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따먹기
땅따먹기
  • 141
  • 74 067

Відео

월세 생활에서 절약하는 생활 습관
Переглядів 15Рік тому
월세 생활에서 절약하는 생활 습관
월세 계약서의 중요 조항 파악하기
Переглядів 12Рік тому
월세 계약서의 중요 조항 파악하기
월세로 살 때의 보험 가입 가이드
Переглядів 5Рік тому
월세로 살 때의 보험 가입 가이드
월세 납부의 영향을 받는 세금 이해하기
Переглядів 2Рік тому
월세 납부의 영향을 받는 세금 이해하기
월세 세입자 권리 보호: 중요한 팁
Переглядів 11Рік тому
월세 세입자 권리 보호: 중요한 팁
월세 부담 줄이기: 재정 관리 전략
Переглядів 2Рік тому
월세 부담 줄이기: 재정 관리 전략
월세 임대차 계약서 작성 요령
Переглядів 5Рік тому
월세 임대차 계약서 작성 요령
월세 지역별 시장 동향과 전망
Переглядів 9Рік тому
월세 지역별 시장 동향과 전망
월세로 살 때 주의해야 할 집주인 유형
Переглядів 10Рік тому
월세로 살 때 주의해야 할 집주인 유형
월세 생활에서 벗어나는 방법
Переглядів 4Рік тому
월세 생활에서 벗어나는 방법
월세와 전세의 경제적 비교
Переглядів 20Рік тому
월세와 전세의 경제적 비교
월세 계약 갱신 시 알아두어야 할 점
Переглядів 4Рік тому
월세 계약 갱신 시 알아두어야 할 점
월세 가격 협상 전략: 성공적인 협상법
Переглядів 7Рік тому
월세 가격 협상 전략: 성공적인 협상법
월세 보증금 돌려받는 노하우
Переглядів 83Рік тому
월세 보증금 돌려받는 노하우
월세 세입자를 위한 인테리어 팁
Переглядів 5Рік тому
월세 세입자를 위한 인테리어 팁
월세 아파트를 찾는 스마트한 방법
Переглядів 4Рік тому
월세 아파트를 찾는 스마트한 방법
월세 계약 시 알아야 할 법적 권리와 의무
Переглядів 3Рік тому
월세 계약 시 알아야 할 법적 권리와 의무
월세를 선택하는 이유: 장단점 분석
Переглядів 8Рік тому
월세를 선택하는 이유: 장단점 분석
월세 생활자를 위한 최고의 예산 관리 팁
Переглядів 6Рік тому
월세 생활자를 위한 최고의 예산 관리 팁
전세 투자: 수익성 분석과 성공 사례
Переглядів 2Рік тому
전세 투자: 수익성 분석과 성공 사례
전세 대출 금리 비교 및 선택 가이드
Переглядів 6Рік тому
전세 대출 금리 비교 및 선택 가이드
전세집 꾸미기: 예산 내에서의 최적화 전략
Рік тому
전세집 꾸미기: 예산 내에서의 최적화 전략
전세 사기 예방법: 안전한 계약을 위한 조언
Переглядів 3Рік тому
전세 사기 예방법: 안전한 계약을 위한 조언
전세 물건 찾기: 효율적인 검색 팁
Переглядів 4Рік тому
전세 물건 찾기: 효율적인 검색 팁
전세 물건 찾기: 효율적인 검색 팁
Переглядів 6Рік тому
전세 물건 찾기: 효율적인 검색 팁
전세 종료 시 체크리스트: 보증금 확보 방법
Переглядів 3Рік тому
전세 종료 시 체크리스트: 보증금 확보 방법
전세금 인상률의 이해와 관리 전략
Переглядів 4Рік тому
전세금 인상률의 이해와 관리 전략
전세 보증보험: 필수 지식과 이용 방법
Переглядів 6Рік тому
전세 보증보험: 필수 지식과 이용 방법
2023년 전세 시장 전망 및 투자 조언
Переглядів 6Рік тому
2023년 전세 시장 전망 및 투자 조언

