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bc8news
ubc8news
  • 168
  • 417 947
[ubc울산방송] 170813 울산 항일교육 거점 '보성학교'
'보성학교' 이틀 뒤면 8.15 광복절입니다.
울산의 독립운동하면 3.1 만세운동과 대한광복회 총사령관 박상진 의사를 떠올리는데요.
동구 지역 항일 운동의 중심지였던 보성학교는 지금까지 부각받지 못했습니다.
스토리텔링 뉴스, 조윤호 기잡니다.
낡은 주택이 다닥다닥 붙은 바닷가 마을 어귀,
낡은 비석 하나가 서있습니다.
1922년 이 마을에 사재를 털어 사립학교를 설립한 선각자 성세빈 선생을 기리는 송덕비입니다.
성낙진/故 성세빈 선생 손자
-"8개 교실인데 한 반이 60명이 사용할 수 있고 그런 크기의 학교였습니다. 운동장은 80m에서 100m 정도..저 멀리까지 저희 할아버지 땅이었습니다."
보성학교는 1945년 폐교 때까지 499명의 졸업생을 배출했습니다.
식민지 시대 유일하게 광복 직전까지 졸업생을 배출해 울산에선 민족 교육을 상징하던 학교였습니다.
성낙진/故 성세빈 선생 손자
-"청(대청마루) 밑에다가 지하를 파서 육안으로 볼 수 없겠지만, 일본 앞잡이들이 잡으러 와서 (사람들이) 숨을 때가 없다 보니 거기에 숨겨주고..
민족 정신과 글을 가르쳤던 교사 가운데는 울산의 독립운동가 서진문도 있었습니다.
장세동/전 동구문화원 지역사연구소장
-'민족교육을 시키네.' 이러면서 와서 감시하기 시작합니다. 학생들 뒤에 앉아서 뭔가를 교육을 할 때 자기들이 원하지 않는 교육을 시키면 호루라기를 불면서 주의를 주고 이러다가 그래도 안 들으면 선생을 체포.."
1920년대 후반 대표적인 항일단체 신간회 울산지부가
활동하던 근거지기도 했습니다.
장세동/전 동구문화원 지역사연구소장
-"'왜 탄압을 받고 있는지' '우리가 왜 힘이 부족한 건지' '저 사람들이 정당한 건지' 이런 것을 암암리에 늘 교육을 했고 청년회, 소년단 뭐 이런 식으로 해서 거기에 맞는 세대들이 뭉쳐서..
보성학교의 존재로 인해 동구지역은 일제가 제2의 모스크바로 부를만큼 항일의식이 거셌던 곳입니다.
이현호/동구지역사 연구위원
-"일본인들이 아무도 없는 지역이라고 생각해보세요. 일본인들에 대한 감정도 덜할 것이고 독립에 대한 감정도 덜할 거에요. 근데 일본인들이 많이 모여 있는 곳이고 '일본인들 때문에 독립을 빨리해야겠다.'라는 생각도 더 많이 가지게 될 거에요.
하지만 사회주의 사상도 가르쳤다는 이유로 반공 시대의 역사 속에
묻혀온 보성학교,
뒤늦게 지자체가 기념관 건립을 추진하고 있지만 관련 자료
대부분은 어디론가 흩어지고 사라졌습니다.
유비씨 뉴스 조윤호입니다.
Переглядів: 824

