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ves Seoul
Archives Seoul
  • 331
  • 315 935
「현대사 영상자료 정리·기술 경험을 통해 본 주요 쟁점: KTV한국정책방송원 대한뉴스를 중심으로」, 한국외대 정보·기록학연구소 최효진 〈제3회 소장자료 정리와 기술 사례발표회〉
한국외국어대학교 정보·기록학연구소 최효진 책임연구원이 KTV한국정책방송원의 대한뉴스를 중심으로 한국 근현대사 영상자료 정리·기술 과정을 공유한다.
KTV 아카이브팀은 매일 실시간 수신되는 인제스트팀, 90년대 비디오테입 디지털화 영상를 정리.기술하는 디지털변환팀, 그리고 근현대사영상고도화팀이 메타데이터 입력지침과 영상자료 정리·기술 방향을 공유하고 있으며,
2020년 협약기관 대상 KTV 외부 공유개방 포털인〈나누리〉를 통해 본격적인 영상아카이브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이와 같은 정리·기술의 중요성을 파악하고 전사적인 노력을 하고 있음
본 발표에서는 이러한 KTV의 경험을 공유하면서, 특히 KTV가 신경써서 작업 중인 근현대사영상고도화팀의 근현대사 영상 정리·기술 경험을 통해 깨달은 몇 가지 주요 쟁점을 논의하고자 하였음
Переглядів: 27

