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 3.0 스토리즈
라이프 3.0 스토리즈
  • 32
  • 57 769
에드워드 텔러: 내 친구 존 폰 노이만이 전자두뇌혁명을 시작했다
이 영상은 미국 수학 협회의 지원을 받아 1966년에 제작된 다큐멘터리의 한 장면입니다. 에드워트 텔러는 자신의 친구이자 동료였던 폰 노이만에 대한 애정어린 기억을 필름에 담습니다. 천재가 또 다른 천재를 추억하는 이 영상에서 지금의 컴퓨터와 인공지능 혁명에 폰 노이만의 설계가 깃들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됩니다
챕터:
0:00 - 폰 노이만은 어떻게 그렇게나 생각이 빠르고 효과적이었는가?
0:46 - 그는 생각하는 것을 즐겼다
2:15 - 컴퓨터는 '논리적 프로세스'를 다른 분야에도 적용한다
2:51 - 폰 노이만에 대한 슬픈 기억
영상의 원본이 있는 주소는 아래와 같습니다.
- 출처: 유튜브 채널 David Hoffman, 2013년 9월 18일자
- 제목: Genius Edward Teller Describes 1950s Genius John Von Neumann
- 주소: ua-cam.com/video/Oh31I1F2vds/v-deo.htmlsi=s6oF1p9CQ8EZGljo
폰 노이만 관련 서적
- 제목/저자: 미래에서 온 남자 폰 노이만/아난요 바타차리야
- 주소: www.yes24.com/Product/Goods/122427060
감사합니다.
Переглядів: 70

Відео

일리야 수츠케버: AI에게도 자유에 대한 권리를 주어야 할까요? (feat. 암호화폐, Q&A)
Переглядів 1794 години тому
지난 2024년 12월 13일, 벤쿠버에서 열린 NeurIPS에서 있었던 일리야 수츠케버의 강연 후 Q&A 세션을 소개합니다. 그는 청중들의 4가지 중요한 질문에 답변합니다. 챕터: 0:00 - AI연구를 위해 연구할만한, 다른 생물학적 구조가 있을까요? 1:29 - 모델이 추론을 통하여 스스로 할루시네이션을 교정할까요? 3:20 - AI에게도 인간이 가진 자유의 권리를 주어야 할까요? 5:30 - LLM이 분포를 벗어난 다중 홉 추론을 일반화할 수 있을까요? 그의 강연영상 풀버전은 아래 주소에서 보시면 됩니다. - 장소/시간: 밴쿠버, NeurIPS 2024/2024년 12월 23일 - 원본영상주소: ua-cam.com/video/1yvBqasHLZs/v-deo.htmlsi=-LPlu9zEyvR1nR...
데이비드 칸: AI 의식의 미래, '괴델, 에셔, 바흐'에서 길을 찾다
Переглядів 1897 годин тому
세콰이어캐피탈의 파트너인 데이비드 칸이 인공지능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그는 루카스 비월드(Lukas Biewald)의 유튜브 채널 Weights & Biases에 출연하여 인공지능이 의식을 갖는 다는 것에 대한 의미를 깊이 있는 통찰로 풀어냅니다. 그는 그 나침반으로 더글러스 호프스태터의 '괴델, 에셔, 바흐'에서 길을 찾고 있습니다. 챕터: 0:00 - 종교가 AI에 대한 생각에 영향을 미치는가? 1:03 - 모든 종교의 질문은 '인간은 무엇을 의미하는가?'이다 1:40 - '괴델, 에셔, 바흐'에서 길을 찾다 1:54 - AI가 '재귀성의 자기 반영'의 속성을 가질 수 있는가? 2:54 - 재귀성, 자기 반영이 인간의 고유한 속성이다 3:46 - 종교와 AI의 공통점은 부트스트랩이라 점이다 4:22...
