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 알려주는 아빠
우주 알려주는 아빠
  • 19
  • 41 477
입문용 천체망원경 구입 전 필수 시청 영상 | 망원경 추천 | 언박싱 | 셀레스트론 80AZ | 천체관측
#망원경 #망원경추천 #입문용망원경
이 영상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입문자용 망원경 추천과 그 이유를 영상에 담았습니다.
초보자도 쉽게 별과 우주를 즐길 수 있는 망원경 + 필수 구매 용품 설명
00:00 미리보기
00:28 어떤 망원경을 살까?
02:49 망원경 추천
04:27 추천 망원경 언박싱
07:26 망원경 가방 추천
08:02 입문용 망원경에 대한 생각
09:37 우주에서 날아온 빛
Переглядів: 1 184

Відео

전세계 인류의 1%만 알고 있는 비밀 | 영상을 보고 나면 당신도 "이 시간에" 밤하늘을 보게 됩니다.
Переглядів 1,7 тис.21 день тому
#우주 #우주다큐 #우주정거장 #천체관측 #목성 #토성 #망원경 국제우주정거장 ISS(International Space Station)를 직접 관측해보자! 00:00 인트로 00:47 국제우주정거장 ISS 01:13 추천 어플 및 사용 방법 02:56 ISS 관측하기 05:02 관측의 순간 06:27 마무리
입문자용 20만원대 망원경 | 달, 목성, 토성을 한번 실제로 관측해 봤습니다 | 초급망원경으로 볼만한 천체 추천
Переглядів 1,8 тис.Місяць тому
#우주 #망원경 #천체관측 #달관측 #목성 #토성 #입문 20만원대 저가형 망원경으로 어디까지 볼 수 있을까? 실제로 촬영한 달 목성 토성과 볼만한 천체들 추천. 시중의 20만원대 망원경을 가지고 아무 장비 없이 스마트폰으로만 촬영해 봤어요. 20~30만원 정도의 망원경 구입하실 때 참고하세요. 00:00 인트로(미리보기) 01:17 굴절망원경 01:47 망원경의 배율 02:51 달 관측 03:16 목성 관측 03:50 토성 관측 04:09 별 (시리우스, 베텔게우스) 04:44 성단 05:21 보기어려운 천체 (성운, 은하) 06:14 마무리
우주를 향한 거대한 도전, 2025년 역사적 우주 탐사 5가지
Переглядів 544Місяць тому
#우주 #화성 #달 #우주탐사 #우주다큐 2025년에 예정되어 있는 인류의 우주탐사 5가지! 00:00 인트로 01:04 생명체를 찾아서, 유로파 클리퍼 02:46 인류의 화성 이주 탐색, 에스카페이드 04:00 럭셔리 우주호텔, HAVEN-1 05:02 유인 달 탐사, 아르테미스 2호 06:13 초 고난이도 소행성탐사, 톈원2호 08:14 마무리
지구 최강의 망원경 제임스웹이 보내온 경이로운 우주 이야기 (Feat. 허블우주망원경)
Переглядів 12 тис.3 місяці тому
#우주 #우주다큐 #제임스웹 #망원경 #천체관측 제임스웹 망원경을 알아보고 우주의 최신 사진에 대해서 분석해보자! 00:00 인트로 01:28 제임스웹 우주 망원경(JWST) 03:09 JWST의 첫 우주사진 03:36 큰부리새자리의 NGC602 최신사진 05:02 허블 우주 망원경과 비교 06:22 제임스웹 망원경 사진과 허블 망원경 사진 구별 방법 07:28 마무리 Source James Webb Space Telescope esawebb.org/ www.nasa.gov/
입문용 망원경 추천 | 초등학생 우주 책 추천 | 천체투영관 활동 추천
Переглядів 4283 місяці тому
#천체관측 #망원경 #달 #우주 유아나 초등학생에게 알려줄 수 있는 우주 체험 00:00 인트로 01:32 천체투영관 추천 03:17 우주 도서 추천 04:57 망원경 추천 07:24 마무리
천체관측 입문 | 망원경의 원리 | 배우면 언젠가는 써먹는 | 망원경 구입하기 전 필수 영상
Переглядів 1,6 тис.3 місяці тому
#망원경 #우주 #제임스웹 #과학상식 #우주상식 망원경의 기본 원리, 그리고 대표적인 3가지 망원경에 대한 종류와 특징에 대해서 설명합니다. 00:00 인트로 00:39 망원경의 원리 02:34 굴절망원경 03:58 반사망원경 05:16 복합망원경 06:48 허블우주 망원경과 제임스웹 망원경 07:33 세상에서 제일 큰 굴절망원경 08:00 마무리
우주상식 | 흥미로운 달 이야기 | 아이들에게 알려주면 좋은 달 상식
Переглядів 7674 місяці тому
#아폴로11호 #우주 #과학상식 #우주상식 #달 아이들에게 알려주면 좋은 달 상식 맨 뒤쪽에 아폴로11 추가영상도 있어요 00:09 아폴로11호 영상 00:50 닐암스트롱의 발자국 01:54 도입부 02:44 달까지의 거리 | 작아지는 달 04:37 달의 크레이터 | 한글이름 남병철 크레이터 06:17 달에 사는 토끼 | 달토끼 07:15 달에서 보는 지구 상상하기 08:00 마무리 08:37 쿠키영상 | 아폴로11호 월면차 | 달에서 노래하는 닐 암스트롱 #아폴로11호 #우주 #달 #천체 #과학상식 #우주상식 #지구 #크레이터 #남병철 #달토끼
한번 알아두면 평생가는 | 스마트폰으로 달사진 잘 찍는법 | 보름달 촬영
Переглядів 1,8 тис.4 місяці тому
#달 #달사진 #슈퍼문 #보름달 #사진잘찍는법 #갤럭시로찍음 스마트폰으로 달을 예쁘게 찍어보자! 00:00 도입부 00:57 달 찍는법 02:50 마무리
천문학자들이 말하는 우주가 거대한 이유 | 우주의 크기
Переглядів 15 тис.4 місяці тому
#우주 #빅뱅 #인류원리 #우주의 크기 #암흑물질 빅뱅, 암흑에너지, 인류원리를 통해 우주의 크기에 대해 설명합니다. *뒤에 틀어놓은 영상은 NASA에서 제공하는 국제우주장거장 ISS(International Space Staition)의 실시간 동영상입니다! ua-cam.com/users/liveO9mYwRlucZY?si=VTXvH9yg2RYPhDUR 00:00 도입부 02:22 |빅뱅| 먼 옛날 발생한 우주의 시작 04:45 |암흑에너지| 미스터리한 중력과 반대되는 힘 08:18 |인류원리| 우리는 특별하다 10:43 마무리
우주는 얼마나 넓을까? | 우주의 크기 비교 | 알고보면 소름돋는 우주의 크기
Переглядів 4784 місяці тому
#우주 #크기 #science #과학 #태양계 이 우주에서 지구는 얼마나 작은 존재이고, 이 작은 곳에서 우리가 문명을 일으켜 살아간다는 기적. 원본영상: ua-cam.com/video/yl7BVjDgCQg/v-deo.html
천체망원경으로 우주를 볼 때 이런 생각을 해보세요! | 빛을 통한 시간 여행 | 우주의 크기 | 천문대 가기 전 필수 시청
Переглядів 1215 місяців тому
천체망원경으로 우주를 볼 때 이런 생각을 해보세요! | 빛을 통한 시간 여행 | 우주의 크기 | 천문대 가기 전 필수 시청
수금지화목토천해 "명"? | 이제 명왕성은 없다고? |태양계 명왕성 퇴출의 숨겨진 비밀!
Переглядів 695 місяців тому
수금지화목토천해 "명"? | 이제 명왕성은 없다고? |태양계 명왕성 퇴출의 숨겨진 비밀!
아이들을 위한 똑똑한 천체망원경 고르기!
Переглядів 2335 місяців тому
아이들을 위한 똑똑한 천체망원경 고르기!
캠핑가서 당장 볼 수 있는 여름밤의 별자리 (feat. 은하수)
Переглядів 545 місяців тому
캠핑가서 당장 볼 수 있는 여름밤의 별자리 (feat. 은하수)

