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단법인 한국교육학회
사단법인 한국교육학회
  • 83
  • 15 186
11월 SIG 월례회
2023.11.18(토) 10:00-12:00
-주제: 다양한 질적연구의 유형과 연구목적에 따른 활용방법 - 질적연구자들 간의 대화
-그룹명: 한국근거이론연구회
-발표자: 변기용(고려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이용숙(덕성여자대학교 명예교수), 윤견수(고려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Переглядів: 119

Відео

9월 SIG 월례회
Переглядів 229Рік тому
2023.09.16(토) 10:00-12:00 -주제: 탈-탈근대주의 시대의 질적연구 2. "질적 연구: 무엇이며 어떻게 할 것인가?" -그룹명: 한국교육인류학회 -발표자: 조용환(서울대학교 교육학과 명예교수)
8월 SIG 월례회
Переглядів 31Рік тому
2023.08.19(토) 10:00-12:00 - 주제: 심리스학습환경(Seamless Learning Environment) 연구 및 실제 - 그룹명 : IDLE (아이들, Innovation in Digital/Interactive Learning Environment Research and Practice)
한국교육학회 2023년 제2차 교육정책포럼 발표자, 토론자 영상
Переглядів 150Рік тому
2023.03.31(금) 교육전문대학원 추진의 타당성 검토 및 운영모형 진단
한국교육학회 2023년 제3차 교육정책포럼
Переглядів 320Рік тому
2023.04.01(토) 윤석열 정부 교육개혁 정책 긴급 진단
한국교육학회 2023년 제2차 교육정책포럼
Переглядів 147Рік тому
2023.03.31(금) 교육전문대학원 추진의 타당성 검토 및 운영모형 진단
한국교육학회 2022년 연차학술대회 기조강연
Переглядів 1442 роки тому
2022. 6. 29(수) 1. 진동섭(서울대학교 명예교수) 2. 우동기(대구가톨릭대학교 총장)
한국교육학회 2022년 연차학술대회 개회식
Переглядів 2752 роки тому
2022. 6. 29(수)
1. 교육과정_김지수, 서경혜: 포스트휴머니즘 관점에서 바라본 디지털 격차 해소 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Переглядів 2612 роки тому
포스트휴머니즘 관점에서 바라본 디지털 격차 해소 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김지수(이화여대 박사과정,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원) 서경혜(이화여대 교수)
12. 교육심리_고한나, 박용한: 성찰일지 쓰기가 초등 6학년의 수학학습에 대한 과제가치와 성취정서에 미치는 영향
Переглядів 1392 роки тому
성찰일지 쓰기가 초등 6학년의 수학학습에 대한 과제가치와 성취정서에 미치는 영향 고한나(충남대 박사과정) 박용한(충남대 교수)
23. 교육재정경제_이승민, 전석진: 대학 등록금 조달 방법 유형에 따른 노동시장 성과 차이 분석: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중심으로
Переглядів 712 роки тому
대학 등록금 조달 방법 유형에 따른 노동시장 성과 차이 분석: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중심으로 이승민(연세대 석사과정) 전석진(연세대 석박통합과정)
34. 평생교육_금강산, 홍교훈, 이은정: 청소년 세계시민성에 대한 인식 분석: ‘혐오STOP 찾아가는 미디어클래스’ 참여자를 중심으로
Переглядів 1,8 тис.2 роки тому
34. 평생교육_금강산, 홍교훈, 이은정: 청소년 세계시민성에 대한 인식 분석: ‘혐오STOP 찾아가는 미디어클래스’ 참여자를 중심으로
7. 교육사회_이경양, 김가영, 이세희: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자녀의 삶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 의존도의 매개효과
Переглядів 802 роки тому
7. 교육사회_이경양, 김가영, 이세희: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자녀의 삶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 의존도의 매개효과
4. 교육과정_정윤아, 서경혜: 현장 교사가 본 AI 기반 교육의 이상과 현실
Переглядів 2032 роки тому
4. 교육과정_정윤아, 서경혜: 현장 교사가 본 AI 기반 교육의 이상과 현실
26. 교육행정_이연, 황지이, 이서, 박수정: 미국 교육리더십의 연구경향 분석: EAQ를 중심으로(2017-2021)
Переглядів 1012 роки тому
26. 교육행정_이연, 황지이, 이서, 박수정: 미국 교육리더십의 연구경향 분석: EAQ를 중심으로(2017-2021)
11. 교육심리_고요한, 정혜원: 중학생의 학업무기력 변화궤적과 청소년 체험활동의 동시효과 및 지연효과 연구
Переглядів 1232 роки тому