일리야 수츠케버: 진화는 두뇌-신체 스케일링 지수를 넘어선 더 지능적인 존재의 출현을 예고한다
Переглядів 2457 годин тому
제프린 힌턴 교수님의 수제자이자 오픈AI의 설립자이기도 했던 일리야 수츠케버의 강연을 소개합니다. 지난 2024년 12월 13일, 일리야 수츠케버는 벤쿠버에서 열린 NeurIPS에서 사전 학습의 시대는 끝났음을 선언하고 진화의 측면에서 스케일링의 한계를 뛰어넘는 더 지능적 존재의 출현은 이미 선례가 있음을 이야기합니다. 그의 강연영상 풀버전은 아래 주소에서 보시면 됩니다. - 장소/시간: NeurIPS 2024, 2024년 12월 23일자 - 주소: ua-cam.com/video/1yvBqasHLZs/v-deo.htmlsi=-LPlu9zEyvR1nRIS 감사합니다.
에릭 슈미트: 노벨평화상 수상의 키신저 박사가 작고하기 전까지 AI에 대해 우려했던 것
Переглядів 26614 годин тому
구글 전CEO 에릭 슈미트가 시타델(초거대 헤지펀드) 채널에 나와 인공지능의 미래와 그 위험성에 대해 경고합니다. 특히 미국과 중국의 군비경쟁으로 치닫고 있는 현실이 펼쳐지고 있습니다. 에릭 슈미트는 정치적으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가 과연 있을 것인지에 대해 키신저 박사가 했던 말을 인용합니다. 노벨평화상을 수상한 헨리 키신저 박사는 작고하기 전에 이러한 우려를 끝까지 가지고 갔다고 합니다. 챕터: 0:00 - 인공지능으로 인한 20년 후 변화를 예측해주세요 1:00 - 5년 안에 프로그램의 절반 이상은 인공지능이 하게 된다 2:04 - 모델이 스스로 판단하고 자신의 길을 찾아갈 수 있을 것이다 2:41 - 혁신의 기술기의 작은 차이가 2차적으로 엄청난 차이를 불러온다 3:35 - 미국 A...
제프리 힌튼: 수학자들은 증명할 수 없는 것들이 참이라고 직관할 수 있는가?
Переглядів 25814 годин тому
제프리 힌튼 교수님이 '증명으로는 불가능하지만, 수학자들이 직관적으로는 진실이라고 확신하는 것들이 과연 있을 수 있는가?'라는 질문을 던집니다. 특히, '의식'에 대하여 로저 팬로즈 교수님와 크게 다른 입장인데요, 힌튼 교수님의 주장을 들어보시겠습니다. 챕터: 0:00 - 로저 펜로즈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세요? 1:46 - 의식을 설명하는데 양자역학이 필요하지 않다 2:55 - 고전적 계산으로 의식을 설명할 수 없는가? 3:08 - 공식적으로 증명되지 않은 진리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가? 영상 풀버전은 아래 주소에서 보시면 됩니다. - 출처: 유튜브 채널 Curt Jaimungal, 2025년 1월 18일자 - 제목: Why The "Godfather of AI" Now Fears His Own ...
딜런 파텔: 딥시크의 등장으로 오히려 분명해진 엔비디아의 입지
Переглядів 18214 годин тому
딜런 파텔이 네이선 램버트와 함께 렉스프리드먼 팟캐스트에 출연하여 딥시크의 등장으로 인하여 오히려 분명해진 엔비디아의 입지에 대해 말합니다. 사실상 지난 3년간 백만 토큰 당 비용은 1,200배나 저렴해졌다는 사실을 들어, 제본스의 역설에 한표를 던집니다. 딜런 파텔은 세미 어낼리시스의 창립자이자 수석 애널리스트로 최근 가장 신뢰 받는 반도체 애널리스트 중 한 사람으로 꼽힙니다. 네이선 램버트는 인공지능 과학자로 앨런 인공지능 연구소의 연구원입니다.
