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의 본질 EOStatistics
통계의 본질 EOStatistics
  • 299
  • 1 692 470

Відео

[확률과 통계 기초] 3-28. 연속확률변수의 누적분포함수
Переглядів 2812 місяці тому
강의록 링크 hsm-edu.tistory.com/1695
[확률과 통계 기초] 3-27. 연속확률변수에서 구간의 확률
Переглядів 3845 місяців тому
강의록 hsm-edu.tistory.com/1692
[확률과 통계 기초] 3-26. 연속확률변수에서는 확률이 정의되지 않는 이유
Переглядів 3835 місяців тому
강의록 hsm-edu.tistory.com/1689
[확률과 통계 기초] 3-25. 연속확률변수 복습
Переглядів 3095 місяців тому
강의록 hsm-edu.tistory.com/1688
[확률과 통계 기초] 3-24. 자료의 분산 vs 확률변수의 분산
Переглядів 4185 місяців тому
강의록 hsm-edu.tistory.com/1687
[확률과 통계 기초] 3-23. 표준편차 기호가 시그마인 이유
Переглядів 6116 місяців тому
강의록 hsm-edu.tistory.com/1686#google_vignette
[확률과 통계 기초] 3-22. 확률변수의 분산과 표준편차
Переглядів 4416 місяців тому
강의록 hsm-edu.tistory.com/1685
[확률과 통계 기초] 3-21. 분산과 표준편차
Переглядів 6036 місяців тому
강의록 hsm-edu.tistory.com/1684
[확률과 통계 기초] 3-20. 합의 시그마 기호 설명
Переглядів 4747 місяців тому
강의록 hsm-edu.tistory.com/1683
[확률과 통계 기초] 3-19. 기댓값과 평균은 같을까 다를까?
Переглядів 7537 місяців тому
강의록 hsm-edu.tistory.com/1682
[확률과 통계 기초] 3-18. 이산확률변수의 기댓값
Переглядів 5577 місяців тому
강의록 hsm-edu.tistory.com/1681
[확률과 통계 기초] 3-17. 이항분포의 기댓값
Переглядів 5307 місяців тому
강의록 hsm-edu.tistory.com/1680
[확률과통계 기초] 3-16. 이항분포 예시
Переглядів 5567 місяців тому
강의록 hsm-edu.tistory.com/1678
[확률과통계 기초] 3-15. 이항분포 수식 자세한 설명
Переглядів 2697 місяців тому
강의록 hsm-edu.tistory.com/1679
[확률과통계 기초] 3-14. 베르누이분포에서 이항분포로
Переглядів 1,1 тис.9 місяців тому
[확률과통계 기초] 3-14. 베르누이분포에서 이항분포로
[확률과통계 기초] 3-13. 이항분포 배우기 전에 베르누이분포 먼저
Переглядів 1,6 тис.Рік тому
[확률과통계 기초] 3-13. 이항분포 배우기 전에 베르누이분포 먼저
[확률과통계 기초] 3-12. 이항분포에서 '이항' 이 무슨 뜻일까
Переглядів 1,2 тис.Рік тому
[확률과통계 기초] 3-12. 이항분포에서 '이항' 이 무슨 뜻일까
[확률과통계 기초] 3-11. 우리가 배울 두가지 분포
Переглядів 964Рік тому
[확률과통계 기초] 3-11. 우리가 배울 두가지 분포
[확률과통계 기초] 3-10. P[X=x] 와 p(x)의 차이
Переглядів 1,5 тис.Рік тому
[확률과통계 기초] 3-10. P[X=x] 와 p(x)의 차이
[확률과통계 기초] 3-9. 확률질량함수의 성질
Переглядів 1,3 тис.Рік тому
[확률과통계 기초] 3-9. 확률질량함수의 성질
[확률과통계 기초] 3-8. 확률질량함수 (이산확률변수의 확률함수)
Переглядів 2,6 тис.Рік тому
[확률과통계 기초] 3-8. 확률질량함수 (이산확률변수의 확률함수)
[확률과통계 기초] 3-7. 연속확률변수에서 확률이 정의되지 않는 이유
Переглядів 1,3 тис.Рік тому
[확률과통계 기초] 3-7. 연속확률변수에서 확률이 정의되지 않는 이유
[확률과통계 기초] 3-6. 개수가 무한한 이산확률변수
Переглядів 1,2 тис.Рік тому
[확률과통계 기초] 3-6. 개수가 무한한 이산확률변수
[확률과통계 기초] 3-5. 두 종류의 확률변수 (이산, 연속)
Переглядів 1,5 тис.Рік тому
[확률과통계 기초] 3-5. 두 종류의 확률변수 (이산, 연속)
[확률과통계 기초] 3-4. 확률이 정의되지 않는 확률변수
Переглядів 1,5 тис.Рік тому
[확률과통계 기초] 3-4. 확률이 정의되지 않는 확률변수
[확률과통계 기초] 3-3. 확률분포와 확률함수
Переглядів 1,9 тис.Рік тому
[확률과통계 기초] 3-3. 확률분포와 확률함수
[확률과통계 기초] 3-2. 확률변수와 확률 (P[X=x] 의 의미)
Переглядів 2,2 тис.Рік тому
[확률과통계 기초] 3-2. 확률변수와 확률 (P[X=x] 의 의미)
[확률과통계 기초] 3-1. 확률변수
Переглядів 4,1 тис.Рік тому
[확률과통계 기초] 3-1. 확률변수
[확률과통계 기초] 2-10. 2단원 확률 내용 총정리
Переглядів 987Рік тому
[확률과통계 기초] 2-10. 2단원 확률 내용 총정리

