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ursefriend
Nursefriend
  • 12
  • 46 417
고체온 간호진단 (feat. 감염과 관련된 고체온 간호과정)
난다(NANDA, 미국간호진단협회) 간호진단인
고체온(hyperthermia) 간호진단이 무엇인지 궁금하시거나
고체온 간호과정을 어떻게 쓰는지 알고 싶으시다면
정말 유용한 영상이에요! ❤
급성신우신염이라는 비뇨기계의 감염으로 발열이 심한
(귀여운 ❤) 가상의 환자가 등장하며,
하나의 간호과정 전체가 모두 작성되어 있어요.
간호사정부터 간호진단, 간호계획, 이론적근거, 간호수행, 간호평가까지-
꼼꼼하고 알찬 내용이어서
참고자료로 활용하기 정말 유용하답니다 :)
실제로 환자분마다 상황은 다를 수 있으니까
영상을 참고로 보시고
실제 간호과정은
꼬옥 대상자 '맞춤'으로 쓰시는 거 잊지마세요 ;)
널스프렌드 캐릭터, 귀여운 환자 캐릭터와 함께
조금이나마 즐겁게 공부하실 수 있으시길 바라는 마음으로
열심히 영상 제작하였습니다.
힘내서 더 많은, 퀄리티 높은 영상 올릴 수 있게
'구독과 좋아요'로 응원해주세요 :D
감사합니다 ❤
*널스프렌드의 블로그
nursern.tistory.com
*이 영상의 저작권은 널스프렌드에게 있습니다.
개인의 창작물을 소중히 여겨주세요.
*[고체온(hyperthermia)] 간호진단과 간호과정에 대한 질문이나 의견을 환영합니다. 단, 근거없는 비방이나 누가봐도 나쁜 말 사용! 등은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본 동영상은 [간호학] 학습용으로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하며, 전문적인 의학적 권고를 대체하지 않습니다.
*사용된 음원 출처
🎵Music provided by 브금대통령
🎵Track : 지구에는 항상 태양이 비추다 - ua-cam.com/video/lmIVoZBzPKY/v-deo.html
🎵Music provided by 브금대통령
🎵Track : 소듕해 - ua-cam.com/video/f2au5Qwkam4/v-deo.html
🎵Music provided by 브금대통령
🎵Track : Kid's Room 3 - ua-cam.com/video/vGVvDXab5Y8/v-deo.html
🎵Music provided by 브금대통령
🎵Track : Rainy day naptime - ua-cam.com/video/6gbXEKpiwfM/v-deo.html
저의 채널에 오신 여러분 항상 건강하시고 행복하시길 바라요. 감사합니다 :)
Переглядів: 8 050

Відео

비효과적 기도청결 간호진단 (feat. 과도한 기도분비물과 관련된 비효과적 기도청결 간호과정)
Переглядів 4,1 тис.Рік тому
난다(NANDA, 미국간호진단협회) 간호진단인 비효과적 기도청결(Ineffective Airway Clearance) 간호진단이 무엇인지 궁금하시거나 비효과적 기도청결 간호과정을 어떻게 쓰는지 알고 싶으시다면 정말 유용한 영상이에요! ❤ 폐렴에 걸려 기도에서 분비물이 과도하게 나오면서 기도청결이 유지되지 않는 가상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나의 간호과정 전체가 모두 작성되어 있어요. 간호사정부터 간호진단, 간호계획, 이론적근거, 간호수행, 간호평가까지- 꼼꼼하고 알찬 내용이어서 참고자료로 활용하기 정말 좋답니다 :) 실제로 환자분마다 상황은 다를 수 있으니까 영상을 참고로 보시고 실제 간호과정은 꼬옥 대상자 '맞춤'으로 쓰시는 거 잊지마세요 ;) 널스프렌드 캐릭터, 귀여운 환자 캐릭터와 함께 조금이나마 즐...
변비 간호진단 (feat. 부동과 관련된 변비 간호과정)
Переглядів 3,9 тис.Рік тому
난다(NANDA, 미국간호진단협회) 간호진단인 변비(constipation) 간호진단이 무엇인지 궁금하시거나 변비 간호과정을 어떻게 쓰는지 알고 싶으시다면 정말 유용한 영상이에요! ❤ 가상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변비 케이스로, 하나의 간호과정 전체가 모두 작성되어 있어요. 간호사정부터 간호진단, 간호계획, 이론적근거, 간호수행, 간호평가까지- 꼼꼼하고 알찬 내용이어서 참고자료로 활용하기 정말 좋답니다 :) 환자분마다 상황이 다 다르니까 영상은 참고로 보시고 실제 간호과정은 꼬옥 대상자 '맞춤'으로 쓰시는 거 잊지마세요 ;) 귀차니즘 가득한 귀여운 변비 환자 캐릭터와 함께 조금이나마 즐겁게 공부하실 수 있길 바라요! 힘내서 더 많은, 퀄리티 높은 영상 올릴 수 있게 '구독과 좋아요'로 응원해주세요 :D ...
수면양상장애 간호진단 (feat. 입원과 관련된 수면양상장애 간호과정)
Переглядів 3,7 тис.Рік тому
난다(NANDA, 미국간호진단협회) 간호진단인 수면양상장애(=수면장애, disturbed sleep pattern) 간호진단이 무엇인지 궁금하시거나 수면양상장애 간호과정을 어떻게 쓰는지 알고 싶으시다면 정말 유용한 영상이에요! ❤ 힘내서 더 많은, 퀄리티 높은 영상 올릴 수 있게 '구독과 좋아요'로 응원해주세요 :D 감사합니다 ❤ *널스프렌드의 블로그 nursern.tistory.com *이 영상의 저작권은 널스프렌드에게 있습니다. 개인의 창작물을 소중히 여겨주세요. *수면양상장애 간호진단과 간호과정에 대한 질문이나 의견을 환영합니다. 단, 근거없는 비방이나 누가봐도 나쁜 말 사용! 등은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본 동영상은 [간호학] 학습용으로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하며, 전문적인 의학적 권고...
갑상선항진증 간호진단 Nursing diagnosis for Hyperthyroidism
Переглядів 1,1 тис.Рік тому
갑상선항진증(=갑상선기능항진증) 간호진단은 어떤 것을 내리는 게 좋을지. 그리고 그 논리적인 이유에 대해 안내하는 영상입니다. 주로 간호학의 한 분야인 '간호진단'에 중점을 두고 있어서, '간호학생 & 공부하는 간호사'분들께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영상이랍니다 :) 하지만 갑상선항진증에 대해 알고싶으신 모든 분들께 분명 유용할 거예요! ❤ -갑상선항진증에 대해 학습하시는 분 -갑상선항진증 간호진단, 간호과정, 케이스스터디를 작성하거나 배우고 있으신 분 -갑상선항진증의 증상에 대해 전반적인 개념 정리가 필요하신 분 -갑상선항진증의 증상, 간호, 간호진단에 대해 잘 알고 있지만 리마인드, 생각 정리가 필요하신 분 -갑상선항진증의 간호진단에 따른 합리적 근거를 쓸 때 아이디어를 얻고 싶으신 분 -질병...
What's the difference between stroke, cerebral infarction and cerebral hemorrhage? [ENG sub]
Переглядів 5122 роки тому
뇌졸중, 뇌경색, 뇌출혈 차이점. The difference between stroke, cerebral infarction and cerebral hemorrhage.
Nursing diagnosis for Dementia [ENG sub]
Переглядів 1,6 тис.2 роки тому
치매 간호진단은 어떤 것을 내리는 게 좋을지. 그리고 그 논리적인 이유에 대해 안내하는 영상입니다. 참고로 이 영상은 '간호진단'에 중점을 두고 있어서 케이스 스터디, 간호진단, 간호과정 작성에 도움이 되며 '간호학생 & 공부하는 간호사'를 위한 영상입니다! -간호진단, 간호과정, 케이스스터디를 배우고 있는 분 -치매 간호에 대해 학습하는 분 -치매 증상에 대해 전반적인 개념 정리가 필요하신 분 -치매 증상, 치매 간호, 간호진단에 대해 잘 알고 있지만 리마인드, 생각 정리가 필요하신 분 -치매 간호진단에 따른 합리적 근거를 쓸 때 아이디어를 얻고 싶으신 분 -질병에 따른 알맞은 NANDA 간호진단에 대해 어떤 느낌인지 알고자 하는 분 -간호진단, 간호진단진술문 등을 영어로는 어떻게 말하는지 궁금하신 ...
Nursing diagnosis for pneumonia [ENG sub]
Переглядів 6 тис.3 роки тому
폐렴 간호진단 6가지와 그 이유! 케이스에 잘 쓰이는 '간호진단 진술문(~와 관련된 )' 포함했어요 :) 참고로 이 영상은 '간호진단'에 중점을 두고 있어서 케이스 스터디, 간호진단, 간호과정 작성에 도움이 되며 '간호학생 & 공부하는 간호사'를 위한 영상입니다! -간호진단, 간호과정, 케이스스터디를 배우고 있는 분 -폐렴 간호에 대해 학습하는 분 -폐렴 증상에 대해 전반적인 개념 정리가 필요하신 분 -폐렴 증상, 폐렴간호, 간호진단에 대해 잘 알고 있지만 리마인드, 생각 정리가 필요하신 분 -폐렴 간호진단에 따른 합리적 근거를 쓸 때 아이디어를 얻고 싶으신 분 -질병에 따른 알맞은 NANDA 간호진단에 대해 어떤 느낌인지 알고자 하는 분 -간호진단, 간호진단진술문 등을 영어로는 어떻게 말하는지 궁금하...
우리 몸의 세포, 조직, 기관, 기관계 cell, tissue, organ and organ system in the human body
Переглядів 8 тис.4 роки тому
세포는 우리 몸에서 기능하는 가장 작은 구성단위입니다. 세포로 시작해서 여러 종류의 조직을 이루고, 조직이 기관이 되고, 기관이 모여 기관계가 되며 이 모든 기관계가 합쳐져 조화를 이루어 한 개체, 인간이 되는 것입니다 ^ ^ 신기한 우리 몸의 구성 한입 사이즈의 영상으로 알아보아요! The cell is the smallest component and the basic functional unit of human body. It starts with cells, cells form different kinds of tissues, tissues become an organ, organs become an organ system, and all of these systems are combined to...

