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동훈
민동훈
  • 247
  • 53 159
2024 2학기 물리학1_36강
2024 2학기 물리학1_36강
Переглядів: 99

Відео

2024 2학기 물리학1_35강
Переглядів 1052 місяці тому
2024 2학기 물리학1_35강
2024 2학기 물리학1_34강
Переглядів 812 місяці тому
2024 2학기 물리학1_34강
2024 2학기 물리학1_33강
Переглядів 932 місяці тому
2024 2학기 물리학1_33강
2024 2학기 물리학1_32강
Переглядів 1392 місяці тому
2024 2학기 물리학1_32강
2024 2학기 물리학1_31강
Переглядів 1422 місяці тому
2024 2학기 물리학1_31강
2024 2학기 물리학1_30강
Переглядів 932 місяці тому
2024 2학기 물리학1_30강
2024 2학기 물리학1_29강
Переглядів 1192 місяці тому
2024 2학기 물리학1_29강
2024 2학기 물리학1_28강
Переглядів 1432 місяці тому
2024 2학기 물리학1_28강
2024 2학기 물리학1_27강
Переглядів 952 місяці тому
2024 2학기 물리학1_27강
2024 2학기 물리학1_26강
Переглядів 1062 місяці тому
2024 2학기 물리학1_26강
2024 2학기 물리학1_25강
Переглядів 922 місяці тому
2024 2학기 물리학1_25강
2024 2학기 물리학1_24강
Переглядів 1122 місяці тому
2024 2학기 물리학1_24강
2024 2학기 물리학1_23강
Переглядів 2132 місяці тому
2024 2학기 물리학1_23강
2024 2학기 물리학1_22강 / 중간고사 범위 마지막 강의
Переглядів 1334 місяці тому
2024 2학기 물리학1_22강 / 중간고사 범위 마지막 강의
2024 2학기 물리학1_21강
Переглядів 1134 місяці тому
2024 2학기 물리학1_21강
2024 2학기 물리학1_20강
Переглядів 774 місяці тому
2024 2학기 물리학1_20강
2024 2학기 물리학1_19강
Переглядів 924 місяці тому
2024 2학기 물리학1_19강
2024 2학기 물리학1_18강
Переглядів 864 місяці тому
2024 2학기 물리학1_18강
2024 2학기 물리학1_17강
Переглядів 704 місяці тому
2024 2학기 물리학1_17강
2024 2학기 물리학1_16강
Переглядів 714 місяці тому
2024 2학기 물리학1_16강
2024 2학기 물리학1_15강
Переглядів 804 місяці тому
2024 2학기 물리학1_15강
2024 2학기 물리학1_14강
Переглядів 1034 місяці тому
2024 2학기 물리학1_14강
2024 2학기 물리학1_13강
Переглядів 1984 місяці тому
2024 2학기 물리학1_13강
2024 2학기 물리학1_12강
Переглядів 1404 місяці тому
2024 2학기 물리학1_12강
2024 2학기 믈리학1_11강
Переглядів 1254 місяці тому
2024 2학기 믈리학1_11강
2024 2학기 물리학1_10강
Переглядів 1355 місяців тому
2024 2학기 물리학1_10강
2024 2학기 물리학1_9강
Переглядів 1485 місяців тому
2024 2학기 물리학1_9강
2024 2학기 물리학1_8강
Переглядів 1655 місяців тому
2024 2학기 물리학1_8강
2024 2학기 물리학1_7강
Переглядів 1535 місяців тому
2024 2학기 물리학1_7강

КОМЕНТАРІ

  • @양수민-x4l
    @양수민-x4l 2 місяці тому

    영상 잘 봤습니다. 궁금한 점이 있어서 질문 드립니다. 변압기에서 소비 전력이 결정되면 공급 전력이 결정된다고 하셨는데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제가 생각했을 때는 1. 소비전력이랑 공급전력의 크기가 같아야하는 물리적 원리 때문에 소비전력이 결정됐을때 공급전력이 결정되는건지 2. 소비전력이 증가하는 것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해서 발전소에서 소비전력량만큼 공급전력을 조정하는건지 알고 싶습니다^^

  • @임승현-s9s
    @임승현-s9s 4 місяці тому

    18년 7월 10번 해설영상 찾고있었는데 감사합니다

  • @김준석-f7t
    @김준석-f7t 4 місяці тому

    동훈쌤….그립습니다..잘내고계시나요?