КОМЕНТАРІ

  • @minkukkim-w2h
    @minkukkim-w2h 3 дні тому

    배율이 높아도 흐릿하게 보이는 이유가 뭔가요?? 배율만 높아선 안되구 렌즈나 뭐 다른 것들도 같이 좋아져야 되는 건가요??

    • @space2i
      @space2i 2 дні тому

      안녕하세요^^ 고배율로 갈수록 흐릿한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크게 몇가지만 말씀드리면요. 1. 초점 흐리다는 말은 초점이 안맞는다는 말과 비슷합니다. 배율이 높아지면 초점을 배우 정확하게 잡아야 하거든요. 그런데 이런 입문용 망원경은 저렴한 초점조절장치를 사용하기 때문에, 고배율에서 손으로 다이얼을 돌리며 초점을 정확하게 맞추기 매우 힘들어요. 좋은 초점조절 장치는 기어(톱니바퀴)가 아주 딱 맞게 잘 되어 있거나 미세 조정 다이얼등이 붙어 있어 정밀하게 조정이 가능해요. 2. 렌즈의 품질 고배율로 가게되면 빛 경로의 정렬이 잘 되어야 고배율에서 유리한 상을 얻을수 있어요. 이런것이 잘 되어있지 않을 때는 저배율은 괜찮지만 고배율에서 두드러지게 색수차(색번짐)나 왜곡 등이 일어날수 있거든요. 아무래도 입문용 망원경이다보니 엄청나게 좋은 품질의 렌즈를 사용하지는 않아요. 3. 구경의 한계 입문용 망원경은 구경이 크지 않아서 빛을 모으는데 한계가 있습니다. 쉽게 말해 배율을 많이 올릴수록 빛이 많이 필요하게 되는데(안그러면 어두워짐) 구경이 상대적으로 작다보니 고배율에서 상이 어둡게 보입니다. 4. 대기의 영향 저배율보다 고배율에서 대기의 흐름에 민감해요 (쉽게 말해 바람이 조금만 불어도 상이 불안정해져요) 망원경으로 찍은 천체의 동영상(특히 고배율)을 보다보면 뭔가 아지랑이 처럼 이글이글 할때가 있어요. 그게 대기의 흐름으로 상이 흐리다 좋아지다 반복하다보니 그렇게 보이게 됩니다. 제가 영상에서도 이야기 했지만 20~30만원 망원경은 이런 이유로 100배 이상은 잘 권장되지 않아요. 영상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 @고구마탕후루
    @고구마탕후루 5 днів тому