КОМЕНТАРІ

  • @이기용-u7v
    @이기용-u7v 4 дні тому

    영상이 너무 좋은데 왜 조회수가 별로 안나오는지 모르겠네요

  • @myhappylife9862
    @myhappylife9862 5 днів тому

    결국 n이 커질수록 표본평균이 모평균에 가까워진다는 대수의 법칙과 관련이 있네요.

  • @태권브이-f2n
    @태권브이-f2n 14 днів тому

    포아송이 맞네요 푸아송도 보았기에 궁금하던차에.. 고맙습니다

  • @HY-ts8fb
    @HY-ts8fb 15 днів тому

    신뢰구간을 정의하는데 모집단이 정규분포를 따른다는 가정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지 궁금해요. 중심극한정리는 모집단의 분포와 상관없이 적용되는 걸로 알고 있는데.. 다른 동영상에서 다루셨나요?!

  • @HY-ts8fb
    @HY-ts8fb 18 днів тому

    덕분에 이제야 신뢰구간이 뭔지 이해됐어요 너무 감사드려요

  • @user-rz5np6lt1d
    @user-rz5np6lt1d 19 днів тому

    감사합니다 ㅜ

  • @이미궁
    @이미궁 21 день тому

    2편,, 찾다가 댓글보고 기다리고 있습니다. ㅎ 한번에 정리되니 너무 편하네요, 부탁드립니다^^

  • @myhappylife9862
    @myhappylife9862 Місяць тому

    학창 시절 가장 좋아한 과목이 수학이였지만, 유일하게 어려워했던 분야가 통계였습니다. 나이 들어 다시 통계를 공부하게 될 줄은 몰랐습니다. 그 때 못한 숙제를 하는 느낌입니다. 덕분에 어렵지 않게 통계를 배우고 있습니다. 고맙습니다.

  • @Himynameis-w4c
    @Himynameis-w4c Місяць тому

    에어팟 4쓰는데 이래요ㅠ

  • @ringo8530
    @ringo8530 Місяць тому

    감사합니다

  • @애라이-c5s
    @애라이-c5s Місяць тому

    감사띠띠

  • @calmdowngirl
    @calmdowngirl 2 місяці тому

    와.. 설명레전드

  • @me2024-y4t
    @me2024-y4t 2 місяці тому

    몇 개월 동안 헤매다 <통계의 본질>로 흘러와서 몇 개의 영상을 거쳐 여기에서 '표준오차'를 명료하게 이해하게 됐습니다. 매우 기쁜 마음에 감사함을 전합니다.

  • @user-nc4un1do4w
    @user-nc4un1do4w 2 місяці тому

    선생님 저 아직 통계어린이인데 질문좀 받아주실 수 있으신가요? 대응표본 t검정계산을 주로 두 표본의 차이점수를 이용해서 하는 것으로 알고있는데 그럼 차이점수의 표집분포는 단일표본 t검정 방식으로 계산하는거라 둘이 계산의 관점에서는 다른게 없는건가요?

