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0
- 96 447
성북구립미술관
South Korea
Приєднався 7 чер 2020
[대담][유근택 작가-홍가이 박사] 《유근택: 오직 한 사람》 I 성북구립미술관
#SMA #exhibition #미술관 #SMAartistTalk #유근택 #홍가이
[대담][유근택 작가-홍가이 박사] 《유근택: 오직 한 사람》
2024.05.08. 유근택의 작업실 (서울시 성북구)
본 영상은 유근택 작가의 작품과 그 세계관을 살펴볼 수 있도록 비평가 홍가이 박사와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제작되었습니다.
2024 성북구립미술관 기획전시
《유근택: 오직 한 사람》
𝘠𝘰𝘰 𝘎𝘦𝘶𝘯-𝘛𝘢𝘦𝘬 : 𝘖𝘯𝘦, 𝘣𝘶𝘵 𝘢𝘭𝘭
sma.sbculture.or.kr/sma/exhibition/past.do?mode=view&articleNo=36593
성북구립미술관 본관
2024. 04. 25.(목) - 2024. 07. 21.(일)
성북어린이미술관 꿈자람
2024. 05. 22.(수) - 2024. 09. 07.(토)
-
#성북구립미술관 #유근택 #유근택_오직한사람 #작가인터뷰 #작가와의대화 #홍가이박사 #대담 #미술관 #전시 #성북동 #SMA #SeongbukMuseumofArt #YooGeunTeak #One_but_All #museum #exhibition
[대담][유근택 작가-홍가이 박사] 《유근택: 오직 한 사람》
2024.05.08. 유근택의 작업실 (서울시 성북구)
본 영상은 유근택 작가의 작품과 그 세계관을 살펴볼 수 있도록 비평가 홍가이 박사와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제작되었습니다.
2024 성북구립미술관 기획전시
《유근택: 오직 한 사람》
𝘠𝘰𝘰 𝘎𝘦𝘶𝘯-𝘛𝘢𝘦𝘬 : 𝘖𝘯𝘦, 𝘣𝘶𝘵 𝘢𝘭𝘭
sma.sbculture.or.kr/sma/exhibition/past.do?mode=view&articleNo=36593
성북구립미술관 본관
2024. 04. 25.(목) - 2024. 07. 21.(일)
성북어린이미술관 꿈자람
2024. 05. 22.(수) - 2024. 09. 07.(토)
-
#성북구립미술관 #유근택 #유근택_오직한사람 #작가인터뷰 #작가와의대화 #홍가이박사 #대담 #미술관 #전시 #성북동 #SMA #SeongbukMuseumofArt #YooGeunTeak #One_but_All #museum #exhibition
Переглядів: 81
Відео
[성북구립미술관][소개]〈미술관 학교: 현대미술관 별별 교과서(아트북)〉(Museum School: Contemporary Art Textbook(Artbook)) by. 2024
Переглядів 55Місяць тому
현대미술은 무엇일까요? 미술은 자기 생각을 자신만의 창의적인 방법으로 표현하기 위해 상상하고 계획하는 일에 가깝습니다. 현대미술은 회화, 조각, 판화 등 익숙한 기존의 장르를 뛰어넘어 다양한 표현 방법을 포함합니다. 때로는 그리기와 만들기로, 때로는 소리와 움직임, 그리고 촉각으로, 시간과 공간을 배경으로, 주변을 관찰하고 기록하는 일 등이 모두 여기에 속합니다. “지역의 미술관이 학교 밖, 또 다른 학교가 될 수 있을까? 이 책은 성북구립미술관이 학교 밖의 새로운 배움터가 될 수 있을지 고민하며 만들어졌습니다. 교사에게는 교육 자료로, 학생에게는 자신만의 방식으로 미술을 이해하고 감상하는 안내서가 되기를 희망하는 마음이 담겨있습니다. 동시에, 이 책이 궁금한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책이 되기...