    한번 보고 싶긴하다 아 심지어 달이라도

  • @space2i
    @space2i 7 днів тому

    입문자용 추천 망원경 보러가기 bit.ly/3WyUuYo 꼭 필요한 망원경 가방 보러가기 bit.ly/40A6Joy 이 영상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 @space2i
    @space2i 7 днів тому

    어떤 망원경이 좋을까? 망원경 추천 영상 클릭! ua-cam.com/video/0m_dgK_ex2A/v-deo.html

  • @김보라-i9g
    @김보라-i9g 14 днів тому

    토성이랑목성

  • @진해구민
    @진해구민 22 дні тому

    엊그제 유난히 달옆에빛나는별이있길래... 혹시 유성이떨어지나ㅎㅎ영화처럼생각했는데 목성이었군요ㅎㅎ 정보감사해요

    • @space2i
      @space2i 22 дні тому

      달은 행성주변을 열심히 옴겨다니거든요. 오늘은 또 붉은 화성옆에 있네요 ^^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okgreen22
    @okgreen22 28 днів тому

    👍

  • @dabinseori
    @dabinseori 28 днів тому

    와!!! 정말 사막에서 갈증을 느낄때 조금 해갈할 오아시스를 찾은 느낌입니다. 전 60대 중반 입니다 70년대 중학교를 다녔습니다. 그 당시 우리의 과학과목 교과과정이 물상과 생물 두 부분으로 분류가 되었는데.. 지금 생각해보니 생물은 암기과목이였다고 기억 되는데 정말 못했습니다 하지만 물상시간은 정말 재미있었다는 생각이였습니다. 이유는 물상시간에 지금도 물상 선생님의 성함도 기억 하는데... 가끔 천체에 관한 얘기를 해주시곤 하셨는데 정말 재미 잇었습니다. 지금도 천체와 우주에 관한 서적과 인터넷 기사는 꼭 챙겨 볼만큼 관심도 있고요.. 그런데 지금 생각해보면 아주 불가사의한 일인데요... 당시 선생님께선 블랙홀이라는 내용을 언급 하셨는데.. 지금과는 아주 다른 내용이지만.. 당시 선생님께선 블략홀과 황이트홀이 있어서 블랙홀을 통해 우주여행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말씀을 하셨었습니다. 물론 블랙홀이 입구 화이홀이 출구로써 우주여행에서 시간 단축을 할 수 있다는 얘기를 하셨었는데... 지금 우주에 관한 여러가지 내용들을 확인하면 그런 개념과는 아주 다른 것이였지만 블랙홀이라는 던어를 사용 하셨다는 점... 물론 70년대엔 지금과 같은 인터넷 환경이 아니라서 과학 잡지 하나에 의존 하던 시절이라 지금 생각 해보면 그 선생님의 지식은 당시 기준으로는 박사급 아니녔을까라는 생각도 해보곤 했습니다. 아무튼 덕분에 우주에 관심도 많이 가지게 되었고 이 나이에도 하늘의 무수한 별을 보면 아직도 설레기도 합니다. 아 오늘 질문이 있어서 서두가 장황 했습니다. 망원경 구입은 어디에서 해야 하는지? 인터넷 아니면 전문적인 망원경 샾을 에서 구입 해야 하는지요? 앞으로 자주 들르겠습니다 궁금한 점 있으면 다시 질문도 올리고 하겠습니다. 우주에 대한 많은 내용 듣고 싶습니다. 그럼 수고 하시고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 @space2i
      @space2i 28 днів тому