КОМЕНТАРІ

  • @7323sunshine
    @7323sunshine 14 днів тому

    고체온과 발열은 이론적 정의 및 기전이 다른데 두 용어가 같다는것은 잘 못된거같아요. 올바른 정보 전달 부탁드립니다.

    • @nursefriend
      @nursefriend 14 днів тому

      네 의견 감사합니다. 여러 문헌에서 고체온(hyperthermia), 발열(fever)을 다르게 정의한 부분이 있죠. 원인과 기전을 고려해서 다른 의미로 용어를 나누는 이론이 있지만, 학문적으로는 그렇다고 해도 임상에서는 비슷하거나 같은 뜻으로 통용되기도 하고요. 이 영상에서는 그것과는 별개로 NANDA 간호진단의 정의에 맞추어 고체온을 풀어낸 것이고, 실제 우리가 고체온을 표현할때 다른 말로 발열이라는 단어도 존재한다는 의도였는데요. 그래도 혹시 그런 의미로 전달이 되었다면 더욱 명확히 전달이 되도록 피드백참고 하겠습니다! 제가 예전에 앞에서 질문주신 다른분께 남긴 답변이 있는데, 그걸 보시면 조금 더 이해가 될거라고 생각이 들어요. 혹시나 참고가 될까 싶어 밑에 일부 붙여넣을게요. :) *예전 질문에 대한 답변: 안녕하세요! 정말 좋은 질문이에요 :) 제가 영상을 제작하면서, 체온 정상범위와 고체온이 무엇인지를 어떻게 알려드려야 할지 고심하는 과정에서 저도 그 부분에 대해 고민을 했었는데요, 제가 내린 결론은 NANDA의 정의를 따라 그대로 받아들이고 너무 복잡하게 생각하지 말자! 였습니다 :) NANDA에서 말하는 고체온(hyperthermia)은 단지 체온이 정상 심부체온보다 높게 상승한 걸 말해요. 말씀하신 것처럼 발열(fever)이라는 간호진단이 없기도 하고요, 아마 NANDA에서는 체온 상승 기전까지 생각해서 간호진단을 나누지 않고 포괄적으로, 체온이 상승하고 열이 나는 그 자체, 그리고 그 증상에 대해서만 접근하는 것이 맞다고 결론내린 듯 합니다. 이때 간호사의 scope of practice(직무범위) 또한 고려했다고 봐요. 사실 이 용어 때문에 이렇게 애매한 경우가 많아서 고민이 많아지는데요. 참고로 비슷한 사례로, NANDA 간호진단 수면양상장애(disturbed sleep pattern)가 있어요. 수면양상장애는 수면장애라고도 부릅니다 이것은 한국어로 번역될 때 조금 달라졌을 뿐 같은 간호진단인데요. NANDA 정의는 일시적으로 외부요인에 의해 수면 시간동안 수면의 양과 질에 방해를 받으며, 이로 인해 일상생활에 불편이나 장애를 초래하는 것이죠. 그런데 여기서 '일시적으로 외부요인에 의해'라는 문구가 들어가서 특정 사례에 (입원, 환경변화)에 적용이 가능해요. NANDA에서는 수면과 관련해서 세부적으로 간호진단을 나누었기 때문에 거기에 맞춰 진단을 사용하도록 정한 거예요. 하지만 의학적으로는 그냥 '수면장애'하면 보통은 제대로 잠을 잘 수 없는 상태를 말하고 NANDA 정의보다는 더 넓은 의미로 통용되고 있답니다. 간호진단 고체온(hyperthermia)도, 미국간호진단협회(NANDA)에서 내린 그 정의가 의학적으로 통용되는 지식과 조금 차이가 있다보니까 이런 혼선이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하지만 NANDA 간호진단도 학문의 변화와 임상 환경 등 여러가지를 고려하여 개정이 계속되고 있으므로, 나중에는 정의가 바뀔 수도 있고 체온 상승에 대해 발열 기전까지 고려하여 좀더 세부적으로 접근한 간호진단이 나올 수도 있을거에요. 그치만 그런 진단이 있다해도 NANDA 간호진단에는 포괄적인 진단, 세부적인 진단, 이런식으로 다 나오는 경우도 있으니까...아마 미래에도 고체온(hyperthermia) 간호진단 자체는 크게 바뀌지 않을거라는 제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 결론적으로, 현재로써는 [고체온(hyperthermia)] 간호진단을 쓰실 때 fever, hyperthermia 모두 체온 상승 기전보다 '심부체온이 정상범위보다 상승'한 그 증상이 더 중요하며 모두 포괄적으로 사용하실 수 있다!로 답변드릴게요. 제가 공부하고 이해하여 정리한 것을 토대로 답변드렸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의견, 질문이 있으시다면 언제든지 환영합니다. 함께 공부하며 성장해요 ❤

  • @kevinkang4123
    @kevinkang4123 Місяць тому

    이 정도에요??

    • @nursefriend
      @nursefriend Місяць тому

      음..직접 본적은 없지만 산소가 고농도로 나오니까 진짜 이럴것 같아요 ㅎㅎ 😂

  • @OooO-n4n4h
    @OooO-n4n4h 2 місяці тому

    선생님..! 너무나도 도움이 되는 영상 감사드립니다!! 폐렴을 대상자로 잡았는데 궁금한 점이 있어서 댓글 남깁니다! 제가 간호진단 두가지를 가지고 간호 과정을 세워야 하는 상황입니다. 1. 비효과적 기도청결, 비효과적 호흡양상 2. 비효과적 기도청결, 가스교환장애 이 두 가지 중 하나로 하고싶은데 완벽하게 구분할 자신도 없고 간호 사정과 계획이 비슷한게 많아서 많은 부분이 겹칠 것 같아 고민이 됩니다.. 이럴 때는 영상에서 나온 진단처럼 과도한 분비물 및 기도환기 저하와 관련된 가스교환장애를 진단으로 내려 원인(과도한 분비물)과 관련된 간호 + 진단(가스교환장애)과 관련된 간호 이 두 가지 간호를 모두 합해서 간호 계획으로 세우는 것이 가능할까요? 이렇게 하면 기도청결과 관련된 간호와 호흡과 관련된 간호 모두 적을 수 있을 것 같아서요.. 가능한가요? 아 혹시 폐렴 환자에게 영양불균형 진단을 내리는 것이 우선순위를 내릴때 상위권에 위치하는지도 궁금합니다!

