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mper 셈퍼
Semper 셈퍼
  • 45
  • 618 176
게이밍 원격 접속 서버 구축하기 (parsec 파섹)
게임용, 작업용 원격 접속 서버를 만들고 parsec이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해당 서버에 접속하여 게임, 작업을 해봤습니다
안드로이드 스마트폰도 접속 가능합니다
나스 nas 기능은 다음에 추가해볼게요
존스보 n5 케이스는 브라보텍으로 부터 제공 받았습니다
JONSBO N5
prod.danawa.com/info/?pcode=68436584
위 케이스가 너무 비싸면 대체품으로
BRAVOTEC 스텔스 EX270
prod.danawa.com/info/?pcode=3471240
Build Your Gaming Remote Server with Parsec (Game Anywhere!)
ゲーミングリモートサーバーを構築!(Parsecでどこでもゲームをプレイ)
搭建游戏远程连接服务器 (使用Parsec随时畅玩游戏)
Переглядів: 4 058

Відео

cpu 쿨러의 진화!!! (자이로이드 구조) Gyroid
Переглядів 7 тис.Місяць тому
$0.3부터 3D, JLCPCB $60 신규 사용자 쿠폰을 추가해주세요 jlcpcb.com/kr/?from=Semper The Evolution of CPU Coolers: Gyroid Structure Explained! CPUクーラーの進化!ジャイロイド構造の秘密 颠覆性的CPU散热器:陀螺体结构解析
차세대 컴퓨터용 날개없는 이온 쿨링팬
Переглядів 14 тис.2 місяці тому
$0.3부터 3D, JLCPCB $60 신규 사용자 쿠폰을 추가해주세요 jlcpcb.com/kr/?from=Semper 날개없는 쿨링팬을 만들었습니다 미래 우주선에 사용될 기술인 이론 추진 원리를 사용했습니다 English Japanese subtitles making ionic thruster for cpu cooling JLCPCB의 도움으로 영상을 제작했습니다
투명 ARGB LED 하드디스크 만들기!!
Переглядів 4895 місяців тому
투명 폴리카보네이트판을 사용해서 만든 투명한 하드디스크입니다 argb led까지!! English Subtitle BGM: eurotruck simulator 2
3d프린팅 에어리스 농구공 airless basketball
Переглядів 3,5 тис.6 місяців тому
3d프린팅 에어리스 농구공을 리뷰 해봤습니다 탄성은 출력소재, 출력 방식의 차이로 좋은 결과가 나오지 못했지만 공기저항은 정품 에어리스 농구공도 동일하리라 생각합니다 English subtitle bgm - eurotruck simulator 2
자작 나스(nas) 업그레이드 (UnRaid OS)
Переглядів 2,7 тис.6 місяців тому
전에 만들었던 초소형 자작 나스를 업그레이드 해보았습니다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모두 업그레이드 했습니다 UNRAID OS를 사용했습니다 m.cafe.naver.com/ca-fe/web/cafes/unraidkorea/articles/24?useCafeId=false&tc upgrading NAS english subtitle
20만원 커스텀 수냉 컴퓨터 (가성비??)
Переглядів 7679 місяців тому
단돈 20만원으로 조립하는 커스텀 수냉 컴퓨터입니다. 오버워치 배그도 무난히 플레이 가능합니다. bgm: war thunder tail spin, main
초소형 자작 나스 nas 헤놀로지 7.2 사용법 (사용자 설정) - 2편
Переглядів 9 тис.10 місяців тому
헤놀로지 xpenology 7.2를 설치한 자작 나스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 설정을 해보았습니다. 이 정도만 설정해도 사용하기 충분할 겁니다. #자작 #컴퓨터 #시놀로지 Kevin MacLeod의 Aces High - Funkorama에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 표시 4.0 라이선스가 적용됩니다. creativecommons.org/licenses/by/4.0/ 출처: incompetech.com/music/royalty-free/index.html?isrc=USUAN1100763 아티스트: incompetech.com/ Kevin MacLeod의 Militaire Electronic에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 표시 4.0 라이선스가 적용됩니다. creativecommons.org/license...