    • @eostatistics
      @eostatistics 2 місяці тому

      대응표본 T검정과 단일표본 T검정이 결과적으로 같냐는 질문인가요

  • @user-triplej
    @user-triplej 2 місяці тому

    표본분산의 분포로 유도되는 t분포의 정규분포 가정에 저도 의문을 품고 다 봤네요 좋은 지식 많이 얻어갑니다

  • @5개노벨상
    @5개노벨상 2 місяці тому

    감사합니다. 너무 재밌네요

  • @5개노벨상
    @5개노벨상 2 місяці тому

    감사합니다. 잘 봤습니다. 역시 수학은 어렵네요

  • @BlackSwan-nx8zu
    @BlackSwan-nx8zu 2 місяці тому

    좋은 설명 감사합니다. 신뢰 구간 추정을 100번 했을 때 95개의 구간은 모평균을 포함하고 있다는 개념으로 설명하는 책도 있습니다.

  • @Yacktalkun
    @Yacktalkun 2 місяці тому

    맛 있 다

  • @wpfltmdgh
    @wpfltmdgh 2 місяці тому

    양측검증이라서 p-value는 0.02가 아니라 0.04 아닌가요?

  • @ringo8530
    @ringo8530 2 місяці тому

    대부분 개념만 설명하고 증명은 하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제가 못 본걸수도 있지만 ㅎ) 올려주신 영상들 보고 명확하게 이해가 갑니다. 감사합니다

  • @ringo8530
    @ringo8530 2 місяці тому

    영상 잘 봤습니다. 단계별로 하나씩 풀어 설명해주셔서 이해가 잘 되네요

  • @Resistance-j4e
    @Resistance-j4e 2 місяці тому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soyeonilgi
    @soyeonilgi 2 місяці тому

    제가 본 한국 유튜브 중에서 적률에 대해서 제일 잘 정리되고 가르치는 영상이에요 ! 진짜 감사합니다!=

  • @김내비-r6b
    @김내비-r6b 2 місяці тому

    목소리 아주 좋네요

  • @김현진-d9c
    @김현진-d9c 2 місяці тому

    그럼 claim은 항상 null인 거네여?

  • @주말영토
    @주말영토 2 місяці тому

    아주 깔끔한 설명 감사해요

  • @수염고래-u3t
    @수염고래-u3t 2 місяці тому

    와우 이해가 잘 됩니다 신기해요

  • @jiyoungpark502
    @jiyoungpark502 3 місяці тому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다음 강의는 언제 올라올까요? 좋은 강의 기다리고 있습니다 :)

  • @ahy9018
    @ahy9018 3 місяці тому

    정말 고생 많으셨습니다.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 @ahy9018
    @ahy9018 3 місяці тому

    이토록 훌륭한 강의를 제공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름이 아니라 df 가 양의 정수로 나오지 않을 수 있는데, df 를 그대로 degree of freedom 으로 받아들여도 되는지 의문입니다. 만약 그냥 카이제곱 확률밀도함수에서 df value 를 대입한다고 하더라도 k=0 이라면, df = -2n 으로 음의 정수가 나오게 되는데, 이는 감마함수 정의역에 포함이 되지 않는거 같은데, 제가 잘못 이해한 것 일까요? 다시 한번 이렇게 좋은 강의를 제공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wpfltmdgh
    @wpfltmdgh 3 місяці тому

    내 진짜 통계 교수님을 찾았다

  • @lamis_5149
    @lamis_5149 3 місяці тому

    저의 한 줄기 빛이세요....이렇게 질 좋은 강의 공유해 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ㅠㅠ

  • @featherlight-n7d
    @featherlight-n7d 3 місяці тому

    제 저질 수준에 맞게 쉽게 설명해줘서 좋아요

  • @kkkjh46
    @kkkjh46 3 місяці тому

    전공책이 어려워서 찾아보고 있었는데 진짜 너무 좋아요 ㅠㅠㅠ

  • @김성연-m6d
    @김성연-m6d 3 місяці тому

    안녕하세요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통계전공자가 아니라고 말씀하셨는데 어떻게 공부하셨는지, 혹시 도움 받으신 책이 있다면 궁금합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 @eostatistics
      @eostatistics 3 місяці тому

      책보다는 주로 구글에 영어로 검색을 했습니다 생기는.질문들을 따라가며 공부했습니다

  • @방향-o7z
    @방향-o7z 3 місяці тому

    감사합니다 최고예요! 하이라이트 3:56

  • @nae_17
    @nae_17 3 місяці тому

    4:24 부근에 P(0;t+^t)-P(0;t)에 ^t를 나눈 값을 어떻게 평균변화율로 볼 수 있나요...? P는 함수가 아니라 분포아닌가요...? 이게 미분이라고 봐도 되는걸까요ㅠㅜ

  • @유미-z2z
    @유미-z2z 3 місяці тому

    확률변수를 보다보니 집합이 떠올랐습니다. 확률변수를 집합의 한 형태로 본 것은 잘못된 생각일까요?

