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i's Story휘스토리
Whi's Story휘스토리
  • 36
  • 287 875

Відео

나폴레옹 제 2부 : 나폴레옹 10분만에 몰아보기! (황제 즉위부터 신성로마제국의 해체까지)
Переглядів 204Рік тому
나폴레옹 제 2부 : 나폴레옹 10분만에 몰아보기! (황제 즉위부터 신성로마제국의 해체까지)
나폴레옹은 왜 유명한걸까? 나폴레옹의 첫 등장!
Переглядів 529Рік тому
나폴레옹은 왜 유명한걸까? 나폴레옹의 첫 등장!
2013년 제 65주년 국군의 날 행사 시가행진 중 각 군 사관학교 분열(육사,3사,국간사, 남대문 ~ 종로 ~ 광화문)
Переглядів 3,5 тис.7 років тому
2013년 제 65주년 국군의 날 행사 시가행진 중 각 군 사관학교 분열(육사,3사,국간사, 남대문 ~ 종로 ~ 광화문)

КОМЕНТАРІ

  • @Bakgdan
    @Bakgdan 11 днів тому

    저기에 왜 마우스가 보이는거같지

  • @부울경에이스
    @부울경에이스 Місяць тому

    당시소련군은 엄청나게강한 독일군과의 전투로 스킬만렙이라 일본은 손도못썻지..

  • @AFVFactoryClubWWII
    @AFVFactoryClubWWII Місяць тому

    8월9일 나가사키에 2차 원폭투하가 시작되던 날과 맞물려 소련군이 대일 선전포고를 하고 일본 관동군을 공격하기 시작했죠.관동군은 그야말로 모래성 처럼 무너지고 속절없이 소멸돼 갔죠.

  • @furry-336
    @furry-336 Місяць тому

    와 역시 독일군은 스타일이있음..소리로 공격하다니..

  • @고객님-f2c
    @고객님-f2c Місяць тому

    독일이 저런 최신.혁신적인 무기들을 좀더 일찍 사용 했다면 세계 제패를 했을텐데...

  • @jsm9252
    @jsm9252 Місяць тому

    당시 출격한 미군전투기 300여기중 야마토에 의해 격추된 전투기는 불과 12기였는데 이는 야마토의 방공력이 얼마나 취약했는지 알수있죠. 심지어 레이더망 장착도 되어있지 않았다고 합니다.

    • @hhh8271
      @hhh8271 Місяць тому

      6기 격추되고 4기 폭파의해 손상됨

  • @AFVFactoryClubWWII
    @AFVFactoryClubWWII 2 місяці тому

    2차대전 초반 세계 최초의 독일 쌍발전투기 BF-110은 1943년 이후부터 연합군 폭격기를 때리는 야간 전폭기로 사용되었죠.

  • @AFVFactoryClubWWII
    @AFVFactoryClubWWII 2 місяці тому

    바다사자작전

  • @AFVFactoryClubWWII
    @AFVFactoryClubWWII 2 місяці тому

    비스마르크 전함의 일란성 쌍둥이 전함이었죠.

  • @AFVFactoryClubWWII
    @AFVFactoryClubWWII 2 місяці тому

    폰 만슈타인 육군원수는 히틀러의 도박적이고 비 이성적인 이 작전을 말렸다고 하네요 만슈타인은 이 작전 이전에 늦어도 5월에 소련군을 공격해 격멸해야 한다고 최고사령부에 건의를 했다죠.

