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앤미
길앤미
  • 225
  • 735 378
완벽 (完璧) / #길앤미 고사성어 이야기
완벽 (完璧)
고사성어의 유래, 탄생 배경에 대한 설명이 있습니다.
고사성어가 화면에 고정되어 있어
이야기를 들으면서 공부할 수 있습니다.
"구독과 좋아요는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길앤미-
▶ 길앤미 고사성어 이야기 (무료) 구독하기
bit.ly/2WJpSF5​
#길앤미​고사성어이야기 #길앤미고사성어 #고사성어​이야기 #완벽 #완벽完璧 #完璧 #화씨지벽
Переглядів: 460

Відео

7급 기초 상용 한자
Переглядів 4149 місяців тому
7급 기초 상용 한자 "구독과 좋아요는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길앤미- ▶ 길앤미 고사성어 이야기 (무료) 구독하기 bit.ly/2WJpSF5​ #8급 #한자급수 #급수한자 #8급50자 #길앤미
8급 한자 50자
Переглядів 668Рік тому
8급 한자 50자 "구독과 좋아요는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길앤미- ▶ 길앤미 고사성어 이야기 (무료) 구독하기 bit.ly/2WJpSF5​ #8급 #한자급수 #급수한자 #8급50자 #길앤미
유비무환/有備無患/#shorts
Переглядів 1,5 тис.3 роки тому
유비무환/有備無患/#shorts
연저지인/疽之仁/#shorts
Переглядів 7403 роки тому
연저지인/疽之仁/#shorts
교취호탈/巧取豪奪
Переглядів 4863 роки тому
교취호탈/巧取豪奪
화서지몽 華齊之夢 / #165 길앤미 고사성어 이야기
Переглядів 7013 роки тому
화서지몽 華齊之夢 / #165 길앤미 고사성어 이야기
천자문 千字文 (유래와 전문 훈독, 음독, 해설)
Переглядів 520 тис.3 роки тому
천자문 千字文 (유래와 전문 훈독, 음독, 해설)
형설지공 螢雪之功 / #164 길앤미 고사성어 이야기
Переглядів 9183 роки тому
형설지공 螢雪之功 / #164 길앤미 고사성어 이야기
촌철살인 寸鐵殺人 / #163 길앤미 고사성어 이야기
Переглядів 1,3 тис.3 роки тому
촌철살인 寸鐵殺人 / #163 길앤미 고사성어 이야기
용두사미 龍頭蛇尾 / #162 길앤미 고사성어 이야기
Переглядів 8423 роки тому
용두사미 龍頭蛇尾 / #162 길앤미 고사성어 이야기
분서갱유 焚書坑儒 / #161 길앤미 고사성어 이야기
Переглядів 9143 роки тому
분서갱유 焚書坑儒 / #161 길앤미 고사성어 이야기
일패도지 一敗塗地 / #160 길앤미 고사성어 이야기
Переглядів 4124 роки тому
일패도지 一敗塗地 / #160 길앤미 고사성어 이야기
일자천금 一字千金 / #159 길앤미 고사성어 이야기
Переглядів 3584 роки тому
일자천금 一字千金 / #159 길앤미 고사성어 이야기
새옹지마 塞翁之馬 / #158 길앤미 고사성어 이야기
Переглядів 5174 роки тому
새옹지마 塞翁之馬 / #158 길앤미 고사성어 이야기
상전벽해 桑田碧海 / #157 길앤미 고사성어 이야기
Переглядів 1 тис.4 роки тому
상전벽해 桑田碧海 / #157 길앤미 고사성어 이야기
살신성인 殺身成仁 / #156 길앤미 고사성어 이야기
Переглядів 1,3 тис.4 роки тому
살신성인 殺身成仁 / #156 길앤미 고사성어 이야기
비방지목 誹謗之木 / #155 길앤미 고사성어 이야기
Переглядів 2144 роки тому
비방지목 誹謗之木 / #155 길앤미 고사성어 이야기
호사유피 인사유명 虎死留皮 人死留名 / #154 길앤미 고사성어 이야기
Переглядів 5224 роки тому
호사유피 인사유명 虎死留皮 人死留名 / #154 길앤미 고사성어 이야기
수구초심 首邱初心 / #153 길앤미 고사성어 이야기
Переглядів 7664 роки тому
수구초심 首邱初心 / #153 길앤미 고사성어 이야기
송양지인 宋襄之仁 / #152 길앤미 고사성어 이야기
Переглядів 5294 роки тому
송양지인 宋襄之仁 / #152 길앤미 고사성어 이야기
소규조수 蕭規曹隨 / #151 길앤미 고사성어 이야기
Переглядів 2034 роки тому
소규조수 蕭規曹隨 / #151 길앤미 고사성어 이야기
반골 反骨 / #150 길앤미 고사성어 이야기
Переглядів 4044 роки тому
반골 反骨 / #150 길앤미 고사성어 이야기
동식서숙 東食西宿 / #149 길앤미 고사성어 이야기
Переглядів 2354 роки тому
동식서숙 東食西宿 / #149 길앤미 고사성어 이야기
독안룡 獨眼龍 / #148 길앤미 고사성어 이야기
Переглядів 2594 роки тому
독안룡 獨眼龍 / #148 길앤미 고사성어 이야기
만가 挽歌 / #147 길앤미 고사성어 이야기
Переглядів 2224 роки тому
만가 挽歌 / #147 길앤미 고사성어 이야기
막역지우 莫逆之友 / #146 길앤미 고사성어 이야기
Переглядів 2,2 тис.4 роки тому
막역지우 莫逆之友 / #146 길앤미 고사성어 이야기
마이동풍 馬耳東風 / #145 길앤미 고사성어 이야기
Переглядів 2,3 тис.4 роки тому
마이동풍 馬耳東風 / #145 길앤미 고사성어 이야기
두주불사 斗酒不辭 / #144 길앤미 고사성어 이야기
Переглядів 3664 роки тому
두주불사 斗酒不辭 / #144 길앤미 고사성어 이야기
지록위마 指鹿爲馬 / #143 길앤미 고사성어 이야기
Переглядів 6414 роки тому
지록위마 指鹿爲馬 / #143 길앤미 고사성어 이야기