    • @민동훈-r3l
      @민동훈-r3l 4 місяці тому

      @@김준석-f7t 김준석이 해마다 있는데… 누구지?ㅎ

    • @김준석-f7t
      @김준석-f7t 4 місяці тому

      @@민동훈-r3l 아마 그중 가장 열심히 안한놈일겁니다ㅎ

  • @lilillilil511
    @lilillilil511 8 місяців тому

    맛있는 물리

  • @1qawsz822
    @1qawsz822 9 місяців тому

    이 댓글 보시는분들 시험 100점 나오길 빕니당

  • @ramen8221
    @ramen8221 9 місяців тому

    기비고송오

  • @강남수-z5c
    @강남수-z5c 10 місяців тому

    훌륭합니다!!!!!!!!❤

  • @lilillilil511
    @lilillilil511 10 місяців тому

  • @dhdhdhdh1111
    @dhdhdhdh1111 10 місяців тому

    정말 도움 많이 됩니다

  • @Varidd99
    @Varidd99 Рік тому

    우와 감사합니다!!

  • @김준석-f7t
    @김준석-f7t Рік тому

    강의가 유익해요!

  • @시그마-l4g
    @시그마-l4g Рік тому

    사나이를울리는강의

  • @HshhwAgh
    @HshhwAgh Рік тому

    그는 케플러인가?

  • @HshhwAgh
    @HshhwAgh Рік тому

    이 강의를 안본 사람은 많지만 이 강의를 한번만 본 사람은 없다

  • @HshhwAgh
    @HshhwAgh Рік тому

    물리학의 초신성이라해도 과언이 아닌 명강의

  • @김준석-f7t
    @김준석-f7t Рік тому

    정말 재미있어요!😂

  • @뷀뷀-j2v
    @뷀뷀-j2v 2 роки тому

    강의 너무 좋습니다

    • @민동훈-r3l
      @민동훈-r3l 2 роки тому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 @민동훈-r3l
    @민동훈-r3l 2 роки тому

    2:00 fbd 관련 문제풀이

  • @CrownJail-f8o
    @CrownJail-f8o 2 роки тому

    마지막 3점 10번문제 b막대도 m짜리 기둥을 밀지 않아요??? 그힘은 왜 생각 안하시나요??

    • @민동훈-r3l
      @민동훈-r3l 2 роки тому

      B막대도 C, D막대를 떠받치는 힘이 있습니다. 그 힘은 C와 D가 막대 B를 아래로 미는 힘과 크기는 같고 방향은 반대입니다. 그 힘을 생각 안한 건 아닙니다... 주어진 문제를 풀면서 C와 D가 B를 아래로 미는 힘을 언급한 적은 있습니다.(B에 작용하는 힘의 합력을 구하기 위해서) . ㄱ, ㄴ, ㄷ, 문항에서 B나 C에 작용하는 힘을 따로 묻지 않아서 말하지 않았을 뿐 막대 B가 C와 D를 떠받치는 힘은 59:02부터 보시면 언급한 C와 D가 B를 누르는 힘과 같습니다.

    • @CrownJail-f8o
      @CrownJail-f8o 2 роки тому

      @@민동훈-r3l 근데 그 힘들도 식에 써야하지않나요?

    • @민동훈-r3l
      @민동훈-r3l 2 роки тому

      @@CrownJail-f8o C나 D막대에 가해진 힘을 표현할 때에는 그 힘들을 써야하지만, 제 풀이를 보시면 긴 막대 B에 작용한 힘을 정의했기때문에 C, D가 B를 누르는 힘만 쓰면 됩니다.

