부터 올라온 맨틀은 압력감소로 인해 융융점이 하락하여 생성.... 열곡: 해령 중앙부에 비해 양쪽 옆이 상대적으로 튀어나와보이지만 이것은 단층에 의해 지면이 주변에 비해 상대적으로 함몰되어 만들어진다....
융융
용융
심발지진이 저래서 일어나는군..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대기역학도 잘하실것같아욤^^🤍. 아님 혹시 AR천재~?~? *^^*
신기하다
끝에 왜 높아짐?
선생님 사랑합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혹시 영상 제작에 쓰인 자료의 원출처를 알려 주실 수 있으실까요?
흔들리는 건 지진 인가요??
오브콜스 ㅋ
영상에서 해구가 어떤 것인지, 왜 생기는지 알려주실수 있을까요ㅠ공부중인데 이해가 안되네요...ㅠㅠ
안진우 바보
캘리포니아 지역이죠?
네 산안드레아스요
부흥고 좋아요
부흥고 어서오고
부흥고인사람 좋아요
이야 이거 발산형 경계 공부할 때 진짜 유용하다.저 지금 발산형 경계 공부하려고 찾아본건데 이거 진짜 바로 이해되네요.
안녕하세요! 혹시 발산형 경계 (해양-해양)은 자료가 없을까요 ..???
이거 시뮬레이션 이름이 뭔가요?
dynamic plates라는 어플입니다
문서진 바보
완전 감사합니다 ㅠㅠ 덕분에 호상열도가 이해되네요 ㅠㅠㅠ
좋은 영상이네요^^ 구독하고 갑니다~^^*
자료가 너무 좋아서 그러는데 혹시 출처를 알 수 있을까요?^^
지1 공부하고 있는데 역시 눈으로 직접 보니 이해가 잘가네요 ㅋㅋ 유익한 영상 올려 주셔서 감사해요.
열점이 왜 대륙판 아래 생기는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해양판과 대륙판의 수렴형 경계에서는 밀도가 큰 해양판이 대륙판 아래로 섭입하게 되는데, 이 때 해양판이 밀려 들어가면서 대륙판 아래쪽에서 두 판이 서로 접하게 되고 이 접하는 부위에서 암석이 녹아 마그마가 생성됩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hot spot은 아니고 그냥 마그마가 생성되는 지점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 접하는 부위가 우리가 판의 위쪽에서 아래쪽을 바라보았을때 대륙판 아래쪽(대륙판의 지하)에 있기 때문에 흔히 대륙판 아래에서 마그마가 생성된다고 표현하는 것입니다!
@@기압경도력답변 감사합니다! 이해가 잘 됬어요
그럼 위에 생기겠냐
@@강동호-h3n ?
빨간 점은 용암인가요? 왜 수렴형경계 충돌형에서는 화산활동이 잘 안일어나는 지 이해가 안되네요ㅠㅠ
안녕하세요! 답이 늦어서 죄송합니다. 대륙-대륙 충돌형 경계에서는 마그마가 생성되기도 하지만 두꺼운 판을 뚫고 나오지 못해 결과적으로 화산활동은 일어나지 않습니다:)
@@기압경도력 답변 감사합니다!
와와와와와와 앱이름 뭡니까?
니엄마
와 이섹은…😊
시험 전날에 이걸 보고있는 내가 미친짓이다
Mt bromo be like
기차길 휜 것까지 너무 완벽한 영상... 잘 보고 갑니다
아놔^^,,,,,
정말 최고예요
*^^*^^*^^*
이거보고 수렴형 경계 이해했습니다... 감사합니다
^^….
최고의 영상
이 영상 없이는 발산형 경계를 이해할 수 없게 되었어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혹시 발산형 경계에서 해령이 만들어지는 것도 볼 수 있을까요..?
이해가 바로되노
안녕하세요. tvN 벌거벗은 세계사 팀 입니다. 자료 사용 관련하여 문의 드립니다. 출처 알 수 있을까요?
대신 답변 드립니다 dynamic plates 라는 어플입니다
@@juwonjeong4792 감사합니다 :)
우리나라에서는 이 어플 쓸 수 없나요?
마그마: 해령은 맨틀대류의 상승부에 해당하기때문에 아래에서부터 올라온 맨틀은 압력감소로 인해 융융점이 하락하여 생성.... 열곡: 해령 중앙부에 비해 양쪽 옆이 상대적으로 튀어나와보이지만 이것은 단층에 의해 지면이 주변에 비해 상대적으로 함몰되어 만들어진다....
융융
용융
심발지진이 저래서 일어나는군..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대기역학도 잘하실것같아욤^^🤍. 아님 혹시 AR천재~?~? *^^*
신기하다
끝에 왜 높아짐?
선생님 사랑합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혹시 영상 제작에 쓰인 자료의 원출처를 알려 주실 수 있으실까요?
흔들리는 건 지진 인가요??
오브콜스 ㅋ
영상에서 해구가 어떤 것인지, 왜 생기는지 알려주실수 있을까요ㅠ공부중인데 이해가 안되네요...ㅠㅠ
안진우 바보
캘리포니아 지역이죠?
네 산안드레아스요
부흥고 좋아요
부흥고 어서오고
부흥고인사람 좋아요
이야 이거 발산형 경계 공부할 때 진짜 유용하다.저 지금 발산형 경계 공부하려고 찾아본건데 이거 진짜 바로 이해되네요.
안녕하세요! 혹시 발산형 경계 (해양-해양)은 자료가 없을까요 ..???
이거 시뮬레이션 이름이 뭔가요?
dynamic plates라는 어플입니다
문서진 바보
문서진 바보
완전 감사합니다 ㅠㅠ 덕분에 호상열도가 이해되네요 ㅠㅠㅠ
좋은 영상이네요^^ 구독하고 갑니다~^^*
자료가 너무 좋아서 그러는데 혹시 출처를 알 수 있을까요?^^
지1 공부하고 있는데 역시 눈으로 직접 보니 이해가 잘가네요 ㅋㅋ 유익한 영상 올려 주셔서 감사해요.
열점이 왜 대륙판 아래 생기는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해양판과 대륙판의 수렴형 경계에서는 밀도가 큰 해양판이 대륙판 아래로 섭입하게 되는데, 이 때 해양판이 밀려 들어가면서 대륙판 아래쪽에서 두 판이 서로 접하게 되고 이 접하는 부위에서 암석이 녹아 마그마가 생성됩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hot spot은 아니고 그냥 마그마가 생성되는 지점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 접하는 부위가 우리가 판의 위쪽에서 아래쪽을 바라보았을때 대륙판 아래쪽(대륙판의 지하)에 있기 때문에 흔히 대륙판 아래에서 마그마가 생성된다고 표현하는 것입니다!
@@기압경도력답변 감사합니다! 이해가 잘 됬어요
그럼 위에 생기겠냐
@@강동호-h3n ?
빨간 점은 용암인가요? 왜 수렴형경계 충돌형에서는 화산활동이 잘 안일어나는 지 이해가 안되네요ㅠㅠ
안녕하세요! 답이 늦어서 죄송합니다. 대륙-대륙 충돌형 경계에서는 마그마가 생성되기도 하지만 두꺼운 판을 뚫고 나오지 못해 결과적으로 화산활동은 일어나지 않습니다:)
@@기압경도력 답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