КОМЕНТАРІ

  • @비정한세상
    @비정한세상 27 днів тому

    😢😢사법시험 부활하라 사법시험 부활하라 사법시험 부활하라 😮😮😮

  • @Gumgolking
    @Gumgolking 2 місяці тому

    문의 드려요 돈을 못받고 있는데 지상권을 설정가능 한가요

  • @사랑꾼-o8r
    @사랑꾼-o8r 2 місяці тому

    이딴걸 컨텐츠라고 만들고잇냐

  • @아미는방탄을영원히사
    @아미는방탄을영원히사 5 місяців тому

    국가 자격증은 아니죠?

  • @TTulbo
    @TTulbo 10 місяців тому

    리모델링도 건축비에 포함되는걸까...궁금하넹...누가 대답해줄까..?😅

  • @goldcamp8203
    @goldcamp8203 Рік тому

    노래소리 어후....노래광고인가

  • @mr-z5662
    @mr-z5662 Рік тому

    음악때문에 말이 안들려요

    • @이수현-o2p6s
      @이수현-o2p6s 10 місяців тому

      음악을 일부러 깔아서 못듣게 한건가봐요

  • @Stom36
    @Stom36 Рік тому

    음악을이렇게크게틀면 설명을들으란거인지..

  • @dudnkdlqms5977
    @dudnkdlqms5977 Рік тому

    몇종이 없이그냥 일반주거지역은 1종에 해당 되나요

  • @junhajeon3374
    @junhajeon3374 Рік тому

    음악 좀 빼라!!!