Відео

「새로운 미술관의 소장품과 소장자료: 한국사진의 역사쓰기를 위한 연구·수집·보존·활용」, 서울시립 사진미술관 박소진〈제3회 소장자료 정리와 기술 사례발표회〉
Переглядів 27Місяць тому
서울시립 사진미술관은 국내 최초의 사진 전문 공공미술관으로 한국사진사 정립을 위한 기반 조성을 목표로 24년 하반기 개관 예정이다. 2020년 소장품 수집 개발 연구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한국 근현대 주요 사진 작품 및 자료 1만 8천여 점을 수집해왔다. 본 발표는 서울시립 사진미술관의 박소진 학예연구사가 미술관의 근간을 이루는 소장품 연구부터 수집과 정리·기술, 데이터 마이그레이션과 보존 지침, 전문수장고를 준비하고 있는 아카이브 전반을 소개한다.
「서울기록원의 시청각 기록물 보존 및 관리 현황 」, 서울기록원 허인석 〈제3회 소장자료 정리와 기술 사례발표회〉
Переглядів 25Місяць тому
서울기록원에서 시청각기록물 보존 및 디지털화를 담당하고 있는 허인석 공업연구사가 서울기록원의 시청각기록물 수집 및 디지털화, 서비스 사례를 발표
2023년 「중요 멀티미디어 기록 디지털 활용 기반 구축」 사업, “멀티미디어 기록 수집 및 정리 공정”
Переглядів 24610 місяців тому
서울기록원은 서울시 본청 소속 부서를 대상으로 멀티미디어 기록을 중점적으로 생산‧보유하고 있는 부서를 조사하고 인터뷰를 진행하였습니다. 그 중, 언론담당관에서 2001년부터 2021년까지(민선1기~8기) 생산한 역대 시장님의 시정 활동 관련 사진, 영상 기록을 수집 및 정리하였습니다. 본 영상은 멀티미디어 기록물 일련의 수집과 정리하는 과정을 담았으며, 사진은 약 280만컷, 영상 약 14,000편이며 기록물의 공개 여부 검토를 거쳐 서울기록원 디지털 아카이브(SDA)시스템을 통해 서비스할 예정입니다.
무대를 기록하는 네 가지 방법
Переглядів 34010 місяців тому
서울기록원은 「2023년 서울기록화 사업」을 통해 '연극'과 '무용'을 주제로 서울기록을 수집했습니다. 서울기록원은 유형의 기록 수집과 함께, 물리적으로 수집하기 어려운 기억과 기록을 모으기 위하여 인터뷰, 공간 기록화 등을 통한 다큐멘터리 영상도 함께 제작하여 공연예술을 둘러싼 서울의 다양한 측면과 역사적인 변화를 담아내고자 했습니다. 본 영상을 통해 서울기록원이 '무대를 기록하는 네 가지 방법'을 주제로 기록한 서울의 모습을 만나보시길 바랍니다. [시놉시스] 연극과 무용을 포함한 공연예술은 무대 위의 공연자에 의해 공연되는 동안에만 존재했다가 공연이 끝나면 사라지는 그 자체로서의 특징이 존재한다. 그러나 공연예술의 또 다른 특징인 현장성으로 인해 이를 기록으로 남겼을 때 그것을 보는 이들로 하여금 ...
「서울역사아카이브의 운영과 활용」, 서울역사박물관 오지영, 〈제2회 소장자료 정리와 서비스 사례발표회〉
Переглядів 21711 місяців тому
지난 9월 15일에 개최한 〈제2회 소장자료 정리와 서비스 사례발표회〉 발표 영상을 게재합니다. 해당 영상은 본 사례발표회의 두 번째 발표로, 서울역사박물관 오지영 학예연구사님께서 맡아주셨습니다. ‘서울역사아카이브’가 2014년 ‘서울성장사 디지털 아카이브’로 시작하여, 서울의 현재진행형 기억저장소로 자리매김해온 과정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서울생활문화자료조사, 서울시정사진과 근현대서울사진, 서울지도, 서울발굴기록과 서울미래유산기록 등 서울역사박물관의 아카이브가 정리·기술을 거쳐 서울역사아카이브를 통해 서비스 되는 일련의 과정도 흥미롭습니다. 〈제2회 소장자료 정리와 서비스 사례발표회〉는 서울시의 문화기관들이 소장하고 있는 자료들이 어떻게 정리 및 서비스되고 있는지 공유하고, 상호 협력 방안을...
「서울 역사 관련 자료의 서비스 방안 모색: 아카이브즈에서 역사학의 역할」, 서울역사편찬원 김현정, 〈제2회 정리와 서비스 사례발표회〉
Переглядів 8911 місяців тому
지난 9월 15일에 개최한 〈제2회 소장자료 정리와 서비스 사례발표회〉 발표 영상을 게재합니다. 해당 영상은 본 사례발표회의 세 번째 발표로, 서울역사편찬원 김현정 학예연구사님께서 맡아주셨습니다. 서울역사편찬원이 서울의 역사를 담아 책으로 편찬하기까지 구술, 사진 촬영 등 수집한 자료들을 어떻게 정리하고, 홈페이지를 통해 서비스하고 있는지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 환경으로 전환된 이후 편찬작업의 변화와 서울역사편찬원이 자료의 생산자이자 이용자로서, 유관기관들의 자료와 정보를 어떻게 찾고 활용하는지도 흥미로운 부분입니다. 조사와 연구를 통해 아카이브에 맥락을 부여하는 역사학의 역할과 아카이브와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깊이 생각해볼 수 있는 발표였습니다. 〈제2회 소장자료 정리와 서비스 사례발표회〉는 서...
재난민 박일환 씨의 서울 안암동 재건주택 정착 이야기
Переглядів 246Рік тому
서울기록원은 ⌜소장기록 정리・기술 사업⌟을 통해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 분들과 협업을 하고 있습니다. 본 영상 콘텐츠는 UN아카이브에서 발굴한 6.25전쟁 전후의 사진들을 바탕으로 재난민 박일환 씨의 안암동 재건주택 정착 과정을 재구성한 결과물입니다. 귀한 자료를 제공해주시고, 영상의 내용을 기획하여주신 전갑생(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연구원님께 감사드립니다.
2018년 서울옛길 홍보영상_서울특별시 역사도심재생과
Переглядів 466Рік тому
해당 영상은 2018년 서울특별시 역사도심재생과에서 수행한 ⌜서울옛길 영상기록화⌟ 사업의 성과를 담아 제작되었습니다. 역사도심재생과에서는 2014년부터 서울옛길에 대한 영상기록화 용역과 사진집, 책자 발간을 추진해왔습니다. 역사도심재생과는 부서개편으로 명칭이 바뀌었지만, 서울기록원은 서울옛길 기록화 결과물들을 잘 정리하여 순차적으로 서비스할 예정입니다.
안암동 재건주택 입주자 박일환 씨 이야기
Переглядів 111Рік тому
국제연합 아카이브(United Nations Archives)에서 발굴한 사진기록을 바탕으로 재난민 박일환 씨가 안암동 재건주택에 정착하기까지의 과정을 영상으로 재구성하였습니다.
ZERO WASTE(「2022년 서울기록화 사업」 다큐멘터리 아카이빙 영상)
Переглядів 353Рік тому