[워크숍 가이드(shorts)] 뭎 『레이저스 케이크 레시피(Rangers' Cake Recipe)』 〈초간단 레시피〉by.2024〈미술관 학교: 현대미술관 별별 교과서(아트북)〉
Переглядів 40Місяць тому
뭎 『레인저스 케이크 레시피』 〈레인저스 케이크 초간단 레시피 『레인저스 케이크 레시피』는 성북구립미술관이 제작한 지역 미술 교과서 〈미술관 학교: 현대미술 별별 교과서〉의 "아트북" 시리즈 중 하나로 제작되었습니다. 『레인저스 케이크 레시피』는 미술에서 시간과 공간을 재료로 하는 ‘퍼포먼스’를 책으로 옮긴 시도입니다. 레시피라고 하면 순서들을 하나하나 따라가면서 자기만의 요리 등을 완성하는 것처럼, 공연도 각자가 있는 자리에서 재료나 장소 등이 달라도 레시피를 따라하면 〈레인저스 케이크〉라는 공연을 각자 만들어볼 수 있도록 구성해보았습니다. 여기서 나아가 〈레인저스 케이크 초간단 레시피〉는 장소도, 학생도, 선생님도 다 다른 학교의 교실에서 친구들과 〈레인저스 케이크〉 공연을 직접 해볼 수 있도록 고...
[작가 인터뷰(full)] 뭎 『레인저스 케이크 레시피(Rangers' Cake Recipe)』by. 2024〈미술관 학교: 현대미술관 별별 교과서(아트북)〉
Переглядів 30Місяць тому
뭎 『레인저스 케이크 레시피』 『레인저스 케이크 레시피』는 성북구립미술관이 제작한 지역 미술 교과서 〈미술관 학교: 현대미술 별별 교과서〉의 "아트북" 시리즈 중 하나로 제작되었습니다. 『레인저스 케이크 레시피』는 미술에서 시간과 공간을 재료로 하는 ‘퍼포먼스’를 책으로 옮긴 시도입니다. 레시피라고 하면 순서들을 하나하나 따라가면서 자기만의 요리 등을 완성하는 것처럼, 공연도 각자가 있는 자리에서 재료나 장소 등이 달라도 레시피를 따라하면 〈레인저스 케이크〉라는 공연을 각자 만들어볼 수 있도록 구성해보았습니다. | 영상 | 아인아 아카이브 본 제작물은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이 시행하는 「2024년 무장애 문화향유 지원사업」을 통해 성북구립미술관이 주관한 〈미술관 학교: 현대미술 별별 교과서(아트북)〉의 일...
[워크숍 가이드(shorts)] 다이애나밴드 『향하는 귀(Heading Ears)』〈사운드 마사지〉by.2024〈미술관 학교: 현대미술관 별별 교과서(아트북)〉
Переглядів 34Місяць тому
다이애나밴드『향하는 귀』〈사운드 마사지〉 『향하는 귀』는 성북구립미술관이 제작한 지역 미술 교과서 〈미술관 학교: 현대미술 별별 교과서〉의 "아트북" 시리즈 중 하나로 제작되었습니다. 듣기를 통해서 어떤 소리들이 나를 구성하고 있는지 찾아나가는 여정들을 같이 해보는 책입니다. 여러가지 소리의 종류, 그리고 듣는 방법, 그 듣는 세계 안에서 내가 어떻게 존재하는지를 떠올려보며 나, 그리고 다른 존재들이 어떻게 서로 연결되어 있는지 생각해보는 시간을 마련합니다. 책에서는 이를 실천해보는 워크숍 〈사운드 마사지〉를 함께 제안드립니다. 듣기 활동을 했을 때, 눈을 감고 어디에서 소리가 나는지 마음의 지도, 심상의 지도를 그리는 어떤 여정이 책이라면〈사운드 마사지〉는 이를 작은 소리 세계로 만들어보는 워크숍 입...