    • @nursefriend
      @nursefriend Місяць тому

      안녕하세요 방금 댓글을 봤어요. 공부하시느라 수고가 많으셔요. 질문에 대한 답변 드립니다. 1. ‘원인(과도한 분비물)과 관련된 간호 + 진단(가스교환장애)과 관련된 간호‘이 두 가지 간호를 모두 합해서 간호 계획으로 세우는 것이 가능할까? 🤔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네 가능합니다 :) 간호진단 진술문의 서술 방식은 흔히 ‘A와 관련된 B’ 이런 스타일인데 이 경우 A와 B에 대한 간호중재가 모두 간호과정에 들어간다고 생각하시면 돼요! 그리고 호흡 관련 간호진단이 여러 개여서 조금 아리송할 수 있는데 어디에 초점을 맞추느냐에 따라 조금씩 달라져요. 보통은 이미 산소포화도가 떨어지고 저산소증 증상이 있다고 한다면 간호진단 자체는 ‘가스교환장애’로 하시면 무방합니다. 제가 예전에 호흡기계 관련 간호진단 3개를 비교해서 블로그에 포스팅한 적이 있는데 참고로 보실 수 있도록 링크 남겨놓을게요 :) nursern.tistory.com/54 2. 폐렴 환자에게 영양불균형 진단을 내리는 것이 우선순위를 내릴때 상위권에 위치하는지? 💫 ‘영양불균형’은 [매슬로우(Maslow)의 욕구 5단계 이론(Maslow's hierarchy of needs)]에서 [1단계: 생리적 욕구(Physiological Needs)]에 해당하는 간호진단이므로 상위권에 위치할 가능성이 높아요. 그렇지만 보통 산소, 수분과 영양, 배설, 체온조절- 순으로 그 안에서도 우선순위가 세부적으로 나뉘기 때문에 저산소증이 있다면 호흡기계 관련 간호진단이 1순위가 되고 그 다음으로 오는 것이 적합합니다. 또 이렇게 이론적인 구분이 있긴 하지만 대상자 상태와 응급적인 정도에 따라 우선순위가 조정될 수도 있다는 것도 염두에 두시면 좋아요. 그래도 케이스 스터디쓸때는 보통 이론적인 부분을 익히기 위해 과제를 쓰는 것이니까...별다른 특이점이 없다면‘가스교환장애’다음으로 ‘영양불균형’이 오도록 하시면 대부분 적절할 것으로 보이네요 :) 제가 그동안 공부하며 정리한 것을 토대로 최대한 이해가 잘 되면서도 자세하게 알려드리려고 노력했는데,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라요! :) 화이팅입니다 ❤

    • @OooO-n4n4h
      @OooO-n4n4h Місяць тому

      @ 답변 너무너무 감사드려요..🥺💕 덕분에 케이스를 쓸 때 너무나도 도움이 많이 됐어요!! 감사합니다!!

  • @이옥이할매
    @이옥이할매 2 місяці тому

    너무많은 도움 되었습니다

  • @BIGLONG544
    @BIGLONG544 2 місяці тому

    산소 호흡기에 쓰이는 산소에 불이 붙은거 같음

  • @Dyddls
    @Dyddls 2 місяці тому

    ❤ 감사합니다 도움이되요~

  • @Dyddls
    @Dyddls 2 місяці тому

    감사합니다~

  • @현정강-n1t
    @현정강-n1t 2 місяці тому

    최고예요 ❤ 간호대 학생입니다.....구독 좋아요 알림설정

  • @이순실-n5o
    @이순실-n5o 5 місяців тому

    또박또박 목소리가 명확한 전달을 하시네요.

  • @kevinkang4123
    @kevinkang4123 5 місяців тому

    누나 영상 왜 안올리유~ 건강보다 영상이 먼저유

    • @nursefriend
      @nursefriend 5 місяців тому

      앗 내가 깜빡했네요 ㅎㅎ 그쳐 영상이 젤 우선인데 ㅋㅋ 리마인드 고마워요 🤣 어서 다시 작업해야겠당..👩‍💻💬 ㅋㅋ

  • @이예진-f6s
    @이예진-f6s 7 місяців тому

    선생님 왜 보통 불안 다음에 지식부족이 되나요? 메슬로우 욕구에 불안,지식부족이 각각 어느부분에 해당되는지 궁금합니다

    • @이예진-f6s
      @이예진-f6s 7 місяців тому

      익숙하지 않은 병원환경과 관련된 불안,자궁외 수정란 착상과 관련된 지식부족입니다.

    • @nursefriend
      @nursefriend 7 місяців тому

      안녕하세요. 반가워요 :) 간호진단 불안(Anxiety), 지식부족(Deficient knowledge)은 매슬로우의 욕구 단계 중에서 「안전과 안정의 욕구(Safety and Security Needs)」에 속합니다. 이 두 간호진단은 욕구 단계에서 같은 레벨에 속하지만, ‘지식부족’에 앞서 ‘불안’이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간주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물론 이 ‘지식부족’의 관련 요인과 대상자의 전반적인 상황을 고려했을 때 지식부족 상태가 대상자에게 실제로 상해를 입히거나 치명적인 결과로 이어질 수 있는 것이라면, 당연히 ‘불안’보다 ‘지식부족’이 우선시 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어요. 그렇지만 보편적으로는 ‘불안’이 우선순위가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는 불안은 개인이 자신의 안전이나 안정성을 위협받고 있다고 느낄 때 발생하며, 신체적 안전뿐만 아니라 정서적 안정과 관련이 있기 때문이에요. 불안 상태에서는 개인이 자신의 환경을 통제하고 보호받고 있음을 느끼기 어렵기 때문에, 이 욕구가 충족되지 않은 상태라고 볼 수 있죠. 이렇게 ‘불안’이 환자의 즉각적인 안전과 안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초기에 조절되지 않은 불안은 심한 불안으로 이어질 수 있고 이는 심박수 증가, 호흡 곤란, 혈압 상승 등 생리적인 반응을 유발할 수 있답니다. 드물지만 심각한 경우에는 불안으로 인해 공황발작, 심장 문제 등 추가적인 건강 문제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는 환자의 전반적인 안위와 건강 상태를 악화시킬 수 있어요. 또한 심한 불안 상태에서는 집중력과 같은 인지 능력이 일시적으로 감소하므로 교육을 통해 지식을 습득하고 복잡한 정보를 이해하는 것이 어려울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불안을 먼저 완화시킴으로써 환자가 보다 안정된 상태에서 지식 습득과 이해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해서 더욱 효과적인 정보전달이 가능해지죠. 그래서 불안한 감정을 먼저 안정시키는 것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답니다.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어요! 편안하고 즐거운 하루하루 보내시길 바랄께요 :) 감사합니다.

