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생태원 연구미디어
국립생태원 연구미디어
  • 14
  • 20 758
[국립생태원 NIE] 벌의 중요성과 수분서비스의 가치 The Importance of Bees and the Value of Pollination
오래전부터 사람들에게 가장 친숙한 곤충인 꿀벌은 인간에게 꿀과 밀랍, 프로폴리스, 로얄젤리 등을 제공하지만, 가장 중요한 기능은 화분 매개입니다.
더 자세한 연구내용은 국립생태원 연구미디어 모바일웹( seedus.net/nie_multimedia/pollination_services_01.html )을 통해 알아보실 수 있습니다.
국립생태원에서 진행하고 있는 다양한 연구들을 알리고 소통하기 위해 제작한 영상입니다. 영상을 통해, 우리와 함께 이 땅에서 살아가는 소중한 생물들과 서식지 그리고 생태연구의 중요성을 알려나가고자 합니다. [여러분의 구독과 좋아요는 영상제작에 힘이 됩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생태 미디어 공급과 보다 만족스러운 서비스 제공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Переглядів: 3 549

Відео

[국립생태원] 생태계서비스의 개념과 이해 (요약)
Переглядів 2745 років тому
자연이 인간에게 제공하는 모든 혜택을 의미합니다. 생태계서비스는 생물다양성 감소와 생태계훼손을 인류의 복지와 연관하여 경제적 수치 및 시각적으로 보여주므로, 사람들에게 자연의 중요성을 과학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도구입니다. 생태계서비스는 크게 4가지(공급서비스, 조절서비스, 문화서비스, 지지서비스)로 구분됩니다. 더 자세한 연구내용은 국립생태원 연구미디어 모바일웹( seedus.net/nie_multimedia/ecosystem_services_01.html )을 통해 알아보실 수 있습니다. 국립생태원에서 진행하고 있는 다양한 연구들을 알리고 소통하기 위해 제작한 영상입니다. 영상을 통해, 우리와 함께 이 땅에서 살아가는 소중한 생물들과 서식지 그리고 생태연구의 중요성을 알려나가고자 합니다....
[국립생태원 NIE] 검은머리물떼새 행동생태연구 / The Behavioral Ecology of the Far Eastern Oystercatcher
Переглядів 1,4 тис.5 років тому
검은머리물떼새는 개체수가 많은 유럽 아종(Haematopus ostralegus ssp. ostralegus)의 경우, 행동생태학적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으며, 개체군 보호를 위한 정보와 연구 기반이 축적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동아시아 아종(H. ostralegus ssp. osculans) 개체수가 가장 적어 멸종위기야생생물 II급으로 보호받고 있지만, 체계적인 분포조사와 생태연구 자료가 매우 부족한 실정입니다. 국립생태원은 한국에서 번식하는 검은머리물떼새의 체계적인 생태정보 데이터를 구축하기 위하여, 유부도의 부속 섬 중 서로 다른 환경적 특성을 가진 3개 지역을 선정하여 검은머리물떼새의 번식생태 조사를 수행하였습니다. 더 자세한 연구내용은 국립생태원 연구미디어 모바일웹( s...
[국립생태원]꿀벌의 경제적 가치 티저영상
Переглядів 3145 років тому
꿀벌은 꿀과 다양한 파생 제품들뿐 아니라, 식물의 수분 서비스를 통하여 생태계와 인간의 삶에 거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전 세계적으로 꿀벌의 수가 줄어들고 있으며 이것은 인류에게 큰 재앙을 가지고 올 수 있다는 연구가 발표되고 있습니다. 국립생태원에서는 꿀벌의 수분 서비스에 대한 올바른 가치 평가를 위한 연구를 진행하며 우리나라의 꿀벌이 처한 현실을 파악하고 함께 공생하는 길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본 영상은 국립생태원의 꿀벌 이야기 티저영상이며 전체 영상은 9월에 올라갈 예정입니다. 감사합니다. 국립생태원에서 진행하고 있는 다양한 연구들을 알리고 소통하기 위해 제작한 영상입니다. 영상을 통해, 우리와 함께 이 땅에서 살아가는 소중한 생물들과 서식지 그리고 생태연구의 중요성을 알려나가고자 ...
[국립생태원]장기생태연구
Переглядів 5495 років тому
