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4
- 155 563
이어도연구회
South Korea
Приєднався 5 бер 2014
[지금은이어도, 이어도연구회 보이는라디오] Episode 5. 유엔해양법과 이어도분쟁
이어도에 대해 너무 깊지 않게, 쉽게 전달해드립니다~
정종우 아나운서님이 들려주는 '유엔해양법과 이어도분쟁' 편
#이어도연구회 #보이는라디오 #지금은이어도 #라디오 #OnAir
#이어도랑 #이어도해양과학기지 #이어도 #Ieodo #유엔 #유엔해양법 #해양법 #이어도분쟁 #분쟁
정종우 아나운서님이 들려주는 '유엔해양법과 이어도분쟁' 편
#이어도연구회 #보이는라디오 #지금은이어도 #라디오 #OnAir
#이어도랑 #이어도해양과학기지 #이어도 #Ieodo #유엔 #유엔해양법 #해양법 #이어도분쟁 #분쟁
Переглядів: 98
Відео
[이어도바로알기] 4. 이어도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Переглядів 1652 роки тому
이 영상은 고(故) 송성대(1945~2021) 연구위원께서 2015년 3월 2일에 '이어도 바로알기'를 주제로 'KBS제주'에서 강의한 내용을 재편집한 것입니다. 송성대 교수님의 학문적 업적을 기리기 위해 'KBS제주'의 허가를 받아 원본 영상을 쟁점별로 정리해서 재구성했습니다. - 前 이어도연구회 연구위원 故 송성대(1945~2021) 제주대 교수를 추모하며 ※ 이어도 바로알기 시리즈 (1) 이어도 관할권에 대한 중국의 주장과 논리는 타당한가? (2) '이어도'는 섬인가 암초인가? (3) '이어도' 지명의 유래는 무엇인가? (4) 이어도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5) 제주 문화 속 이어도는 어떤 모습인가? 이어도에 대해 더 깊숙히 공부하고 싶다면? ▶ www.ieodo.kr/#/hom...
[이어도바로알기] 5. 제주 문화 속 이어도는 어떤 모습인가?
Переглядів 1682 роки тому
이 영상은 고(故) 송성대(1945~2021) 연구위원께서 2015년 3월 2일에 '이어도 바로알기'를 주제로 'KBS제주'에서 강의한 내용을 재편집한 것입니다. 송성대 교수님의 학문적 업적을 기리기 위해 'KBS제주'의 허가를 받아 원본 영상을 쟁점별로 정리해서 재구성했습니다. - 前 이어도연구회 연구위원 故 송성대(1945~2021) 제주대 교수를 추모하며 ※ 이어도 바로알기 시리즈 (1) 이어도 관할권에 대한 중국의 주장과 논리는 타당한가? (2) '이어도'는 섬인가 암초인가? (3) '이어도' 지명의 유래는 무엇인가? (4) 이어도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5) 제주 문화 속 이어도는 어떤 모습인가? 이어도에 대해 더 깊숙히 공부하고 싶다면? ▶ www.ieodo.kr/#/hom...
[이어도바로알기] 3. '이어도' 지명의 유래는 무엇인가?
Переглядів 1182 роки тому
이 영상은 고(故) 송성대(1945~2021) 연구위원께서 2015년 3월 2일에 '이어도 바로알기'를 주제로 'KBS제주'에서 강의한 내용을 재편집한 것입니다. 송성대 교수님의 학문적 업적을 기리기 위해 'KBS제주'의 허가를 받아 원본 영상을 쟁점별로 정리해서 재구성했습니다. - 前 이어도연구회 연구위원 故 송성대(1945~2021) 제주대 교수를 추모하며 ※ 이어도 바로알기 시리즈 (1) 이어도 관할권에 대한 중국의 주장과 논리는 타당한가? (2) '이어도'는 섬인가 암초인가? (3) '이어도' 지명의 유래는 무엇인가? (4) 이어도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5) 제주 문화 속 이어도는 어떤 모습인가? 이어도에 대해 더 깊숙히 공부하고 싶다면? ▶ www.ieodo.kr/#/hom...
[이어도바로알기] 2. '이어도'는 섬인가 암초인가?