[작가 인터뷰(full)] 다이애나밴드 『향하는 귀(Heading Ears)』by. 2024〈미술관 학교: 현대미술관 별별 교과서(아트북)〉
Переглядів 56Місяць тому
다이애나밴드 『향하는 귀』 『향하는 귀』는 성북구립미술관이 제작한 지역 미술 교과서 〈미술관 학교: 현대미술 별별 교과서〉의 "아트북" 시리즈 중 하나로 제작되었습니다. 듣기를 통해서 어떤 소리들이 나를 구성하고 있는지 찾아나가는 여정들을 같이 해보는 책입니다. 여러가지 소리의 종류, 그리고 듣는 방법, 그 듣는 세계 안에서 내가 어떻게 존재하는지를 떠올려보며 나, 그리고 다른 존재들이 어떻게 서로 연결되어 있는지 생각해보는 시간을 마련합니다. | 영상 | 아인아 아카이브 * 본 제작물은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이 시행하는 「2024년 무장애 문화향유 지원사업」을 통해 성북구립미술관이 주관한 〈미술관 학교: 현대미술 별별 교과서(아트북)〉의 일환으로 제작되었습니다. - 미술관 학교: 현대미술관 별별 교과서(...
[워크숍 가이드(shorts)] 이소요 x 한경호 『숲 이야기(Forest Tales)』〈숲 이야기-손으로 보는 나무〉by.2024〈미술관 학교: 현대미술관 별별 교과서(아트북)〉
Переглядів 91Місяць тому
이소요 x 한경호『숲 이야기』 〈숲 이야기-손으로 보는 나무〉 『숲 이야기』 는 성북구립미술관이 제작한 지역 미술 교과서〈미술관 학교: 현대미술관 별별 교과서〉의 "아트북" 시리즈 중 하나로 제작되었습니다. 현대미술 작가인 이소요와 한경호가 서울 성북구에 위치한 ‘천장산’을 탐색한 경험을 바탕으로, 우리가 숲에서 나무를 만날 때 생각해 볼 수 있는 감각적, 개념적, 실용적 관점들을 소개합니다. 이를 실천해보는 워크숍 〈숲 이야기 - 손으로 보는 나무〉를 함께 제안드립니다. 본 영상에서 소개하는 시범수업 〈숲 이야기 - 손으로 보는 나무〉는 책 속에 나온 내용들 중에서 나무의 껍데기인 수피를 손으로 만져서 서로를 구분하고, 그것을 그림이나 사진이 아닌 어떤 물리적인 형태로 기록으로 남길 수 있는 방식으로...
[작가 인터뷰(full)] 이소요 x 한경호 『숲 이야기(Forest Tales)』by. 2024〈미술관 학교: 현대미술관 별별 교과서(아트북)〉
Переглядів 39Місяць тому
이소요 x 한경호『숲 이야기』 『숲 이야기』 는 성북구립미술관이 제작한 지역 미술 교과서〈미술관 학교: 현대미술관 별별 교과서〉의 "아트북" 시리즈 중 하나로 제작되었습니다. 현대미술 작가인 이소요와 한경호가 서울 성북구에 위치한 ‘천장산’을 탐색한 경험을 바탕으로, 우리가 숲에서 나무를 만날 때 생각해 볼 수 있는 감각적, 개념적, 실용적 관점들을 소개합니다. 숲에 갔을 때, 눈으로만 보지 말고 냄새도 맡아보고 피부로도 느껴보고 만져보기도 하고 여러 가지 감각을 통해서 주변 감각해보는 건 어떨까요? 『숲 이야기』를 통해 내 주변에 있는 나무, 혹은 숲을 직접 탐색하고 경험하며 이를 위한 다양한 방법을 함께 고민해보고, 여러 방식으로 시도해볼 수 있는 기회가 되시길 바랍니다. | 영상 | 아인아 아카이...