    • @민동훈-r3l
      @민동훈-r3l 2 роки тому

      정리하자면, 어떤 물체가 받는 총 합력, 돌림힘 등을 정의하려면 우선 그 물체에 작용하는 힘을 모두 찾아야 합니다. 그 물체가 다른 물체에 가하는 힘이 아닌 그 물체가 받는 힘을 다 더해서 합력을 구합니다. 그래서 B물체에 작용하는 힘을 찾기 위해서는 다른 물체가 B에 작용하는 힘들을 모두 찾아 더해주시면 됩니다. B막대가 C, D 막대를 떠받치는 힘도 분명 있습니다. 만약 C나 D에 작용하는 힘을 구하려면 중력 + 아래 B막대가 떠받치는 힘 + 위 A막대가 누르는 힘 이렇게 3개 힘의 합력으로 생각하면 될 듯 합니다.

  • @gv-ch4ux
    @gv-ch4ux 2 роки тому

    3번 문제에서 a의 x축 성분의 힘이 루트3 인거고 선지에 나온 a가 P를 잡아당기는 힘은 a의 y축 힘까지 구해서 피타고라스를 써야 a가 P를 당기는 힘이 되는거 아닌가요?? 헷갈려서 질문 드려봅니다.

    • @민동훈-r3l
      @민동훈-r3l 2 роки тому

      5:17부터 보시면 a실의 장력을 T라 했을 때 x방향 성분이 Tcos(30)일테고, 그 값이 3F/2라서 정리하면 a실의 장력 T가 루트3 F가 됩니다.

  • @수현-u8z
    @수현-u8z 2 роки тому

    31:00 왜 나에서 중력포텐셜에너지를 구할때 h가 2d가 아니고 4/3인건가요? 2번에선 높이를 구한거랑 달라서 햇갈리네요ㅠ 나에선 왜 2d 안에서만 중력포텐셜에너지를 구하고 다에선 왜 B까지 연결해서 보는건가요?

    • @민동훈-r3l
      @민동훈-r3l 2 роки тому

      27:00 쯔음에 x0를 구한 과정을 잘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 @수현-u8z
    @수현-u8z 2 роки тому

    23:00 p일때 에너지가 왜 A,B하나의 에너지 값이랑 같은 크기를 가지고 있는건가요? 1/2kd^이 왜 2e0가 되는건가요ㅠ

    • @민동훈-r3l
      @민동훈-r3l 2 роки тому

      영상에서 설명한거 같은데요….. 저 마찰구간에 들어가기 전에 B의 운동에너지를 E0라 하면 B는 A와 떨어진 후 저 마찰구간에 들어갈때까지는 등속운동합니다. 그리고 두 물체가 떨어지기 직전 속도는 둘이 같고 질량도 같으니깐 각각의 운동에너지가 같아서 E0라 말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이 물체의 운동에너지는 탄성에너지로 인해 생긴거니까 탄성에너지가 2E0가 됩니다

  • @수현-u8z
    @수현-u8z 2 роки тому

    3:30 속력이 있는데 왜 A물체의 c점에서 운동에너지는 없는건가요?

    • @민동훈-r3l
      @민동훈-r3l 2 роки тому

      c에서 속력이 있다는 조건이 어디 있나요? A는 c점에서 정지일텐데요 위 문제 조건에서는요

    • @수현-u8z
      @수현-u8z 2 роки тому

      아아 b,c점네서 알짜힘이 0이니까 속력이 없는거군요!

    • @민동훈-r3l
      @민동훈-r3l 2 роки тому

      @@수현-u8z 알짜힘이 0이라서 속도가 0이 아닙니다;;; A물체는 b지점에서 알짜힘이 0이에요. 그때 정지했다가 손으로 당겨 c지점에서 놔두면 b지점에서 속도가 최대이다가 더 올라갔다가 내려와서 다시 c에서 멈추죠

  • @수현-u8z
    @수현-u8z 2 роки тому

    6:40 저 0.2m인 상황에서 중력 포텐셜과 탄성 포텐셜이 어떻게 둘 다 있을 수 있나요?