    • @nursefriend
      @nursefriend 7 місяців тому

      익숙하지 않은 병원환경과 관련된 불안, 자궁외 수정란 착상과 관련된 지식부족. 이 두가지 간호진단 진술문으로 유추하면 '자궁외 임신'으로 입원한 대상자의 케이스인 것 같아요. 제가 대상자의 정확한 상태를 알지는 못하지만 아마 이 경우에도 불안-지식부족 순으로 우선순위를 세우시면 될 듯 합니다. 우선순위 이유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린 댓글을 참고해주시고, 제가 다시 간단히 정리해볼게요. 1. 불안: 즉각적인 안정과, 치료의 원활함을 위해 우선적으로 불안을 완화시키는 중재 제공. (아, 그리고 제 생각에는 '자궁외임신' 이라는 것 자체가 아마도 정상적인 임신을 원했던 여성에게는 예측하지 못했던 일이고 더 불안한 상황일 수 있어서, 이러한 감정적 부분이 더 강조될 것 같아요) 2. 지식부족: 불안이 완화된 상태에서 대상자에게 자궁외 임신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여 치료 및 장기적인 건강 관리를 도모. 하나만 더 추가적으로 말씀드리면, 사실 '지식부족' 자체가 '불안'을 유발하기도 하므로, 정보제공이 '불안'의 간호계획에 들어가기도 해요. 이렇게 간호진단을 내려 진술문을 서술하고 우선순위를 세우는 것이 간호에 대한 학습, 학문적인 연습으로써 매우 중요하지만, 실제 임상에서는 여러 가지 간호진단과 중재가 동시다발적으로 적용되고 이루어진답니다. 또한 대상자의 상태와 반응에 따라 우선순위가 유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고 그때 그때 유연한 대처로 대상자의 복합적인 요구를 충족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불안이 급격히 증가하면 즉각적인 중재가 필요할 수 있으며, 반면에 불안이 심하지 않고 어느정도 안정된 상태라면 교육과 정보 제공에 더 집중해서 그 자체로 불안을 완화하도록 돕거나 또는 불안, 지식부족의 간호중재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답니다. 그래서 지금 하시는 학업 과정은 그 단계로 가는 충분한 연습을 하기 위함이니, 이러한 학문적인 부분에 더무 큰 부담갖지 않으시길 바라며, 제 생각에는 충분히 잘 하고 계시는 것 같아요 :) 결론적으로, 이론적인 접근으로는 이 사례에 1. 불안, 2. 지식부족 순으로 우선순위 세우시고 간호과정 쓰시면 충분할 것으로 보입니다. 안심하시고 그렇게 진행하시면 될 것 같다는 것이 저의 생각이에요 :) 부디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요. 이렇게 열심히 배워가시는 모습이 멋져요- 응원하겠습니다 :) 화이팅!

  • @이예진-f6s
    @이예진-f6s 7 місяців тому

    선생님 왜 보통 불안 다음에 지식부족이 되나요? 메슬로우 욕구에 불안,지식부족이 각각 어느부분에 해당되는지 궁금합니다

    • @nursefriend
      @nursefriend 7 місяців тому

      안녕하세요. 반가워요 :) 간호진단 불안(Anxiety), 지식부족(Deficient knowledge)은 매슬로우의 욕구 단계 중에서 「안전과 안정의 욕구(Safety and Security Needs)」에 속합니다. 이 두 간호진단은 욕구 단계에서 같은 레벨에 속하지만, ‘지식부족’에 앞서 ‘불안’이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간주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물론 이 ‘지식부족’의 관련 요인과 대상자의 전반적인 상황을 고려했을 때 지식부족 상태가 대상자에게 실제로 상해를 입히거나 치명적인 결과로 이어질 수 있는 것이라면, 당연히 ‘불안’보다 ‘지식부족’이 우선시 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어요. 그렇지만 보편적으로는 ‘불안’이 우선순위가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는 불안은 개인이 자신의 안전이나 안정성을 위협받고 있다고 느낄 때 발생하며, 신체적 안전뿐만 아니라 정서적 안정과 관련이 있기 때문이에요. 불안 상태에서는 개인이 자신의 환경을 통제하고 보호받고 있음을 느끼기 어렵기 때문에, 이 욕구가 충족되지 않은 상태라고 볼 수 있죠. 이렇게 ‘불안’이 환자의 즉각적인 안전과 안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초기에 조절되지 않은 불안은 심한 불안으로 이어질 수 있고 이는 심박수 증가, 호흡 곤란, 혈압 상승 등 생리적인 반응을 유발할 수 있답니다. 드물지만 심각한 경우에는 불안으로 인해 공황발작, 심장 문제 등 추가적인 건강 문제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는 환자의 전반적인 안위와 건강 상태를 악화시킬 수 있어요. 또한 심한 불안 상태에서는 집중력과 같은 인지 능력이 일시적으로 감소하므로 교육을 통해 지식을 습득하고 복잡한 정보를 이해하는 것이 어려울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불안을 먼저 완화시킴으로써 환자가 보다 안정된 상태에서 지식 습득과 이해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해서 더욱 효과적인 정보전달이 가능해지죠. 그래서 불안한 감정을 먼저 안정시키는 것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답니다.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어요! 편안하고 즐거운 하루하루 보내시길 바랄께요 :) 감사합니다.

  • @trainboy2020
    @trainboy2020 8 місяців тому

    이건 좀 😂😂😂😂😂😂

  • @알콜
    @알콜 8 місяців тому

    ㅋㅋㅋㅋㅋㅋ 당황스럽네

  • @SuPer_Hak-K
    @SuPer_Hak-K 8 місяців тому

    금연중인데..고마워요!

  • @뿌링뿌잉
    @뿌링뿌잉 8 місяців тому

    댓이왜 없냥

  • @dumbjokeinkorea
    @dumbjokeinkorea 8 місяців тому

    와우 고컬 설명 ㅋㅋㅋ

    • @nursefriend
      @nursefriend 8 місяців тому

      앗 칭찬 감사합니다!!! :)

  • @minsaeng_
    @minsaeng_ 9 місяців тому

    선생님. . 간호진단 우선순위를 매기는 데 어려움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폐암 진단을 받으신 노인 대상자이시고 저는 1. 폐 기능 저하와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양상 2. 폐 기능 저하, 전신 허약감과 관련된 활동 지속성 장애 3. 어지러움, 무릎 통증과 관련된 낙상 위험성 진단을 내렸습니다. 일단 제일 궁금한 것은 활동 지속성 장애가 매슬로우 욕구 단계 이론에서 생리적 욕구에 해당하는지입니다… 저는 생리적 욕구에 해당한다고 생각해서 우선순위가 위에 적은 대로 1-2-3이 아닐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1번 문제가 개선이 되면 2번 문제도 개선될 것 같고, 3번은 잠재적인 문제이면서 낙상 위험도 평가를 했을 때 저위험군이셔서 순위가 가장 낮다고 생각했습니다. . 그치만 노인이셔서 낙상이 발생하면 상당히 위험하실 것이라고 생각하면 2번보다 우선이 되어야 할 것 같기도 하고. . 너무 어렵습니다…. 답변 남겨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nursefriend
      @nursefriend 9 місяців тому

      안녕하세요. 네 맞아요 우선순위 내리는 거 어렵죠 ㅠㅠ 많이 고민하셨던 모습이 보이는 것 같아요.🥺 말씀해주신대로 제 생각도 같습니다. 그리고 우선순위도 잘 내리셨어요! 아마 저라도 비효과적호흡양상-활동지속성장애-낙상위험성 이 순서로 우선순위를 내릴 것 같아요. 그리고 활동 지속성 장애는 말씀하신대로 생리적 욕구에 해당하는 것이 맞습니다 :) 생리적 욕구는 산소, 수분과 영양,상태, 배설, 체온조절, 성, 이동, 휴식, 안위 등과 관련되어 있는데 ‘활동 지속성 장애’는 쉽게 말해서 ‘일상 생활’을 하기 힘든 거거든요. 그러니까 [폐 기능 저하, 전신 허약감과 관련된 활동 지속성 장애]라고 한다면 ‘산소’,‘이동’과도 관련되어 있고, 기본적으로 일상 생활이 힘드니까 셀프 케어 등 여러 면에서 영향을 주기 때문에 생리적 욕구에 해당합니다. 제 생각에도 대상자가 낙상 저 위험군이기도 하고 매슬로우 욕구이론에서 2번째인 ‘안전과 안정의 욕구’에 해당하는 낙상 위험성은 그 다음으로 오면 좋을 것 같아요. 저의 채널 구독해주시구, 질문 주셔서 감사합니다. 덕분에 저도 우선순위에 대해 생각해볼 기회가 되어 좋은 공부가 되었어요! 저의 답변이 고민 해결에 도움이 되길 바랄께요! 🙂

    • @minsaeng_
      @minsaeng_ 9 місяців тому

      @@nursefriend 선생님 정말 감사드립니다.. 활동 지속성 장애 진단은 찾아봐도 설명이 잘 안 나와서 많이 답답했는데 자세히 알려주셔서 개운합니다. . . 선생님 덕분에 힘이 나요..!! 행복한 주말 보내시고 항상 건강하시길 바랍니다!!

  • @이혜원-c7o
    @이혜원-c7o 9 місяців тому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 @nursefriend
      @nursefriend 9 місяців тому

      감사합니다! 저의 영상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요 🥰

  • @Kim-vh1fd
    @Kim-vh1fd 9 місяців тому

    선생님 이해잘가게 잘가르치십니다.감사합니다. 성인간호도 많이 올려주세요... 더러워서 선생님이 가르치면 이해가 잘갈것같아요.