Відео

[ubc울산방송] 171207 아르바이트도 사라지나..최저임금의 역설
Переглядів 3,2 тис.7 років тому
[ubc울산방송] 171207 아르바이트도 사라지나..최저임금의 역설
[ubc울산방송] 171201 연약지반 조사 착수..'액상화' 대책 마련
Переглядів 1707 років тому
[ubc울산방송] 171201 연약지반 조사 착수..'액상화' 대책 마련
[ubc울산방송] 171130 "액상화 피해" 니가타 지진의 교훈
Переглядів 4107 років тому
[ubc울산방송] 171130 "액상화 피해" 니가타 지진의 교훈
[ubc울산방송] 171128 액상화 논란..정밀조사 시급
Переглядів 637 років тому
[ubc울산방송] 171128 액상화 논란..정밀조사 시급
[ubc울산방송] 171127 필로티 10곳 중 1곳은 무방비
Переглядів 847 років тому
[ubc울산방송] 171127 필로티 10곳 중 1곳은 무방비
[ubc울산방송] 171119 '생존배낭' 또 인기..비상용품 기준은?
Переглядів 1907 років тому
[ubc울산방송] 171119 '생존배낭' 또 인기..비상용품 기준은?
[ubc울산방송] 171117 원전 불안 고조.."안전 로드맵 추진한다"
Переглядів 447 років тому
[ubc울산방송] 171117 원전 불안 고조.."안전 로드맵 추진한다"
[ubc울산방송] 171117 "기울고 무너지고 휘고"..피해 현장은?
Переглядів 937 років тому
[ubc울산방송] 171117 "기울고 무너지고 휘고"..피해 현장은?
[ubc울산방송] 171116 1년 전 상처 채 아물기도 전에..
Переглядів 517 років тому
[ubc울산방송] 171116 1년 전 상처 채 아물기도 전에..
[ubc울산방송] 171116 수능 연기 '대혼란'.."책이 없어요"
Переглядів 1587 років тому
[ubc울산방송] 171116 수능 연기 '대혼란'.."책이 없어요"
[ubc울산방송] 171116 차분한 대응.. 역대 1,2위 지진은 불안
Переглядів 1297 років тому
[ubc울산방송] 171116 차분한 대응.. 역대 1,2위 지진은 불안
[ubc울산방송] 171115 "땅 밑이 위험하다"
Переглядів 627 років тому
[ubc울산방송] 171115 "땅 밑이 위험하다"
[ubc울산방송] 171115 "일단 숨었다 대피"..지진 대피 요령은?
Переглядів 1227 років тому
[ubc울산방송] 171115 "일단 숨었다 대피"..지진 대피 요령은?
[ubc울산방송] 171115 "또 지진"..울산 전역 감지 '불안'
Переглядів 3467 років тому
[ubc울산방송] 171115 "또 지진"..울산 전역 감지 '불안'
[ubc울산방송] 171126 필로티'흔들'..학교건물 괜찮나?
Переглядів 957 років тому
[ubc울산방송] 171126 필로티'흔들'..학교건물 괜찮나?
[ubc울산방송] 171124 지진 이중고.."포항 관광산업도 휘청"
Переглядів 877 років тому
[ubc울산방송] 171124 지진 이중고.."포항 관광산업도 휘청"
[ubc울산방송] 171123 낡은 아파트 '표적'..절반이 20년 이상
Переглядів 1517 років тому
[ubc울산방송] 171123 낡은 아파트 '표적'..절반이 20년 이상
[ubc울산방송] 171122 '울포경'지진 역다 최대..최근 빈도 증가
Переглядів 3357 років тому
[ubc울산방송] 171122 '울포경'지진 역다 최대..최근 빈도 증가
[ubc울산방송] 171119 프라임뉴스 '생존배낭'또 인기..비상용품 기준은?
Переглядів 2667 років тому
[ubc울산방송] 171119 프라임뉴스 '생존배낭'또 인기..비상용품 기준은?
[ubc울산방송] 171121 프라임뉴스 바다가 더 위험..동해가스전이 뇌관?
Переглядів 4767 років тому
[ubc울산방송] 171121 프라임뉴스 바다가 더 위험..동해가스전이 뇌관?
[ubc울산방송] 171120 프라임뉴스 '액상화 현상'노출..울산도 연약지반?
Переглядів 2457 років тому
[ubc울산방송] 171120 프라임뉴스 '액상화 현상'노출..울산도 연약지반?
[ubc울산방송] 171115 포항강진.. 울산 지진안전대책은?
Переглядів 8497 років тому
[ubc울산방송] 171115 포항강진.. 울산 지진안전대책은?
[ubc울산방송] 171116 지진 원인과 대책..전문가에게 듣는다.
Переглядів 3657 років тому
[ubc울산방송] 171116 지진 원인과 대책..전문가에게 듣는다.
[ubc울산방송] 171116 포항 강진..울산 여파는?(ubc뉴스특보)
Переглядів 6277 років тому
[ubc울산방송] 171116 포항 강진..울산 여파는?(ubc뉴스특보)
[ubc울산방송] 170827 알쏭달쏭 동네 이름..왜 그럴까?
Переглядів 6057 років тому
[ubc울산방송] 170827 알쏭달쏭 동네 이름..왜 그럴까?
[ubc울산방송] 170820 '울산 사투리' 아시나요?
Переглядів 12 тис.7 років тому
[ubc울산방송] 170820 '울산 사투리' 아시나요?
[ubc울산방송] 170806 울산하면 언양불고기..유래는?
Переглядів 1,1 тис.7 років тому
[ubc울산방송] 170806 울산하면 언양불고기..유래는?
[ubc울산방송] 170730 "남청장 됐다".. 울산속담 아세요?
Переглядів 3607 років тому
[ubc울산방송] 170730 "남청장 됐다".. 울산속담 아세요?
[ubc울산방송] 170723 숲의 명작 '소호 참나무 숲'
Переглядів 6757 років тому
[ubc울산방송] 170723 숲의 명작 '소호 참나무 숲'