자작 나스nas에 헤놀로지(Xpenology) 7.2 버전 설치하기 - 1편
Переглядів 38 тис.11 місяців тому
초소형 자작 나스 nas에 arpl을 사용하여 헤놀로지 7.2버전을 설치해보았습니다. #자작 #컴퓨터 #시놀로지 Kevin MacLeod의 Militaire Electronic에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 표시 4.0 라이선스가 적용됩니다. creativecommons.org/licenses/by/4.0/ 출처: incompetech.com/music/royalty-free/index.html?isrc=USUAN1100442 아티스트: incompetech.com/ Kevin MacLeod의 Happy Bee에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 표시 4.0 라이선스가 적용됩니다. creativecommons.org/licenses/by/4.0/ 출처: incompetech.com/music/royalty-...
그래픽카드 모양 ssd 방열판 만들기!!! (+성능 대박)
Переглядів 2,9 тис.Рік тому
최신 그래픽카드를 갖고 싶지만 그렇 수 없어서 세상에서 가장 예쁜 그래픽카드 모양 ssd 방열판을 만들었습니다 성능 또한 우수하네요 #컴퓨터 #그래픽카드 #ssd 다운로드 링크 엔비디아 www.thingiverse.com/thing:6442295 라데온 www.thingiverse.com/thing:6442302 Kevin MacLeod의 Aces High - Funkorama에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 표시 4.0 라이선스가 적용됩니다. creativecommons.org/licenses/by/4.0/ 출처: incompetech.com/music/royalty-free/index.html?isrc=USUAN1100763 아티스트: incompetech.com/ war thunder - tail ...
정전 대비 자작(DIY) UPS 무정전 전원 장치 만들기!
Переглядів 1,9 тис.Рік тому
정전대비 자작 ups를 만들어 봤습니다. 생각보다 쓸만하네요!! #컴퓨터 #파워서플라이 #정전 Kevin MacLeod의 Leblon에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 표시 4.0 라이선스가 적용됩니다. creativecommons.org/licenses/by/4.0/ 출처: incompetech.com/music/royalty-free/index.html?isrc=USUAN1100866 아티스트: incompetech.com/ Kevin MacLeod의 Militaire Electronic에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 표시 4.0 라이선스가 적용됩니다. creativecommons.org/licenses/by/4.0/ 출처: incompetech.com/music/royalty-free/index.ht...
2만원으로 만드는 블루투스 진공관 스피커
Переглядів 2,6 тис.Рік тому
#스피커 #컴퓨터 #블루투스 섬네일 수정 후 재 업로드 Kevin MacLeod의 Itty Bitty 8 Bit에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 표시 4.0 라이선스가 적용됩니다. creativecommons.org/licenses/by/4.0/ 출처: incompetech.com/music/royalty-free/index.html?isrc=USUAN1100764 아티스트: incompetech.com/ Kevin MacLeod의 Manic Polka에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 표시 4.0 라이선스가 적용됩니다. creativecommons.org/licenses/by/4.0/ 출처: incompetech.com/music/royalty-free/index.html?isrc=USUAN1100168 ...
세계 최초 이온 추진 쿨링팬
Переглядів 38 тис.Рік тому