    • @nursefriend
      @nursefriend 9 місяців тому

      공부하시는데 스트레스 받으시는 것 같아요🥺 힘내시고 관심 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더 유용한 영상 업로드할게요 😘

  • @메이플이득충
    @메이플이득충 9 місяців тому

    ㅋㅋㅋㅋㅋㅋㅋ

    • @nursefriend
      @nursefriend 9 місяців тому

      😂😂😂ㅋㅋㅋ❤

  • @이순실-n5o
    @이순실-n5o 9 місяців тому

    술 아~~~~ 간 때문에 너를 떠난댜 ~~ㅋㅋㅋ

    • @nursefriend
      @nursefriend 9 місяців тому

      화이팅입니다!! 🥰🥳

  • @루애플
    @루애플 9 місяців тому

    간이 귀엽네요

    • @nursefriend
      @nursefriend 9 місяців тому

      감사합니댜 😊❤

  • @간호남학생
    @간호남학생 10 місяців тому

    안녕하세요 ! 간호학생입니다 ! 간호과정을 처음 하는 과정에 영상이 너무 저에게 도움이되어 구독하게되었습니다 ! 간호과정 과제에 활용하고싶은데 참고문헌을 알수있을까요 ?!! .

    • @nursefriend
      @nursefriend 10 місяців тому

      안녕하세요! 제 영상을 시청해주시고, 구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제 영상을 보시고 도움 받으셨다니 너무 좋구요, 따뜻한 말씀이 영상 제작에 큰 원동력이 됩니다! 힘내서 좋은 영상 꾸준히 업로드할게요 💖 제가 참고한 자료들입니다. -NURSING DIAGNOSES Definitions and Classification. Twelfth Edition. 2021-2023. NANDA international -Pneumonia Pathology(2023).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StatPearls. University of Pennsylvania. Vardhmaan Jain, Rishik Vashisht, Gizem Yilmaz, Abhishek Bhardwaj -산소치료의 최신 업데이트(2019). 대한내과학회.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조영재 -지역사회획득 폐렴(2010). 가정의학회지 제31권 제7호.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원장원 -호흡재활(2016). 대한의사협회지 제59권 제9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재활의학교실, 희귀난치성 신경근육병 재활연구소, 강남세브란스병원 호흡재활센터. 강성웅 -임상간호사의 호흡기계 환자 간호 경험(2023). 한국간호연구학회지 제7권 제3호. 서울여자간호대학교, 부교수. 김혜원 -이현주 외(2023). 현문사. 기본간호학Ⅰ. 현문사 -간호사연구소. 간호사교육연구센터(2022). 간호 알고리즘 1. 포널스 -김향숙 외(2018). 호흡기계 환자간호. 대한간호협회 -성미혜 외(2019). 근거기반간호 간호과정. 수문사 -서울대학교 간호본부(2018).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Meg Gulanick 저, 박은영 역(2019).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 @신하은-l2x
    @신하은-l2x 10 місяців тому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발열은 시상하부 체온설정치가 올라가면서 체온이 올라가는 것이고 고체온증은 발열점은 정상이지만 열생산이 많아서 체온이 울라가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근대 발열도 간호진단을 작성할 때 고체온이라고 해도 되는건가용 ??? 난다 간호진단에 발열이 없어서 질문드려요 !

    • @nursefriend
      @nursefriend 10 місяців тому

      안녕하세요! 네 맞습니다. 정말 좋은 질문이에요 :) 제가 영상을 제작하면서, 체온 정상범위와 고체온이 무엇인지를 어떻게 알려드려야 할지 고심하는 과정에서 저도 그 부분에 대해 고민을 했었는데요, 제가 내린 결론은 NANDA의 정의를 따라 그대로 받아들이고 너무 복잡하게 생각하지 말자! 였습니다 :) NANDA에서 말하는 고체온(hyperthermia)은 단지 체온이 정상 심부체온보다 높게 상승한 걸 말해요. 말씀하신 것처럼 발열(fever)이라는 간호진단이 없기도 하고요, 아마 NANDA에서는 체온 상승 기전까지 생각해서 간호진단을 나누지 않고 포괄적으로, 체온이 상승하고 열이 나는 그 자체, 그리고 그 증상에 대해서만 접근하는 것이 맞다고 결론내린 듯 합니다. 이때 간호사의 scope of practice(직무범위) 또한 고려했다고 봐요. 사실 이 용어 때문에 이렇게 애매한 경우가 많아서 고민이 많아지는데요. 참고로 비슷한 사례로, NANDA 간호진단 수면양상장애(disturbed sleep pattern)가 있어요. 수면양상장애는 수면장애라고도 부릅니다 이것은 한국어로 번역될 때 조금 달라졌을 뿐 같은 간호진단인데요. NANDA 정의는 일시적으로 외부요인에 의해 수면 시간동안 수면의 양과 질에 방해를 받으며, 이로 인해 일상생활에 불편이나 장애를 초래하는 것이죠. 그런데 여기서 '일시적으로 외부요인에 의해'라는 문구가 들어가서 특정 사례에 (입원, 환경변화)에 적용이 가능해요. NANDA에서는 수면과 관련해서 세부적으로 간호진단을 나누었기 때문에 거기에 맞춰 진단을 사용하도록 정한 거예요. 하지만 의학적으로는 그냥 '수면장애'하면 보통은 제대로 잠을 잘 수 없는 상태를 말하고 NANDA 정의보다는 더 넓은 의미로 통용되고 있답니다. 간호진단 고체온(hyperthermia)도, 미국간호진단협회(NANDA)에서 내린 그 정의가 의학적으로 통용되는 지식과 조금 차이가 있다보니까 이런 혼선이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하지만 NANDA 간호진단도 학문의 변화와 임상 환경 등 여러가지를 고려하여 개정이 계속되고 있으므로, 나중에는 정의가 바뀔 수도 있고 체온 상승에 대해 발열 기전까지 고려하여 좀더 세부적으로 접근한 간호진단이 나올 수도 있을거에요. 그치만 그런 진단이 있다해도 NANDA 간호진단에는 포괄적인 진단, 세부적인 진단, 이런식으로 다 나오는 경우도 있으니까...아마 미래에도 고체온(hyperthermia) 간호진단 자체는 크게 바뀌지 않을거라는 제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 결론적으로, 현재로써는 [고체온(hyperthermia)] 간호진단을 쓰실 때 fever, hyperthermia 모두 체온 상승 기전보다 '심부체온이 정상범위보다 상승'한 그 증상이 더 중요하며 모두 포괄적으로 사용하실 수 있다!로 답변드릴게요. 제가 공부하고 이해하여 정리한 것을 토대로 답변드렸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의견, 질문이 있으시다면 언제든지 환영합니다. 함께 공부하며 성장해요 ❤

  • @summer-nj7vg
    @summer-nj7vg 10 місяців тому

    너무 좋은 자료에여!!! 감사합니다

    • @nursefriend
      @nursefriend 10 місяців тому

      제 영상을 시청해주시고 좋아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

  • @minsaeng_
    @minsaeng_ 10 місяців тому

    대상자가 미숙아이고 호흡부전 진단받은 아기인데 일시적으로 SpO2가 감소할 때가 있고 특히 수유 시에 감소가 있는데요. 수유할 때 숨을 잘 안 쉬고 수유를 멈추면 그때 숨을 몰아쉬는 모습이 관찰됐습니다… 이런 경우에도 비효과적 호흡양상이라는 진단을 내려도 되는 건지 궁금합니다.. lab 검사 결과에서 추가적인 유의미한 자료는 없고 SpO2 저하밖에 없는데 이 진단을 내려도 괜찮은 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ㅠㅠ 답변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nursefriend
      @nursefriend 10 місяців тому