  • @ljho-tg5kv
    @ljho-tg5kv 4 місяці тому

    그래서 멸망했지

  • @윱시청자
    @윱시청자 5 місяців тому

    조타불능.. 적 포격에 정제시설?파괴..저때만해도 비스마르크는 기름을 정제해서 재공급해서 사용한걸로 알고있음..엄청많은 포사격받고 모든포가 고장나자 직진만 할수있는전함 결국 자침..비운의 비스마르크..자매함인 텔피츠는 뭐 비운이라 할것도없이 폭격에 꼬르륵

  • @김남훈-f1o
    @김남훈-f1o 5 місяців тому

    그런 전함이 복엽기 소드피쉬의 어뢰 1발에 항행불구가되어 후드의 격침으로 열받은 영국 추격전단의 집중 포화를 맞고 용궁행 항모의 시대가 열린걸 몰랐던 일본과 도길

  • @jsm9252
    @jsm9252 5 місяців тому

    하지만 슈투카는 1:1 전투기와의 공중전에선 취약했기 때문에 영국본토항공전에서 스핏파이어에게 많이 격추당했다고 합니다

    • @japanese_4
      @japanese_4 3 місяці тому

      그야 슈투카는 공대공전투를 상정한 전투기가 아니라 항공지원을 중심으로 설계된 전투기니까요 공대공전투는 BF109같은 전투기가 따로 있었습니다

  • @하팅노팅
    @하팅노팅 5 місяців тому

    그당시 일본은 포탄도없고 석유도 없어서 그냥비행기를 포탄으로쓴것입니다

  • @user-eo1ii2hp6w
    @user-eo1ii2hp6w 5 місяців тому

    전함 아이오와호가 더 큰 것 같던데......

    • @whisstory1967
      @whisstory1967 5 місяців тому

      맞습니다! 비스마르크는 전장 251미터, 아이오와는 무려 270미터(!)로, 길이는 제일 긴 전함이지요! 그래서 비스마르크에게는 "진수 당시" 세계 최대의 전함이 맞겠네요 ㅎㅎ

  • @derthun9370
    @derthun9370 5 місяців тому

    얘도 함재기에 당했었나?

    • @joonha1123
      @joonha1123 5 місяців тому

      포격전->함재기->어뢰

  • @schannel7818
    @schannel7818 5 місяців тому

    대함거포 시대는 그래도 낭만은 오지는듯...

    • @whisstory1967
      @whisstory1967 5 місяців тому

      맞습니다.. 거대한 전함이 주는 박력이 또 있죠! ㅎㅎ

  • @rilke1117
    @rilke1117 5 місяців тому

    독일 비스마르크, 일본 야마토...시대 착오적 전함 및 전술의 희생양...결국 독재국가는 사고의 유연성이 없는게 전술의 유연성 결여로 귀결

    • @whisstory1967
      @whisstory1967 5 місяців тому

      ??? : 거함거포를 지금 쓰지 않으면 언제 쓴단 말인가!(마지마 출격을 하며) ㅎㅎ 댓글 감사합니다!

  • @chichi-os1fk
    @chichi-os1fk 5 місяців тому

    군함크기가 대형 항공모함보다 큰것 같은데

    • @whisstory1967
      @whisstory1967 5 місяців тому

      지금의 항공모함 보다야 작지만.. 그래도 당시의 항공모함 중 하나인 일본 아카기 보가 10미터 저도 작은 수준이니, 어마어마한 크기이기느 했지요! 댓글 감사합니다😄

  • @역사탈탈
    @역사탈탈 5 місяців тому

    혼자서는 다구리를 절대 당할 수 없다

    • @whisstory1967
      @whisstory1967 5 місяців тому

      다구리 + 항공전력 열세의 한계..ㅠㅠ ㅎㅎ 댓글 감사합니다!!😆

  • @달콤한인생-n2f
    @달콤한인생-n2f 5 місяців тому

    연기가 늘었어요. 목소리와 액센트 대박ㅎ

  • @달콤한인생-n2f
    @달콤한인생-n2f 5 місяців тому

    스타크래프트에서 테란의 배틀크루져에서 기모으고 발사하는 강력한 한방이 야마토포인데, 이것이 유래인가요? 휘님, 목소리가 변했어요ㅎ

  • @달콤한인생-n2f
    @달콤한인생-n2f 5 місяців тому

    휘님, 목소리가 변했어요.