КОМЕНТАРІ

  • @경희이-r2v
    @경희이-r2v День тому

    잠잘때 수면제 ZZZ로 여러 곳에 전달! 😊 감사드려요.

  • @스칼렛-j1g
    @스칼렛-j1g 22 дні тому

    숨 넘어가네.에라이.

  • @선물옵션전업투자1강
    @선물옵션전업투자1강 24 дні тому

    잘 보고 있습니다. 최고 ~~

  • @성문-h2s
    @성문-h2s Місяць тому

    주흥사 전에 복희로 전래된 걸 정리한거라는게 맞는거 같은데요

  • @dlshin6938
    @dlshin6938 Місяць тому

    내가 어렸을 때 유치원 대신 서당에서 시작 중3년까지 겨울이면 열렸던 서당을 다녔다. 처음 시작이 신천자문으로 배웠는데...! 아버지 부 어머님 모....로 시작~ 부모형제, 남여노소~ 서당 공부과정은 천자문,만물집,명심보감, 소학.... 순으로 ㅋㅋ 골방에서 회초리 맞아가며 글공부 했던 시절이 그립네요

  • @nadianks-k3z
    @nadianks-k3z Місяць тому

    16:47 도읍화하 동서이경, 26:07 치본어농 무자가색

  • @jehee2919
    @jehee2919 Місяць тому

    다시 천자문 공부하게 되어 기쁩니다. 감사합니다

  • @walterbyun5100
    @walterbyun5100 2 місяці тому

    제발!! 한자 한자의 고저. 장단을 분명히 읽으시옵소서!!

  • @walterbyun5100
    @walterbyun5100 3 місяці тому

    죄송하오나 , 글의 독법이 엉망이옵니다. 공부 좀 더하시고 강단에 서시옵소서. "하국 어문을 고발함"이라는 책을 조용히 읽어 주시옵소서

  • @walterbyun5100
    @walterbyun5100 3 місяці тому

    우리 나라에서 천자문 강의에, "훈독"이라니요? 우리에게는 한자의 음독은 있으되? :훈독:은 있을 수 없나이다.!!! 그리고 한자를 한 ㅈ 한 자 읽으실 때와 문장을 읽ㅇ실때, 한자의 자고저 장단을 바르게 읽으십시요!!