  • @lightbe.8555
    @lightbe.8555 2 роки тому

    약자들의 권리도 권리다. 불합리하고, 반인권적, 비민주적, 위헌적인 정책은 이제 바꿉시다. 대장동 게이트, LH사태가 발생한 필연적인 이유.. 개발제한구역, 그린벨트는 영국과 우리나라에만 존재하는 제도로 세계 유명 대도시에는 그린벨트가 없다. 전체 국토면적의 70%가 산으로 이뤄진 나라에서 무슨 그린벨트인가? 도시의 무분별한 확장을 막기 위해서? 이미 도시는 Sprawl 확장되어 그린벨트를 넘어 커져버려서 그린벨트지역은 도시 중간에 놓인 육지섬이 되어 버렸다. 그리고 지방도시는 지금 소멸위기를 겪고 있는데 도시확장을 막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제한구역을 유지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도시의 허파기능을 위해서? 허파는 산소를 소비하는 것이지, 산소를 발생시키는 것이 아니다. 그린벨트는 개발제한구역으로 개발을 제한하는 것이 목적이지, 나무를 심어서 푸르게 푸르게 하는 것이 아니다. 그러니 당연히 지금의 그린벨트는 나무가 울창한 숲이 아니라, 비닐하우스, 창고가 즐비한 도시의 흉물, 슬럼가처름 되어 있다. 허파가 소비할 맑은 공기는 그린벨트로는 기대할 수 없다. 이러한 사정에도 정부가 그린벨트를 유지하는 이유는 대장동개발에서 보듯이 정부, 지자체, LH가 그린벨트 주민의 땅을 헐값으로 강제로 빼앗아서 조성한 그 땅을 고가에 건설사에 되팔거나, 아파트를 지어 팔아 손쉽게 돈벌기 위한 것일 뿐이다. 그런 이유로 그린벨트 땅값이 오르지 않게 아주 강력하게 감시감독하고 있고, 기반시설 설치 등은 애써 해주지 않고 있다. 땅값상승을 억지로 꾹꾹 눌러놓고 있는 것이다. 최대한 싼 값으로 그 땅을 강제수용의 형태로 가져가야 수익을 더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린벨트는 주거단지, 산업단지를 위해 존재하는 개발유보지가 아니다. 개발제한구역, 그 땅을 언제든 빼먹을 수 있는 곶감으로 보고 있기 때문에 국가가 매입해서 나무를 심거나, 공원으로 만들 생각은 아예 머리에 없고, 그런 생각은 절대로 해서는 안되는 것이다. 대장동 김만배일당들은 땅소유주들에게 시세가 평당 400만원인 땅을 평당 200만원에 강제수용해서 건설사에게 평당 1,300만에 팔고, 자기들이 아파트를 지어 평당 3,600만원에 팔아 폭리를 취하였다. 조폭을 동원하여 억울하게 강제로 수용을 당한 그린벨트 땅 소유주들의 반발을 무마하기 까지 했다고 한다. 공공과 건설카르텔이 챙겨간 수익은 그린벨트 땅주인들의 피눈물이다. 국가, 지자체, LH와 건설카르텔이 공공의 이익을 내세우며 민관합동 날강도짓을 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 보조금을 받는 환경단체, 한자리 얻고자하는 자칭 전문가들이 이러한 기만극에 가담하고 있다. 만약 그린벨트를 유지하려면 그 땅을 전부 국가가 주변의 일반토지의 시세대로 매입해서 나무를 심든지, 공원을 만들든지 민주적으로 떳떳하게 하면 된다. 개인의 사유지를 '대를 위해서 소를 희생하라'고 국가가 임의로 지정해서 개인의 재산권 행사를 제한하는 이런 독재정권의 정책을 지금까지도 버젓히 유지되고 있고, 국가와 전체 국민들이 이 거대한 비민주, 부조리, 불합리를 애써 외면하고 있다. 왜 이렇게 우리나라 국민들이 약자에 대한 배려, 연민심없이 잔인할까? 자기네들의 땅이 아니라서 그런가? 자기네들이 원주민땅의 강제수용으로 인한 매입비용 절감의 혜택을 받으니까 모른 척하는걸까? 일부 개발제한을 해제한 취락지는 사람사는 집만 덩그러니 해제하고, 나머지 땅과 도로들은 그대로 그린벨트로 묶어두니 식당, 편의점, 근린상가도 없고, 1970년에서 시간이 정지된 것같은 기괴하고, 황량한 모습이 되어있다. 현대판 위리안치도 아니고, 인간적으로 취락지 부근 반경 300m 정도는 해제해줘라. 수퍼, 편의점, 식당, 이발소, 생활편의시설들이 좀 있어야 하지 않나? 영국은 국가가 매입을 하거나, 그린벨트 주민들과 협의하여 보상을 하고 함께 서로 불만없이 민주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그린벨트 원주민들은 지금까지 박정희때부터 50년간을 재산권을 제대로 행사하지 못하고, 그린벨트를 훼손시키려는 잠재적인 범죄자로 취급받으면서 살아오고 있다. 헌재에서 주민들에게 실질적인 보상을 하라고 했음에도 정부는 편법으로 그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 더 이상 국민들을 기만하지 말고, 획기적인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그린벨트를 전격적으로 해제하거나, 주변땅의 시세대로 국가, 지자체, LH가 매입해서 나무를 심든지, 공원을 만들어서 도시의 허파로 만들든지, 콩팥으로 만들든지 원하는대로 하면 된다. 개발제한구역을 해제하면 산은 산지법, 농지는 농지법, 기타 관련법으로 관리하면 되는 것이다. 보존할 가치가 있는 산과 우량농지는 국가가 매입해서 공원으로 만들어 관리하고, 그 외에는 모두 개발제한을 해제해야 한다. 특히 보존가치가 낮은 훼손된 곳, 취락지 부근은 우선적으로 풀어야 한다. 지금 당장은 서울 근교를 제외한 지방도시의 그린벨트는 군사적인 목적을 제외하고 모두 해제하고 또한 서울 인근이라도 자투리땅, 취락지 부근 땅은 우선 해제해야 한다. 정치가는 국민의 재산에 손대어 미움을 받는 것을 배가 암초를 피하듯이 해야한다. - 마키아벨리 . . . . .