장기생태연구의 중요성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와 환경교란 등으로 생태계 변화가 심화되고, 그 결과 곤충 다양성의 급격한 감소, 산림의 황폐화 등 대규모 재해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생태계의 건강성을 유지하고, 새로운 환경에 대비하고 적응하기 위해서는 환경변화에 따른 생태계의 반응을 정확히 예측해야 하지만, 지구의 환경과 생태계 변화는 오랜기간에 걸쳐 일어나므로 단편적인 생태조사를 통해서는 변화하는 방향성을 찾거나 정확히 분석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이에 주요 선진국은 과거부터 장기생태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이렇게 축적된 자료를 통해 환경 분야 정책 결정에 중요한 과학적 근거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더 자세한 연구내용은 국립생태원 연구미디어 모바일웹( seedus.net/nie_multimedia/r...
[국립생태원 NIE] 멸종위기 개리의 월동생태 연구 / Studies on Wintering Ecology of Swan Geese
Переглядів 5005 років тому
보호관리가 시급한 국제적 멸종위기종 개리 개리(Anser cygnoides)는 전 세계적으로 약 60,000여 개체가 생존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국제적 멸종위기종이며(BirdLife International, 2014), 한국에서도 멸종위기야생생물Ⅱ급, 천연기념물 제325-1호로 지정된 법적보호종입이다. 국내에는 겨울철새로 한강하구와 금강하구 일대에 도래하는데, 국내에 도래하는 개리 개체군은 러시아 아무르지역에서 번식하는 집단으로 추정되며, 최근 러시아 동부 아무르 지역과 몽골 번식지의 환경 변화와 불법적인 포획 등으로 인해 감소 추세에 있어 개체군 및 서식지 보호관리 방안이 시급합니다. 더 자세한 연구내용은 국립생태원 연구미디어 모바일웹(seedus.net/nie_multimedia/swangoose_...
[국립생태원]곤충의 공생미생물
Переглядів 8285 років тому
공생미생물의 중요성 과거 미생물은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체로 항생제로 제거해야 한다고 여겨졌으나, 최근 살아있는 숙주의 몸에는 다양한 미생물이 매우 많이 공생한다는 것이 알려졌습니다. 또한, 이들 공생미생물의 이로움이 밝혀지면서 국내외 공생미생물의 연구가 전성기를 맞고 있습니다. 특히, 1990년 이후 눈부시게 발전한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 기술은 인체에 존재하는 미생물이 약 39조 이상(인간의 세포 수는 30조 개)으로 추정하며, 이들이 인체가 만들지 못하는 비타민을 만들고, 영양소를 분해하는 것을 포함해서, 비만, 당뇨, 암질환과 정신질환까지 관여한다는 것이 밝혀지고 있습니다. 공생미생물은 음식물을 통해 외부 환경과 연결이 되는 장에 약 95% 이상 존재하여, 숙주와 공존하며 상호 작용을 통해 다양한 ...
[국립생태원 NIE] 생태계서비스의 개념과 이해 The Concept and Understanding of Ecosystem Service
Переглядів 4,5 тис.5 років тому
자연이 인간에게 제공하는 모든 혜택을 의미합니다. 생태계서비스는 생물다양성 감소와 생태계훼손을 인류의 복지와 연관하여 경제적 수치 및 시각적으로 보여주므로, 사람들에게 자연의 중요성을 과학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도구입니다. 생태계서비스는 크게 4가지(공급서비스, 조절서비스, 문화서비스, 지지서비스)로 구분됩니다. 더 자세한 연구내용은 국립생태원 연구미디어 모바일웹( seedus.net/nie_multimedia/ecosystem_services_01.html )을 통해 알아보실 수 있습니다. 국립생태원에서 진행하고 있는 다양한 연구들을 알리고 소통하기 위해 제작한 영상입니다. 영상을 통해, 우리와 함께 이 땅에서 살아가는 소중한 생물들과 서식지 그리고 생태연구의 중요성을 알려나가고자 합니다....
[국립생태원 NIE] 볼바키아연구-개미와 공생미생물의 진화 / The evolution of ants and Wolbachia
Переглядів 6726 років тому
볼바키아(Wolbachia)는 곤충에게서 발견되는 흔한 공생 박테리아입니다. 볼바키아는 약 75%의 곤충의 세포 내에 감염이 되어있으며, 최근 곤충의 암컷과 수컷의 성비를 조절한다는 것이 려졌습니다. 볼바키아는 다음 세대에 효과적으로 전파되기 위하여, 유전자만을 제공하는 수컷보다 신의 유전자와 함께 감염된 세포질을 제공하는 암컷을 선호합니다. 모기의 경우, 볼바키아에 감염된 암컷은 같은 볼바키아 박테리아에 감염된 수컷과 짝을 지어야만 수컷이 가능하며, 감염되지 않았거나, 다른 종류의 볼바키아 박테리아에 감염된 수컷과 짝짓기를 하면 알을 낳을 수도 없게 됩니다. 따라서 최근 다른 나라에서는 다른 박테리아에 감염된 수컷 모기를 방사함으로써 모기에 의해 감염되는 지카바이러스나 뎅기바이러스의 확산을 막는 생물...