      안녕하세요! 긴 댓글 너무 재미있어 순식간에 읽었습니다. 오랜기간동안 별과 우주에 대한 관심을 이어오셨다니 정말 멋지십니다. 저도 중학교 고등학교때 생각이 절로 나네요. 과학선생님이 가지고 있던 망원경으로 운동장에서 별을 봤던 기억들이요.. 현대에는 엄청나게 많은 블랙홀이 발견되었고 관측까지 하는 시대이지만 70년대라면 블랙홀이 거의 이론으로만 존재하던 시기이고 실존하는지 의견이 분분했을것으로 생각됩니다. 그 당시 이런 블랙홀 이야기를 하셨다면 정말 놀라운 일이라고 생각되네요. 또 다른 화이트홀을 통한 우주여행 이야기는 아직도 흥미로운 주제중 하나입니다. 망원경 구입은 추천하기가 어려운게, 변수가 너무 많아서.. 간단하게 몇가지만 답변드리겠습니다^^ 초급 중급 고급 망원경이 따로있는것은 아니지만 편의를 위해서 그렇게 구분해봤습니다. 일단 가격대에 따라 달라지긴 하는데요. 초급망원경 20~30만원대의 망원경은 네이버 쿠팡 등에서 후기가 좋은 망원경으로 구매하시면 됩니다. 이 가격대는 성능이 대동소이 합니다. 또한 초보자는 사용법이 어려울수 있으므로 꼭 한글사용설명서나 판매자 본인이 직접 찍은 영상들을 제공하는 곳에서 구매하면 좋을것 같습니다. 제가 예전에 올린 영상에 이 가격대 망원경이 하나 있어요. 한번 보셔도 좋을것 같아요. ua-cam.com/video/n8lpG4YQQf8/v-deo.html 중급망원경 50만원 정도 되는데 bcto-90라는 망원경이 인기가 좋고요. 인터넷으로 구매하실수 있습니다. 자동으로 대상을 찾아주는 망원경입니다. 이 망원경은 나중에 리뷰를 한번 해볼까 하던 참이었어요. 고급망원경은 100만원이 훌쩍 넘어가고 다루기에는 초급이나 중급보다 특별히 어렵지는 않습니다만, 너무 큰 금액을 한번에 써야하기에 보통 입문자께 추천드리지는 않아요. 이 가격대 팁을 드리면, 구매하기전에 주변의 천문대를 방문해 보시면 좋을것 같아요. 네이버 지도에서 천문대를 치면 많이 나오거든요. 거기가면 보통 100만원~500만원정도의 망원경이 몇대 있어서 실제로 구경도 하고 별을 볼수도 있습니다. 전문적인 망원경 샵은 제가 아는곳은 역사가 매우 오래된 서울의 "선두과학사" 라는곳입니다. 서울 금천구에 있으며, 전화번호가 02-861-9444로 나오네요. 저도 25년 전쯤..? 부모님 손잡고 여기가서 망원경을 만져보고 샀습니다. 그때는 사실 인터넷구매는 없었긴 해요.. ^^ 제 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추운겨울 건강하세요.

  • @WheeMin
    @WheeMin 28 днів тому

    🤩🤩🤩🤩

  • @토탈리콜
    @토탈리콜 29 днів тому

    그간 궁금해 왔던 부분을 잘 설명해 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 @space2i
      @space2i 29 днів тому

      부족한 영상에 좋은댓글 주셔서 감사합니다 ^^

  • @seogwipo4337
    @seogwipo4337 Місяць тому

    25년 발사계획 감사합니다

    • @space2i
      @space2i Місяць тому

      @@seogwipo4337 감사합니다 ^^ 25년에도 좋은일 가득하세요!

  • @ppurirang
    @ppurirang Місяць тому

    말그대로 정말 천문학적인 크기네요❤

  • @ppurirang
    @ppurirang Місяць тому

    겨울 별자리도 궁금하네요~

  • @fox1210in
    @fox1210in 2 місяці тому

    와ㅡ 멋있다 제임스웹 갖고싶다

  • @망히-z9z
    @망히-z9z 2 місяці тому

    허블과 보이저 그리고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을 만들고 운영하는 미국. 현시대 최강국이자 최첨단 과학을 리드하는 미국의 돈 달러마다 새겨져 있는 문구는 이렇습니다 ㅡ IN GOD WE TRUST 우리는 하나님을 신뢰한다 미국이 신뢰하는 성경책의 내용은 이렇습니다 "나는 여호와니 이것이 내이름 이니라. 내가 하늘들과 별들과 땅과 바다와 그속의 모든것을 창조하였고 땅위에 나의 형상대로 사람을 만들었다. 너희는 눈을 높이 들어 하늘을 보고 누가 이 모든것을 만들었는지 생각해 보라 . 하늘은 여호와의 하늘이지만 지구 둥근땅은 인생들이 살도록 내가 주었다 아무도 나를 볼수는 없으니 나를 보고도 살수있는 사람은 없기 때문이다. 나는 내 이름을 존중하는 자를 나도 존중할 것이다. 온유한자는 땅을 차지하고 큰기쁨으로 땅에서 영원히 살것이다"

  • @연산김백현
    @연산김백현 2 місяці тому

    저는 라그랑주 제2 지점 은하계에서 온 사람인데요 위치사진게시함 사진확대해서보면 탑과 원자로 전망대 육안으로보임 유튜브 ㅡ 연산김백현 ㅡ커뮤니티에 증거 사진 게시함 분석하면 증거 입증됨 도움바랍니다 저는 우주 지식이 전혀 없이 탄생 이전의의 기억만으로 설명했는데 공부하니 점점 맞아감댓글로 도움주시기바라며...우주지도 공부하는중