[시각장애인 음성해설][오디오 북] 이소요 x 한경호 『숲 이야기(Forest Tales)』by. 2024〈미술관 학교: 현대미술관 별별 교과서(아트북)〉
Переглядів 40Місяць тому
이소요 x 한경호『숲 이야기』 『숲 이야기』 는 성북구립미술관이 제작한 지역 미술 교과서〈미술관 학교: 현대미술관 별별 교과서〉의 "아트북" 시리즈 중 하나로 제작되었습니다. 현대미술 작가인 이소요와 한경호가 서울 성북구에 위치한 ‘천장산’을 탐색한 경험을 바탕으로, 우리가 숲에서 나무를 만날 때 생각해 볼 수 있는 감각적, 개념적, 실용적 관점들을 소개합니다. 숲에 갔을 때, 눈으로만 보지 말고 냄새도 맡아보고 피부로도 느껴보고 만져보기도 하고 여러 가지 감각을 통해서 주변 감각해보는 건 어떨까요? 『숲 이야기』를 통해 내 주변에 있는 나무, 혹은 숲을 직접 탐색하고 경험하며 이를 위한 다양한 방법을 함께 고민해보고, 여러 방식으로 시도해볼 수 있는 기회가 되시길 바랍니다. | 오디오해설대본| 장현정...
[큐레이터 전시소개] 《흰: 원형 The Original》展│성북구립 최만린미술관
Переглядів 39Місяць тому
2024년 성북구립미술관 기획전시 《흰:원형 The Original》展 ■ 전시 소개 성북구립미술관은 2024년 3월 28일(목)부터 11월 2일(토)까지 성북구립 최만린미술관에서 한국 현대 추상조각 대표 작가인 최만린(1935-2020)의 석고 원형조각을 중심으로 한 《흰: 원형》展을 개최하였습니다. 본 전시는 최만린의 석고 원형 조각만 선보이는 최초의 전시로서 1958년부터 마지막 시기인 2010년대까지 60여 년이 넘는 최만린의 조각사를 대표하는 석고 원형과 드로잉 등 총 60여 점의 작품을 선보였습니다. 특히, 작가가 30년간(1988-2018) 삶의 터전이자 작업실로 삼았던 ‘성북구립 최만린미술관’은 80년대 후반 이후의 석고 원형 대부분이 탄생한 곳으로 본 전시는 ‘근원적 장소로의 회귀’라는...
[인터뷰] 윤중식 10주기 추모전 《회향懷鄕》 I 성북구립미술관
Переглядів 432 місяці тому
성북구립미술관에서는 한국 근현대 미술사의 주요 작가인 윤중식의 타계10주기를 추모하는 기획전시 《회향懷鄕》을 2022년 3월 30일부터 7월 3일까지 개최하였습니다. 《회향懷鄕》展은 故윤중식 작가와 유족의 작품 기증의 의미를 기리는 전시이자 2012년 성북구립미술관에서 열린 윤중식의 상수(上壽: 100세)전 이후 10년 만에 개최되는 추모전으로서 한 세기에 걸친 작가의 인생 여정과 작품 세계를 총망라하였습니다. 본 영상은 故윤중식의 장남인 윤대경 님의 인터뷰 영상으로 아들의 눈으로 바라본 화가 윤중식의 일생을 담아내고 있습니다. - 윤중식 10주기 추모전 《회향懷鄕》 전시정보 안내 sma.sbculture.or.kr/sma/ ㆍ전 시 명 : 윤중식 10주기 추모전 《회향懷鄕》 ㆍ전시기간 : 2022년 ...