[국립생태원 NIE] 박쥐연구방법 / Technological Aids for Bat Research
Переглядів 8426 років тому
박쥐는 산림생태계 내 곤충의 개체군 조절자이며, 생태계 기능이 유지되고 순환하도록 하는 역할을 합니다. 대부분의 박쥐는 서식지파괴, 기후변화와 같은 환경변화에 민감하여 보호가 필요하지만, 어둠속에서 살아가는 박쥐의 생태정보가 절대적으로 부족합니다. 국립생태원은 박쥐 연구를 통하여 박쥐가 생태계에서 어떤 역할을 하고, 생태계 유지에 어떤 기여를 하는지를 알아보고 있습니다. 더 자세한 연구내용은 국립생태원 연구미디어 모바일웹( seedus.net/nie_multimedia/bat_02.html )을 통해 알아보실 수 있습니다. 국립생태원에서 진행하고 있는 다양한 연구들을 알리고 소통하기 위해 제작한 영상입니다. 영상을 통해, 우리와 함께 이 땅에서 살아가는 소중한 생물들과 서식지 그리고 생태연구의 중요성을...
[국립생태원 NIE] 배설물연구 - 똥이 말한다 / Fecal Analysis - Poop Talk
Переглядів 7536 років тому
대부분 사람들이 떠올리는 ‘똥’은 더럽고, 불쾌한 냄새가 나는 부정적인 이미지가 많습니다. 하지만, 동물 생태 연구에서 ‘똥’은 똥의 주인이 누구인지, 어떤 유전 집단인지를 알려주며, 나아가 똥의 주인이 무엇을 먹고사는지, 건강상태는 어떤지 등 많은 생태 질문에 답해 주는 소중한 연구재료입니다. 더 자세한 연구내용은 국립생태원 연구미디어 모바일웹( seedus.net/nie_multimedia/excreta_01.html )을 통해 알아보실 수 있습니다. 국립생태원에서 진행하고 있는 다양한 연구들을 알리고 소통하기 위해 제작한 영상입니다. 영상을 통해, 우리와 함께 이 땅에서 살아가는 소중한 생물들과 서식지 그리고 생태연구의 중요성을 알려나가고자 합니다. [여러분의 구독과 좋아요는 영상제작에 힘이 됩니...
[국립생태원 NIE] 박쥐연구 - 오해와편견 / About bats - Misunderstandings and prejudices
Переглядів 2,1 тис.6 років тому
밤의 주인공 박쥐 박쥐들은 낮에는 동굴 등의 잠자리에서 움직이지 않고 휴식을 취하고, 밤이 오면 깨어나 어둠 속에서 빠르게 날아다니기 때문에 사람들의 일상생활 속에서는 쉽게 만날 수 없는 동물입니다. 하지만, 전체 포유류 중 1/4 이상을 차지하는 박쥐류는 설치류 다음으로 가장 번성한 동물로 우리나라에도 23종이 기록되어 있으며 개체수도 비교적 많은 편입니다. 하늘을 자유롭게 비행하는 유일한 포유류인 박쥐는 다양한 장소를 잠자리로 이용하지만, 대부분은 동굴이나 폐광을 잠자리로 이용하며 계절과 온도 변화에 따라 여름철 활동기와 겨울철 동면기를 가집니다. 모성애가 강한 박쥐는 1년에 1회, 한 마리씩 새끼를 낳지만, 혼자 두지 않고 품에 안고 이동하기 때문에 새끼의 생존율이 매우 높은 편입니다. 더 자세한...
[국립생태원 NIE] 도심매미연구 - 여름의 소리 vs 소음 / Urban cicada - Summer Sound or Noise
Переглядів 1,5 тис.6 років тому
여름의 도심 불청객 매미? 나무 수액만을 먹으며, 남을 해하지 않고, 오랫동안 땅속에서 인내하고 나와 강렬하고 짧은 생을 마치는 매미의 모습에 옛 선인들은 매미를 덕이 많은 곤충이라 예찬하였습니다. 또한, 매미는 시골 정취를 느끼게 해주는 정겨운 소리로 자주 표현되는 친근한 곤충이었습니다. 하지만, 최근 들어 도심지역의 매미 수가 예전보다 증가하면서 매미 소리는 소음으로 표현되기도 합니다. 시끄럽게 울어대는 소리 때문에 잠을 자기 힘들다는 민원도 발생하며, 매미는 여름의 도심 불청객으로 인식이 바뀌어 버렸습니다. 더 자세한 연구내용은 국립생태원 연구미디어 모바일웹( seedus.net/nie_multimedia/cicada_01.html )을 통해 알아보실 수 있습니다. * 시민을 대상으로 하는 매미현...
[국립생태원] 생물모방연구-생태학과 공학의 만남-도토리거위벌레
Переглядів 3 тис.6 років тому
자연에서 얻은 아이디어-생물모방 올해 4살인 조카는 아직 손가락으로 꼼꼼하게 끈을 묶을 수 없어 찍찍이 신발을 신고 다닙니다. 일명 찍찍이라고 불리는 이것은 벨크로 테이프라고 합니다. 어린이도 사용하기 쉽고 편리한 벨크로 테이프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요? 바로 도꼬마리에서 나온 것이라고 합니다. 20세기 초 한 스위스 사람이 사냥개의 털에 붙은 도꼬마리를 관찰하여 만들었다고 합니다. 꼼꼼하게 형태(모양)와 습성을 관찰하고 거기서 발전시키고, 이렇게 생물의 형태와 그 습성 혹은 생태적인 특징을 모방하여 기술로 발전시켜 사람들의 삶과 환경에 도움이 되는 분야를 생물모방이라고 합니다. 생물모방연구의 핵심은 생물학과 다른 학문의 융합입니다. 생물학과 공학이 만나는 것 외에도 기구학, 로봇학, 재료학, 그리고 생...