  • @space2i
    @space2i 3 місяці тому

    제임스웹에 필적하는(농담인거 아시죠) 망원경 추천 영상 클릭! ua-cam.com/video/0m_dgK_ex2A/v-deo.html 항상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space2i
    @space2i 3 місяці тому

    천체망원경 고르는 법과 제가 추천하는 가성비 천체망원경을 영상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ua-cam.com/video/0m_dgK_ex2A/v-deo.html

  • @space2i
    @space2i 3 місяці тому

    망원경 구매를 고려하신다면! 꼭 보셔야 할 영상 ua-cam.com/video/0m_dgK_ex2A/v-deo.html

  • @space2i
    @space2i 3 місяці тому

    망원경 구매를 고려하고 있다면! 꼭 보셔야할 영상 ua-cam.com/video/0m_dgK_ex2A/v-deo.html

  • @space2i
    @space2i 3 місяці тому

    달을 잘 찍을 수 있는 망원경 구매를 고려하고 있다면! 꼭 보셔야할 영상 ua-cam.com/video/0m_dgK_ex2A/v-deo.html

  • @space2i
    @space2i 3 місяці тому

    달을 가까이서 볼 수 있는 천체 망원경 추천 영상 ua-cam.com/video/0m_dgK_ex2A/v-deo.html

  • @space2i
    @space2i 3 місяці тому

    어떤 망원경이 좋을까? 망원경 추천 영상 클릭! ua-cam.com/video/0m_dgK_ex2A/v-deo.html

  • @space2i
    @space2i 3 місяці тому

    우주를 즐기는 방법! 망원경 구매를 고려하고 있다면! 꼭 보셔야할 영상 ua-cam.com/video/0m_dgK_ex2A/v-deo.html

  • @space2i
    @space2i 3 місяці тому

    입문자용 망원경, 무엇을 사야할지 모르겠다면 클릭하세요 ua-cam.com/video/0m_dgK_ex2A/v-deo.html 이 영상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감사합니다.

  • @gmbillie1
    @gmbillie1 3 місяці тому

    망원경 문외한 사람이 보면 하나도 무슨말인지 모름.... 입문용은 아닌듯 평소에 망원경에 관심있는분들만...

    • @space2i
      @space2i 3 місяці тому

      설명을 너무 어렵게 했나봐요. 다음번에는 더 쉽게 영상을 만들어보겠습니다.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sjzaza63
    @sjzaza63 3 місяці тому

    유튜브 시작한거 축하(?)드립니다. 중간에 실망스러운 일이 생기더라도 포기하지 마시고 꾸준히 해보세요. 화이팅!!

    • @space2i
      @space2i 3 місяці тому

      응원 감사합니다 ^^ 힘이됩니다. 화이팅!

  • @sixti6489
    @sixti6489 3 місяці тому

    일단 댓글 먼저 달고 첫 영상부터 정독 하고 오겠심더.

    • @space2i
      @space2i 3 місяці тому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이이정웅-r7w
    @이이정웅-r7w 4 місяці тому

    인간의 자만과 모순 80년도 우주에 지구만 물이 있다 그래서 외계인이 물때문에 지구침략한다 등 하지만 지금 현재 태양계 내에도 수두록하게 있다 아니 그냥 떠다닌다 혜성 등 대체 인간이 뭐가 특별한가 그냥 먼지다 있다 사라지는 알지 못하고 미개한것이 자만과 오만으로 나타난다 주장이 강한다는 것은 내가 다른쪽을 모르게 때문에 그럴 확율이 높다 인간만이 지적이란 오만은 수만은 생명을 죽이고 있다 동물은 생각도 못하고 정신도 없기에 그래도 된다 생각하기에

  • @이건개발-p8n
    @이건개발-p8n 4 місяці тому

    ..... 쫄?

  • @김피디-t7n
    @김피디-t7n 4 місяці тому

    빅뱅도 인간이 만들어낸 허구일뿐 우주의 크기는 각자의 상상에 맡기자

  • @김수안무-s4w
    @김수안무-s4w 4 місяці тому

    우주란없다 그냥 인생이 시트콤임

  • @변혁-w3c
    @변혁-w3c 4 місяці тому

    흥미로워요~ ㅎㅎ

  • @한정석-j6n
    @한정석-j6n 4 місяці тому

    우주공간은 빅뱅전이나 지금이나 변하지 않는다 우주공간불변의법칙❤❤🎉

  • @사실주의자
    @사실주의자 4 місяці тому

    우주 ㄴㄴ 우리 우주라고 해야되지 않나요??? 다른 우주도 존재할수도 잇고 우리 우주가 만들어 지기전에 우주가 또 존재햇서지도 모르자나요???? 우리 우주가 빛 속도로 사라지고 난지에 우주중간에 잇는 블랙홀에서 몇백억 후에 또 우주가 만들지도 모르자나요??? 물론 인류가 멸망할때까지도 모르겟지만 ㅠㅠ