제프리 힌튼: AI에게 의식은 이미 도래했다고 본다
Переглядів 39819 годин тому
제프리 힌튼 교수님이 영국 LBC 민영 라디오 방송국에 출현하여 인공지능의 의식, 안전연구, 인공지능의 긍정적인 기여분야, 인공지능의 지배 등 대해 인터뷰했습니다. 진행자인 앤드류 마르(Andrew Marr)의 질문이 일반적인 시청자의 눈높이와 맞는 것 같아 더 흥미롭습니다. 챕터: 0:00 - 인공지능에 의식이 도래했는가? 1:20 - 결국에 일어날 대량 실업에 대한 생각은? 2:54 - 인공지능이 '덜 똑똑한 척했다'는 최신 연구가 있다 3:57 - AI가 기여할 두가지 분야와 일어날 멋진 일들 4:54 - 악한 자들에 의해 악한 일에 사용될 위험성 영상 풀버전은 아래 주소에서 보시면 됩니다. - 출처: 유튜브 채널 LBC, 2025년 1월 31일자 - 제목: ‘Godfather of AI’ pre...
제프리 힌튼: 딥시크는 인공지능 발전 가속화의 증거 그리고 초지능에 대한 예언
Переглядів 29819 годин тому
제프리 힌튼 교수님이 영국 LBC 민영 라디오 방송국에 출현하여 딥시크, 인공지능의 지배, AI 에이전트, 초지능의 등장 등에 대한 인터뷰한 영상 중 일부를 편집하여 드립니다. 진행자인 앤드류 마르(Andrew Marr)의 명확한 질문이 교수님의 답변과 잘 어울리는 인터뷰라고 생각합니다. 챕터: 0:00 - 딥시크에 대한 질문 0:58 - AI 에이전트는 당신의 권한을 많이 가져올 것이다 2:42 - 인공지능이 우리를 지배한다는 것에 대한 질문 4:30 - 초지능간에 진화가 일어난다면 영상 풀버전은 아래 주소에서 보시면 됩니다. - 출처: 유튜브 채널 LBC, 2025년 1월 31일자 - 제목: ‘Godfather of AI’ predicts it will take over the world | LBC...
조나단 로스: 딥시크가 소환한 '제본스의 역설' (feat. 1865년, 엔비디아)
Переглядів 28621 годину тому
그록(Groq)의 CEO인 조나단 로스가 20VC 유튜브 채널에 나와서 '제본스이 역설'에 대해 이야기 합니다. 딥시크 등장으로 인하여 향후 인공지능 칩의 수요에 대해 갑론을박이 지속되고 있는데요, 조나단 그로스는 어떤 의견인지 들어보시겠습니다. 챕터: 0:00 - 컴퓨팅 비용은 10년마다 1000배씩 싸진다 0:44 - 더 나은 모델의 출현은 추론에 대한 수요를 부추긴다 1:41 - '제본스의 역설'은 사티아 나델라가 소환했다 2:59 - 엔비디아의 높은 마진은 그들의 해자인가? 3:55 - 추론 시장에 집중하는 그록같은 회사가 엔비디아의 마진을 지켜줬다 4:41 - 학습과 추론의 차이 영상 풀버전은 아래 주소에서 보시면 됩니다. - 출처: 유튜브 채널 20VC with Harry Stebbings,...
제프리 힌튼: 존 설의 "중국어 방 논변"은 넌센스다
Переглядів 280День тому
제프리 힌튼 교수님이 존 설(John Searle)의 "중국어 방 논변"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중국어 방 논변"은 인공지능이 진정으로 '이해'할 수 있는지에 대한 철학적 사고 실험입니다. 영상 풀버전은 아래 주소에서 보시면 됩니다. - 출처: 유튜브 채널 Curt Jaimungal, 2025년 1월 18일자 - 제목: Why The "Godfather of AI" Now Fears His Own Creation | Geoffrey Hinton - 주소: ua-cam.com/video/b_DUft-BdIE/v-deo.htmlsi=FmOErl0UeKzAqLMo 감사합니다.