[인터뷰] 《화가의 벗: 시대공감》 I 성북구립미술관
Переглядів 1212 місяці тому
성북구립미술관은 한국의 대표 화가로 불리는 박수근, 윤중식, 이중섭 작가의 3인전 《화가의 벗: 시대공감》展을 2023년 4월 27일부터 6월 30일까지 개최하였습니다. 본 영상은 서양화가 윤중식(1913-2012), 박수근(1914-1965), 이중섭(1916-1956)의 인연과 교류 관계 등을 살펴볼 수 있도록 윤중식의 유족(윤대경), 박수근의 유족(박성남) 및 미술평론가(최열)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제작되었습니다. 많은 시청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화가의 벗: 시대공감》 전시정보 안내 sma.sbculture.or.kr/sma/ ㆍ전시명: 2023 성북구립미술관 기획전시 《화가의 벗: 시대공감》 ㆍ전시기간 : 2023. 04. 27.(목) - 06. 30.(금) ※ 매주 월요일 휴관 ㆍ전시장소...
[전시소개] 《유근택: 오직 한 사람》展 (성북어린이미술관 꿈자람)
Переглядів 1366 місяців тому
[전시소개] 《유근택: 오직 한 사람》展 (성북어린이미술관 꿈자람)
[전시티저|teaser] 성북어린이미술관 꿈자람 2024 기획전시 《유근택: 오직 한 사람(Yoo Geun-Taek: One, but all》
Переглядів 1278 місяців тому
[전시티저|teaser] 성북어린이미술관 꿈자람 2024 기획전시 《유근택: 오직 한 사람(Yoo Geun-Taek: One, but all》
[전시티저|teaser] 2024 기획전시 《유근택: 오직 한 사람(Yoo Geun-Taek: One, but all》
Переглядів 1899 місяців тому
[전시티저|teaser] 2024 기획전시 《유근택: 오직 한 사람(Yoo Geun-Taek: One, but all》
[전시소개] 《조용한 움직임》展 | 성북어린이미술관 꿈자람, 김중업건축문화의 집
Переглядів 143Рік тому
[전시소개] 《조용한 움직임》展 | 성북어린이미술관 꿈자람, 김중업건축문화의 집
[전시연계 프로그램] 《조용한 움직임》展 | 무용 퍼포먼스 - 짓고 짓고 짓고
Переглядів 400Рік тому
[전시연계 프로그램] 《조용한 움직임》展 | 무용 퍼포먼스 - 짓고 짓고 짓고
[전시소개] 《성북의 청괴들: 붓 끝에 기대어 홀로 가리라》 I 성북구립미술관
Переглядів 133Рік тому
[전시소개] 《성북의 청괴들: 붓 끝에 기대어 홀로 가리라》 I 성북구립미술관
[온라인 수어 도슨트] 2023 기획전시 《종이로 만든 거울: 시간조각모음》
Переглядів 266Рік тому
[온라인 수어 도슨트] 2023 기획전시 《종이로 만든 거울: 시간조각모음》
[온라인 수어 도슨트] 2023 기획전시 《종이로 만든 거울: 시간조각모음》 _ 사라진 열매 : 완두콩의 기억소환 ⟷ 사라진 열매 | 김옥정x크랜필드
Переглядів 118Рік тому
[온라인 수어 도슨트] 2023 기획전시 《종이로 만든 거울: 시간조각모음》 _ 사라진 열매 : 완두콩의 기억소환 ⟷ 사라진 열매 | 김옥정x크랜필드
[온라인 수어 도슨트] 2023 기획전시 《종이로 만든 거울: 시간조각모음》 _ 모래의 산 ↔ 산 옮기기 | 김옥정x크랜필드
Переглядів 91Рік тому
[온라인 수어 도슨트] 2023 기획전시 《종이로 만든 거울: 시간조각모음》 _ 모래의 산 ↔ 산 옮기기 | 김옥정x크랜필드
[온라인 도슨트] 2023 기획전시 《종이로 만든 거울: 시간조각모음》 | 성북예술창작터