11. 교육심리_고요한, 정혜원: 중학생의 학업무기력 변화궤적과 청소년 체험활동의 동시효과 및 지연효과 연구
2. 교육과정_박주현, 서경혜: 고교학점제와 학생 선택권 그리고 교육과정 불평등
Переглядів 1422 роки тому
2. 교육과정_박주현, 서경혜: 고교학점제와 학생 선택권 그리고 교육과정 불평등
20. 교육심리_정지영, 정혜원: 초등학생의 삶의 만족도 변화궤적과 학교요인의 동시 및 지연효과 연구
Переглядів 1752 роки тому
20. 교육심리_정지영, 정혜원: 초등학생의 삶의 만족도 변화궤적과 학교요인의 동시 및 지연효과 연구
10. 교육사회_조성환, 김재은, 김기덕, 백예은: 청소년 대상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Переглядів 912 роки тому
10. 교육사회_조성환, 김재은, 김기덕, 백예은: 청소년 대상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17. 교육심리_잔칩, 박용한: 창의적 문제해결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2000년 이후 연구를 중심으로
Переглядів 1052 роки тому
17. 교육심리_잔칩, 박용한: 창의적 문제해결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2000년 이후 연구를 중심으로
5. 교육사회_김가영, 윤민주, 이세희: 진로장벽 유형이 학교 밖 청소년의 교육포부에 미치는 영향
Переглядів 772 роки тому
5. 교육사회_김가영, 윤민주, 이세희: 진로장벽 유형이 학교 청소년의 교육포부에 미치는 영향
14. 교육심리_박신영, 정혜원: 중학생의 학업열의 영향 변인 탐색
Переглядів 832 роки тому
14. 교육심리_박신영, 정혜원: 중학생의 학업열의 영향 변인 탐색
30. 영재교육_최진수, 정혜원: 토픽모델링과 의미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2018~2021년 영재교육 연구 동향 분석
Переглядів 3892 роки тому
30. 영재교육_최진수, 정혜원: 토픽모델링과 의미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2018~2021년 영재교육 연구 동향 분석
6. 교육사회_윤민주, 이경양, 이현주, 김가영, 조은지, 궈이충: 청소년의 가정 및 학교 사회자본이 학교생활만족도와 삶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Переглядів 762 роки тому
6. 교육사회_윤민주, 이경양, 이현주, 김가영, 조은지, 궈이충: 청소년의 가정 및 학교 사회자본이 학교생활만족도와 삶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9. 교육사회_이현주, 윤민주, 김예슬: 부모의 양육태도 및 부모와의 대화시간이 청소년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Переглядів 752 роки тому
9. 교육사회_이현주, 윤민주, 김예슬: 부모의 양육태도 및 부모와의 대화시간이 청소년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18. 교육심리_장은아, 정혜원: 중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학교적응의 구조적 관계: 그릿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Переглядів 2322 роки тому
18. 교육심리_장은아, 정혜원: 중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학교적응의 구조적 관계: 그릿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31. 평생교육_박종훈: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성인학습자의 학습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Переглядів 1972 роки тому
31. 평생교육_박종훈: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성인학습자의 학습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3. 교육과정_이주은: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에 나타난 사회정의지향교육 방향 탐색
Переглядів 1562 роки тому
3. 교육과정_이주은: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에 나타난 사회정의지향교육 방향 탐색
32. 평생교육_이예지: 시민 학습의 과정으로서 지역공동체 기반 작은도서관 ‘P’ 참여 경험
Переглядів 2392 роки тому
32. 평생교육_이예지: 시민 학습의 과정으로서 지역공동체 기반 작은도서관 ‘P’ 참여 경험
25. 교육행정_김효종, 신철균: 혁신학교 재지정 결정에 대한 과정 분석: 강원 A초등학교 철회사례를 중심으로
Переглядів 772 роки тому
25. 교육행정_김효종, 신철균: 혁신학교 재지정 결정에 대한 과정 분석: 강원 A초등학교 철회사례를 중심으로