마이크 파운드: 딥시크 R1의 등장으로 클로즈드 소스의 종말을 볼 것 (feat. 노팅엄대학)
Переглядів 231День тому
마이크 파운드 교수님이 유튜브 Computerphile에 출연하여 딥시크 R1의 파장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파운드 교수님은 앞으로 클로즈드 소스의 종말을 보게 될 것이며, 대학연구자들에게는 이 모델이 큰 선물이라고 주장합니다. 마이크 파운드(Mike Pound) 교수는 영국 노팅엄 대학교 컴퓨터 과학 연구 교수이자 인공지능 분야의 저명한 전문가입니다. 그는 특히 머신러닝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를 수행하며 학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학문적 전문성과 대중적 인지도를 겸비한 그는 인공지능의 윤리적 문제, 사회적 영향 등에 대한 논의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챕터: 0:00 - 사고의 사슬은 발전된 기술 1:00 - R1 모델은 독백의 과정을 전부 보여줌 2:20 - 질문, 답변만으로 훈련하고 과정은 ...
Jeff Geerling: 딥시크 R1을 라즈베리파이로 집에서 돌리기
Переглядів 305День тому
오늘 소개해 드릴 내용은, 유튜브 Jeff Geerling에서 딥시크 R1을 라즈베리 파이에서 실행하는 내용을 올려드립니다. 챕터: 0:00 - 딥시크 R1, 오픈AI의 해자를 뚫다 1:02 - 라즈베리파이로 딥시크 R1 실행 2:21 - 외장 그래픽 카드로 10배 속도 향상 3:33 - 딥시크 구동을 위한 ARM이나 RISC-V PC의 등장 예상 발췌한 영상의 원본 주소는 아래와 같습니다. - 출처: 유튜브 채널 Jeff Geerling, 2025년 1월 29일자 - 제목: OpenAI's nightmare: Deepseek R1 on a Raspberry Pi - 주소: ua-cam.com/video/o1sN1lB76EA/v-deo.htmlsi=OUqtjuYb9wXZDCis 감사합니다.
ThePrimeTime: 딥시크 R1 등장으로 GPU 가격이 오히려 상승할 이유
Переглядів 209День тому
오늘 소개해 드릴 내용은, 유튜브 ThePrimeTime에서 딥시크 R1 등장으로 인하여 오히려 GPU 가격이 오를 수 있다는 주장에 대해 다루어 보았습니다. 오픈소스의 등장으로 개개인별로 모델을 설치하여 운영하려는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합니다. 챕터: 0:00 - AI의 미래를 새롭게 열어준 딥시크 1:11 - GPU 가격은 오히려 오를 것 2:01 - 오픈AI는 인류를 위한 회사가 아니다 3:35 - 딥시크를 오프라인 모델로 실행해야 하는 이유 4:24 - 딥시크를 당신의 많은 데이터를 수집한다 발췌한 영상의 원본 주소는 아래와 같습니다. - 출처: 유튜브 채널 ThePrimeTime, 2025년 1월 27일자 - 제목: I Think I Love Deepseek R1 - 주소: ua-cam.c...
AI Search: 딥시크 R1 기술 문서(Technical Paper) 내용에 대한 간단 설명
Переглядів 50414 днів тому
며칠 전, 유튜브 채널 AI Search에서 딥시크 R1모델의 기술 문서에 대해 설명을 했습니다. 그 동영상에서 모델 학습과정이 나오는 핵심적인 부분만 짧게 편집하여 드립니다. 챕터: 0:00 - 기술 문서 다운로드 주소 0:31 - 딥시크는 강화학습으로 훈련되었다 3:30 - 셀프 체킹과 스텝바이스텝 씽킹 기술을 스스로 개발 4:04 - 딥시크 R1 제로보다 더 강력한 딥시크 R1 모델을 개발 5:48 - 15억 개의 매개변수로 수천억 개의 모델을 이기다 6:23 - 엔비디아의 짐 팬 박사의 트윗 발췌한 영상의 원본 주소는 아래와 같습니다. - 출처: 유튜브 채널 AI Search, 2025년 1월 24일자 - 제목: This open source AI crushes everything - DeepS...