    • @whisstory1967
      @whisstory1967 5 місяців тому

      따흑 ㅠ 마이크가 좋지 않아서 ai 녹음을 하고 있습니다. 마이크 좋은걸로 사기 전까지는 이래야할듯 싶습니다 ㅠㅠ ㅎㅎ 댓글 감사합니다! :)

  • @몽숙이-z3z
    @몽숙이-z3z 5 місяців тому

    독일 : 1차대전 이후 오랜만에 건조하는데 뭐 함대전은 근거리전인건 똑같겠지? 터틀백으로 가즈아!!! 영국 : 아! 저 개 같은거... 후드 당한거 봤지? 원거리에서 조질 생각하지말고 포위해서 근거리에서 조지자! 가즈아!!!

    • @whisstory1967
      @whisstory1967 5 місяців тому

      ??? : 형님, 저놈 웃는데요? ??? : 냅둬, 터틀백에만 맞는 꿈이라도 꾸나보지..! 그게 현실이 될 줄이야...! ㅎㅎ 댓글감사합니다 :)

  • @Lee-bo1qo
    @Lee-bo1qo 5 місяців тому

    저게 가능햇던 이유는 당시 영국군 폭격기 하부에 방어 기총이 없었기 때문임. 이후 미국의 폭격기에 볼터렛 이 달려서 별 의미가 없어졋지..

  • @문상호-z9e
    @문상호-z9e 5 місяців тому

    되니츠 : 엄청 침몰시킨다 미쿡 : 그럼 더 많이 만든다 미국국민 : 해변에 피크닉 가방 들고 가서 영국이 전달 받는순간 공격받아 침몰하는 배들을 감탄하며 구경한다

    • @whisstory1967
      @whisstory1967 5 місяців тому

      ㅋㅋㅋㅋㅋㅋ 산업력의 차이가 극복 불가능이었다...!!😂 댓글 감사합니다! :)

    • @김광종-t4s
      @김광종-t4s 5 місяців тому

      한국 해군이 보유 중인 U-209 U-214도 따지고 보면 유보트의 혈통이자 후손들임

  • @진종화
    @진종화 5 місяців тому

    전쟁 초기에 U보트가 독일에 더 있었다면 영국을 봉쇄할수도...어찌보면 크릭마리네 (독일해군)의 슬픈 이야기 이기도합니다.수상전투함이 부족해서 U보트를 주력으로 써야했으니...소나가 개발이 된 이후로 무너지기는 했습니다만...독일군의 U보트는 만만한게 아니였였죠...영화 "다스 부트"가 생각이 나는군요.

    • @whisstory1967
      @whisstory1967 5 місяців тому

      영국이 가장 유보트에 피해를 많이 볼때, 대서양에 전개한 유보트가 10여척에 불과했다고 하니.. 물론 전쟁 중반 이후로는 절대적인 공포는 아니었지만, 그래도 대서양 전투의 향방을 좌지우지한 무기였지요! 댓글 감사합니다 :)

  • @카운테스마라
    @카운테스마라 5 місяців тому

    별로 써보지도 몬하고 꼬르륵

    • @whisstory1967
      @whisstory1967 5 місяців тому

      출격은 안하고 후방에만.. 아니 결전을 위해서 만들었다며!! ㅋㅋㅋ 결국 마지막에 침몰하면서 일본 해군의 조직에 문제가 있었다는 반증인 것 같습니다..!

  • @Jason-wr6bv
    @Jason-wr6bv 5 місяців тому

    지금 한국군이 문제다..박정희.또 80년대 최강군대가..지금은 당나라군대다...자위대보다 못한 약한 한국군대..