  • @bernabedecorea
    @bernabedecorea 3 місяці тому

    26:17 네글자 독음을 생략하고 바로 뜻풀이로 왜 들어가요? 이 따위로 할거에요?

  • @성지윤-z5g
    @성지윤-z5g 4 місяці тому

    실력이 늘고 있어요!!!!!!!!!!

  • @jsk-q2u
    @jsk-q2u 5 місяців тому

    26분 24초 심을 예가 아니라 재주예입니다.

  • @화타-m2i
    @화타-m2i 6 місяців тому

    제나라 재상이던 안영이 초나라를 방문한 이 시기를 나름 살펴본 바, 초영왕이 나중에 초평왕이 되는 동생을 보내 제나라 권신 경봉을 멸한 시기 전후로 추정됩니다. 그 무렵 전후에 초-오 전투, 초-진 맹약, 제후대회 등으로 중원 국가들 간의 국제정세가 요동치던 시기로 추정되고, 오왕 합려가 세력을 키워가던 시기. 제환공의 패권시대를 다시 열고자 노력하던 제나라는 내부 상하 권력투쟁이 치열해 군후들끼리 신하들끼리 군후와 신하들이 얽혀 죽이고 살리는 살육전에 초영왕이 끼어들어 제나라 내부 권력투쟁을 한방에 정리해 주던 시기로 추정됩니다. 당시 제나라엔 안영이 사실상 실권을 쥐고 좌지우지한다고 소문이 자자하던 시절이라서 비유컨대 '요즘의 미-중 패권경쟁의 축소판'으로 치고보면 당시 상황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달까요? 초영왕으로선, 제장공을 죽이고 그 동생이자 당대 군후인 제경공을 군위로 세웠던 최저와 경봉이 권세를 독단하다 다시 경봉이 최저의 집안싸움을 이용해 최저 가문을 몰살시킨 내란을 평정시켜준 셈이라, 제나라 국력이 흔들리는 이때 제경공이 다스리는 제나라를 속국으로 삼으려는 욕심이 났을 테고, 반면 나름 제환공의 패권을 다시 일으켜보려던 제경공과 안영은 내부혼란을 모처럼 잠재운 이때 초영왕의 속셈을 정확히 진단하고서 누울 자리를 보고 다리를 뻗듯 스탠스를 잡아야 했기에 '친선차 방문한다는 명분'이었지만 실제 '수 싸움'은 적벽대전을 앞두고 제갈량과 오나라 고위관료들과의 논전을 방불케 하는 설전이 벌어진 게 아니었을까 추정됩니다^^ 팩트체크하자면, 이 내용이 수록된 '안자춘추'는 후대에 '논어 마냥' 안영의 제자 내지 후손들이 정리 편찬한 '일종의 문집' 성격이 강하고 당연히 '안영판 용비어천가'로 볼 여지가 커보이고, 그 당시 실질적 회담결과에 관한 내용은 전혀 없고 ~ 뭐 국경분쟁을 이래저래 조정했다거나, 경봉을 주살해준 은혜 보답으로 성 몇개를 바치고 끝냈다거나, 초영왕이 제나라가 속국이 되란 요구를 물리치고 '양피 다섯 장'?으로 퉁쳤다거나 등등 전혀 기록이 없는 점으로 보아 "말빨로 코를 납작하게 해줬다"는 무협소설 마냥 무용담으로 끝낸 '일종의 정신승리 기록'인 점으로 미루어 무언가 역사적으로 감출 수 밖에 없는, 즉 예를 들어 속국요구를 조공바치기로 퉁쳤다는 물타기용으로 또는 앞으로 초나라와 패권경쟁을 접겠다는 사실상의 항복 등이 있었는데 이를 쉴드 치는 목적으로 '말빨로 이겼다'는 식의 정신승리 기록일 가능성이 매우 높아보입니다^^ 요즘도 '오물풍선'을 날려 내부결속을 노리고, 미국 대선 국면을 이용하려는 저의와 닮아 보이네요^^ 사족이지만, 소설 삼국지 상의 그 화려한? 적벽대전 자체가 실은 '사실상 9라'이고, 더더욱 제갈량의 그 현란한 말빨은 그 자체가 전혀 없었다는게 역사적 팩트라기에, 제갈량의 그 유명한 말빨 기록의 기원이 이 안자춘추의 기록을 좋게말해 벤치마킹했던 거로 추정됩니다 ^🤣^