이온 전자기 추진 원리를 이용한 컴퓨터 쿨링팬을 만들었어요 날개 없이 바람을 만들 수 있어요 #컴퓨터 #쿨러 #이온 Kevin MacLeod의 Hep Cats에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 표시 4.0 라이선스가 적용됩니다. creativecommons.org/licenses/by/4.0/ 출처: incompetech.com/music/royalty-free/index.html?isrc=USUAN1500022 아티스트: incompetech.com/ Kevin MacLeod의 Aces High - Funkorama에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 표시 4.0 라이선스가 적용됩니다. creativecommons.org/licenses/by/4.0/ 출처: incompetech.com/music/royalt...
중국산 사기 micro sd 카드
Переглядів 7 тис.Рік тому
중국산 사기 sd카드입니다 이런 제품이 국내 오픈마켓이나 중고 시장에도 유통 되는지 몰랐네요 bgm: 我愛北京天安門 I Love Beijing Tiananmen #중국 #사기 #전자제품
롬 플래싱으로 그래픽카드 무료 업그레이드!!!
Переглядів 4,5 тис.Рік тому
롬 플래싱을 통해 rx470을 업그레이드 해봤습니다. 꽤 의미있는 수준의 성능 향상되네요. 내용 추가 후 재 업로드 합니다. #그래픽카드 #무료 #업그레이드 Kevin MacLeod의 Itty Bitty 8 Bit에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 표시 4.0 라이선스가 적용됩니다. creativecommons.org/licenses/by/4.0/ 출처: incompetech.com/music/royalty-free/index.html?isrc=USUAN1100764 아티스트: incompetech.com/ Kevin MacLeod의 Hustle에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 표시 4.0 라이선스가 적용됩니다. creativecommons.org/licenses/by/4.0/ 출처: incompetech....
커피보다 싼 3000원!! 짜리 가성비 그래픽카드!!! (+채굴용 rx470)
Переглядів 14 тис.Рік тому
커피보다 싼 3000원!! 짜리 가성비 그래픽카드!!! ( 채굴용 rx470)
전역 할 후임을 위한 가성비 커스텀 수냉 pc
Переглядів 1,1 тис.Рік тому
전역 할 후임을 위한 가성비 커스텀 수냉 pc
하드디스크(hdd)!! ssd보다 빠르게 만들기!!!!
Переглядів 8 тис.Рік тому
하드디스크(hdd)!! ssd보다 빠르게 만들기!!!!
고장난 노트북, 컴퓨터로 변신 시키는 보드
Переглядів 5 тис.Рік тому
고장난 노트북, 컴퓨터로 변신 시키는 보드
NVMe SSD 보다 빠른 디스크 램디스크!!!
Переглядів 2,6 тис.Рік тому
NVMe SSD 보다 빠른 디스크 램디스크!!!
그래픽카드와 cpu의 부조화, 병목 현상!!!
Переглядів 5 тис.Рік тому
그래픽카드와 cpu의 부조화, 병목 현상!!!
세상에서 가장 가성비 좋은 ssd
Переглядів 3,5 тис.Рік тому
세상에서 가장 가성비 좋은 ssd
ssd와 hdd의 중간 sshd!! (가성비???)
Переглядів 2 тис.Рік тому
ssd와 hdd의 중간 sshd!! (가성비???)
국밥보다 싼 만원짜리 가성비 그래픽카드 (+채굴용 p106-100, p106-090)
Переглядів 22 тис.Рік тому
국밥보다 싼 만원짜리 가성비 그래픽카드 ( 채굴용 p106-100, p106-090)
병장 (예비역) semper의 가성비 전역 컴퓨터
Переглядів 2,4 тис.Рік тому
병장 (예비역) semper의 가성비 전역 컴퓨터
군대 컴퓨터 성능은??? (사지방)
Переглядів 2,9 тис.Рік тому
군대 컴퓨터 성능은??? (사지방)
군대와서 하는 취미 2
Переглядів 1,1 тис.2 роки тому
군대와서 하는 취미 2
군대와서 하는 취미
Переглядів 1,2 тис.3 роки тому
군대와서 하는 취미
군대란 어떤곳일까?? (+18개월 직접 체험)
Переглядів 2,4 тис.3 роки тому
군대란 어떤곳일까?? ( 18개월 직접 체험)
컴퓨터 물청소 어디까지?? (+따라하지 마세요)
Переглядів 3,9 тис.3 роки тому
컴퓨터 물청소 어디까지?? ( 따라하지 마세요)