    • @whisstory1967
      @whisstory1967 5 місяців тому

      우리 군도 이러한 전사를 연구해서 꼭 반영, 대비하기를 바라면서...! :)

  • @KSwisS0001
    @KSwisS0001 5 місяців тому

    그냥 중동이 합세해서 이스라엘 지워버려라 심성이 고약한 종자들이다

  • @chocolatemint7157
    @chocolatemint7157 5 місяців тому

    아부라가 나이..

    • @whisstory1967
      @whisstory1967 5 місяців тому

      하지만... 아부라가 나인다.... :( ㅠㅠ ㅋㅋㅋㅋㅋ

  • @윤돼지콜걸퇴진탄핵
    @윤돼지콜걸퇴진탄핵 5 місяців тому

    전함이 7만톤이라니ᆢ항공모함이 10만톤인데ᆢ얼마나 큰 전함인지 상상 불가ᆢ지금 세종대왕급 이지스함이 1만톤인데ᆢ

    • @whisstory1967
      @whisstory1967 5 місяців тому

      말씀처럼 엄청나게 거대한 전함이었지요. 그러나 거함거포주의에 함몰되어, 시대의 흐름을 따르지 못해 항공력에 침몰되어버린.. ㅎㅎ 댓글 감사합니다 !:)

  • @진종화
    @진종화 5 місяців тому

    레이더가 없던 시절에 야간전투는 상당히 중요한 전술이였습니다.육군이건 해군이건..심지어 공군이건..그건 지금도 중요합니다.벌건 대낮에 탱크몰고 돌격하는것보다 밤에 끌고 가는것이 피격 당할 가능성이 적어지기 때문입니다.

    • @whisstory1967
      @whisstory1967 5 місяців тому

      특히 레이더 등에서 부족함을 느꼈던 일본 해군이 주로 야간전을 선호했던 것 같습니다! 지금도 야간투시경 등의 장비가 없으면 엄청 힘들지만요. 댓글 감사합니다 :)

  • @진종화
    @진종화 5 місяців тому

    이걸 일본군의 따라한것이 "월광"이였죠....

    • @whisstory1967
      @whisstory1967 5 місяців тому

      맞습니다! 일본군도 2식 육상정찰기에 장착해서 똑같이 운용했었지요! ㅎㅎ 댓글 감사합니다 :)

  • @진종화
    @진종화 5 місяців тому

    직선구간에서는 빠른데 선회력은 별로 였다고 합니다.특히 이착륙시에는 상당히 저속이여서 슈퍼에이스였던 발터 노보트니가 이륙후 상승하다가 격추가 되었죠.(오죽 했으면 "파파가이 슈타펠"이라고 하면의 화려한 도색을 칠한 -오인사격을 피하기 위하여-포케불프가 호위를 했다고 합니다.상어대가리 라고 불렸다고 합니다.아직 오버테크놀러지...

    • @whisstory1967
      @whisstory1967 5 місяців тому

      그 길쭉한 특유의 호위 포케불프! 빨강하양으로 화려하게 도색되어서 신기해했던 기억이 납니다. 확실히 이착륙시에는 매우 위험했던 기체였지요. 나중엔 JV-44 비행대에 대한 쇼츠도 만들어보겠습니다 :) 파파가이 슈타펠도 다뤄보면 재밌겠네요!

  • @또또네-n6l
    @또또네-n6l 5 місяців тому

    해안 벗어나면 뇌격기들의 밥만 될뿐.... 당시 야마토는 연료도 호위함도 제대로 된 제로기도 없었다고 하니....

    • @whisstory1967
      @whisstory1967 5 місяців тому

      제대로된 항공전력의 호위도 없이 그냥 사실상 죽으라고 공해상에 던져버린것과 같은 처분이었지요 ㅠㅠ ㅎㅎ 댓글 감사합니다! :)

  • @진종화
    @진종화 5 місяців тому

    해군군축조약이 끝난후에 일본이 건조한 최대..최강의 목표를 가지고 건조한 전함이지만... 자료를 보면 기술부족에..단점이 많은 전함이기도 했습니다.뭐 우리 입장에서 보자면 다행이지만..청일전쟁 러일전쟁을 거치며 일본해군은 전함이란것에 너무 집중한것이 아닌지...2차대전 개전시 야마토급을 뻬고도 10척의 전함이라니..