Переглядів 223Рік тому
[온라인 도슨트] 2023 기획전시 《종이로 만든 거울: 시간조각모음》 | 성북예술창작터
[온라인 도슨트] 2023 기획전시 《종이로 만든 거울: 시간조각모음》 | 성북어린이미술관 꿈자람
Переглядів 289Рік тому
[온라인 도슨트] 2023 기획전시 《종이로 만든 거울: 시간조각모음》 | 성북어린이미술관 꿈자람
[프로그램] 2023 기획전시 《종이로 만든 거울: 시간조각모음》 _ 문서진 퍼포먼스 〈내가 그린 가장 큰 원〉
Переглядів 99Рік тому
[프로그램] 2023 기획전시 《종이로 만든 거울: 시간조각모음》 _ 문서진 퍼포먼스 〈내가 그린 가장 큰 원〉
저분 재혼했지요
김훈 작가님, 돈암동에 살았다면 중상층 이거나 그위 계층의 삶을 산 작가같은데 세상을 이분 법으로 분별해 갈등을 조장 하는 글을 쓰시지 않기 바랍니다. 표리가 부동 하지 않는 객관적 글을 쓰시고 균형 적 사고를 가진 글을 쓰시 기 바랍니다. 조금만 birds eye view를 가지고 생각해 보시면?? 대화 내용이 모두 맞는 내 용이듯 착시현상을 유도합 니다. 다른 입장 시각도 필 요 합니다. 그래도 저는 김훈작가의 글 에 매력을 느낍니다. 살아온 时代와 공간이 겹치고 김훈작가의 情绪의 깊이와 思考의 파장이 비슷 하기 때문일 겁니다.
작가님 작품과 인터뷰 너무 좋네요. 감사합니다.
❤
❤
이어령장관님도 이제는 송영수 선생님 만나 저 세상에서 친구로 또다시 지내시겠지요.
너무 좋습니다..
김훈선생님 글을 읽으면 상상남자 필체신데 말씀과 마음은 여리고 여린 비단결이시네요. 반전의 매력이 있으시네요. 오래오래 건강하셔서 좋은 글 많이 써 주세요.
감상잘하고 나갑니다 자주 올려주세요
와 멋진 티져다! 전시 꼭 보러 가고 싶은 느낌적 느낌
Thank you for this video. I shared it with a few friends. They were so excited.. You could easily get more people watching with "Promosm".
최고 작가 와신톤 7/6 정
잘보고갑니다
잘보고나갑니다 ㅎㅎ
잘보고갑니다 ㅎㅎㅎ
감사합니다
'인간성의 퇴행' 이라는 말씀에 공감 합니다
국민이 주인이라며 선거때 떠들고 나라땅이라며 국민들 사는집을 깡패 동원해 때려 부수는 대한민국ㅋㅋㅋ
참 훌륭한 분이십니다
넘 감동적이고 좋은 교훈을 얻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넘 좋은 전시예요
선곡의 취지와 의미 설명이 함께해서 더욱 감상에 깊이 빠지게 됩니다.
설명을 너무 잘 해주셔서 귀에 쏙 쏙 들어오네요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렇게 좋은 영상은 다들 많이 보시면 좋겠어요.
잘 감상했습니다. 감사합니다^^
물고기를 들여다 보면서 물고기의 생태를 쓴 책이에요. 물고기는 인간에게 정말 중요하다는 것을 안 거예요. 정말 여기에서 살아야겠다는 뜻을 실천한 거예요. 코로나를 극복하고 탈출하려면, 우선 이걸 받아들여서 견뎌야 한다는 생각을 해야 해요. 이 사회는 이제 말로 해서는 안 된다는 절망감이 있어요. 수다를 떨면 안 되겠다. 그것은 참 지키기가 어려워요. 그걸 스스로 억제하면서 그 말을 압축해서 쓰죠. 말을 압축해 놓으면 전기가 오는 것처럼 찌릿찌릿한 느낌이 올 때가 있어요. 글이라는 게 관념과 추상으로 쓰는 게 아니고, 삶의 구체성, 생활에 바탕이 있어야 해요. 귀한 가르침 감사합니다^^
ᆢ2
가난한 시대로 다시 돌아가고 싶어요
몽라님. 제가 너무나도 바라던 소리를 만들어 주셨어요. 아주 간단하고도 명료한 소리의 화음으로 마음이 고요해 지는 음악입니다. 앞으로도 많이 올려주세요!!