КОМЕНТАРІ

  • @tec-9520
    @tec-9520 3 дні тому

    안녕하세요 셈퍼님이랑 똑같이 했는데 cpu 벤치마크 7656 나왔습니다 ㅠ.ㅠ 왜이러는걸까요 윈도우 서버 2022 여서 그런걸까요 ... rx580 주문했다가 윈도우 서버는 설치가 안되어서 1030 으로 추가 했습니다 서버용으로 쓸꺼라 굳이 필요 는 없지만 그래도 셈퍼님때문에 서버 하나 만들었습니다 ㅎㅎ 감사합니다 아 시네벤치도 18581 나왔네용

  • @Cod_E327
    @Cod_E327 4 дні тому

    서버컴의 전원이 항상 켜져있어야지만 원격으로 사용이 가능한거죠? 원격으로 사용시에 서버컴과의 거리가 멀어도 괜찮은지 궁금합니다(해외 여행을 가거나 했을 때 사용이 가능한지..)

  • @ejencjwkwl
    @ejencjwkwl 5 днів тому

    안녕하세요 덕분에 헤놀로지 만들어서 잘 쓰고있었는데요 오늘 8tb 하드를 구매해서 추가하고 dsm에 들어갔더니 4:48에 환영합니다 화면이 떳습니다. dsm 설치시 하드 데이터 다 삭제된다고 경고도 뜨는데 원래 하드 추가하면 dsm 다시 설치해야하는걸까요..?

    • @semper280
      @semper280 5 днів тому

      기존 하드를 제거하고 새 하드를 추가하면 그렇게 나옵니다 기존하드를 그대로 쓰고 새걸 꼽으면 그냥 바로 새 하드로 인식됩니다

    • @ejencjwkwl
      @ejencjwkwl 5 днів тому

      @ 감사합니다… 오류인가보네요

    • @ejencjwkwl
      @ejencjwkwl 4 дні тому

      @@semper280 정말 멍청하게 추가 하드 삽입하면서 기존 하드에 물려있던 사타 케이블이 방해되서 빼놓고 추가하드 사타만 연결하고 부팅시킨거였습니다...... 다시 생각해도 어이가 없네요 그거보다 답변 댓글이 정말 빨리 와서 너무 감동? 받았습니다. 너무 감사합니다. 즐거운 설 보내세요~

  • @푸우컴
    @푸우컴 6 днів тому

    맥북도 지원되어서 좋습니다. 게임 컨트롤러도 지원할텐데 설명이 없는게 좀 아쉽네요.

  • @jobgood2466
    @jobgood2466 7 днів тому

    문라이트보다 딜레이 없나요? 더느리면 격투게임은 아에 할수없는수준인데

  • @민-b3p
    @민-b3p 11 днів тому

    재밌어요

  • @유준영-i8n
    @유준영-i8n 12 днів тому

    좋은대

  • @po2769
    @po2769 14 днів тому

    확실히 시놀로지보다 webdav연결이 까다롭네요.. UNRAID로 이동하려다가 doker지식이 없으니 못건드리겠어서 다시 헤놀로갑니다..

    • @semper280
      @semper280 9 днів тому

      저도 헤놀이 편해서 다시 헤놀로지로 빠꾸했습니다

  • @cessnagi
    @cessnagi 15 днів тому

    원격 데스크탑의 포트를 DDNS로 바로 포트포워딩 하는건 보안상 위험합니다. 과카몰리 같은 HTTPS를 지원하는 원격 접속서버를 경유하게 쓰는게 좋습니다.

  • @kimmind08
    @kimmind08 15 днів тому

    시놀로지 7.2 버전부터 하스웰 CPU 미만이면 부트로더 호환성 떄문에 DS 상위버전 설치시 네트워크 및 모듈 인식 안되는 오류들 많습니다. 인텔 기준 4xxx 시리즈 이상이어야 무리 없게 세팅이 가능합니다(실제 구축해서 사용한 경험)

    • @semper280
      @semper280 15 днів тому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라이젠 계열도 비슷하더군요 200ge 사용시 네트워크 인식 불가하더라고요

  • @여행자-b4e
    @여행자-b4e 17 днів тому

    감사합니다. 사기 당할뻔 했네요ㅎ

  • @po2769
    @po2769 19 днів тому

    i5 3세대면 엄청 오래된건데 idle시 소비전력이 궁금하네요

    • @semper280
      @semper280 19 днів тому

      아이들시 10와트도 안나옵니다

  • @SandBox_box
    @SandBox_box 20 днів тому

    어색하다

  • @후야-l9z
    @후야-l9z 21 день тому

    도대체 내가 뭘 본거지... 멋지네요.. 능력자시네

  • @냐미-k9u
    @냐미-k9u 21 день тому

    집에 남는 4070ti 컴이 있는데 해당 컴터도 이ㅘㅇ 똑같이 파섹 프로그램을 사용하게 된다면 사용이 가능한가요??