    • @whisstory1967
      @whisstory1967 5 місяців тому

      그렇습니다. 군축 조약 이후 거함거포주의에 함몰된 일본 해군의 비뚫어진 방향성의 최종 진화판이 담긴 전함이 아닐까 싶습니다. 물론 나중엔 항공전함(?)으로 이세와 휴우가를 개조하는 등 뒤늦게 항공전력의 중요성을 깨닫지만요..ㅠㅠ 댓글 감사합니다 :)

  • @afafafdsfwgae5874
    @afafafdsfwgae5874 5 місяців тому

    야마토가 출항할 때 귀항할 연료는 주지 않았다고 하죠. 일본도 이미 패배할 거란 걸 알고있었기 때문입니다.

    • @whisstory1967
      @whisstory1967 5 місяців тому

      그렇습니다! 결국 군사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가 아닌, 위신과 체면의 문제였던 일본 해군의 고질적인 조직문화도 한몫했다고 알려져있지요. 댓글 감사합니다 :)

  • @진종화
    @진종화 5 місяців тому

    음...추가하자면...80년대 자료로만 보면 독일군 전차 500대가 소련군 전차 700대에게 졌다..는 식이지만..독일군의 중전차는 소련보다 부족했다는..나중에 나오는 설이 있습니다.아, 물론 이 정도의 독일 전력으로는 소련의 방어선을 돌파할 수가 없었습니다.차라리...소련이 선공하고 독일이 방어전에만 신경을 썼다면...소련은 제3차 하르코프 공방전처럼..바사삭..하는 경우도 있을수가 있었겠죠..여기서 중요한 독일남부군의 전술이였던..판져카일 이라는 전차대형의 전술이 완성된것은 몇십년이지난..걸프전에서 미 7군단이 완성시킵니다.

    • @whisstory1967
      @whisstory1967 5 місяців тому

      걸프전 헤일메리 기동 말씀이시군요 ㅎㅎ! 맞습니다.. 전력소모가 큰 공세작전을 시행하면서 독일은 주도권을 다 빼앗기고 말았지요. 댓글 감사합니다! :)

  • @UpTiger1212
    @UpTiger1212 5 місяців тому

    영상자료 굳

    • @whisstory1967
      @whisstory1967 5 місяців тому

      @@UpTiger1212 앞으로도 더더욱 많은 영상자료 갑니다잇!

  • @진종화
    @진종화 5 місяців тому

    bob 책을 읽어보시면 아시겠지만... 독일이 병신짓했죠.런던폭격은 두고두고 ...런던은 아니..영국은 섬이라는걸...생각이 굳어버린 루프트바페는 그 좋은 상황을 영국에 넘겨주고...다시는 찾아오지 못하죠.(아..물론 독일공군이 부활하면서 그 한계를 보이기는 했지만...2차대전 독일의 모든 장군들이 전략이 아쉬운것은....1차대전처럼..전쟁은 1년안에 끝나지 않는다는걸 망각한것이 아닌지..)

    • @whisstory1967
      @whisstory1967 5 місяців тому

      독일 장교단은 전술적, 작전적 사고와 능력은 정말 뛰어났지만 대전략 부분에서 아쉬움을 보인다는 분석이 참 많지요. 댓글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자주 와주세요! :)

  • @참치김밥짱
    @참치김밥짱 5 місяців тому

    독일 공군이 어디로 올지 모르는 상황에서 영국은 비밀 병기 레이다를 가동하여 독일군이 언제 어디로 오는지 다 알아냄. 얼마 없는 영국 공군은 그곳으로 병력을 집중할 수 있었고 독일은 출격할는 족족 영국공군의 집중된 공격을 받게 됨.