      안녕하세요 :) 공부하시느라 수고가 많으세요- 네! 간호진단을 잘 내리신 듯 해요 :) ‘비효과적 호흡양상’의 NANDA 정의는 ‘Inspiration and/or expiration that does not provide adequate ventilation’이며 ‘들숨(흡기)이나 날숨(호기)으로 충분한 환기를 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미숙아의 호흡부전의 경우 폐가 충분히 발달하지 않아 발생하는데, 호흡이 불규칙하고 느리거나, 무호흡이었다가 몰아쉬는 등 불안정한 호흡양상이 관찰될 수 있어요. '수유 시 숨을 잘 안쉰다', '숨을 몰아쉰다', 이러한 특성이 두드러진다면 호흡기계와 관련된 간호진단 중에서 비효과적 호흡양상이 가장 알맞은 걸로 보입니다 :) 일시적으로 SpO2가 감소하는 것도 비효과적 호흡양상과 관련된 징후이므로 '객관적 자료'에 넣어주시면 됩니다! 참고로 제가 예전에 호흡기계와 관련된 간호진단 3개- 차이점에 대해 정리해놓은 블로그 포스팅이 있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아 링크 남겨놓을게요- nursern.tistory.com/54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minsaeng_
      @minsaeng_ 10 місяців тому

      @@nursefriend 자세하게 설명해 주셔서 정말정말 감사합니다!! 제대로 한 게 맞는지 몰라서 걱정 가득이었는데 덕분에 안심이 됩니다.. 간호과정 관련해서 좋은 영상도 올려주셔서 도움이 많이 됐습니다! 링크 남겨주신 글도 잘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두식두식66
    @두식두식66 11 місяців тому

    간호학과학생인데 영상에 너무 쉽게 잘 정리 되어 있어서 재밌게 잘 봤습니다!! 생리학 관련 다른 설명 영상도 많이 올려주세요ㅠㅠ

    • @nursefriend
      @nursefriend 10 місяців тому

      감사합니다! 도움도 되고 영상 재밌게 보셨다니 넘 뿌듯하네요😲😊💖 네 그렇게 해볼게요. 그리고 열심히 공부하시는 모습이 멋져요 응원하겠습니다. 🥰

    • @nursefriend
      @nursefriend 10 місяців тому

      그리고 간호학 공부에 도움되는 다른 영상도 앞으로 계속 업로드 될거에요 💡📚📓자주 놀러오셔요 🧡

  • @메리다-n7z
    @메리다-n7z 11 місяців тому

    1.염증과 관련된 고체온 2. 과도한 분비물을 배출하디 못하는것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청결 3. 연령과 관련된 낙상 위험성 4,차료과정에 대한 불충분한 정보 및 경험의 부재와 관련된 부모의 지식부족 아동간호학 실습중인데, 우선순위를 정확하 못 정해서 혹시 조언 부탁드려도 될까요?ㅠㅠ

    • @nursefriend
      @nursefriend 11 місяців тому

      안녕하세요 :) 간호진단의 우선순위는 대개 '매슬로우(Maslow)의 욕구 5단계 이론 (Maslow's hierarchy of needs)'을 근거로 순위를 정하는 것이 보편적이랍니다. (기관이나 과목, 학교에 따라 긴급도, 대상자 요구도, 중재의 효과가 얼마나 있을지 등 몇몇 항목에서 점수를 매겨서 더하는 방식으로 하는 경우 등 살짝 다를 수 있으므로 양식을 잘 확인해주세요) 4개의 간호진단을 매슬로우의 욕구 5단계 이론으로 구분하면, -1단계: 생리적 욕구(Physiological Needs)에 해당하는 간호진단은 비효율적 기도청결, 고체온 -2단계: 안전과 안정의 욕구(Safety and Security Needs)에 해당하는 간호진단은 낙상위험성, 지식부족 이렇게 나눌 수 있어요! 여기서 생리적 욕구가 안전과 안정의 욕구보다 우선순위가 높습니다. 그리고 생리적 욕구인 비효율적 기도청결, 고체온 2개 중에서는 호흡과 관련된 비효율적기도청결은 호흡과 직결되어 생명유지에 더 영향을 준다고 간주하므로, 고체온보다 우선순위가 높습니다. (하지만 우선순위는 상태의 심각도, 대상자에게 미칠 잠재적 영향의 크기 등도 고려한다는 것 유의해주세요- 만약 아주 높은 고열이 있고 아동에게 열성경련이 있다거나, 기도청결 문제 자체는 많이 심각하지 않다면 실제로는 체온 조절이 우선시 될 수도 있답니다) 그리고 진단명이 '~위험성'으로 끝날 경우 잠재적 문제를 의미하므로 보통 우선순위에서 뒤로 밀려나게 되는데, 그래서 '안전과 안정의 욕구'에 속하는 간호진단은 지식부족, 낙상위험성 순으로 우선순위가 됩니다. 그래서 우선 순위는- 1. 비효율적 기도청결 2. 고체온 3. 지식부족 4. 낙상위험성 일단 이론적으로는 이렇게 순위를 정해볼 수 있겠네요 :) 하지만- 일반적으로 실제적 문제가 잠재적인 문제('~위험성'으로 끝나는 간호진단)보다 우선시된다고 해도, 환자의 취약성과 잠재적인 문제가 발생했을 때 건강에 미칠 영향과 회복에 미치는 심각도에 따라 잠재적 문제가 더 우선시될 수도 있답니다. 말이 조금 어렵죠? 음...그러니까, 아직 일어나지 않은 일이지만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일은, 지금 현재 실제로 있는 문제보다는 덜 중요한데- 그렇다고 해도, 실제로 있는 문제가 크게 심각하지 않거나 좀더 뒤로 미뤄도 된다면, 그리고 미래에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일이 정말 실제로 발생했을 때! 이게 환자에게 치명적이거나 큰 문제가 될 수 있다면 '잠재적' 문제라도 우선순위가 더 높다고 생각할 수 있다는 말이에요. 그래서 제 생각에는, 아동의 연령이 어려 낙상 위험도가 높고, 실제로 낙상이 발생한다면 신체적 손상 초래 등 큰 문제로 이어질 수 있어서- 낙상 예방 중재를 먼저 시행하고, 그 다음 부모에게 질병과 치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맞는 경우일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됩니다. 그래서 우선 순위는- 1. 비효율적 기도청결 2. 고체온 3. 낙상위험성 4. 지식부족 이 순으로 추천 드릴게요! :) 제가 그동안 공부하며 정리한 것을 토대로 최대한 이해가 되면서도 자세하게 알려드리려고 노력했는데, 저의 답변이 도움된다면 정말 좋겠어요! :) 열심히 공부하시는 모습 멋져요- 화이팅입니다 ❤

    • @메리다-n7z
      @메리다-n7z 11 місяців тому

      이제 댓글을 봤네요🥲 이렇게 길고, 친절하게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영상도 너무 유익하고, 너무 좋은 내용이에요!!💘 구독할수밖에 없는 채널인것 같아요 좋은 주말 보내세요 🍀🍀

    • @nursefriend
      @nursefriend 11 місяців тому

      @@메리다-n7z 친절하고 따뜻한 댓글이 제 마음에 큰 격려가 됩니다 ☺💕힘내서 더 유익하고 퀄리티 높은 영상 계속계속 업로드 하겠습니닷! 💪넘 감사해요! 즐겁고 행복한 하루하루 보내세요 🙆‍♀💖

  • @hyungdayjun2427
    @hyungdayjun2427 Рік тому

    🤭👏👏👏👏👏👏👏

    • @nursefriend
      @nursefriend 9 місяців тому

      🤓👍👍👍👍👍👍👍

  • @jhjh2701
    @jhjh2701 Рік тому

    감사합니다❤

  • @jhjh2701
    @jhjh2701 Рік тому

    감사합니다.

    • @nursefriend
      @nursefriend Рік тому

      저도 감사합니다 :) 공부하시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해요! 그리구 매일매일 꿀잠 주무세요 ❤

  • @이예진-f6s
    @이예진-f6s Рік тому

    기도 내 분비물 증가와 관련된 비효과적 기도청결 장기목표를 세워보았는데 1.대상자는 퇴원시까지 분비물이 완화될 것이다 2. 대상자는 퇴원시까지 분비물이 정상이고 기도청결도 증진되어 정상적인 호흡을 할 수 있다 2개 중에 뭐가 괜찮은가요?