    • @semper280
      @semper280 21 день тому

      @@냐미-k9u 네 4070ti면 모든 게임 원활하게 될거같네요

  • @김영인-q9u
    @김영인-q9u 21 день тому

    Ddr4 램은 ecc가 아니어도 되나요?

    • @semper280
      @semper280 21 день тому

      @@김영인-q9u 해당 보드와 제온 cpu에서는 ddr4 ecc reg도 사용가능합니다

  • @carbo1335
    @carbo1335 22 дні тому

    게임용 서버로는 파워용량이 너무 큰 것 같은데 단순 원격 게임용으로 맞춘다면 견적이 얼마나 나올가요?

    • @semper280
      @semper280 22 дні тому

      저거 파워 중고로 2만원도 안합니다 채굴용이라서 싸요 단순 원격 게임용이라면 게이밍 컴퓨터와 크게 차이 안날거에요 본인이 어떤 게임을 하냐에 따라서 그래픽카드와 cpu 성능을 알맞게 조절하시면 됩니다

    • @semper280
      @semper280 22 дні тому

      @@carbo1335 간단한 게임용이라면 대략 20만원 정도로도 가능합니다

  • @이정식-j5i9j
    @이정식-j5i9j 22 дні тому

    4:31 잠옷 실화냨ㅋㅋㅋ😂

  • @이정식-j5i9j
    @이정식-j5i9j 22 дні тому

    잇섭처럼 영상 찍으면 구취할거야... UCC갬성 넘나 좋아

  • @각거
    @각거 22 дні тому

    윈도우 원격데스크톱이 생각보다 딜레이가 있더라구요 내일 본가가서 파섹으로 연결해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semper280
      @semper280 22 дні тому

      @@각거 우와 대형 유튜버다!!!

    • @각거
      @각거 21 день тому

      @@semper280 확실히 윈도우 자체 원격 데스크톱보다 파섹이 빠릿빠릿하고 딜레이도 거의 없는걸 확인했습니다 ㅎㅎ 호스트 컴퓨터에서 게임하는거랑 달리 클라이언트가 접속해서 게임할 때 생기는 게임화질 저하는 어쩔수 없는 것 같네요 ㅠㅠ

  • @tec-9520
    @tec-9520 22 дні тому

    화면 출력용 저사양 그래픽 카드는 아무거나 사용 해도 상관이 없는건가요? 똑같이 구매해서 만들어 보려고 합니다

    • @semper280
      @semper280 22 дні тому

      네 아무거나 상관없습니다 근데 그냥 화면 출력 포트가 있는 rx470이 구하기 훨씬 쉬울겁니다 채굴용 rx470 구하기 너무 힘들어요 ㅠ

    • @tec-9520
      @tec-9520 20 днів тому

      ​@@semper280감사합니다!

    • @tec-9520
      @tec-9520 20 днів тому

      아 그냥 서버용 컴을 만들어 보려고합니다 ㅎㅎ 그러면 아무거나 상관 없는거죠?

    • @semper280
      @semper280 20 днів тому

      @@tec-9520 넵 그냥 아무거나 좋습니다

  • @김갈이
    @김갈이 22 дні тому

    오!..... 굿이네요

  • @bloodtyp.c
    @bloodtyp.c 22 дні тому

    문라이트+선샤인도 좋음

    • @hsg0628
      @hsg0628 22 дні тому

      저도 파섹 스팀링크 애니데스크 사용하다 문라이트 써보고 문라이트로 정착했네요

  • @maybe090510
    @maybe090510 23 дні тому

    우와, 내가 뭘 본거죠! 나스로 회사에서 인터넷 서핑이나 하고싶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이거 어마어마한 녀석을 만나버렸습니다!