    • @whisstory1967
      @whisstory1967 5 місяців тому

      레이더를 활용한 통제 시스템을 구축해서 효과적으로 전투기를 운용한 영국의 승리! 압도적 전력차에도 말씀해주신 레이더의 활용을 통해 승리할 수 있던것 같습니다 ㅎㅎ ! 댓글 감사합니다

  • @중고인생
    @중고인생 5 місяців тому

    대영 제국 이라는 자부심이....... 자신을 불싸지르는 의지로 불타오른 거죠........ 한국도 단 한번만 이라도 끝까지 잘 나가보자~~~~

    • @whisstory1967
      @whisstory1967 5 місяців тому

      황혼기였지만, 그래도 대영제국의 위용을 보여준 마지막 전쟁이었던 것 같습니다 ㅎㅎ 댓글 감사합니다! 자주 놀러오세요 :)

    • @김상수-d7n
      @김상수-d7n 5 місяців тому

      근본없는 사대주의 그낭 영국이라 하지 먼놈의 대영제국

  • @헤드비히
    @헤드비히 5 місяців тому

    야간 공중전의 달인 베르너 슈트라이프가 유명하죠. 헬무트 렌트와 더불어 100 기 이상 격추한 루프트 바페의 수퍼 에이스.

    • @whisstory1967
      @whisstory1967 5 місяців тому

      루프트바페가 확실히 불리한 여건에서 싸워서인지, 어마어마한 격추수를 자랑하기로 유명하지요..! 개인적으로는 슈트라이프도 좋지만, 슈나우퍼도 멋진 야간전의 파일럿인 것 같습니다 ㅎㅎ 댓글 감사합니다 :) 앞으로도 자주 놀러오세요!

  • @푸우-w1r
    @푸우-w1r 6 місяців тому

    야간기습해전...?!

    • @whisstory1967
      @whisstory1967 6 місяців тому

      일본 해군이 그렇게 목숨을 건다던...?!

  • @강병걸-e9i
    @강병걸-e9i 7 місяців тому

    명분 목적이 깔끔히 설명되어지니 이해가 잘되어 좋네요 ^_^

    • @whisstory1967
      @whisstory1967 7 місяців тому

      감사합니다~ 자주 놀러와주세용 :)

  • @해피한종주
    @해피한종주 8 місяців тому

    대한민국도 반드시 핵무기를 가져야 합니다. 불행했던 과거 역사의 반복도 더 이상 없을것입니다

  • @준서안-m5x
    @준서안-m5x 9 місяців тому

    근데 궁금한게 있는데, 이 사이렌을 굳이 왜 달아놨데요?

    • @whisstory1967
      @whisstory1967 9 місяців тому

      안녕하세요! 급강하 폭격기가 가장 취약한 순간이 바로 "급강하"를 할때라고 합니다! 빠른 속도로 목표물을 향해 내리꽂는 도중에는 급격한 방향전환 등이 힘들어서인데요, 이때 찢어지는 굉음을 내는 사이렌을 달아서 지상에 있는 적군에게 심리적인 공포심을 주기위해서 달았다고 합니다. 만약 적군이 급강하하는 슈투카에 대응사격을 하면, 가장 취약한 순간에 공격을 당하는 것이니까요! :) 댓글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 @휴먼워터
      @휴먼워터 9 місяців тому

      조금 진부할순있는데 배틀필드5 가서 펜져스톰맵 선택한뒤 미군 보병 선택해서 C 거점 방어하고있으면 저 사이렌 왜 달았는지 알게됩니다

    • @101보병-y7p
      @101보병-y7p 7 місяців тому

      @@휴먼워터동지를 만났다

  • @I2ri1song5hae7
    @I2ri1song5hae7 11 місяців тому

    맥아더가 한밤중 빤스런한 필리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