  • @류태환-e8b
    @류태환-e8b 7 місяців тому

    ㅋ시뇨요ㅣ체팰7ㅔㅇ7ㅔ

  • @Undia16
    @Undia16 8 місяців тому

    진짜 재밌네요🤠🤠🤠🤠🤠🤠🤠🤠🤠🤠🤠🤠🤠🤠🤠🤠🤠

  • @Undia16
    @Undia16 8 місяців тому

    와 진짜 신기하다🫢🫢🫢🫢🫢🫢🫢🫢🫢

  • @imim5932
    @imim5932 10 місяців тому

    옛날 책은 글자들이 조금씩 다르더라구요. 이걸로 다시 외워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은영-l9h
    @은영-l9h 11 місяців тому

    감사합니다

  • @Hong-yi9fd
    @Hong-yi9fd 11 місяців тому

    잘 배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 @crownfirst2612
    @crownfirst2612 11 місяців тому

    타이완넘버원

  • @박정숙-u5k8u
    @박정숙-u5k8u 11 місяців тому

    감사합니다 !

  • @HOTnight-KR1
    @HOTnight-KR1 Рік тому

    15:07 갈마자 틀렸습니다.

    • @bernabedecorea
      @bernabedecorea 3 місяці тому

      순 엉터리네 오히려 공부를 방해하고 있어

  • @Corean-president
    @Corean-president Рік тому

    한자는 중국문자 한문은 고전중국어 고로 한자한문은 중국어로 읽어야 한다. 한국식중국어로 읽으면 아무의미.없다😊

  • @walterbyun5100
    @walterbyun5100 Рік тому

    한문 강의에는, 첫째, 자고저 장단음을 바르게 발음해야지요. "넉 사 자" 는 장음입니다. 선생께서 "짧게" 발음하셨습니다. 한자 한문을 가르치려면, 첫째, 4성의 별부터 익힌 다음에 강단에 서시기 바란다. 주최자도 강사의 선정에 더 신중해야게ㅆ다. 고국의 동포들께 간곡히 권하노니,"한국 어문을 고발함"이라는 책을 읽어 주시옵소서. 미국 변 완수 배

  • @정내순-b9k
    @정내순-b9k Рік тому

    천자문에 이런 진리가 있는줄을 ~~ 너무 우메한 제가 창피합니다

  • @뿌빠삐뻬뽀
    @뿌빠삐뻬뽀 Рік тому

    1:25

  • @김혜수-d2p
    @김혜수-d2p Рік тому

    감사합니다

  • @ik964
    @ik964 Рік тому

    어려서 읽던 운율과 가장비슷하네요. 당시 겨우 뗀 한글로 주석문장도 띄엄띄엄 읽으며 뜻을 헤아리던 기억이 나요.