КОМЕНТАРІ

  • @사단법인한국교육학회
    @사단법인한국교육학회 2 місяці тому

    디지털 교육 규범 릴레이 포럼에 많은 관심을 보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다섯 가지 주제별로 각 분야 전문가, 현장의 선생님, 기업체, 그리고 학생과 학부모 여러분들의 의견을 나눌 수 있어 매우 뜻깊은 자리였습니다. 그동안 포럼에 참여해주신 모든 분들께 다시 한 번 감사의 말씀을 드리며, ✨디지털 교육 규범✨의 현장 안착을 위하여 앞으로도 지속적인 관심 부탁드립니다. 주 관: 교육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회,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수원 본 영상에는 클로바더빙(CLOVA Dubbing)의 AI 보이스가 사용되었습니다. #클로바더빙 #아라 #하준

  • @사단법인한국교육학회
    @사단법인한국교육학회 2 місяці тому

    📍사전신청 👉5차 포럼 사전신청 바로가기 forms.gle/apUzhTjV3aJDjcP89 -------------------- 지난 7월 교육부는 ✨디지털 교육 규범✨을 발표하였습니다. 이는 디지털 심화 시대에 디지털 기술이 교육의 본질을 실현하면서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디지털 교육이 추구하는 가치와 기본 원칙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디지털 교육 규범을 현장에 알리고 교육 당사자와 관계자의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하여 다섯 번의 릴레이 포럼을 계획하였습니다. ✨디지털 교육 규범 릴레이 포럼✨은 교육 분야의 전문가, 연구자, 교사, 학생, 학부모는 물론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분들께 열려있습니다. 다양한 관점을 가진 많은 분들이 모여 자유롭게 의견을 공유할수록 디지털 교육은 더욱 풍부해질 것입니다. 따라서 포럼은 더 많은 분들께서 참석하실 수 있도록 지역 곳곳에서 개최할 예정이며, 실시간 비대면🧑‍💻으로도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전체 포럼 일정🌟 ✅제5차 포럼(사전신청 open) 주제: 세계를 선도하는 한국의 디지털 교육 일자 및 장소: 2024년 12월 6일 (금) 고려대학교 ☑️제1차 포럼(종료) 주제: 디지털 시대 자유와 권리 보장을 위한 교육의 방향 일자 및 장소: 2024년 10월 16일 (수) 고려대학교 ☑️제2차 포럼(종료) 주제: 안전과 신뢰에 기반한 디지털 교육 일자 및 장소: 2024년 11월 8일 (금) 전남대학교 ☑️제3차 포럼(종료) 주제: 지속 가능한 디지털 교육 혁신 생태계 일자 및 장소: 2024년 11월 9일 (토) 전남대학교 ☑️제4차 포럼(종료) 주제: 누구도 뒤처지지 않는 디지털 교육 일자 및 장소: 2024년 11월 23일 (토) 한국교원대학교 주 관: 교육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회,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수원 본 영상에는 클로바더빙(CLOVA Dubbing)의 AI 보이스가 사용되었습니다. #클로바더빙 #아라 #하준