КОМЕНТАРІ

  • @오봉성-s9w
    @오봉성-s9w 5 днів тому

    울산이 아무리 역사명소가 없기로서니 실존하는 문무왕의 이름을 팔아 대왕암이라 하는가. 댕바위라하는 것 까지는 상관없으나 거기애 문무대왕비 바위라 허위사실을 날조하는 것은 울산시가 할 짓이 아니다. 국민들에게 역사를 오인케하는 명칭을 당장 바꿔야 한다.

  • @yesno9065
    @yesno9065 2 місяці тому

    울산이랑 뭐가 닮았다는 거지?

  • @웅웅이-t2k
    @웅웅이-t2k 3 місяці тому

    산업단지 울산유치에 크게 기여했음

  • @nonijuice1023
    @nonijuice1023 3 місяці тому

    1티어 후보로는 금사남목 흑시? 또 뭐있지..

  • @이지섭-j4i
    @이지섭-j4i 6 місяців тому

    이것도 한 번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처용, 브록파 족, 월지, 허황옥 ua-cam.com/video/yD2ruXNOxbQ/v-deo.htmlsi=qQedYOZxnBhEQRDt Brokpa (위키) en.wikipedia.org/wiki/Brokpa 사산조 페르시아와 신라의 평행이론 ua-cam.com/video/DIPpNQKc3HU/v-deo.htmlsi=r2jiKe0Of3qEQKel

  • @장영철-s6h
    @장영철-s6h 11 місяців тому

    아,,,, 그 지역에서도 그런 사건이 있었군요, 오늘 새롭게 알고 갑니다,,,!!!!!!

  • @삼안태양정기-s7i
    @삼안태양정기-s7i Рік тому

    경순왕과 관련 하여 지금 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1,300년 전의 신라 손국(귀순)협상에 관한 유래가 경주 형산 기원정사에 전해져 오고 있고, 그 내용이 합천문화 2022에 "신라 경순왕 손국 협상 방법과 과정 결과에 대한 유래 및 설화 전설 지역별 연구"라는 제목으로 발행 되었습니다. 같은제목으로 영주신문에도 기고 되었습니다. 검색 해 보세요.

  • @무명-d6m
    @무명-d6m Рік тому

    신라로 들어가는 입구가 아닐까 하고 검색해봤는데 집 '실' 이었구나

  • @찐앙-h3v
    @찐앙-h3v Рік тому

    단어도 단어지만 학창시절에 웅촌 친구가 있었는데 그쪽 동네 고유 억양이 매우 독특했던 기억이 있어요. 다시 함 들어보고 싶을정도로 정겨웠는데... 억양은 종이에 표시가 안되니 시간이 지나면 잃어버릴거 같네요.

  • @dongwoolee8904
    @dongwoolee8904 Рік тому

    공업탑 해체를 논하는 교통 편의주의자들은 공업탑이 얼마나 울산의 자랑인지 몰라서 하는 소리이다. 100년이 되는 기념탑을 가진 대한민국 도시는 없다. 서울, 부산 로타리 탑 모두 뿌수어 없어졌다.

  • @신수연-m4h
    @신수연-m4h Рік тому

    뻔☆UBC울산편정택,유다원님태풍각이동당사자님과지금바로보내고활동그만해도됨

  • @rkan6491
    @rkan6491 Рік тому

    그당시 빨치산들이 지금은 산이아닌 우리들 삶속에 파고들어 나라와 사회를 어지럽히고 학생들과 국민들을 좌경화 시키는데 혈안이 되어있지요.

  • @서포터뀨
    @서포터뀨 Рік тому

    빨치산이들 참 살기좋네 ㅋㅋㅋㅋㅋㅋ 면상보이는것부터

  • @영등포밤안개-p4i
    @영등포밤안개-p4i Рік тому

    때리치아라 이 색희들아

  • @MrKimje
    @MrKimje Рік тому

    빨갱이 공비의 총 우두머리 이현상이 사살된 지리산에는 간혹 미전향 장기수나 빨갱이 흠모 종북주의자들이 노골적으로 추모제를 지내더라. 세상이 개판이다.