  • @bulleycho2247
    @bulleycho2247 Рік тому

    역적 제을견이 어머니 여왕 직녀를 몰아내고 왕이 되어 잘못 말하고서도 억지로 옳다고 그럴 듯이 꾸며 댄다. 문자역사연구원이 漱石枕流를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로 해자하여 풀어보겠습니다. 漱石枕流 = 동방 천부의 왕 견우가 견우의 말씀으로 돌(솔로몬 예루살렘 성전의 거룩한 돌) 적제면이 欠흠(결점) 제을견을 불태워 죽이고 서방 규나라를 氵물바다로 만들어 승리의 㐬깃발을 꽂고 㐬거칠어진(황량한=멸망한) ㅁ서방규나라를 10천간의 마지막 나라로 천부의 木생명나무 견우에 束묶어 欶빨아들이므로(물바다에 서방 규나라를 깨끗하게 빨래하고 받아 들인다) 그 것을 잊지 않고 국정을 운영하기 위해 딱딱한 베개(ve베짜는 직녀를 몰아낸 gae개dog 犬제을견이 불타 죽어 이별하는 것 = 목침 = 생명나무 목 견우가 제을견을 침)로 삼아 다음날 欶기침(침상에서 일어남)하고 漱양치질할 때 양치한 것(더러운 것 = 역적 제을견)을 물로 流흘려보내고 직녀는 살아 有있고 직녀의 일생은 㐬면류관을 쓴 견우와 함께 죽지않고 유유히 흘러간다.

  • @walterbyun5100
    @walterbyun5100 Рік тому

    고저 장단이 엉망입니다. 공부 좀 더 하시고 ㅇ십시요. 변 완 수 배 훈독의 훈자는 길게, 음독의 음자는 짧게 발음해야 하는 자입니다.

  • @walterbyun5100
    @walterbyun5100 Рік тому

    글을 읽을 때도 그렇지만, 한자 한자 읽을 때, 자 고저 장단음을 고려하셔야 될것 갔읍니다.

  • @HOTnight-KR1
    @HOTnight-KR1 Рік тому

    26:30

  • @여름계혁세우기
    @여름계혁세우기 Рік тому

    나이든뒤에는 어떻게 잘 죽을까 걱정해라

  • @여름계혁세우기
    @여름계혁세우기 Рік тому

    너무좋네요ㆍ 행실 사심 속대긍장 공은공 사는사

  • @삶바른
    @삶바른 Рік тому

    0:09

  • @hunjayone9683
    @hunjayone9683 Рік тому

    너무 광고가 많은게 문제입니다.,

  • @unknowyun
    @unknowyun Рік тому

    31:56

  • @sighd8321
    @sighd8321 Рік тому

    私の地元である日本の枚方市には千字文を伝えた王仁博士の遺跡があり、今も王仁博士は地域の方から尊敬を受けていますし、記念式典も行われていますよ。

  • @sbucktars
    @sbucktars Рік тому

    23:50 기전파목 용군최정

  • @regang1q
    @regang1q Рік тому

    뭐야 안접으셨네 복귀하셨네

  • @yogigung
    @yogigung Рік тому

    률려조양에서 막히네요. 음양을 고르게 한다 이렇게 해석하던데. . . 세상의 원리 이치를 진지하게 논하다가 갑자기 대중가요 후렴구가 되버린 느낌인데 ㅠㅠ 한자를 외우기 위해서는 이 해석이 낫겠지만.... 어찌해야할지요.

    • @binibininamme
      @binibininamme 20 днів тому

      m.blog.naver.com/is_sophia/223725633125 천자문 해석 참고하세요

  • @kick-S-ssh
    @kick-S-ssh Рік тому

    I think the Koreans completely disconnected from Chinese literature in the last few decades!

  • @김점순-e4j
    @김점순-e4j Рік тому

    짜임세 있게 잘하시네요 수고많히 하시네요 승수 장수하시길

  • @희은강-s1d
    @희은강-s1d Рік тому

    땅지를 발음할때 따지라해

  • @goal1year
    @goal1year Рік тому

    "백문이 불여1분" -goal1year

  • @TV-ju5js
    @TV-ju5js Рік тому

    인정합니다

  • @활쏨씨
    @활쏨씨 Рік тому

    어렸을때는 한문이 위대해 보였는데 커서는 한문 적힌거보면 촌스럽고 투박하고 짝퉁 느낌 나더라고요 ㅎㅎ 한글이 더 이뻐요^^

    • @princ2024
      @princ2024 2 місяці тому

      没有内涵的文字😅

  • @user-sp8yt2kr1p
    @user-sp8yt2kr1p Рік тому

    ❤😂😂🎉😢😮😮😅😅😊😅

  • @user-sp8yt2kr1p
    @user-sp8yt2kr1p Рік том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