서울기록원은 「2022년 서울기록화 사업」을 통해 '쓰레기'와 '재활용'을 주제로 서울기록을 수집했습니다. 유형의 기록 수집과 함께, 물리적으로 수집하기 어려운 기억과 기록을 모으기 위하여 인터뷰, 공간 기록화 등을 통한 다큐멘터리 영상 제작도 함께 하고 있습니다. 본 영상을 통해 서울기록원이 '제로웨이스트(Zero Waste)'를 주제로 기록한 서울의 모습을 만나보시길 바랍니다. [시놉시스] ‘제로웨이스트’는 말 그대로 버리는 것이 없는, 쓰레기가 없다는 의미이다. 그렇다고 자본주의의 부산물인 쓰레기를 아예 없앤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이야기이다. ‘제로웨이스트’를 추구하는 이들은 일회용품의 사용을 줄이고 재활용이 가능한 소재로 대체함으로써 쓰레기의 배출량 감소를 추구하고 있다. 이를 MZ세대들...
2022년 서울기록원 기록물 영인본 제작과정
Переглядів 749Рік тому
2022년 진행된 기록물(도면) 5점에 대한 영인본 제작 과정을 영상으로 제작하였습니다. 5점의 도면은 1970년대 고시되었던 서울 외곽 개발제한구역을 잘 보여주는 서울기록원의 중요 소장 기록물로, 2021년 복원처리가 완료되어 2022년 영인본으로 제작하였습니다. 제작된 5점의 영인본은 이후 기록원 전시 등을 통해 활용될 예정입니다. 영상을 통해 영인본 제작 과정을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00:00 인트로 00:04 영인본이란 00:23 서울기록원 영인본 제작대상 00:48 제작과정 - 00:57 실측 - 01:07 장비설치 - 01:13 조명조절 - 01:20 노출설정 - 01:24 렌즈 초점 설정 - 01:29 모니터 색상 조정 - 01:34 사진촬영 - 02:09 색상보정 - 02:46 인쇄용지 ...
「서울기록원의 카탈로깅 전략」, 서울기록원 임태원 〈제1회 소장자료 정리·기술 사례발표회〉
Переглядів 3542 роки тому
지난 8월 18일에 개최한 〈제1회 소장자료 정리·기술 사례발표회〉 발표 영상을 게재합니다. 본 영상은 서울기록원의 기록 정리·기술 담당자의 발표로 서울기록원이 소장기록에 질서를 부여하는 기준과 기술하는 방식, 전거레코드와 시소러스를 활용한 조직화와 온라인 서비스 전략에 대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제1회 소장자료 정리·기술 사례발표회〉는 아카이브 뿐만 아니라 도서관, 미술관, 영상자료원 등 다양한 문화기관이 소장한 자료들을 어떻게 정리하고 기술하는지 서로 공유하는 자리였습니다. 이번 발표회는 국립중앙도서관, 국립현대미술관, 한국영상자료원의 사례를 확인할 수 있었던 소중한 기회였습니다. 내년 제2회 소장자료 정리·기술 사례발표회도 기대해주시기 바랍니다. . 발표자료는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
「한국영상자료원 카탈로깅」, 한국영상자료원 강현정 〈제1회 소장자료 정리·기술 사례발표회〉
Переглядів 1822 роки тому
지난 8월 18일에 개최한 〈제1회 소장자료 정리·기술 사례발표회〉 발표 영상을 게재합니다. 본 영상은 한국영상자료원 수집카탈로깅팀 강현정님의 발표로 한국영상자료원이 소장하고 있는 다양한 비필름자료의 유형과 카탈로깅 절차, 기술요소로써 메타데이터 스키마 등 영상기록과 관련 기록들의 정리·기술에 대한 상세한 프로세스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제1회 소장자료 정리·기술 사례발표회〉는 아카이브 뿐만 아니라 도서관, 미술관, 영상자료원 등 다양한 문화기관이 소장한 자료들을 어떻게 정리하고 기술하는지 서로 공유하는 자리였습니다. 이번 발표회는 국립중앙도서관, 국립현대미술관, 한국영상자료원의 사례를 확인할 수 있었던 소중한 기회였습니다. 내년 제2회 소장자료 정리·기술 사례발표회도 기대해주시기 바랍니다. . 발...
「국립현대미술관의 아카이브 카탈로깅」, 국립현대미술관 이현영, 〈제1회 소장자료 정리·기술 사례발표회〉
Переглядів 2822 роки тому
「국립현대미술관의 아카이브 카탈로깅」, 국립현대미술관 이현영, 〈제1회 소장자료 정리·기술 사례발표회〉
「도서관 자원의 정리·기술과 서비스」, 국립중앙도서관 최윤경, 〈제1회 소장자료 정리·기술 사례발표회〉
Переглядів 3802 роки тому
「도서관 자원의 정리·기술과 서비스」, 국립중앙도서관 최윤경, 〈제1회 소장자료 정리·기술 사례발표회〉
서울을 기록하는 사람들 Ep.04 「청계천을지로보존연대」
Переглядів 7172 роки тому
서울을 기록하는 사람들 Ep.04 「청계천을지로보존연대」
[서울기록원 인터뷰 시리즈] 시즌3. 티저(teaser)
Переглядів 1072 роки тому
[서울기록원 인터뷰 시리즈] 시즌3. 티저(teaser)
개포주공아파트 종이모형 제작 튜토리얼
Переглядів 2682 роки тому
개포주공아파트 종이모형 제작 튜토리얼
[서울시 기록 영상] 서울의 골목길 (시즌2) 39회
Переглядів 4932 роки тому
[서울시 기록 영상] 서울의 골목길 (시즌2) 39회
[서울시 기록 영상] 서울의 골목길 (시즌2) 27회
Переглядів 1582 роки тому
[서울시 기록 영상] 서울의 골목길 (시즌2) 27회
[서울시 기록 영상] 역사기행 서울의 재발견 15회
Переглядів 2022 роки тому
[서울시 기록 영상] 역사기행 서울의 재발견 15회
[서울시 기록 영상] 서울의 골목길 (시즌2) 11회
Переглядів 1392 роки тому
[서울시 기록 영상] 서울의 골목길 (시즌2) 11회
[서울시 기록 영상] 서울의 골목길 (시즌2) 33회
Переглядів 1312 роки тому
[서울시 기록 영상] 서울의 골목길 (시즌2) 33회
[서울시 기록 영상] 서울의 골목길 (시즌2) 37회
Переглядів 542 роки тому
[서울시 기록 영상] 서울의 골목길 (시즌2) 37회
[서울시 기록 영상] 서울의 골목길 (시즌2) 14회
Переглядів 732 роки тому
[서울시 기록 영상] 서울의 골목길 (시즌2) 14회
[서울시 기록 영상] 서울의 골목길 (시즌2) 16회
Переглядів 802 роки тому
[서울시 기록 영상] 서울의 골목길 (시즌2) 16회
[서울시 기록 영상] 서울의 골목길 (시즌2) 13회
Переглядів 612 роки тому
[서울시 기록 영상] 서울의 골목길 (시즌2) 13회