  • @사단법인한국교육학회
    @사단법인한국교육학회 2 місяці тому

    📍사전신청 👉4차 포럼 사전신청 바로가기 forms.gle/1LCLcYwNQLzXEzfN8

  • @사단법인한국교육학회
    @사단법인한국교육학회 2 місяці тому

    📍사전신청 👉4차 포럼 사전신청 바로가기 forms.gle/1LCLcYwNQLzXEzfN8 -------------------- 지난 7월 교육부는 ✨디지털 교육 규범✨을 발표하였습니다. 이는 디지털 심화 시대에 디지털 기술이 교육의 본질을 실현하면서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디지털 교육이 추구하는 가치와 기본 원칙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디지털 교육 규범을 현장에 알리고 교육 당사자와 관계자의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하여 다섯 번의 릴레이 포럼을 계획하였습니다. ✨디지털 교육 규범 릴레이 포럼✨은 교육 분야의 전문가, 연구자, 교사, 학생, 학부모는 물론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분들께 열려있습니다. 다양한 관점을 가진 많은 분들이 모여 자유롭게 의견을 공유할수록 디지털 교육은 더욱 풍부해질 것입니다. 따라서 포럼은 더 많은 분들께서 참석하실 수 있도록 지역 곳곳에서 개최할 예정이며, 실시간 비대면🧑‍💻으로도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전체 포럼 일정🌟 ✅제4차 포럼(사전신청 open) 주제: 누구도 뒤처지지 않는 디지털 교육 일자 및 장소: 2024년 11월 23일 (토) 한국교원대학교 ☑️제5차 포럼(오픈예정) 주제: 세계를 선도하는 한국의 디지털 교육 일자 및 장소: 2024년 12월 6일 (금) 고려대학교 ☑️제1차 포럼(종료) 주제: 디지털 시대 자유와 권리 보장을 위한 교육의 방향 일자 및 장소: 2024년 10월 16일 (수) 고려대학교 ☑️제2차 포럼(종료) 주제: 안전과 신뢰에 기반한 디지털 교육 일자 및 장소: 2024년 11월 8일 (금) 전남대학교 ☑️제3차 포럼(종료) 주제: 지속 가능한 디지털 교육 혁신 생태계 일자 및 장소: 2024년 11월 9일 (토) 전남대학교 주 관: 교육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회,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수원 본 영상에는 클로바더빙(CLOVA Dubbing)의 AI 보이스가 사용되었습니다. #클로바더빙 #아라 #하준

  • @박피스-p9f
    @박피스-p9f 2 роки тому

    역사를 바로 가르쳐주시고 정의를 바르게 알려주세요 거짓 뉴스 모함이 가득한 세상 바로 가르쳐서 국민의 정신을 바르게 이끌어주시기를 바랍니다.,

  • @정승우-p7m
    @정승우-p7m 2 роки тому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 @bg3048
    @bg3048 2 роки тому

    이런 연구가 더 활성화되어 우리 청소년들이 좀더 건강하게 자라날수 있길 바랍니다.

  • @팽영일-m5l
    @팽영일-m5l 2 роки тому

    한국교육학회 회장님 이하 임원 여러분들과 참가자들의 수고와 헌신에 감사드립니다 ~ 특히, 교육정책의 전환기를 맞아 특별 정책포럼을 개최하여 시의적절한 학회운영을 위해 노력하시는 모습에 가슴 벅찬 느낌을 가집니다~

  • @지현박-h7v
    @지현박-h7v 3 роки тому

    행복을 많이 느끼는 아이들로 키워야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사교육보다는 행복감을 높은 아이가 공부를 잘하겠네요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 @남현주여자
    @남현주여자 3 роки тому

    초등부모에게 도움이 되는 신선한 얘기였습니다 발표도 깔끔하게 해주셔서 듣기편했어요^^

  • @KBS-fk9mp
    @KBS-fk9mp 3 роки тому

    초등학생의 행복감에 영항을 주는 환경요인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매우 유의미한 연구주제입니다. 덕분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 @서영선-q5r
    @서영선-q5r 3 роки тому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PPT가 깔끔하니 이해하기 좋게 편집하셨어요~~~

  • @miyeonlee7644
    @miyeonlee7644 3 роки тому

    저희 아이도 초등학생인데,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될거 같아요.

  • @bg3048
    @bg3048 3 роки тому

    내용이 너무나 알차네요.

  • @김종우-w2o
    @김종우-w2o 3 роки тому

    유용한 정보 감사합니다. 카자흐스탄에 대한 교육제도와 환경에 대해 알 수 있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더 많은 연구 부탁드립니다.

  • @DataPulseLab
    @DataPulseLab 3 роки тому

    51:45 잠재계층분석을 통한 수업전문성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