  • @dowoonu
    @dowoonu 4 місяці тому

    박스가 한개 있다 칩시다 박스를 정의하고 설명하려면 먼저 박스의 경계선부터 설명해야 하는겁니다 경계란 박스와 박스 아닌것, 즉 박스가 놓인 공간과 박스 외부의 성질인겁니다 경계를 정의할수 있을때 비로소 박스를 정의하고 설명해지는게 가능한겁니다 왜들 그리 어리석은지.. 박스의 경계를 뭘로 설명할래요? 경계가 뭔지 아십니까? 물리학적으로 물질과 공간이 교류하고 반응하는걸 말합니다 우주와 우주 아닌것의 반응과 교류를 뭘로 설명할겁니까? 눈가리고 대충 아웅~ 하자는 겁니까?

  • @dowoonu
    @dowoonu 4 місяці тому

    우주에 크기가 어딧나 크기를 정의하려면 경계도 정의해야하는데 머리가 나쁘면 과학도 못함

  • @anodpecol4146
    @anodpecol4146 4 місяці тому

    사실 이 우주를 만든 존재는 기존의 산신령 이미지의 신이 아니라 전혀 다른 차원을 넘나들며 존재하는 초지성체 이신대.. 이 분은 컴퓨터 공학을 전공하신 분인데.. 들리는 소문으로는 이 우주를 만든걸 약간 후회하고 계시다는... ㅋㅋ

  • @최재영-i3k9m
    @최재영-i3k9m 4 місяці тому

    내용이 아주 좋군요. 구독하고 응원하겠습니다.

  • @eli-eeeee
    @eli-eeeee 4 місяці тому

    다이소 망원경도 되려나요? ㅋㅋ 그 방법 궁금하네요

    • @space2i
      @space2i 4 місяці тому

      망원경이나 쌍안경으로 달을 찍을 수 있지만, 손으로 들고 찍기가 매우 매우 어려워 삼각대가 꼭 있어야 합니다. 다이소 망원경(아마 쌍안경)은 성능이 크게 좋지 않아서 사진보다는 눈을 대고 달을 보시는 게 좋아요.

  • @eli-eeeee
    @eli-eeeee 4 місяці тому

    저도 아이폰이라 저 어플이 안깔리네요ㅠ ㅋㅋ 그 망원경으로 찍는 법 꼭 알려주세요 근데 망원경이 집에 다이소꺼가 있는데.. 그건 안 보이겠죠?

  • @곰곰-t9s
    @곰곰-t9s 4 місяці тому

    전 인류원리가 사랑스럽습니다~~우주는 인류를 만들기 위해 만들어졌다~~

  • @김영철-p7v
    @김영철-p7v 4 місяці тому

    뉴턴도 아인슈타인도 생각하지 않은 되도 않은 망상질을 하고 있는게 현대 우주론임. 암흑 에너지? 이름 부터가 사이비 임. 원래는 다크포스라고 부르고 싶었을걸. 그런데 그렇게 불렀다간 어라마나 유치한 생각인지 고백하는 꼴이니 더 어울리지 않는 에너지를 붙여서 족보 없는 단어를 만들어 낸 것임. 그리고 빅뱅을 처음 상상한 사람은 20세기 천문학자가 아님.

  • @떡집아들빵돌이
    @떡집아들빵돌이 4 місяці тому

    갤럭시S 울트라로 찍으면 잘 나옵니다.😅

    • @IIllIll
      @IIllIll 4 місяці тому

      안물안궁!