  • @rookie5852
    @rookie5852 2 роки тому

    멸공

  • @퐁당-h8g
    @퐁당-h8g 2 роки тому

    그래봤자 돈 벌어서 소비는 부산에서 다 하더라

  • @henripapillon4269
    @henripapillon4269 2 роки тому

    왜는 국명이 아니라니까 왜는 열도에 100여개의 종족을 열도 외의 사람들이 부르는 통칭이자 멸칭. 그리고 세상에 누가 난장이란 뜻의 이름을 자기 국명이라고 그러나?

  • @user-oj4fq5gg1b
    @user-oj4fq5gg1b 2 роки тому

    우리가 학교에서 배운 역사는 일제식민사학자 놈들 쓰다소키치,이케우치 히로시,이마니시 류,가루베지온,등이 써준 역사입니다. 우리나라의 모든 역사책을 빼앗아 일제 입맛에 맞게 써준겁니다. 우리나라의 교육부,국사편찬위원회,강단사학계,문화재청,등이 일제식민사학자 놈들이 써준 역사를 100년 가까이 교육하고,지키고 있습니다. 이것이 우리나라의 역사계의 현실입니다. 역사계쪽을 개혁해야합니다.ㅁ

  • @user-oj4fq5gg1b
    @user-oj4fq5gg1b 2 роки тому

    고구려 주몽(=추모)의 충신 협보가 유리왕때 남쪽으로 가서 가라해쪽 구야한국에 이르러 다파라국(=다라국=가라국=가야국=카라국)을 세웠다. 일본 규슈지역에 "다라"가 다수 현존함. 이후 임나(대마도)를 병합했다. 임라는 갈려 3가라(칸=환)가 되었다 그 이름이 좌호가라,임의가라,계지가라로 나누었다.ㅡ대마도에 지명이 현존함.(환단고기ㅡ태백일사) 일본이 그토록싫어하는 역사기록입니다. 임나일본부설을 확 깨는 기록이죠. 그래서 절대로 환단고기를 모르게 하려고, 사학계에서 매몰시키려는 겁니다. 우리나라의 교육부,국사편찬위원회,강단사학계,문화재청, 일본을 대신해 환단고기를 감추고 있는겁니다. 이런 귀중한 자료를 국보는 커녕, 가짜 취급하고 있는 실정입니다.ㅁ

  • @박석대-t3y
    @박석대-t3y 2 роки тому

    조은것이 조타고 매사에 긍정적 생각과 해석은 기운을 불러오고 화복이 넘친다고 봅니다.....ㅎ

  • @김헌기-j8y
    @김헌기-j8y 2 роки тому

    자중하시길 바랍니다 국민들은 다 알고 있습니다

  • @nammeeee
    @nammeeee 2 роки тому

    아주 흥미롭네요..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 @오태민-t5d
    @오태민-t5d 2 роки тому

    유상철 감독님 ㅠㅠ 그곳에서는 아프지말고 행복하세요!!

  • @까치발-b1v
    @까치발-b1v 3 роки тому

    처용은 9세기고 왕자가 온거는7세기 이다.

