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fe Science
Life Science
  • 35
  • 41 233
식물의 방어작용
1. 물리적인 방어 : 큐티클층
2. 화학적 방어 : 2차대사 산물
- 타닌 : 페놀중합체
- 코타인, 니코틴, 카페인 : 질소화합물
- 재스몬산 : 식물성 호르몬
3. 특이적면역반응
- 유전자대 유전자 저항성
- 엘리시터(리간드) / R단백질(수용체)
- 과민반응 : 파이토알렉신, PR단백질, 익스텐신 + 리그닌, 과산화수소 세포사멸
- 전신성획득반응 : 살리실산
Переглядів: 78

Відео

면역 반응의 이용
Переглядів 383 місяці тому
1. 백신의 원리 2. 단일클론 항체 생성 원리 3. 면역항암제(B세포 - CD20)
면역 기능 이상 질환
Переглядів 553 місяці тому
1. 자가면역질환 2. 과민성면역반응 3. 선천성 면역 결핍, 후천성 면역 결핍(HIV) 4. 면역 항암법
특이적면역반응
Переглядів 733 місяці тому
1. 체액성면역 2. 세포성면역 - FasL 세포자살 메커니즘 4. B세포 수용체 다양성 - 체성재조합 -접합부다양성 -대립유전자 배제 -개별형전환 -체성과변이
비특이적 방어작용
Переглядів 493 місяці тому
1. 물리적, 화학적 방어 2. TLR 3. 보체, 항미생물펩타이드 4. 염증반응
병원체와 림프구
Переглядів 594 місяці тому
1. 병원체: 인체에 감염을 일으키는 미생물로, 주로 바이러스, 세균, 곰팡이, 기생충 등이 포함됩니다. 이들은 인체의 세포에 침투하여 질병을 유발합니다 . 2. 세포독성 T세포 (Cytotoxic T Cells, CD8 T Cells): 감염된 세포나 암세포를 직접 공격하여 파괴합니다. 3. 보조 T세포 (Helper T Cells, CD4 T Cells): 면역 반응을 조절하고 다른 면역 세포(예: B세포, 대식세포)의 활성화를 돕습니다. 이들은 사이토카인을 분비하여 면역 반응을 조절합니다. 4. 조절 T세포 (Regulatory T Cells): 면역 반응을 억제하여 자가면역 반응을 방지하고 면역 체계의 균형을 유지합니다. 5. 기억 T세포 (Memory T Cells): 이전에 감염된 병원체에 ...
파이토크롬의 광주기성, 개화
Переглядів 994 місяці тому
파이토크롬과 플로리겐의 상관관계 신호 전달: 파이토크롬은 빛의 신호를 감지하여 활성화된 형태(Pfr)로 변환됩니다. 이 형태는 핵으로 이동하여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고, 플로리겐의 생성을 유도합니다. 개화 유도: 플로리겐은 파이토크롬의 신호에 의해 생성되므로, 파이토크롬이 활성화되면 플로리겐의 생산이 증가하여 꽃눈 형성이 촉진됩니다. 즉, 파이토크롬이 빛의 조건을 감지하고, 그에 따라 플로리겐을 생성하여 꽃을 피우는 과정을 조절합니다.
호르몬의 작용 메커니즘
Переглядів 1114 місяці тому
1. 수용체와 결합 수용체의 역할: 호르몬은 표적 세포의 특정 수용체에 결합합니다. 이 수용체는 호르몬의 종류에 따라 다르며, 세포막에 위치하거나 세포 내에 존재할 수 있습니다 . 결합의 결과: 호르몬이 수용체에 결합하면, 세포 내에서 일련의 신호 전달 과정이 시작됩니다. 2. 신호 전달 과정 신호전달 경로: 호르몬이 수용체에 결합하면, 세포 내에서 다양한 생화학적 반응이 일어납니다. 이 과정은 일반적으로 두 가지 메커니즘으로 나뉩니다. 세포막 수용체 : 수용체가 세포막에 위치할 경우, 호르몬의 결합은 세포 내의 2차 신호전달 물질(예: cAMP, Ca²⁺ 등)을 활성화하여 세포의 반응을 유도합니다. 세포 내 수용체 : 스테로이드 호르몬과 같은 일부 호르몬은 세포 내 수용체에 결합하여 유전자 발현을 직...
골격근 세포의 흥분과 수축
Переглядів 524 місяці тому
골격근 세포의 흥분과 수축
골격근세포와 심근세포의 흥분과 수축 차이점
Переглядів 654 місяці тому
골격근세포와 심근세포의 흥분과 수축 차이점
신호전달과 조절방식
Переглядів 1224 місяці тому
신호전달과 조절방식
세포의 DNA 복제 과정
Переглядів 1,9 тис.Рік тому
고급 생명과학 p.153 ~ p155 세포의 DNA 복제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DNA 반보존적 복제
Переглядів 675Рік тому
고급생명과학 p151 ~ p152 1. DNA 복제 모형의 근거를 설명할수 있다.
유전자의 역할(1유전자 1효소설)
Переглядів 96Рік тому
유전자의 역할(1유전자 1효소설)
유전정보는 왜 DNA에 저장되는가?(핵산의 구조)
Переглядів 101Рік тому
유전정보는 왜 DNA에 저장되는가?(핵산의 구조)
형질전환과 형질도입은 무엇이 다른가?
Переглядів 995Рік тому
형질전환과 형질도입은 무엇이 다른가?
유전물질은 어떻게 규명되었나?
Переглядів 118Рік тому
유전물질은 어떻게 규명되었나?
염색체의 구성과 구조
Переглядів 123Рік тому
염색체의 구성과 구조
세포주기의 조절
Переглядів 692Рік тому
세포주기의 조절
세포분열시 염색체의 행동
Переглядів 263Рік тому
세포분열시 염색체의 행동
광학현미경을 활용한 세포크기 측정
Переглядів 4,3 тис.4 роки тому
광학현미경을 활용한 세포크기 측정
광학현미경의 원리(확대율과 분해능)
Переглядів 12 тис.4 роки тому
광학현미경의 원리(확대율과 분해능)
주사전자현미경(SEM)
Переглядів 7 тис.4 роки тому
주사전자현미경(SEM)
자몽 씨앗 발아시켜 화분에 옮겨 심기
Переглядів 3,7 тис.5 років тому
자몽 씨앗 발아시켜 화분에 옮겨 심기
모래무지\n\ngoby minnow
Переглядів 5335 років тому
모래무지 goby minnow
Cornus officinalis(산수유나무)
Переглядів 3,2 тис.6 років тому
Cornus officinalis(산수유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