КОМЕНТАРІ

  • @CCXR1166
    @CCXR1166 10 днів тому

    좋은취지였는데 당시도 개판이였고 지금도 개판....물론 분리수거 잘하시는분들도 많은데.....여전히 분리수거 안되는곳 많쵸!!!

  • @사과에몽
    @사과에몽 15 днів тому

    일반도로에 저런거 깔면 민폐임 전용도로에 깔던가 해야지

  • @이-t2u
    @이-t2u 18 днів тому

    저땐 서울에 전라도놈들 아예 찍소리도 못허고살땐데 그립다 ㅠ

  • @ddudun
    @ddudun Місяць тому

    오. 한분 한분 찾아봐야겠어요. 서울수집가님 일년전에 뵈었는데 영상에서 보니 반가워요

  • @리레조아
    @리레조아 Місяць тому

    8:44 마스크 ㅋㅋㅋㅋㅋㅋㅋ

  • @정후니-f7g
    @정후니-f7g Місяць тому

    나 2살때네

  • @농부-c5k
    @농부-c5k 2 місяці тому

    공부 잘 했습니다. 영인본과 사진촬영하여 프린팅하는 것이 서로 다른 것일까요? 사진 찍어 프린팅한 것도 영인본이라 할 수 있는지요?

  • @dynamo3590
    @dynamo3590 3 місяці тому

    ua-cam.com/video/At-zVLoAVrQ/v-deo.htmlsi=ztEEIEtgqS7_90xN 💢 💢 💀💀 💢 💢

  • @Good-day0103
    @Good-day0103 3 місяці тому

    현재 저 키트를 구할 수는 없을까요..?