Переглядів 1,6 тис.2 роки тому
이 영상은 고(故) 송성대(1945~2021) 연구위원께서 2015년 3월 2일에 '이어도 바로알기'를 주제로 'KBS제주'에서 강의한 내용을 재편집한 것입니다. 송성대 교수님의 학문적 업적을 기리기 위해 'KBS제주'의 허가를 받아 원본 영상을 쟁점별로 정리해서 재구성했습니다. - 前 이어도연구회 연구위원 故 송성대(1945~2021) 제주대 교수를 추모하며 ※ 이어도 바로알기 시리즈 (1) 이어도 관할권에 대한 중국의 주장과 논리는 타당한가? (2) '이어도'는 섬인가 암초인가? (3) '이어도' 지명의 유래는 무엇인가? (4) 이어도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5) 제주 문화 속 이어도는 어떤 모습인가? 이어도에 대해 더 깊숙히 공부하고 싶다면? ▶ www.ieodo.kr/#/hom...
[이어도바로알기] 1. 이어도 관할권에 대한 중국의 주장과 논리는 타당한가?
Переглядів 1152 роки тому
이 영상은 고(故) 송성대(1945~2021) 연구위원께서 2015년 3월 2일에 '이어도 바로알기'를 주제로 'KBS제주'에서 강의한 내용을 재편집한 것입니다. 송성대 교수님의 학문적 업적을 기리기 위해 'KBS제주'의 허가를 받아 원본 영상을 쟁점별로 정리해서 재구성했습니다. - 前 이어도연구회 연구위원 故 송성대(1945~2021) 제주대 교수를 추모하며 ※ 이어도 바로알기 시리즈 (1) 이어도 관할권에 대한 중국의 주장과 논리는 타당한가? (2) '이어도'는 섬인가 암초인가? (3) '이어도' 지명의 유래는 무엇인가? (4) 이어도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5) 제주 문화 속 이어도는 어떤 모습인가? 이어도에 대해 더 깊숙히 공부하고 싶다면? ▶ www.ieodo.kr/#/hom...
[이어도연구회] 소중한 우리 바다 이어도 이야기l Ieodo l Korea I 인포그래픽 영상
Переглядів 1,1 тис.2 роки тому
제주사람들의 삶과 꿈이 담겨 있는 이어도 소중한 우리 바다 이어도 이야기 같이 들으러 가볼까요~?🎼 이어도에 대해 더 깊숙히 공부하고 싶다면? ▶ www.ieodo.kr/#/home #소중한 #우리 #바다 #이어도 #이야기 #이어도연구회 #인포그래픽영상 #인포그래픽
[이어도연구회] 이어도 이야기ㅣ Ieodo l Korea l 어린이동요
Переглядів 1,5 тис.2 роки тому
마라도 서남쪽을 향해 배타고 149km 바다 위에 우뚝 솟아난 이어도해양과학기지~ 이어도 이야기 들으러 우리 함께 떠나보아요~🎼 이어도에 대해 더 깊숙히 공부하고 싶다면? ▶ www.ieodo.kr/#/home #이어도이야기 #이어도연구회 #이어도동요
[지금은이어도, 이어도연구회 보이는라디오] Episode 6. 한번 더, 이어도
Переглядів 512 роки тому
이어도에 대해 너무 깊지 않게, 쉽게 전달해드립니다~ 정종우 아나운서님이 마지막으로 요약하여 들려주는 '한번 더, 이어도' 편 #이어도연구회 #보이는라디오 #지금은이어도 #라디오 #OnAir #이어도랑 #이어도해양과학기지 #이어도 #Ieodo #유엔 #한번더 #이어도
[지금은이어도, 이어도연구회 보이는라디오] Episode 4.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Переглядів 1312 роки тому
이어도에 대해 너무 깊지 않게, 쉽게 전달해드립니다~ 정종우 아나운서님이 들려주는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편 #이어도연구회 #보이는라디오 #지금은이어도 #라디오 #OnAir #이어도랑 #이어도해양과학기지 #이어도 #Ieodo
[지금은이어도, 이어도연구회 보이는라디오] Episode 3. 제주인의 이어도
Переглядів 1002 роки тому