    • @nursefriend
      @nursefriend Рік тому

      안녕하세요! 반가워요 :) 음..장기목표 두개 다 퇴원시까지-로 기간을 잡으셨고, '기도 내 분비물 증가와 관련된 비효과적 기도청결' 이라는 진술문에 맞게, 목표를 '분비물 제거'와 '기도청결'에 중점을 둔 부분_ 잘 하신 것 같습니다 :) 만약 제게 두개 중에서 고르라고 한다면 저는 2번을 고르겠습니다. 왜냐하면 궁극적인 목적인 '정상적 호흡'이 들어가 있고, '완화'보다는 '정상, 완치, 치유'에 가까우면서, 좀더 환자의 상태를 머릿속에 떠올리기 쉬운 디테일한 문장이기 때문인데요. 다만 아쉬운 점이 있다면 간호목표를 세울 때 지켜야 하는 규칙?이랄까요 그 점에서 조금만 알려드리고 싶어요 :) 일단..1개의 간호목표에는 1가지 목표를 써주셔야 한답니다. 그래서 장기목표 2번에는 '대상자의 기도분비물이 정상'인 것과, '정상적인 호흡' 이 2가지가 들어가 있는데 물론 그 2가지가 연관된 내용임은 분명하지만 그 부분을 나누어 2개의 목표로 해 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그리고- 간호목표는 객관적으로 측정 가능하게 세워야 해요. 사실 그것이 기본이긴 한데, 종종 애매해서 이 '측정' 가능하게 쓴다는 것이 어려울 때가 많답니다. ;_; 환자가 편안하게 숨쉬고, 기도 분비물이 줄어든다는 건 딱 봐도 알수 있을 것 같은데, 이걸 어떻게 객관적 측정이 가능하게 서술할까? 막연한 생각이 들 수 있는데요. 제 생각에는 '분비물이 정상, 기도 청결 유지'가 되고 있다는 점을 나타내는 검사나, 징후, 환자의 표현 등을 목표 설정 시에 활용해주시면 좋겠어요. 예를 들어- 퇴원 전까지 대상자가 호흡이 편안하다고 말한다. 퇴원 전까지 대상자 흉부청진 시 정상 호흡음이 청진된다. 이런 식으로요. 이때 간호과정에서 간호사정 부분- 객관적 자료에- 대상자가 호흡곤란을 호소하는 부분, 흉부청진 시 호흡음이 비정상인 데이터를 꼭 넣어주세요- 그래야 이 부분이 개선되는 것이 장기목표이다- 라는 논리 정연한 간호과정이 될거에요 :) 사실..... 지금 '비효과적 기도청결' 영상 제작 중인데, 제가 실제로 저렇게 장기목표를 세웠답니다 :-) ㅎㅎ그래서 이건 약간 스포? 비밀? 같은 거지만 다 알려드렸어요!ㅋㅋ 다음 '비효과적 기도청결' 영상은 12월 안으로 업로드할 예정이에요. 행복하고 따스한 연말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아요 구독 부탁드립니다 :) 감사합니다 ❤

  • @이예진-f6s
    @이예진-f6s Рік тому

    1. 기도 내 분비물 증가와 관련된 비효과적 기도청결 2. 폐 염증과 관련된 고체온 3.잦은 기침, 고열과 관련된 불안 4.익숙지 않은 환경과 관련된 아동 낙상의 위험 5.치료방법에 대한 지식부족과 관련된 부모 역할 장애 우선 순위 조언 부탁드립니다

    • @이예진-f6s
      @이예진-f6s Рік тому

      간호진단을 처음배워 혼자서 우선순위를 매기기가 정말 막막했는데 정말 감사합니다 ㅠ 특히 매슬로우 욕구5단계 이론으로 판단되는 지는 처음 알았어요 예시를 들어 적용해주시고 쉽고 자세하고 설명해드려서 정말 감사합니다ㅠㅠ 🥹

    • @이예진-f6s
      @이예진-f6s Рік тому

      @@nursefriend 선생님 제가 케이스 진단이 처음인지라 아직 부족한 점이 많아 한 가지 더 여쭤봅니다 ㅠ 대장암케이스이구요 1.수술과 관련된 급성통증 2.소화흡수장애와 관련된 영양불균형 3.수술과 관련된 출혈의 위험 우선 3개다 생리적 욕구에 해당되는 것같고 ~위험은 보통 나중에 해당되니까 출혈의 위험은 마지막인것 같고 급성 통증과 영양불균형 중에 생명에 관한 것이 더 위급하니까 급성통증이 1순위이고 영양불균형이 2순위 따라서 급성통증-영양불균형-출혈의 위험 이것이 맞을까요?

    • @nursefriend
      @nursefriend Рік тому

      네! 우선순위를 잘 선정하신 것 같아요 :) 조금만 더 자세히 설명드리면.. 장기적으로 봤을 때는 통증완화보다는 영양공급이 생존과 더 관련이 있으므로(계속 굶으면 사망에 이를 수 있어서요), 원래 이론적으로는 영양불균형이 첫번째가 됩니다. 하지만 임상에서 대장암 수술 후 당장 영양이 부족해서 응급으로 생명에 지장이 가지는 않겠지요? :) 수술 후에는 심한 통증이 있으므로 통증 조절이 단기간에 해결해줘야 하는 가장 시급한 문제여서 영양불균형 문제가 위급하지 않다면 주로 급성통증이 첫번째가 되어요. 제가 공부하여 아는 것을 토대로 정성껏 답변드렸는데 도움이 된다면 좋겠습니다. 언제든지 또 질문주세요- 응원할게요 :D 화이팅!

    • @nursefriend
      @nursefriend 11 місяців тому

      비효과적기도청결, 고체온, 불안, 낙상의위험, 부모역할장애 이 다섯가지 간호진단 우선순위에 대한 질문에- 제가 남긴 답글이 실수로 지워져버렸습니다... ;_; 죄송해요.. 복구가 안된다고 합니다. 비슷하거나 같은 질문이라도 궁금하신 분은 질문 주세요! 감사합니다.

  • @은영-h9j
    @은영-h9j Рік тому

    기도 부종과 관련된 가스교환장애도ㅠ괜찮나요,,,,,, 기도 부종은 비효율적 호흡양상으로 해야하나요,,흑흑

    • @nursefriend
      @nursefriend Рік тому

      안녕하세요. 공부하시느라 수고가 많으세요 :) 대상자의 상태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네! 가스교환장애 가능합니다. 기도부종이 있다는 거는 기도가 좁아져있고 기도 환기(공기가 통하는 정도)가 감소된 상태를 말하고, 그런 상황에서는 숨쉬기가 어렵기 때문이에요. 그럼 폐포로 가는 공기가 줄어들고, 산소-이산화탄소 교환이 어려워지는데 그게 바로 가스교환장애를 의미해요. 대상자의 spo2수치가 낮고, 동맥혈가스분석검사(ABGA) 수치가 비정상이고, 저산소증의 징후가 있다면 가스교환장애 바로 쓰시면 됩니다 :) 만약 기도부종이 심해 wheezing sound들리고 숨을 많이 헐떡인다거나 그런 증상에 비효율적호흡양상 쓰실 수 있는데...이런 호흡기계 문제에서 대개 다 저산소증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가스교환장애 쓰시고 싶다면 대개 큰 무리는 없을 거에요! 다시 정리하면- 가스교환장애의 포인트는 폐포의 (산소-이산화탄소)가스교환 문제이므로, 기도부종이 있는 상태에서 이로 인해 호흡곤란이 있고 SPO2, ABGA 수치 비정상, 저산소증 증상이 있다면 무조건 가스교환장애 간호진단 가능합니다 :) 참고로 제가 예전에 호흡기계와 관련된 간호진단 3개- 차이점에 대해 정리해놓은 블로그 포스팅이 있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아 링크 남겨놓을게요- nursern.tistory.com/54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또 궁금한 거 있으시면 언제든지 질문주세요! 화이팅입니다! :)

    • @은영-h9j
      @은영-h9j Рік тому

      @@nursefriend 너무 친절하게 써주셔서 감동이에요,,,ㅠㅠㅠ 저번에 정신 간호 케이스 때도 수면장애 영상 많이 참고 했었는데 ,,, 감사합니다 ㅜ^ㅜ😃❤️❣️

    • @nursefriend
      @nursefriend Рік тому

      도움이 돼서 정말 기쁘네요! :D 수면양상장애 영상도 유용하게 보셨다니 넘넘 힘이나요 🥹앞으로 다른 간호진단 영상도 열심히 업로드할게요! 감사합니다 🩷