    • @semper280
      @semper280 23 дні тому

      역시 회사에서 하는건 일 빼고 다 재밌죠

  • @20130824
    @20130824 23 дні тому

    미니pc+das연결이 더좋은 방법이 아닐까요? 저전력 그리고 고용량 das의 조합으로 나스가 되지 안을까요? 물론 완제품 쓰는게 더좋을수도 있지만요 영상 잘보고 갑니다

    • @semper280
      @semper280 23 дні тому

      @@20130824 그것도 좋은 방법이겠네요

  • @20130824
    @20130824 23 дні тому

    파섹이라는 놈이 애플에도 개발을 해주면 정말 좋겠는데 왜 안해주는지 모르겠네요 갤탭을 구매해서 사용중이긴한데 얼릉 애플에도 지원이 되면 좋겠네요 사용기 잘 보고 갑니다 조립하고 설정하고 대단하시네요 ㅎㅎ

    • @semper280
      @semper280 23 дні тому

      애플 지원 안하는건 좀 아쉽죠

    • @bloodtyp.c
      @bloodtyp.c 22 дні тому

      문라이트 쓰십쇼

  • @joohyunlee2745
    @joohyunlee2745 23 дні тому

    영상 잘 보고 갑니다. 시간나면 또 따라해봐야겠네요 ㅎㅎ

    • @semper280
      @semper280 23 дні тому

      한번 해보세요 어렵지 않습니다

  • @YangChoongYi
    @YangChoongYi Місяць тому

    저도 옛날에 이렇게 해봤는데 랜카드 제조사 별로 파일이 다른게 있던거 같아요 그거로 해보시는거도 좋겠네요

  • @thinwood
    @thinwood Місяць тому

    아무리 표면적이 많아도 열을 빨리 해소하지 못하고 누적되면 안될것 같아요 통기성 구조가 복잡해서 열을 잡아두는 역활을 하는것 같습니다.

  • @uio86a
    @uio86a Місяць тому

    지금은 어떤게 가성비그래픽카드인가요?

  • @uio86a
    @uio86a Місяць тому

    어디서구하신거에요?

  • @uio86a
    @uio86a Місяць тому

    너무비싸네;;;

  • @uio86a
    @uio86a Місяць тому

    유튜버님 게임좀 추천해주세요 어떤게임이 재밋나요?

  • @uio86a
    @uio86a Місяць тому

    뭐때문에 적출하나요??

  • @kato2812
    @kato2812 Місяць тому

    딱봐도 쿨러는 선풍기 같은 방식으로 방열판의 기화열(?)을 뻇으면서 온도를 낮추는 방식인데 기존 쿨러는 일자 방식이라 표면적은 좁다고 해도 기화열을 뻇기에 유리한 구조인데, 자이로이드 구조는 앞쪽은 넓은표면적에 열을 뻇어가도 이후에 공기의 흐름이 막혀있어 실질적으로 온도를 낮추는 데는 일자형 방열판이 훨씬 효율적인게 맞겠죠. 근데 그것보다 일단 가공비 부터 시작해서 시장성부터 맞지 않아서 자이로이드 구조는 성능이 더 좋아도 못쓸듯

  • @sangwooyoo-d4r
    @sangwooyoo-d4r Місяць тому

    하지만 저런 구조물이면 풍속 풍량이 딸려서 ㅜㅜ 표면적은 넒어지겠지만 오히려 쿨링 되기 힘들거 같음

  • @야코시브
    @야코시브 Місяць тому

    통풍을 떠나서 잉곳을 걍 쓱싹 쓱싹 밀기만하면 되는 방열판에 비해 생산 단가가 너무 올라갑니다 ㅎㅎ

    • @semper280
      @semper280 Місяць тому

      3d 프린팅으로만 제작 가능하니 훨씬 단가가 올라가죠 ㅠ

  • @somuatv
    @somuatv Місяць тому

    먼지끼면 청소하기 힘들게 생겼네요

  • @IsaccNewten
    @IsaccNewten Місяць тому

    음... 공기의 흐름이 더 큰 영향을 끼치니 팬달린 구조는 자이로이드가 효과가 없을 수도 있겠지만 공기의 흐름이 느린 팬리스 쿨러라면?? 가능성이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 @semper280
      @semper280 Місяць тому