이어도에 대해 너무 깊지 않게, 쉽게 전달해드립니다~ 정종우 아나운서님이 들려주는 '제주인의 이어도' 편 #이어도연구회 #보이는라디오 #지금은이어도 #라디오 #OnAir #이어도랑 #제주 #제주인 #이어도 #Ieodo
[지금은이어도, 이어도연구회 보이는라디오] Episode 2. 이어도 해양과학 편
Переглядів 932 роки тому
이어도에 대해 너무 깊지 않게, 쉽게 전달해드립니다~ 정종우 아나운서님이 들려주는 '이어도 해양과학' 편 #이어도연구회 #보이는라디오 #지금은이어도 #라디오 #OnAir #이어도랑 #이어도 #해양과학 #ieodo
[이어도연구회 보이는 라디오, 지금은 이어도] Episode 1. 이어도 서포터즈, 이어도 인문지리 편
Переглядів 1052 роки тому
[이어도연구회 보이는 라디오, 지금은 이어도] 이어도 서포터즈, 이어도 인문지리 편 이어도에 대해 너무 깊지 않게, 쉽게 전달해드립니다~ 정종우 아나운서님이 들려주는 '이어도 서포터즈, 이어도 인문지리' 편 #이어도연구회 #보이는라디오 #지금은이어도 #라디오 #onair #서포터즈 #이어도랑 #이어도 #인문 #지리
[이어도연구회X아리랑TV] This is Ieodo, EEZ of Korea_여기는 이어도, 한국의 EEZ입니다(아리랑TV 이어도 영문 다큐멘터리)
Переглядів 5102 роки тому
This is Ieodo, EEZ of Korea 여기는 이어도, 한국의 EEZ입니다 #Ieodo #SocietyofIeodoResearch #IeodoOceanResearchSatation #Jeju #ArirangTV #KOREA #EEZ #이어도연구회 #아리랑TV #이어도 #EEZ #한국 #배타적경제수역 #이어도해양과학기지
[3D영상] 이어도 종합해양과학기지, 그것이 알고 싶다!
Переглядів 1,3 тис.2 роки тому
말로만 듣던 이어도 종합해양과학기지, 생생한 이어도 해양과학기지의 현장 모습을 3D영상으로 전격 공개합니다! * 이어도 종합해양과학기지란? : 1995년에 사업에 착수한 이래 총사업비 212억 원을 투입하여 8년 만인 2003년 완공되었다. 높이는 수중 41m, 수상 36m로 구조물 전체의 높이는 77m에 이르며, 연면적은 약 1345제곱미터이고 총중량은 3,400톤에 달한다. 관측 장비는 기상 및 해양관측, 구조물 및 안전성 관측, 환경 관측 등을 위해 30여 종의 관측 장비를 갖추고 있다. 해양에 관한 종합적인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이어도해양과학기지에서는 해양의 수온, 염분, 해류, 조석, 파고, 풍향, 풍속 등을 자동으로 관측할 수 있다. 헬기의 이착륙 시설과 사람이 장기간 상주할 수 있는 여건...
[이어도연구회 전문가 특별대담] 중국의 제2해군, 해경국ㅣ이상현 연구위원
Переглядів 822 роки тому
[이어도연구회 전문가 특별대담] 중국의 제2해군, 해경국ㅣ이상현 연구위원
[이어도연구회 전문가 특별대담] 바다의 국제법, 유엔 해양법 협약ㅣ김현수 인하대 로스쿨 교수
Переглядів 1772 роки тому
[이어도연구회 전문가 특별대담] 바다의 국제법, 유엔 해양법 협약ㅣ김현수 인하대 로스쿨 교수
[이어도연구회 전문가 특별대담] 퉁다오? 서산다오? 무엇이 중국의 영해기점인가ㅣ강병철 제주통일교육센터 사무처장
Переглядів 432 роки тому
[이어도연구회 전문가 특별대담] 퉁다오? 서산다오? 무엇이 중국의 영해기점인가ㅣ강병철 제주통일교육센터 사무처장
[이어도연구회 전문가 특별대담] 중국의 해상민병대와 회색지대 전략ㅣ주민욱 제주대 교육혁신본부 선임연구원
Переглядів 1852 роки тому
[이어도연구회 전문가 특별대담] 중국의 해상민병대와 회색지대 전략ㅣ주민욱 제주대 교육혁신본부 선임연구원
[이어도연구회 전문가 특별대담] 학교 교육에서의 해양의 중요성ㅣ故 신영근 전 제주시 교육장
Переглядів 642 роки тому
[이어도연구회 전문가 특별대담] 학교 교육에서의 해양의 중요성ㅣ故 신영근 전 제주시 교육장
[이어도연구회 전문가 특별대담] 설화 속에 나타난 이어도의 장소성ㅣ 최미경 스토리텔링 작가
Переглядів 1052 роки тому