  • @지구미순간
    @지구미순간 3 місяці тому

    제복에 간선마크 간지네요 ㄷㄷ

  • @뿌잉뿌잉-t8c
    @뿌잉뿌잉-t8c 3 місяці тому

    이렇게 발전되게 했는데도 좌파껏들은 대한민국은 저절로 잘살껀데 이지랄들 미친것들같어

  • @비만붕어
    @비만붕어 3 місяці тому

    브리핑하는사람 김정은+김호중 닮았다

  • @존김-g6s
    @존김-g6s 3 місяці тому

    1985년은 내 군대 일병.상병 시절 지금도 기억 납니다. 1985년 1월 1일 일조점호때 상념 '아 내년 1986년도는 제대 하는 구나 하는 생각 그러나 아직도 군대생활 20개월 이상 남았던 싯점'

  • @NO동요
    @NO동요 3 місяці тому

    지금은 세종에서 볼 수 있습니다.

  • @꿈과모험빵집동산
    @꿈과모험빵집동산 4 місяці тому

    5호선 때문에 들어온 사람🖐

  • @standby_gram
    @standby_gram 4 місяці тому

    내레이션 누구인가요?

  • @hyunseungyoon3568
    @hyunseungyoon3568 4 місяці тому

    옛날 사람들의 노고를 지금 젊은이들도 알어야 된다.

  • @ahnv1988
    @ahnv1988 4 місяці тому

    이베코 굴절버스... 여름엔 찜통에 경사진곳 올라갈때 빌빌거렸지..

  • @jackyun594
    @jackyun594 4 місяці тому

    대한민국이 이때 redesign 한거네,,,

  • @Skyblue_cake
    @Skyblue_cake 4 місяці тому

    저도 아주 어릴때 탔던기억이있네요 ㅋㅋㅋㅋ 저기 굴절된 부분 안에가 밖에선 볼땐 위태로워보였는데 ㅋㅋㅋ 막상타보니 자연스러워서 놀랐어요

  • @심태홍-o1d
    @심태홍-o1d 4 місяці тому

    타임머신을 타고 6학년때로 돌아간 느낌^^ 체계적인 계획이 오늘의 서울을 만들었군요. 어릴땐 몰랐습니다.^^

    • @윤셔와민셔
      @윤셔와민셔 4 місяці тому

      저때 6학년ㄷㄷ 아니 대체 연세가? ㅎㄷㄷㄷ

  • @fuuk-xs5wd
    @fuuk-xs5wd 5 місяців тому

    6:09 오세훈시장님이ㄷㄷ

  • @nightflier9377
    @nightflier9377 5 місяців тому

    군사 쿠데타로 집권한 독재정권의 민중 대상 프로파간다 영상.

  • @윤슬-w4h8v
    @윤슬-w4h8v 5 місяців тому

    서울애들은 햇빛 못 받아서 피부가 하얗고 물도 끓여 마신다는 얘기가 떠돌던.. 그래서 신기했던 지방에 살던 당시의 나...

  • @정영식-p9l
    @정영식-p9l 5 місяців тому

    서울 지하철 5호선이 개통된지 얼아안된 시기.

  • @정영식-p9l
    @정영식-p9l 5 місяців тому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1차분 전동차가 당시 현역이던 시절

  • @MapleBera.
    @MapleBera. 6 місяців тому

    명박이가 잘한건 많지 청계천 복원사업이랑 환승제도랑 국가장학금 자전거 도로 깐것도 잘함 문화편의시설을 잘 만들었지

  • @user-gr3kv7nw8e
    @user-gr3kv7nw8e 6 місяців тому

    2006년이 엊그제같은데 벌써 18년전... 그래도 저때 나름 살기좋았지

  • @하니-l8m
    @하니-l8m 6 місяців тому

    77년이면 군대 갈 무렵인데...언젠가는 가스가 폭 발 할것 같은 ,,땅밑에 전부 유독가스..저 동내만 가면 케케한 냄새,,가스냄새등 비닐 타는 냄새..지나 다니질못 햇다..

  • @한포기_5290
    @한포기_5290 7 місяців тому

    대단한 작업이네요. 좋은 자료 영인본 제작 많이 부탁드립니다.

  • @hazelnut3794
    @hazelnut3794 7 місяців тому

    601 605 650 651 653 654 672

    • @태훈-p7s
      @태훈-p7s 5 місяців тому

      굴절버스 교차로 승용차 사고많이나서 맞지않음요

  • @유하선-j1d
    @유하선-j1d 7 місяців тому

    1997년대 서울 뉴스시간입니다.