КОМЕНТАРІ

  • @rominyangnyang
    @rominyangnyang 5 місяців тому

    우리 현장에 알 까고 살아요..데려가세요😢

  • @air5210
    @air5210 10 місяців тому

    &@@꿀벌과 유충들이 떼죽음 당하는 이유입니다. 벑집통은... 시멘트 옹벽이나.. 시멘트 배수로,가까이 두면 안됩니다. 시멘트벽돌등으로 받침을 해서도 안됩니다. 건조된 시멘트가..아침안개나 이슬, 비가내려 젖기 시작하거나.. 눈이 내려 젖기 시작하면..시멘트내부의 방사능 라돈가스가 방출되면서... 라돈독가스에 중독된 벌들이나 유충들이 떼죽음 당합니다. ,그리고..벌통목재나.. 덮개,받침으로사용하는 목재나 합판에서 화학가스나 본드가스가 방출되도.. 벌들이 죽을수있는만큼..벌통이나 사용하는 목재나 판자는 무독성 코팅제로 코팅을 잘해야합니다. .. 벌통이 놓인 환경의 공기상태가나..습도가 좋지 못해도 벌들이 떼죽음당합니다. 벌통을 놓은 흙바닥에서도 토양라돈 방출될수 있고, 주변 바위돌에서도 라돈이 방출될수있습니다. 벌통을 너무 흙바닥과 가까이 놓지마세요. 라돈방출하는 마사토,화강암자갈 바닥에 놓지마세요. 농약치는 논밭 피하세요. 한파로 너무 추워서 벌들이 동사할수도있고요@ 구제역,돼지열병,조류독감,소바이러스도... 사육장의 실내 공기가 시멘트라돈,토양라돈에 오염되면 라돈가스 독성에 가축들 혈액이 독성화되면서... 세포를파괴하면서 발생되는 질환입니다. 사육장 내의 시멘트, 흙바닥을 잘 코팅하거나.. 바닥장판 잘 깔아서.. 라돈으로 사육장의 공기가 오염되지 않게 해야합니다. 사람사는 집도 벽체의 구멍과 미세틈에서 방출되는 시멘트라돈가스 완벽차단해야 실내공기가 오염되지 않습니다. 난치병의 원인이 시멘트라돈가스입니다. 그리고 화학가스도 잘 차단해야합니다

  • @JobbirdTV
    @JobbirdTV Рік тому

    검은머리물떼새를 좀더 자세히 알게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zk7by53msp
    @zk7by53msp Рік тому

    우연히 알게되서 이영상 찾아냈는데 캐릭터가 강하고 귀여워서 바로 좋아하게됐네요.