[이어도연구회 전문가 특별대담] 설화 속에 나타난 이어도의 장소성ㅣ 최미경 스토리텔링 작가
[이어도연구회 전문가특강] 중국의 '회색지대 전략'과 해상민병-한국에 주는 함의_이서항 소장님
Переглядів 2983 роки тому
[이어도연구회 전문가특강] 중국의 '회색지대 전략'과 해상민병-한국에 주는 함의_이서항 소장님
[2021 이어도 해양아카데미 청소년 과정-1부] 이어도와 이어도해양과학기지의 역사_조성윤 교수님
Переглядів 1183 роки тому
[2021 이어도 해양아카데미 청소년 과정-1부] 이어도와 이어도해양과학기지의 역사_조성윤 교수님
[2021 이어도 해양아카데미 청소년 과정-2부] 설화로 만나는 이어도 이야기_ 최미경 작가님
Переглядів 2453 роки тому
[2021 이어도 해양아카데미 청소년 과정-2부] 설화로 만나는 이어도 이야기_ 최미경 작가님
[2021 이어도 해양아카데미 대학(원)생 과정-2부] 이어도의 이해와 동아시아 영토 갈등_ 윤명철 교수님
Переглядів 583 роки тому
[2021 이어도 해양아카데미 대학(원)생 과정-2부] 이어도의 이해와 동아시아 영토 갈등_ 윤명철 교수님
[2021 이어도 해양아카데미 대학(원)생 과정-1부] 이어도와 이어도해양과학기지의 역사_ 조성윤 교수님
Переглядів 953 роки тому
[2021 이어도 해양아카데미 대학(원)생 과정-1부] 이어도와 이어도해양과학기지의 역사_ 조성윤 교수님
[이어도지킴이 EP #08]법대로 합시다! 이어도 누구 바다에요? 한중일 삼국의 첨예한 해양경계획정 그리고 방공식별구역에 대해 알아보자
Переглядів 9083 роки тому
[이어도지킴이 EP #08]법대로 합시다! 이어도 누구 바다에요? 한중일 삼국의 첨예한 해양경계획정 그리고 방공식별구역에 대해 알아보자
[이어도지킴이 EP #07]바비, 매미, 볼라벤 태풍 다 덤벼! 완공에만 장장 8년, 국내 최초 종합해양과학기지 이어도 과학기지의 역할과 기능을 알아보자
Переглядів 4103 роки тому
[이어도지킴이 EP #07]바비, 매미, 볼라벤 태풍 다 덤벼! 완공에만 장장 8년, 국내 최초 종합해양과학기지 이어도 과학기지의 역할과 기능을 알아보자
[이어도지킴이 EP #06]화산? 암초? 과거에 이어도는 육지였다? 이어도의 정체와 이어도 해역의 특성을 알아보자!
Переглядів 3043 роки тому
[이어도지킴이 EP #06]화산? 암초? 과거에 이어도는 육지였다? 이어도의 정체와 이어도 해역의 특성을 알아보자!
좋아요
아! 나의 가수 김호중 아름다위라.💕💝💖
요즘 김호중 님의 이어도 노래 자주 듣게 되는데 어쩌면 김호중 테너의 목소리는 과연 황금 목소리네요 노래도 너무 잘 블러요 듣고 또 들어도 매일 들어도 질리지 않구요 ㅋ
테너 김호중님의 이어도 … 하루종일 들어도 그청량한 목소리… 창조주께 감사합니다
김호중님이 부른 이어도 가곡듣고 이어도에 궁금해서 들어왔네요!!
김호중님 여기도 계셨네요 이 아름답고 패기넘치는 가수 무대로 돌려주시길 간절히 🙏 오늘은 하루종일 들어봅니다
김호중 테너님의 목소리 듣고 힐링 하고 갑니다 두분 성악가님과 함께 하니 더욱더 빛이 나시네요
역시 김호중. 찾아찾아. 이곳에 잠시 머물다 갑니다 맘에 위안 조금이나마 받고 갑니다 . 김호중 힘내세요 사랑합니다 김호중. 내님은 어서 오시게요
이거 찾아 헤멧어요 우리가수 김호중 응원합니다
파랑초인가 호랑이인가 빨리 매립해라 아님 인공구조물 세우든지 이유 선박 안전을 위해서 그곳에 폐선박 침몰시켜
이어도 우리의 섬 널리 알려지도록 이 곡도 테너 김호중 무대에서 불려지길 기원합니다 #이어도 #김호중 #kimhojoong
김호중 테너님 하루종일 듣고싶은 노래
이어도 ~ 아득한 그 섬을 노래하는 앳된 김호중 테너와 김성록 테너 권순동 베이스님 트리오 반갑네요
김호중 테너의 홀로아리랑 은 독도를 노래했는데 오래 전 이어도 를 꿀포츠 김성록 테너님과 노래했다니 정말 놀랍고 반갑습니다 🙏
어머나 ^^ 김호중 테너가 이어도 부른걸 몰랐어요 어제 김성록 테너님 공연 보고 왔는데 ..