자연의 소리와 울림이 이런 또다른 신비의 울림을 자아내는 영상에 큰 감동을 받았어요 인간의 삶 과 죽음의 세계가 함께 공존하고 있다는 울림의 소리로도 들리네요 이런 이색적인 분위기는 처음 느껴보게되서 너무 경이롭고 신비로운 분위기에 매료되네요 김 승영전을 통해 몽라의 또다른 음악 세계를 느끼게되서 큰 감동이네요~
^^잘 봤습니다.
유시민 알릴레오 김훈 선생님 칼의 노래편 보고 넘어왔습니다. 솔직담백한 인터뷰 잘 봤습니다!👍👍👍
와 정말 재미있어요
인터뷰 감사합니다
저도 서양화전공 으로 교수님을 알고 존경합니다. 오세훈 시장님께서 사위이셨군요 영혼이 너무도 맑은 교수님께서 (하늘나라에서) 휼륭한 시장님 응원해 주실겁니다 코로나 안정
코로나 안정되면 성북동 전시장 다녀오렵니다~^
감사합니다. 랜선 관람임에도 생명력이 전해져 옵니다.
참 멋진 작가이셨는데 멋진 사위가 서울시를 책임지게되었네요.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GOOD!!!
유튜브 시청하다 보게 되었습니다 송영수 라는 작가를 알수 있었고 전시기획이 좋아 보입니다 우리는 조각품을 보면 이해도 어렵고 한데 송영수의 작품은 제목을 보면서 보니 느낌이 오네요 특히 효(새벽)과 영광.....
선생님 안녕하세요저는남숙희언니의동생입니다생각이나시는지요선생님을뵈니돌아가신 언니를뵈는것같네요선생님항상건강하게지내시고안녕히계세요~~~^^
사공정숙선생님안녕하세요저는남숙희 언니동생이예요선생님뵈니 돌아가신 언니가보고십네요항상건강하시고즐거운생활하시고 안녕히계세요~~^^
참으로 훌륭하시고 덕성스럽고 품위가 있으시네요. 오세훈시장님을 알아보신 안목, 참 좋은 인연이라 여겨집니다.
이어령교수님장하십니다.친한친구를잃은젊은세대의슬픔.최고의예술가송영수.사위오세훈 회
천재 송영수천재 천재는 왜 빨리 가나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GOOD!!!
오세훈 처가가 진짜명문가네요 장모님두 그렇구 점잖으시네요
오랜만에 선생님작품을 보니 참 반갑네요.4월1일에 친구들이 송선생님 돌아가셨다고 해서 ~ 아무리 만우절이라고 해서 그런끔찍한 소리하냐고 했었죠!! 서울미대 장례식에도 갔었지요! 저도 조각가입니다. 너무오랜동안 쉬었는데 선생님 작품이 다시 하라하는것 같아요! 12년전에 뉴욕만하탄에서 작품생활 하다가 지금은 보스톤에 있어요. 한국가면 미술관에 가봐야 겠네요.
송선생님아까워셔라 천재화가이셔라.오세문시장님처가는명문집안있으다,서울시장님화이팅.
참 잘 난 오세훈 사위를 얻으실 만한 예술적 업적이 있으셨군요. 예술가의 짧은 삶 아쉽습니다.
한예술가의 죽음, 친구를 일찍 잃은 문학인의 슬픔, 한세기의 기념비적 만남이며 ,우정이며! 예술가의 혼이 영원하시길~~
오세훈 처가댁 담백 하신분들 존경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