      오 좋은 의견입니다 나중에 알루미늄 3d 프린팅이 가능해지면 테스트해볼게요

  • @lemonmaki2085
    @lemonmaki2085 Місяць тому

    설계적 오류가 있을 뿐이지.. 잘 마추고 CPU와 접촉하는 면적을 조금만 더 손 보면 괸찬을 것 같아요.. 원형은 쿨러의 중앙 통 부분은 반드시 필요 하구요..

  • @이규종-w8s
    @이규종-w8s Місяць тому

    cpu 쿨러의 진화가 아니고 퇴보. ! 표면적의 넓이를 떠나서 자이로이드 구조는 공기 저항이 크기 때문에 통풍이 원할하게 되지 못하는 구조 입니다. 그러니 당연히 성능이 낮을수 밖에요.

  • @리안리프
    @리안리프 Місяць тому

    군용등급으로는 좋셌네요

    • @semper280
      @semper280 Місяць тому

      확실하게 조사야죠

  • @ealrue
    @ealrue Місяць тому

    잘생겼다!

  • @홍크-v6j
    @홍크-v6j Місяць тому

    "쿨러는 사서 드세요"

  • @아라한-r8i
    @아라한-r8i Місяць тому

    냉각에서 표면적이 넓어야 하는 이유는 열을 빼앗기기 쉽기 위함인데 열기의 방출을 도와주는게 팬의 역할이죠 한마디로 표면적만 넓다고 좋은것도 아니고 넓은 표면적을 열을 더 잘 뺏기기 위해 공기의 흐름이 중요한데 누가봐도 저건 공기가 흐르기에 안 좋은 구조네요

  • @ai_oneperson
    @ai_oneperson Місяць тому

    우여곡절이 많군요. 근데 더 문제는 하드나 SSD가 2개 또는 3개까지만 인식된다는 것입니다...

  • @david98493
    @david98493 Місяць тому

    결과적으로 시간 낭비에 돈은 날렸지만 유튜브 콘텐츠 하나 만들었으니 됐네. 아하하하

  • @dspark2131
    @dspark2131 Місяць тому

    웅크리면 덜 춥고 대자로 팔다리 벌리면 춥습니다. 접촉면적이 넓으면 단위 면적당 열교환이 늘죠. 그런데 바람부는 밖에서 웅크리고 쪼그려 앉아있는 것과 바람이 막힌 공동 현관 안에서 대자로 팔다리 벌린것 중에 어느게 더 추울까요? 저런 수세미에 가까운 구조가 방열에 유리할까요 단열에 유리할까요. 비열이 높은 물이라면 그나마 낫지만 비열이 낮은 공기로 열을 전달하려면 유량이 많아야 하는데... 벌집, 눈꽃 결정 구조가 면적과 통기성의 밸런스가 괜찮은데 핫스팟에서의 열전도성은 또 방사형에 비해 떨어지죠. 히트 파이프로 열전도성을 개선하기 전에는 방사형 쿨러가 싼거 하나 때문에 주류가 된 게 아님.

  • @K3_GT
    @K3_GT Місяць тому

    GPT가 이상한소리하는게아니라 "쿨러의 방열판을 설계하기에 적합한"이라는 맥락을 구체적으로 작성하지 않은 사용자 잘못임

  • @DDunDDun-E
    @DDunDDun-E Місяць тому

    전문 지식이 없는 일반인 입장에서 영상만 보고 든 생각은 영상에서 소개한 자이로이드 구조가 반복되는 나선형 구조라 쿨링팬의 바람이 일정부분에 막혀서 표면적 전체의 열발산 효과를 보지 못하는 것 같고 일반적인 금형기술로 제작하기 어렵다고 하셨는데 그러면 당연히 특수제작을 해야하는데 생산단가가 오르게 되겠죠? 생산비용은 높고 실제 쿨링 효과는 떨어진다는 결론이 나오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