테너 김호중 언젠가 이 노래 부르는 모습 꼭 보고싶어요^^
김호중 님 보러 왔어용😊
김호중 가수의 목소리를 여기에서도 듣게되니 엄청 반갑네요
도전의 아이콘 김호중! 그가 가는 곳이 길이 됩니다 음악 스펙트럼이 가장 넓은 가수 김호중! 소리의 귀재 김호중! 못하는 장르가 없어요~ㅎ 청춘합창단 김성록님도 꾸준히 활동하시길 소망합니다 ^^
와우 테너 김호중 가수님 찾아왔어요 #김호중
김호중 귀한 노래 들을 수 있어서 행복했어요 김호중 어디 있어도 다 찾아갑니다 #김호중 #김호중_빛이나는사람 #김호중_편지한장
김호중 가수님 음악여정에 15만여 아리스가 함께합니다 💜💜💜 #김호중 #김호중_빛이나는사람
김호중 찾아 여기까지 찾아와서 듣게 되는데 목소리가 감동이네요^^
내님이 바로 그곳에 계시기 때문이지 이어도 감동으로 다가 오네요 테너 김호중 목소리를 찾아서
이어도는 동중국해 해상인데 제주도 바다도 동중국해 인가요 아니면 남해인가요?
이어도 연구회를 응원합니다. 한 가지 질문이 있습니다만, 동영상 7:14-15 부분에서 보이는 영상 내 우측의 텔레포트(헬기 착륙장)가 나침반 방향으로는 북쪽(한반도쪽) 입니까? 서쪽(중국쪽) 입니까? 현존 이어도 종합해양과학기지에 관한 사진, 영상과 문건을 봐도 이게 불명확해 보여서요.
ua-cam.com/video/Nx7RdvDLcfs/v-deo.html 이런 동영상을 보면 도대체 기지의 동서남북을 알 수가 없더군요. 사진과 영상이 계속 돌아가며 촬영하니까요. 텔레포트 상단에도 4자 향방도 그려있지 않고.
대한민국 블루오션 이어도. 인공안보 관광섬 건설 과 주변광구 유전개발에 도움 되는 방송이 되길 기대 합니다.
그래서 이어도 인공섬 만들자
책임 관료들 죄다 민족의 역적이다 참 한심하다 외교 통상부 개 자식이다
명강의 잘들었읍니다
영해와 영토는 생명처럼 지켜야.
영토와 영해는 생명과도 같은데. 국제법이 죽으라면 죽겠읍니까. 힘만이 중요성이죠.
이여도는 강한 무장을한 해양기지로 배치해야.
일본이 오키노토리 암초를를 섬이라는 뜻의 'しま(島)' 를 붙여서 오키노토리시마로 부르는거랑 같은의미 아닐까요
이어도를 군사기지화 하는것까지는 좋지만 영토화는 불가능합니다 섬이 아니라 일본의 오키노토리시마처럼 암초일 뿐이기 때문이죠 7광구 하나 먹자고 일본의 배타적 경제수역을 5분의 1을 넓혀줄 필요가 있을까요?