  • @hyk-y1j
    @hyk-y1j Рік тому

    1번진단 단기목표와 장기목표는 뭘 해야할까요?ㅠㅠ

    • @nursefriend
      @nursefriend Рік тому

      안녕하세요 :) 공부하시느라 수고가 많으세요- 치매의 경우 인지 기능이 손상된 정도와 자가간호를 얼마나 수행할 수 있는지... 그 결핍 정도 등 대상자 상태에 따라 장, 단기 목표도 다양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간호목표는 현실적으로 달성 가능하게 세워야 한답니다. 그런데 치매는 나아지지 않는 ‘비가역적’ 질환이어서, 인지 기능 저하로 현재 스스로 못 하는 것을 간호목표에 ‘대상자는 5일 안에 ~~을 도움 없이 스스로 수행한다. ’ 이런 식으로 넣기도 어렵고요. (치매라고 해도 단순한 내용을 구체적이고 반복적으로 교육하는 것은 교육내용의 이해를 도울 수도 있다고도 하니까, 아예 나아지지 못한다고 백 퍼센트 단정은 지을 수 없겠지만.. 보편적으로 현재 하지 못하게 된 것을 잘 하게 되기는 어렵답니다. 치매는 말기로 가면서 점점 더 독립적인 일상생활이 불가능하게 되고요.) 그래서 간호목표 세우기가 좀 더 까다롭게 느껴질 수 있을 거예요. 목표는 케이스마다 따라 다르겠지만, 이러한 치매 환자의 이런 특성을 고려해서 치매에 가능할 만한 단기, 장기 목표의 예를 몇 가지 들어볼게요. 예를 들어 단기 목표는 대략 이렇게 나올 수 있습니다. 1일 이내에 대상자의 입에서 구취가 나지 않는다. 2일 이내에 일차 간호 제공자(또는 보호자)는 대상자의 일상생활에 도움을 제공해야 하는 부분에 대해 말할 수 있다. (위생 관리를 거부한다면) 3일 이내에 대상자는 샤워를 거부하지 않고 협조한다. 3일 이내에 일차 간호 제공자(또는 보호자)는 대상자의 양치질과 샤워를 보조할 수 있다. 4일 이내에 대상자는 1회 이상 머리를 감는다. (실금이 있다면) 5일 이내에 매일 일차 간호 제공자(또는 보호자)와 함께 규칙적으로 화장실에 가는 용변 습관을 형성한다. (식사를 잘 못하는 상황이라면) 5일 동안 매일 배식된 식사의 2/3 이상을 섭취한다. ->그러니까 대상자가 일단 협조하고, 주변에서 대상자 상태를 이해하고 잘 보조해 주고, 대상자는 위생, 옷 입기, 식사, 화장실 사용 등의 일상생활 기능을 잘 유지하면서, 가능하다면 호전되는 것이 목표가 될 수 있습니다. 장기 목표는- 보통 입원하고 금방 퇴원하는 급성질환은 ‘입원기간동안’ ,‘퇴원 전까지’로 많이 쓰는데, 치매는 거의 다 장기 입원 케이스여서 원래 장기 목표의 기간인 1달 이상으로 설정할 수 있어요. (하지만 이것도 실습은 대부분 한군데서 2주 정도니까... 케이스스터디 쓰실때는 1달로 잡아놓고 ‘1달 후 평가 예정 or 미정 or 진행중’ 이런식으로 하시면 되겠죠?) 자가간호결핍에서 현재 갖고 있는 일상생활 기능을 최대한 유지하는 게 중요하고, 그리고 이 기능 유지는 인지 능력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어요. 그런데 간호평가에서는 평가 시 추상적이거나 애매하지 않고 ‘측정 가능하게’ 하는 게 정석이기 때문에, 무조건 이 일상생활평가와 인지능력을 검사하는 ‘척도의 수치’를 써주면 아주 좋아요. :) (이 ‘측정’ 가능하게 간호목표를 세우는 게 어떨땐 너무 어려운데, 척도 검사를 써주면 바로 해결 된답니다!) 그래서 간호 사정-객관적 자료를 쓸 때 일단 먼저, 일상생활능력(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평가 척도 점수가 얼마이다, 치매의 심각도를 평가하는 K-MMSE 척도 점수가 얼마이다,라는 것 명시해 주고요. 장기목표에, 1달 이후 대상자의 일상생활능력(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평가 척도 [한국판 수정바델지수(K-MBI)] 검사상 ~점으로 일상생활능력이 현재와 동일하거나 호전된 결과이다. 1달 이후 한국판 간이정신상태 (K-MMSE) 검사상 인지 기능이 ~점으로 현재와 동일하거나 호전된 결과이다. 이런 식으로 작성할 수 있을 것 같아요. 그 외에도 기간을 오래 잡아야 하는 특별한 문제가 있다면 따로 장기목표를 세울 수 있겠죠? 제가 그동안 공부하면서 정리한 것을 토대로 답변드렸는데, 어디까지나 참고로 봐주시고 저도 더 알게되는 것이 있다면 또 알려 드릴게요 :) 혹시 다른 의견이 있는 분이 있거나 질문 있으시다면 함께 공부하면서 의견 나눠보면 좋을 것 같아요. 댓글 환영해요! :-) 이만 줄일게요- 제 답변이 도움이 되었음 좋겠습니다 ♥

    • @hyk-y1j
      @hyk-y1j Рік тому

      @@nursefriend 이렇게 길게 적어주시다니 너무 감동입니다 ㅠㅠ 많은 도움이 됐어요! 감사합니다 복받으세용🩷

  • @권영혜-x1r
    @권영혜-x1r Рік тому

    간호과정 쉬운것 같아도 애매해서 정확히 구분해서 쓰기 어려웠는데 도움이 많이 됩니다.

  • @루애플
    @루애플 Рік тому

    영상잘봤어요 ❤

  • @jeannykim950
    @jeannykim950 Рік тому

    외국에서 학교를 다니고 있는데 영어와 한국어로 같이 설명을 해주시니깐 정말 편리하네요:) 이거보고 시험 화이팅할게요!

    • @루루-l6c
      @루루-l6c 4 місяці тому

      오 저도 영어로도 써주시니깐 번역 안해도 되서 편해요!!!

  • @루애플
    @루애플 Рік тому

    막히면 뇌경색 터지면 뇌출혈! 쏙쏙들어와요

  • @이순실-n5o
    @이순실-n5o Рік тому

    구독추가임다.

  • @승호강-f9i
    @승호강-f9i Рік тому

    너무너무 쉽게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nursefriend
      @nursefriend 10 місяців тому

      이해가 쉬우셨다니 정말 다행이에요 댓글 감사합니다 ❤

  • @이순실-n5o
    @이순실-n5o Рік тому

    목소리가 또박또박해서 이해가 잘가네요 ~~~

  • @aa603pp
    @aa603pp 2 роки тому

    설명도 그림도 너뮤깔끔해요 !

  • @함께건강농장
    @함께건강농장 2 роки тому

    치유농업사공부하다 찾아왔는데 설명을 너무 잘해주시네요 감사합니다

  • @mimi-ez2xe
    @mimi-ez2xe 2 роки тому

    공부하다가 이해가안됐었는데 그림보고 ㅜㅠㅠ힐링했어요 너무귀엽다

    • @nursefriend
      @nursefriend 2 роки тому

      감사합니다..! 그동안 영상을 잘 안올렸는데..뭔가 뿌듯하구 큰 힘이 됐어요 🥰 맞아요 공부 어렵죠 ㅠ 잘하고 있어요- 화이팅! 😘

  • @짹짹누누
    @짹짹누누 2 роки тому

    Wow 발음이 현지인 같네요 마이크 음질도 좋아지고 설명도 머리에 쏙쏙 들어와요 👍

  • @Sonny-s4j
    @Sonny-s4j 3 роки тому

    😊😊

  • @moolbangool
    @moolbangool 3 роки тому

    많은 도움이 되었어요^^ 다음 영상도 올라오기를 기대합니다!

    • @nursefriend
      @nursefriend 10 місяців тому

      많은 도움이 됐다니...😳열심히 한 보람이 느껴져요~ 감사합니다. 더 많은 영상 올리겠습니다! 😺❤‍🔥

  • @대한민국-j6f
    @대한민국-j6f 3 роки тому

    선생님~^^설명이 자세하고 천천히 말씀해주셔서 듣기 편하고 좋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