  • @lilsionvlogs
    @lilsionvlogs 7 місяців тому

    7:30 멀리서 들으니 도쿄메트로 전자경적 같네요

  • @하이요-g4b
    @하이요-g4b 8 місяців тому

    너가 올림픽 대교 헬기로 조형물 올리라고 시켰다가 헬기에 탄 조종사들 3명 다 죽게 만들었냐??

  • @seungho5k
    @seungho5k 8 місяців тому

    좋은 인터뷰 감사합니다

  • @turbo-s9178
    @turbo-s9178 8 місяців тому

    여담이지만, 굴절버스를 캠핑카로 만들어 타고 다니면 어떨까라는 생각이 마구 들더군요.

  • @star-bu7rh
    @star-bu7rh 8 місяців тому

    굴절버스 운전기사놈 말하는거임

    • @태훈-p7s
      @태훈-p7s 5 місяців тому

      도로폭좁고 맞지않아서 요즘 볼수없다

  • @star-bu7rh
    @star-bu7rh 8 місяців тому

    차선바꾸면서 운전와리가리 하는거봐 진짜 ㅈ같이 운전처하네

  • @면봉-u4d
    @면봉-u4d 9 місяців тому

    내가 79살때네 저때 옆집 할망구랑 바람많이 폈지.......

  • @shinyunho7477
    @shinyunho7477 9 місяців тому

    이때만 해도 대한항공에 B747-400이 참 많았죠 김포/인천공항 가면은 제일 많이 보였던 대형기이기도 하죠

  • @오마뉘반배홈
    @오마뉘반배홈 9 місяців тому

    이명박 다시 대통령 했으면 좋겠구만😂😂😂

    • @이상원-m9n
      @이상원-m9n 6 днів тому

      서울시장까지는 인정한다 케도 대통령 땐 꽝 그 자체임

  • @통키-d5b
    @통키-d5b 9 місяців тому

    오른쪽길이 삼일고가빠지는거고 남산터널로 이어졌고, 중앙길이 청계고가 진입로. 동대문거쳐 답십리까지 갔죠

    • @act840229
      @act840229 3 місяці тому

      답십리라기보단 신답역(용두동/답십리동경계선)이 맞죠 답십리는 한블럭 더 들어가야하며 더가면 장안동입니다.27년정도를(1987~2013 )전농동 답십리에서 살아봐서 잘 압니다

    • @훈-y1e
      @훈-y1e 3 місяці тому

      @@act840229 신답에서 답십리 얼마나 된다고 ㅎㅎ

  • @Erickoon-v1o
    @Erickoon-v1o 9 місяців тому

    아.. .저당시 햇빛 그 분위기 낭만적인 도시들 모든게그립네 아련하다...

    • @sd5032user
      @sd5032user Місяць тому

      정말 그립고 좋았던 시절 이었죠

  • @mr.jedmccaleb2882
    @mr.jedmccaleb2882 9 місяців тому

    전두환 대통령님😊

  • @queengod5802
    @queengod5802 9 місяців тому

    하 ㅆ ㅣ 이 벌 저때 울 할아버지가 은마 아파트랑 송파구에있는 시영아파트 죄다 샀어야헸는데 하..

  • @에클레시아-e8i
    @에클레시아-e8i 9 місяців тому

    각하를 위한 국가 였죠 남산에선 때려 죽이고

  • @Freedom-zc3lr
    @Freedom-zc3lr 10 місяців тому

    16:01 확실히 마이카 시절은 아니었네요. 대부분 버스나 택시

  • @turebestkorea
    @turebestkorea 10 місяців тому

    전두환은 그래도 나라의 미래와 서민들을 위하면서 해먹었는데 문재인 유시민 조국 송영길 이인영 임종석 등등... 운동권 카르텔들은 오직 자기 세력들이 해먹는데만 집착했죠.

  • @turebestkorea
    @turebestkorea 10 місяців тому

    전두환 정부때 중산층이 많이 늘어났었죠 사회도 이전보다 많이 자유로워 졌구요. 주사파를 빼고 많이 그리운 시절이죠.

  • @bright_green142
    @bright_green142 10 місяців тому

    잼있게 봤습니다. 거의 40년전의 당시 서울의 미래 청사진... 한국전쟁으로 초토화된지 30년후에 이런 기적을 이룩한건 국민들과 지도자등 많은이들의 땀과 눈물로 이룩했을겁니다. 자랑스럽네요!!!!

    • @호두구속
      @호두구속 10 місяців тому

      미국

    • @dynamo3590
      @dynamo3590 3 місяці тому

      ​@@호두구속😎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