  • @kangkang7404
    @kangkang7404 3 роки тому

    [임나일본부의 부활] 왜구를 존경하고 강도 일본인을 자랑스럽게 여겨야하는 참담한 일이 벌어 지고 말았습니다. 대학교의 강단사학자는 일본서기의 왜구가 249년 신라를 정벌하고 가야를 멸망시키고 임나일본부를 설치하여 646년 임나가 없어지는 그 날 까지 한강 이남을 일본의 식민지로 통치하였다고 합니다. 뿐만 아니라 야마토왜의 임나소국의 수장이 합천 남원 김해 함안 등 한강 이남의 지역에 2,000 여기 이상의 고분에 묻혔다고 합니다. 전혀 근거 없는 사실 이지만 역사적 사실이라고 국민을 윽박 지르고 있습니다. 강단사학자 들은 역사를 왜곡하여 그 시체의 무덤을 영웅으로 모시고 가야를 침탈한 식민지의 수장으로 그의 훌륭한 통치업적에 감사함을 영원히 잊지 않기 위하여 2021년 3월 유네스코 세계문화 유산에 1차 자료를 등록 하였습니다. 2021년 말 2022년 초 유네스코 실사단의 현장방문을 마치면 세계가 인정하는 세계문화유산 고분군이 됩니다. 이렇게 참담한 일은 강단사학자가 역사의 권력을 잡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 강단사학자의 뒤를 좀비와 같이 따르는 자가 문화재청, 남원시, 합천군청 입니다. 가야고분군은 우리의 조상 무덤입니다. 왜구의 수장층 무덤이 아닙니다. 일본서기의 기록은 일본열도에서 일어난 사건이고 허구의 기사입니다. 우리가 독도의 이름 대신 일본이 주장 하는 죽도(다케시마)를 유네스코에 등재하는 것과 다를바 없습니다. 임나일본부는 정한론의 명분으로 내세우는 일본제국의 논리 입니다. 임진왜란과 일제강점35년을 정당화 시키고 가야의 영토를 침탈 하려는 것입니다. 국민 여러분 우리의 가야를 지켜 주십시오. 강단사학자와 맞서 싸워 주십시오. 유네스코 홈페이지에 등록되어 있는 남원의 기문국, 합천의 다라국을 삭제하여 주십시요.ㆍㅇ

  • @인민해방군
    @인민해방군 3 роки тому

    빨치산 미화하지말라. 빨치산이 토벌군300명 사살했다가 아니라 빨치산에 아군300명 전사라고 해야 맞다. 아군과 적군이 대치했는데 적군에 아군이 전사했다고 하지 누가 적군이 아군을 사살했다고 하냐?

  • @이석호-i1v
    @이석호-i1v 3 роки тому

    이후락부장 송덕비는 못세울망정 그분을비하하면 되나요 어촌인 울산이 글로벌단지로 발전하는데 적극기여했습니다

  • @남머찐내게감히
    @남머찐내게감히 3 роки тому

    친일사관.민족사관이 역사학계를 주름 잡고 있는데 제대로된역사가 잡힐리가 있나요? 허무맹랑한 일본 서기를 믿고.삼국유사를 부정하는 친일파들입니다. 임신한 몸으로 삼국(고구려.백제.신라)굴복시킨 원더우먼ㅋㅋ

  • @vedo7065
    @vedo7065 3 роки тому

    권력의 쓰레기

  • @skl3402
    @skl3402 3 роки тому

  • @정철준-l8o
    @정철준-l8o 3 роки тому

    오색팔중 울산동백 이라는 노래가 2021년에 발표 되었습니다, 아마 정서정 이라는 가수가 불렀습니다!

  • @호크니-c4b
    @호크니-c4b 3 роки тому

    Great!!!!