역사를 이어가는 노력이 절실할때 이어도 얘기를 동화로 접근한게 넘 좋고 훌륭하십니다~^^
" 우리나라의 진출입 마당길인데 누가 ? 막는단 말인가 ? 중국뙈놈들 생억지쓰지말거라 ! 남의땅 쳐다만 봤다고 너의 땅이냐 ? 가까워도 우리나라가 더 ! 가깝고 우리조상님들 생활정서상 아주오랜 ~ 먼 옛날 세월부터 우리나라와 뗄레야 뗄수없는 우리나라땅이다 ! ! ! 절대로 꼭 지켜야 할 우리땅이다 ! ! ! "
고생합니다. 당신들이 애국자요
얼마나 병신처럼 다 당해준거야 외교부랑 대통령 등등등 저런점에 있어서는 공부를하든 함부로 협정에 사인좀 맺지마라 존나 답답하네
수고만읍니다 노벨상.대한민국저조한이유 스능시험때문입니다. 머리좋은.대한민국의학생들 대한민국의.부모님들 625전쟁끝으로.가난한생활을 겪어면서도.자식들공부는 이를악물고..지식과.좀더나은 미래를.무의식중에서도 본능적감각.내가무식해서 할수없어던.아픔들과 싸우면서.살아가는.그당시에 부모들..조선의정치 배워야만.말타고.정승.대감 양반으로살아갈수있다는 본능적.감각. 부모님들의.한이서려져있던 시대의.감각 죽자.살자.노가다.막일해서 자식들공부에매달린결과 그분들이.노벨상은실패하였지만 경제대국의초석이되었어요 인간들의머리는.쓰면.쓸수록 발달됩니다 경제대국.정치.문화.사회의생활 선진국수준까지들. 달려오는데.불과50년세월 기적이라고하지만. 조선의후손들이.죽자살자 공부.공부.. 대한민국.국민들.경제는 세게를.따라잡아지만 노벨상저조한이유는 수능시험제도.탓입니다 학생들이.죽자살자공부에 메달리고.지식을쌓고 두뇌발달은.했지만 하나의목표를두고.한가지만 목표를두고.공부했더라면 박사.노벨상.대한민국 휩쓸었을것입니다 대한민국.욕심대단한분들 한가지만.선택해서.학업을 했더라면.그분야의박사분들 노베상.지금도늦지않았읍니다 수능시험페지하고. 수능시험.본인이선택하는 과목들.한가지선택위주로 수능제도.살려가면 전세게인구. 대한민국사람.학생들의 두뇌.몾딸아옵니다 머리는좋아도.쓰지않는 인간들의.두뇌는.발달이되지 않읍니다 한가지만.열심히하다보면 내가.꿈꾸던모든일들이 새로.태어나는.이세들에게 이월되는.내꿈들 두뇌발달이.서서히발달 대한민국.조선시대살펴보면 고생.고생.농민으로살다보니 천박과.종.노에같은생활 부무들의한이맺혀 공부를해야.성공한다는.한맺힌 마음들이.맻힌분들. 죽자.살자.일하고.자식들공부 전적으로.한평생을보냅니다 태어나는이세들. 공부들에.파뭍혀서 박사배출.공무원.과학.경제 세게인들과.대등한문화 생환습관들이.발달 노벨상.없는이유는 수능시험제도.전과목선택 부담..학생들.한가지종목선택 집중적으로교육 부모들의.경제도절약됩니다 한가지만잘하지. 여러가지의재주는.실패하는 원인입니다 여러분들..사람들의.뇌 쓰면쓸수록발달됩니다 학생시절부터.여러가지를 쓰는뇌는.헷갈려서. 뇌도.어데로발달했야되는지 헷갈려서.대충.반푼수의원인 반푼수라는말. 여러가지를잘하는사람 성공몾하고.실패들합니다 제주는.한가지만잘하던지 제주가만어면.실패하는원인들 조선시대.현제살고있는분들 뇌.죽자살자.공부시킨부모들의 덕입니다.. 한가지만.선택하는.수능시험 노벨상.우리들시대는힘들어도 학생들이.장가.시집가서 이세출산.한가지과목들집중 노벨상대한민국.독식시대 뇌는.쓰면쓸수록발달 50년짧은시간에.경제대국 황혼길에서..외롭게살이가시는 우리들의부모들덕입니다 지금.학생들.결혼과출산들 하면.머리가비상한.애기들출산 조선시대..애들이랑비교불가 수능시험페지하고. 수능시험.한가지선택 새로.도전하는정신들가지고 출발. 지금학생들이.우리들나이되면 대한민국.과학.노벨상.경제 대한민국.석권할수도 제가.만은글을.올려서죄송 합니다.건강하세요.
🖒🖒
툭하면 민족, 민주, 반일 외치며 친중하는 그 곳 정권이 독도만 팔아먹은 줄 알았는데, 이어도도 팔아 먹었구만(2001년)
5천년 원수 중국, 5백년원수 일본!
와우 아이들 교육용의로 학교에서 해도 됄듯.
해양영해와 영토는 생명과 직결돼어있죠. 목숨걸고 꼭 지켜야 합니다.
영해와 영토는 생명처럼 지켜야합니다.
영토와 영해는 생명과 직결돼어있읍니다. 목숨걸고 지켜내야 됍니다.
중국은 눈에보이는 땅과바다 모두저거것이라한다 중국과영해 영토를두고 아시아대부분 분쟁을 이러키고있다 그러니까 진정한 중국의친구가없는것은 당연한것
지금까지 이어도가 섬인 줄 알았던 1인
e학습터땜에 끌려옴
저도이학습터
감사합니다.강의 잘 들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