리처드 파인만: 인간처럼 생각하는 기계가 나올 거라고 보시나요?
Переглядів 30714 днів тому
리처드 파인만: 인간처럼 생각하는 기계가 나올 거라고 보시나요?
제프리 힌튼: 결국 중국은 AI 개발에서 서구세계를 따라잡을 것이다
Переглядів 80814 днів тому
제프리 힌튼: 결국 중국은 AI 개발에서 서구세계를 따라잡을 것이다
제프리 힌튼: 우리의 메타이론은 정크로 만든 내면의 극장일 뿐이다
Переглядів 46514 днів тому
제프리 힌튼: 우리의 메타이론은 정크로 만든 내면의 극장일 뿐이다
제프리 힌튼: 스케일링 법칙에 대한 일리야 수츠케버의 직감이 옳았다
Переглядів 49721 день тому
제프리 힌튼: 스케일링 법칙에 대한 일리야 수츠케버의 직감이 옳았다
사티아 나델라: AI 추론 시대에도 스케일링 법칙은 계속되나? (feat. 엔비디아)
Переглядів 36921 день тому
사티아 나델라: AI 추론 시대에도 스케일링 법칙은 계속되나? (feat. 엔비디아)
맥스 태그마크: 우리가 통제권을 포기하면 AI가 우리를 통제할 것이다, AI안전과 AI정렬 문제에 대하여
Переглядів 28121 день тому
맥스 태그마크: 우리가 통제권을 포기하면 AI가 우리를 통제할 것이다, AI안전과 AI정렬 문제에 대하여
제프리 힌튼: LLM은 90%의 인간보다 더 창의적이다
Переглядів 6 тис.Місяць тому
제프리 힌튼: LLM은 90%의 인간보다 더 창의적이다
제프리 힌튼: 두차례의 AI 겨울을 넘어선 거장의 멘탈과 테런스 세즈노스키와의 우정
Переглядів 1,1 тис.Місяць тому
제프리 힌튼: 두차례의 AI 겨울을 넘어선 거장의 멘탈과 테런스 세즈노스키와의 우정
제프리 힌튼: 인간이 AI의 전원을 내릴 수 없는 이유, 킬스위치는 의미 없다
Переглядів 8 тис.Місяць тому
제프리 힌튼: 인간이 AI의 전원을 내릴 수 없는 이유, 킬스위치는 의미 없다
도널드 호프만: 의식은 죽음 뒤에도 살아남을 것
Переглядів 676Місяць тому
도널드 호프만: 의식은 죽음 뒤에도 살아남을 것
제프리 힌튼: 디지털 지능이 생물학적 지능을 압도하는 이유는
Переглядів 6 тис.Місяць тому
제프리 힌튼: 디지털 지능이 생물학적 지능을 압도하는 이유는
제프리 힌튼: LLM이 확률론적 앵무새에 불과하다는 촘스키의 주장은 틀렸다
Переглядів 20 тис.Місяць тому
제프리 힌튼: LLM이 확률론적 앵무새에 불과하다는 촘스키의 주장은 틀렸다
제프리 힌튼: 지능의 본질에 있어서 진화는 인간보다 인공지능을 선택할 것
Переглядів 7 тис.Місяць тому
제프리 힌튼: 지능의 본질에 있어서 진화는 인간보다 인공지능을 선택할 것
유발 하라리: 인공지능은 에이전트, 자율적 의사결정을 하는 외계지능체
Переглядів 353Місяць тому
유발 하라리: 인공지능은 에이전트, 자율적 의사결정을 하는 외계지능체
일리야 수츠케버: 인공지능의 예언자, 자아인식을 갖는 초지능을 예언하다
Переглядів 1,6 тис.Місяць тому
일리야 수츠케버: 인공지능의 예언자, 자아인식을 갖는 초지능을 예언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