  • @김동현-t7g8q
    @김동현-t7g8q 3 місяці тому

    선생님 그럼 A를 랜덤변수 X에 대한 사건 {X<=x} 라고 해도 똑같이 X는 확률변수이고 x는 그 변수에 대응하늗 실수값인가요?

  • @WhiteJade-tn1pi
    @WhiteJade-tn1pi 4 місяці тому

    엑셀만으로는 로또 통계 분석의 한계가 있는데 로또 통계 분석에 직관적인 통계프로그램이 있나요?

  • @rikchlln7033
    @rikchlln7033 4 місяці тому

    안녕하세요! 영상 잘 보고 공부하고 있습니다. 근데 왜 티에 대해서 미분을 하는지 여쭙고 싶습니다!!

    • @eostatistics
      @eostatistics 4 місяці тому

      f(t) 를 구하기 위해 미분합니다. f(t)의 적분 형태로 유도했기 때문에, 미분을 해서 f(t)를 구해주는 것입니다.

    • @rikchlln7033
      @rikchlln7033 4 місяці тому

      @@eostatistics 감사합니다 ㅠㅠ 혹시 감마분포에 대한 강의는 없는건가요???

    • @eostatistics
      @eostatistics 4 місяці тому

      @@rikchlln7033 네 바빠서 아직입니다!

  • @김동우-e7g
    @김동우-e7g 4 місяці тому

    강의 만들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행복한 하루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 @가리-u8g
    @가리-u8g 4 місяці тому

    선생님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들었습니다. 신뢰구간 부분이 가장 이해가 안되어서 하나 여쭈어보고자 합니다. 예를 들어 심리학 실험을 한다고 해보면, 모집단에서 n이 50인 표본을 하나를 추출합니다. 그러면 n이 50인 표본을 무한히 추출했을 때 중심극한정리에 의해 n이 충분히 크니까 표본 분포는 모집단의 형태와 상관없이 정규 분포를 따릅니다. 여기까지는 이해를 했습니다. 근데 신뢰구간을 구할 때 저희가 구한건 달랑 하나의 표본의 평균이고, 그 하나의 표본의 표준편차를 아는 것인데, 그 점 추정치에 플러스 혹은 마이너스 1.96*"표본의"표준편차 나누기 루트 n을 하잖아요? 이론상의 표본 분포에서 모집단평균 플러스 마이너스 1.96*시그마/루트 n 안에있을 확률이 95%인건데 이 식을 왜 달랑 하나의 표본 평균 값, 그러니까 점추정치에다가 더하고 빼는 것인지 이해가 잘 안됩니다. 그럼 표본을 뽑을 때마다 포본 평균이 다른 것은 물론이고 표본의 표준 편차도 달라질텐데 그러면 신뢰구간의 길이도 달라질 것이고요. 그런데 이론적으로 표본을 100개를 뽑았을 때 신뢰구간을 위에 기술한 방식으로 계산을 하면, 그 중 95개는 모평균을 포함하고 그것이 중심극한정리와 다시 연결된다는 점이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사실 부분부분적으로만 이해를 해서 학부/대학원수업에서 시험을 보면 맞추는데 항상 실질적으로 제가 이해를 하고 있지 않은 것 같아 답답한 마음에 주저리 말이 길지만 댓글 달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heeloveit
    @heeloveit 4 місяці тому

    목소리 왜이렇게 좋나여

  • @곽수진-p5n
    @곽수진-p5n 4 місяці тому

    X와 x가 어떻게 다른건지 모르겠어요ㅜㅜ X는 확률변수이고 x는 확률변수에 대응하는 실수값으로 이해하면 되나요?

  • @김선중-m2z
    @김선중-m2z 4 місяці тому

    배반사건은 종속사건의 부분집합이라고 볼 수 있나요?

  • @JM-gq5no
    @JM-gq5no 4 місяці тому

    손으로푸는 확률분포 정규분포 이후로는 안다루나요? 기대하고있습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