    • @민동훈-r3l
      @민동훈-r3l 2 роки тому

      중력퍼텐셜의 경우 기준을 어디로 잡느냐에 따라 그 값이 달라질 수 있는데 제가 처음 5m/s의 속도로 올라가는 순간을 기준으로 잡아서 위 용수철이 0.2m 압축된 순간에는 용수철의 퍼텐셜 에너지와 중력 퍼텐셜을 모두 갖게 됩니다. 즉 5m/s의 속도만큼 갖고 있는 운동에너지를 이용해 위로 올라가고(중력 퍼텐셜 에너지 증가), 용수철도 압축(탄성퍼텐셜 에너지 증가)시켰죠~

    • @수현-u8z
      @수현-u8z 2 роки тому

      @@민동훈-r3l 내일이 물리 시험인데 열역학부분 혹시 언제 올라올까요?

    • @민동훈-r3l
      @민동훈-r3l 2 роки тому

      @@수현-u8z 누구?

    • @수현-u8z
      @수현-u8z 2 роки тому

      @@민동훈-r3l 네?

    • @민동훈-r3l
      @민동훈-r3l 2 роки тому

      @@수현-u8z 누구신가 해서요

  • @민동훈-r3l
    @민동훈-r3l 2 роки тому

    15:40 쯤 나오는 전기장 방향과 자기장이 받는 힘이 반대라는 필기는 오타가 있어요!!! 자기장이 받는 힘이 아니라 전자가 받는 힘입니다! 전자는 전기장에 의해 힘을 받고 그 방향이 전기장의 방향과 반대라고 이해하시면 되요!

  • @seojin0233
    @seojin0233 2 роки тому

    4강은 안올려주시나요? ㅠㅠ

    • @민동훈-r3l
      @민동훈-r3l 2 роки тому

      이번주에 제작해서 남은 강의도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 @위베어-i8g
    @위베어-i8g 2 роки тому

    후후후~ 인생 어렵네요

  • @이이-p9k8w
    @이이-p9k8w 2 роки тому

    7번 문제 풀이에서 y축 벙향의 속도의 처음값은 -V/2아닌가요?

    • @민동훈-r3l
      @민동훈-r3l 2 роки тому

      댓글 감사해요! -V = -v/2로 바꿔줬어야 했는데 그러질 못했네요. 그럼 ㄷ 보기 풀이도 제가 풀이한 것에 *2를 해야할 것 같네요^^

  • @apollo1442
    @apollo1442 2 роки тому

    답지를 봐도 이해가 안 됐는데 그래프로 그려주셔서 정말 쉽게 풀리는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 @정연수-l2k
    @정연수-l2k 2 роки тому

    감사합니다 수능 선택자는 아니지만 내신 때문에 급하게 공부해야했는데 도움이 많이 됐어요ㅠㅠ!

  • @김병준-c2e7m
    @김병준-c2e7m 2 роки тому

    감사합니다 도움이 많이 됐네요

  • @tuhoo3491
    @tuhoo3491 2 роки тому

    감사합니다 물2 수특 해설강의를 발견해서 공부를 빨리할수있게되었어요

  • @tuhoo3491
    @tuhoo3491 2 роки тому

    감사함니다

  • @규빈-e8x
    @규빈-e8x 2 роки тому

    정말 잘 보고 있습니다!! 물2 수특 인강이 많이 없어서 힘들었는데 친절하게 알려주셔서 너무너무너무 좋아요~~~♡

  • @곽춘섭-c4u
    @곽춘섭-c4u 2 роки тому

    1753 곽춘만

  • @능지상승-i5p
    @능지상승-i5p 2 роки тому

    수특 푸는데 정말 많은 도움됩니다. 빨리 4강 5강도 보고싶네요

  • @천경군-w8y
    @천경군-w8y 2 роки тому

    안녕하세요.3번문제에서 왜 일정한속도로 움직여야하나요?