  • @유후-u5i
    @유후-u5i 3 роки тому

    이후락 전 중정부장님 감사합니다

  • @겐진상의뜨거운맛
    @겐진상의뜨거운맛 3 роки тому

    빨치산들 지금도 어딘가 가면을 쓰고 남아있겠지

  • @daramGdotory
    @daramGdotory 3 роки тому

    우리 동네

  • @chrisseo2758
    @chrisseo2758 3 роки тому

    1945년 8월 15일, 일본제국이 패망함과 동시에 한반도는 해방을 맞게된다. 곧이어 한반도내에는 건국준비위원회가 발족하여 치안권과 행정권을 담당하여 한반도의 혼란한 상황속에서 자주적으로 수습하고자 하였다. 이어서 건준은 각지역 지부로 확장되어 인민위원회로 개편되었는데, 이과정에서 박헌영의 공산주의계열이 대거 들어오게 되어 건준의 성향은 변질되어 9월 6일 조선인민공화국으로 선포되었다. 이무렵, 제2차 세계대전 종전후 미군은 일본 도쿄지역에 GHQ군정 사령부를 설치한다. 1945년 9월에 한반도에는 38도선을 경계로 미국과 소련이 입성하여 미소 양국은 한반도에 통치안에 대한 포고령을 발표하게 된다. 한반도 이남에 입성한 미군은 포고령 제1호를 발표하였는데, 극동아시아의 사령관인 더글러스 맥아더의 이름을 본따서 발표하게 된다. 이 맥아더 포고령 제1조 내용을 통해서 미군이 직접 한반도 통치를 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또 이 포고령에서 '미군은 '해방군'이 아닌 '점령군'임을 명백히 드러낸다'는 의견과 '포고령의 점령은 occupy의 주둔이란 의미를 오역한 것이다.'라는 의견이 대립하고 있다.[1] 이어서 국내에서 자주적 치안권 및 행정권을 담당했던 건준을 비롯한 인민위원회,조선인민공화국은 부정되었고, 심지어 중국 충칭에 있던 대한민국 임시정부까지도 불인정되어 한국인들의 자주적인 통치활동 및 권한이 부정되었다. 포고령 제2조를 통해 일제강점기시절대 일본제국에 부역행위를 한 친일 관료, 경찰, 군인 출신 등 반민족인사들이 대거 미군정에 고용되어 편입되었다. 이로인해 한반도의 남쪽 대한민국은 일제강점기에 일본제국주의 부역했던 민족반역자들은 단한병도 처벌 하지 못했다 파르티잔(partisan)'은 프랑스어의 '파르티(parti)'에서 비롯된 말이며, 당원·동지·당파 등을 뜻하는 말이나, 현재는 유격대원·편의대원(便衣隊員)을 가리킨다. 따라서 에스파냐어에서 나온 게릴라와 거의 같은 뜻으로 사용된다. 빨치산은 정규군과는 별도로 적의 배후에서 그들의 통신·교통 수단을 파괴하거나 무기와 물자를 탈취 또는 파괴하고 인원을 살상한다. 한반도의 빨치산은 일제강점기때 부터 활동 했던 항일유격대 독립군부대가 맞음

  • @배제임스-g2m
    @배제임스-g2m 3 роки тому

    어두운 피의 역사 빨치산

  • @Unm-o7z
    @Unm-o7z 3 роки тому

    ? 9운이 곧오는데 부산 울산 포항은 끝이다 대전 광주 대구 충북으로 운이 이동한다

  • @그냥지시받아갖다자필
    @그냥지시받아갖다자필 3 роки тому

    개빨치산을 왜 기억하고 밝혀야 하는데? 왜 추모하고 자랄해야 하는데? 그 핏줄들이 지금도 이땅을 개×판을 만들고 있는데 왜 영웅시허고 지랄들 해대는데? 왜 유적지로 만들고 개지랄들하고 난리야? 흔적 싸그리 파괴하고 지워야 한다. 울산ubc 이거 좌빨 방송아니야?

  • @15road46
    @15road46 3 роки тому

    대왕암은 경주 하나로 족하다 감은사 앞 동쪽 이라는 설에 의하면 울산 그 바위는 대왕바위가 아녀 감은사근처 정자가 있는데 그곳에서 보이는곳이 대왕암이여 왜냐? 그기서 제를 지냇단 말여 무슨 연관성도 없고 인과관계도 명확하지않는데 개나소나 대왕바위라냐 차라리 문무왕비가 그곳에 묻힌걸로 계속 밀고나가면 연인들의 성지가 되겠구만 바보들

  • @김앨리스-c2t
    @김앨리스-c2t 3 роки тому

    울산김씨는 왕족 입니다

  • @조미덕-p6k
    @조미덕-p6k 3 роки тому

    울산발전의 고마움 잊지 않고 있습니다.

  • @huhu00-j7w
    @huhu00-j7w 3 роки тому

    저기 현장에 있던 그 당시엔 어린이였던 사람입니다 .. 지금 알았네요 ㅠㅠ 감사합니다 덕분에 살아있는거겠죠

  • @JJONGGU
    @JJONGGU 3 роки тому

    정제 소쿠리 ㅋㅋㅋ 와 울산사투리였구나

  • @김영우-s6p
    @김영우-s6p 3 роки тому

    경순왕 3자 명종 36대 입니다

  • @울산고래-j7r
    @울산고래-j7r 3 роки тому

    왜 빨갱이 얘기를 뉴스거리로 내시죠..?

  • @leelee3999
    @leelee3999 3 роки тому

    찌랄을해라

  • @김석광-s7i
    @김석광-s7i 3 роки тому

    빨갱이! 많은 양민들이 그들에게 목숨을 잃었다. 누구는 그런 반역자의 사위였었다.

    • @비거리200
      @비거리200 3 роки тому

      빙시야 빨치산한테 디진애들은 친일파다 머저리야

  • @德不孤必有隣
    @德不孤必有隣 3 роки тому

    참으로 찾을것이 그동네는 그렇게 없을까ᆢ차라리 아산 정주영회장이 울산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발전시켰는지나 연구하시라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