  • @이렇게도해보자
    @이렇게도해보자 4 місяці тому

    우주의 크기를 말하는 자체가 구라지...ㅋㅋㅋ

  • @DaellSin리_2001
    @DaellSin리_2001 4 місяці тому

    안녕하세요

  • @jhk7998
    @jhk7998 4 місяці тому

    구독했어요. 자주 볼게요

  • @michaelkahn8744
    @michaelkahn8744 4 місяці тому

    덮어놓고 아무 입자나 가정하면 무엇이든 설명이 됩니다. 암흑물질 이야기가 바로 그런 것입니다. 그래놓고 경찰이 지나가는 아무나 붙잡아 두들겨 패서 억지 자백을 받아내듯이 무조건 아무 소립자끼리 마구 충돌시켜서 자백을 얻어내려는 시도가 백년 가까이 행해져 왔지만 지금도 결과는 "꽝"입니다. 단지 지금까지 해온 것들이 너무 아까워서 사람들은 아직도 암흑물질에 매달려 있는 것이고 게다가 물리학자들은 시공간의 구조 역시 제대로 공개하지 않고 있습니다. 자기들의 삼차원 공모양의 우주모형이나 Observable-Unobservable Universe 썰이 완전히 쓰레기가 되거든요. 이휘소 박사가 제시했다는 WIMP 가 정말로 발견됬나요? 한마디로 현재 물리학 이론은 완전 뒤죽박죽에 쓸데없이 소립자만 많이 가정해 놓고 그것 찾느라 정신들이 팔려있습니다. 지금 하는 짓들은 투자회사가 적자가 나니까 유령구좌를 가정해 놓고 거기다가 손해액을 모두 몰아 넣어 놓은 후 그 유령을 찾아 헤매는 모습이라고 보면 맞습니다. 암흑물질은 없읍니다. 암흑 에너지도 없읍니다. 빛보다 빠른 입자도 없습니다. 웜홀같은 것도 없읍니다. 공상과학 소설 쓰듯 유행따라 아무거나 가정해서 난해한 수식으로 어거지로 두들겨 맞춰놓고 떠들어대고들 있는 것입니다. 우주는 삼차원의 똥그란 공도 아니고 도넛모양도 아니고 프렛젤같은 이상한 모습은 더더욱 아닙니다. 삼차원 공모양의 우주라면 껍데기가 있다는 말이 되는데 그 껍데기를 가서 만져보면 딱딱할까요 부드러울까요? 이런 기초적인 질문을 하면 물리학을 이해를 못해서 유치한 질문을 한다고 몰아붙이면서 발뻼을 합니다. 대답을 회피하는 것이지요. 삼차원 공모양의 우주설이나 중세 때 지구 평면설이 무엇이 다른지도 아리송합니다. 그간에 물리학자들이 해온 말대로면 암흑 물질은 우리 은하계에도 있어야 하고 우리 사는 지구 주변에도 얼마든지 널려있어야 하기에 암흑물질은 적당한 감지장치만 있으면 우리 주변에서도 흔히 감지될 수 있어야 한단 말입니다. 그런데 무엇하러 그 비싼 돈을 써가며 고성능 망원경을 제작해서 그 먼 곳을 뒤적거릴까요? 소위 정상급 과학자란 사람들이 멀고 먼 우주의 끄터리에 암흑물질로 된 천체와 은하와 암흑우주를 발견했다고 언젠가 구라를 풀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는 이야깁니다. 샴페인 한병과 노벨상도 미리 준비해 놓았겠지요. 그리고 이렇게 말할 겁니다. "암흑물질로 된 천체와 우주는 머리좋은 사람 눈에만 보입니다. 그리고 나의 암흑물질 방정식은 머리좋은 사람만 이해합니다". 그러면 여기 저기서 앞다투어 환성들이 터져 나올 겝니다. "와아- 암흑물질 보인다아-", "히야아- 암흑물질 방정식 이해된다" 하면서 머리좋은 사람의 대열에 동참하기위해 너도 나도 몰려나오겠지요. 벌거벗은 임금님 이야기가 공연히 나온게 아닙니다. 암흑물질이나 암흑 에너지는 실재하지 않으며 그것은 우주의 팽창이 시공간의 만곡과 맞물려 만드는 만유인력이나 우주 척력과 같은 유령효과일 뿐입니다. 현재 물리학자들 간에 받아들여지고 있는 우주의 모습은 삼차원적인 풍선 모양의 공으로서 모든 천체들이 그 풍선 안에 떠돌아 다니고 있는 것을 상상하시면 대략 맞을 것입니다. 그리고 시간이 감에 따라 이풍선이 점점 부풀어가고 있는데 이것을 우주의 팽창(Expansion)이라고 부르지요. 그러나 삼차원 구형 우주모형의 문제는 각 은하계의 중력장이 뉴턴 역학에 따라 비록 거리의 자승에 반비례 해서 약해지기는 해도 그 영역은 무한해야 하기에 우주 안을 넓게 차지하고 있는 완전 무중력 공간을 설명할 수가 없다는 것인데 이것은 삼차원 공 모양의 우주모형의 가장 큰 난제인데 무슨 이유인지 물리학게에서 이것을 논의하기를 극구 피하고 있어 단 한번도 학자들의 데스크에 올라와 본 일이 없읍니다. 그리고 우주의 팽창이 은하계 안에서는 일어나지 않는 다는 것 역시 지금 받아들여지고 있는 우주모델로는 사실상 설명이 안됩니다. 물론 높은 사람들이 자기들의 권위를 이용해서 이것 저것 덕지덕지 이유를 달아 궁색하게들 설명들을 하지만 사실상 설득력이 전혀 없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등장한 것이 수정 뉴턴역학인데 이 이론의 수명 역시 물리학자들이 얼마나 고집이 세냐에 달렸을 뿐입니다. 그저 적당히 아무 상수나 가정해서 대입해 놓고 결과와 맞춰서 그 상수를 찾아내는 것은 단지 한 경우에만 근사하게 들어맞는 수치해석법과 하등 다를 게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아래에 흥미있는 가설 하나를 소개합니다. 이 것은 바로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는 없고 단지 우주의 구조 자체가 만들어 내는 현상일 뿐이다. 