  • @점서구-v2k
    @점서구-v2k 2 роки тому

    검은 머리 물때세 멸종되었다 해서마음이 참아파 씀니다 국립생태연구윈 화히팅입니다 73세입니다 모두강건하세요 대한민국 💜 합니다

  • @향기소리성경말씀
    @향기소리성경말씀 2 роки тому

    ua-cam.com/video/huBbb8zA4MU/v-deo.html 꿀벌진드기에 대해 ppt로 정리하여 zoom 설명

  • @향기소리성경말씀
    @향기소리성경말씀 2 роки тому

    꿀벌진드기 제거법 모두 정리했습니다 ua-cam.com/video/xgX3DwppNVs/v-deo.html

  • @lebronjamesharden7372
    @lebronjamesharden7372 3 роки тому

    #생태계와환경

  • @kwonesteban257
    @kwonesteban257 3 роки тому

    잘 배우고 갑니다. 고맙습니다^^

  • @user-gtk850
    @user-gtk850 3 роки тому

    옛날생각이 많이난다, 수퍼앞 마루에서 매미소리들으며 아이스크림하나 먹다 친구들과 축구공하나들고 땡볕에 뛰어다녔는데,

  • @김경연-b9q
    @김경연-b9q 3 роки тому

    신기합니다...좋은 프로입니다

  • @안녕반디
    @안녕반디 4 роки тому

    화분매개 곤충이 지구에 미치는 영향은 정말 측정이 불가한 어마어마한 영향이라고 생각합니다. 좋은 영상 잘보고 갑니다 .

  • @user-tb3pe1ih3m
    @user-tb3pe1ih3m 4 роки тому

    생태학적 서비스가 무엇인가요?? 예시 같은게 있을까요?

  • @김진영-y5o
    @김진영-y5o 5 років тому

    최고입니다!

  • @inseoul8589
    @inseoul8589 5 років тому

    축하드립니다. 지역 생태가치 참여 사업이 기획재정부에서 주최한 '18년도 시민참여과제 평가에서 최우수 과제"로 선정되었다니 기쁨니다. 덤으로 다시금 멋진 영상을 보게되어 고맙습니다. 앞으로도 교육과 현장학습 기대합니다.

  • @허정균-m5v
    @허정균-m5v 7 років тому

    박쥐는 생태게에서 없어서는 안될 매우 중요한 동물

    • @국립생태원연구미디어
      @국립생태원연구미디어 7 років тому

      네. 밤에 활동해서 눈에 잘 보이지 않지만, 주변에 생각보다 많고, 해로운 곤충들을 많이 잡아먹는 고마운 동물이예요.

  • @201kdr
    @201kdr 7 років тому

    네 ㅡ 잘 알겠습니다. 저도 sns 링크를 통해 최대한 알리고 응원하겠습니다. ^(^

    • @국립생태원연구미디어
      @국립생태원연구미디어 7 років тому

      네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좋은 영상을 만들어 생태연구의 중요성을 알려나가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201kdr
      @201kdr 7 років тому

      국립생태원 연구미디어 네 ㅡ 기대할게요~! ^(^

  • @낑깡-z6f
    @낑깡-z6f 7 років тому

    매미도 식용이 가능한가요?

    • @국립생태원연구미디어
      @국립생태원연구미디어 7 років тому

      매미 애벌레인 굼벵이는 여러나라에서 식용으로 사용하고 있구요. 특히 굼벵이와 껍질은 한방에서 중요한 한약재료입니다.

  • @피우이
    @피우이 7 років тому

    밤마다 매미 우는소리에 잠을 설쳐는대

    • @국립생태원연구미디어
      @국립생태원연구미디어 7 років тому

      최근에 도심에서 매미가 많이 늘어났습니다. 국립생태원은 그 원인을 규명하고 방안을 찾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 @이역-t8g
    @이역-t8g 7 років тому

    재미있습니다. 계속 올라오는 건가요?

    • @국립생태원연구미디어
      @국립생태원연구미디어 7 років тому

      네 감사합니다. 지속적으로 올리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 @낑깡-z6f
      @낑깡-z6f 6 років тому

      1월이나 2월에 관련된 동영상 1개 올라온다고 합니다

  • @호랑이호랑이-q5j
    @호랑이호랑이-q5j 7 років тому

    날벨레는 없에는 유익한 동물인줄 모르고 싫어했네요.

    • @국립생태원연구미디어
      @국립생태원연구미디어 7 років тому

      네. 박쥐가 잡아먹는 모기의 양은 어마어마해요. 박쥐는 모성애가 매우 강한 포유류이고, 실제로 가까이서 보면 매우 귀여운 동물이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