    • @민동훈-r3l
      @민동훈-r3l 2 роки тому

      그림자가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고 있으니 비행기 역시 일정한 속도로 움직인다고 생각할 수 있어요

    • @천경군-w8y
      @천경군-w8y 2 роки тому

  • @hjgk0411
    @hjgk0411 2 роки тому

    3점 올려주세요 ㅠㅠ

  • @한방울-j4v
    @한방울-j4v 2 роки тому

    늘 잘보고 있습니다. 3강 3점은 언제 올라올까요

  • @차수민-b6o
    @차수민-b6o 2 роки тому

    6번에, 수평면이 물체에 작용하는 힘은 (충격량에서 발생한 충격력) + (물체의 무게) 라는 것인가요? 작용반작용으로 생각해서 물체가 수평면에 가한 힘으로 한 번 생각해본다면, 운동량의 변화량과 물체의 무게는 따로 생각해야하는 건가요? 잘 정리가 안 됩니다...

    • @민동훈-r3l
      @민동훈-r3l 2 роки тому

      물체가 받은 충격량 = 충격력*충격시간 인데 여기서 충격력은 그 물체에 가해진 모든 힘의 합력 즉 알짜힘입니다. 따라서 충돌 당시 그 물체에 작용하는 힘은 중력(이건 계속 받고 있는 힘) + 지표면이 물체를 밀어내는 힘(수직항력) 이렇게 2개입니다. 중력과 수직항력은 서로 방향이 반대이니까 충돌 당시에 그 물체에 작용하는 알짜힘은 '수직항력-중력' 입니다. 그래서 (수직항력-중력)*충돌시간 = 운동량 변화량이라 할 수 있습니다.

    • @차수민-b6o
      @차수민-b6o 2 роки тому

      @@민동훈-r3l 설명 정말 잘해주시는군요! 감사합니다!

    • @민동훈-r3l
      @민동훈-r3l 2 роки тому

      @@차수민-b6o 도움이 되었다니 다행이네요^^

  • @Luke-sp9pd
    @Luke-sp9pd 2 роки тому

    공부하는데 도움 정말 많이 받고 있습니다!

    • @민동훈-r3l
      @민동훈-r3l 2 роки тому

      다행이네요! 다음 영상도 부지런히 찍어 올릴게요~

  • @user-oq2uo7fu4n
    @user-oq2uo7fu4n 2 роки тому

    모르는 거 쏙쏙 잘 골라듣고 있어요

  • @젠준호-s6b
    @젠준호-s6b 2 роки тому

    감사합니다ㅠㅠ

    • @민동훈-r3l
      @민동훈-r3l 2 роки тому

      공부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 @한방울-j4v
    @한방울-j4v 2 роки тому

    쉽고 빠른 설명 감사합니다. 2강 3점도 부탁드립니다.

  • @김현욱-l1r
    @김현욱-l1r 2 роки тому

    너무 잘 설명해주신다 감사합니당

    • @민동훈-r3l
      @민동훈-r3l 2 роки тому

      도움이 되셨다니 저도 기쁘네요. 곧 다음 강의도 올릴게요~^^

  • @예아디스이즈
    @예아디스이즈 3 роки тому

    와 이해안되던거 한마디 설명해주신거에 이해됨.. 다른 강의 뒤져봐도 저건 왜 저렇게 되는거지 하는데 여기선 빠르게라도 집고 넘어가니까 좋네요 알고리즘에 이런게 잘떠야하는데.. 이 강의 힘들게 뒤져서 겨우 찾았거든요.. 찾은 보람이 있네요! 구독하고 수특은 여기서 같이 공부하겠습니다

    • @민동훈-r3l
      @민동훈-r3l 3 роки тому

      올해 수특도 조만간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 @예아디스이즈
      @예아디스이즈 3 роки тому

      @@민동훈-r3l 감사합니다!!😎

  • @sabniee
    @sabniee 3 роки тому

    1725 임사빈

  • @지뇽-j1k
    @지뇽-j1k 3 роки тому

    1107박진용

  • @승찬최-j8o
    @승찬최-j8o 3 роки тому

    1123 최승찬

  • @김려경-m3o
    @김려경-m3o 3 роки тому

    1604 김려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