지금까지 우리가 믿어온 우주의 구조는 잘못된 것이다” 입니다. 1. 우주의 구조는 삼차원적인 풍선이 시간의 흐름을 따라 팽창해가는 그런 모습이 아니라 사차원적인 공의 모습입니다. 즉 우리가 사는 삼차원적인 우주공간은 반지름을 시간축으로 하는 사차원적인 공의 표면이며 이 표면은 삼차원인 超 球面 (Hypersphere or Hypersurface)으로서 우리는 이 삼차원 표면에 살고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우주는 사차원적인 극좌표계(Polar Coordination System) 안의 사차원적인 공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따라서 시간의 흐름을 따라 1 광초 (299792.458 km) 씩 길어져 가는 우주의 반지름에 비례하여 우주의 둘레는 대략 188만 km 씩 길어져 가는데 그것 때문에 우주 표면의 두 지점은 점차로 멀어져 가게 됩니다. 이것이 우주가 팽창하는 원리입니다. 그 팽창률을 이 새로운 이론을 적용해서 계산한 것이 아래 링크로 가시면 보실 수 있는 영어원문에는 나와 있는데 그것은 70.82 km/sec-Mpc 로서 이것은 과거 허블 망원경 시대로부터 지금의 Huygens 우주 망원경 시대에 수백번 실시된 관측치들 (67 ~ 75)의 평균치와 매우 근사하기에 상당히 설득력이 있는 값입니다. 그리고 상기의 계산결과는 새로 제안된 4차원 극좌표계 내의 공 모양의 4차원 우주모델을 적용하면 암흑에너지라는 새로운 에너지를 도입할 필요가 없어진다는 이야기도 됩니다. 즉 암흑 에너지는 없다는 이야기가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우주의 나이가 138억년이기에 사차원 구형모델의 우주의 반지름(시간축방향으로의 길이)은 138억 광년이 되고 따라서 우리가 사는 우주의 표면(삼차원 超球面)의 크기는 우리가 서있는 곳의 양 방향으로 대략 138 X π ~ 433.3 억광년이 되고 따라서 우리가 한 방향으로 대략 866.7 광년쯤 가면 원래 우리가 있던 자라로 되돌아와 있게 됩니다. 2. 4차원 구형 우주모델은 우주가 점차로 팽창해 가는 것을 가정합니다. 그런데 그 모양은 대략적으로 모든 방향에 같은 비율로 팽창해 간다고 볼수 있지만 미세하나마 방향에 따라 조금씩 차이를 보인다고 보는 것입니다. 즉 4차원 공 모양의 우주의 모습은 대략적으로 공 모양이지만 그 표면이 약간씩 주름이 잡혀있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지구가 둥글기는 하지만 산이있고 평야가 있고 강과 호수가 있고 바다가 있어 약간의 굴곡이 있듯이 우주라고 하는 4차원 공의 표면 (실제로는 3차원 공간) 역시 균일하지 않고 곳에 따라 미세하나마 팽창률이 다를 수가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한 팽창률의 차이는 자연히 우주 표면에 시공간적인 주름을 만들게 됩니다. 그리고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은 시공간의 주름이 중력의 효과를 만든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즉 우주라고 하는 4차원 공의 표면의 곳에 따른 팽창률의 미세한 차이로 생겨난 시공간의 주름살은 지구 표면의 지형처럼 이 곳 저 곳에 삼차원적인 골자기나 강물 같은 곳을 만들게 되고 이러한 장소는 질량체를 잡아 가두는 장소가 됩니다. 우리가 보는 은하나 성운들이 모두들 이러한 시공간 적인 주름이 만들어내는 중력에 끌려 삼차원적인 호수나 강, 바다에 갇힌 천체로 보면 맞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들이 암흑물질이라는 보이지 않는 물질이 만들어 내는 현상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암흑물질이 실제 물질이 아니라고 추축할 수 있는 다른 단서 하나는 암흑물질 덩어리라고 추측되는 것들끼리 상호 역학적인 작용이 관찰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진짜 물질이라면 자기들끼리 중력에 의해 밀든지 당기든지 무언가 반응을 보여야 할 것인데 그렇지가 않다는 것입니다. 글자수 제한 때문에 여기서 그치겠습니다. 자세한 것은 링크 www.academia.edu/82481487/Title_Alternative_Explanation_of_Dark_Matter_and_Dark_Energy 에 클릭하시면 그림으로 잘 표시가 되어있어서 쉽게 이해하실 수 있으실 것입니다.

  • @김진종-w2z
    @김진종-w2z 4 місяці тому

    인간들따위가 감히 우주의나이를 밝히려는자체가 우습다!

  • @배창희-n7n
    @배창희-n7n 4 місяці тому

    단언컨대 우주의 크기가 138억년인데 관측 점이 지구라면 즉 중심이라면 천동설임~~~ 확실한건 우주는 무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