  • @lightbe.8555
    @lightbe.8555 2 роки тому

    감사합니다. 잘 들었습니다. 불합리하고, 반인권적, 위헌적인 정책은 이제 바꿉시다. 대장동 게이트, LH사태가 발생한 필연적인 이유.. 개발제한구역, 그린벨트는 영국과 우리나라에만 존재하는 제도로 세계 유명 대도시에는 그린벨트가 없다. 전체 국토면적의 70%가 산으로 이뤄진 나라에서 무슨 그린벨트인가? 도시의 무분별한 확장을 막기 위해서? 이미 도시는 Sprawl 확장되어 그린벨트를 넘어 커져버려서 그린벨트지역은 도시 중간에 놓인 육지섬이 되어 버렸다. 그리고 지방도시는 지금 소멸위기를 겪고 있는데 도시확장을 막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제한구역을 유지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도시의 허파기능을 위해서? 허파는 산소를 소비하는 것이지, 산소를 발생시키는 것이 아니다. 그린벨트는 개발제한구역으로 목적은 개발을 제한하는 것이지, 나무를 심어서 푸르게 푸르게하는 것이 아니다. 그러니 당연히 지금의 그린벨트는 나무가 울창한 숲이 아니라, 비닐하우스, 창고가 즐비한 도시의 흉물, 슬럼가처름 되어 있다. 허파가 소비할 맑은 공기는 개발제한구역으로는 기대할 수 없다. 이러한 사정에도 정부가 그린벨트를 유지하는 이유는 대장동개발에서 보듯이 정부, 지자체, LH가 그린벨트 주민의 땅을 헐값으로 강제로 빼앗아서 조성한 그 땅을 고가에 건설사에 되팔거나, 아파트를 지어 팔아 손쉽게 돈벌기 위한 것일 뿐이다. 개발제한구역, 그 땅을 언제든 빼먹을 수 있는 곶감으로 보고 있기 때문에 국가가 매입해서 나무를 심거나, 공원으로 만들 생각은 아예 머리에 없고, 그런 생각은 절대로 하면 안되는 것으로 된 것 같다. 대장동 김만배일당들은 땅소유주들에게 시세가 평당 400만원인 땅을 평당 200만원에 강제수용해서 건설사에게 평당 1,300만에 팔고, 자기들이 아파트를 지어 평당 3,600만원에 팔아 폭리를 취하였다. 조폭을 동원하여 억울하게 강제수용을 당한 그린벨트 땅 소유주들의 반발을 무마하기까지 했다고 한다. 국가, 지자체, LH와 건설카르텔이 공공의 이익을 내세우며 날강도짓을 하고 있다. 만약 그린벨트를 유지하려면 떳떳하게 그 땅을 전부 국가가 주변의 일반토지의 시세대로 매입해서 나무를 심든지, 공원을 만들든지 해서 민주적으로 해야 한다. 개인의 사유지를 '대를 위해서 소를 희생하라'고 국가가 임의로 지정해서 개인의 재산권 행사를 제한하는 이런 독재정권의 정책을 지금까지도 버젓히 유지되고 있고, 국가와 전체 국민들이 이 거대한 비민주, 부조리, 불합리를 애써 외면하고 있다. 왜 이렇게 우리나라 국민들이 약자에 대한 배려, 연민심없이 잔인할까? 자기네들의 땅이 아니라서 그런가? 자기네들이 원주민땅의 강제수용으로 인한 매입비용 절감의 혜택을 받으니까 모른 척하는걸까? 일부 개발제한을 해제한 취락지는 사람사는 집만 덩그러니 해제하고, 나머지 땅과 도로들은 그대로 개발제한구역으로 묶어두니 식당, 편의점, 근린상가도 없고, 그야말로 1970년에서 시간이 정지된 것같은 기괴한 모습이 되어있다. 현대판 위리안치도 아니고, 인간적으로 취락지 부근 반경 300m 정도는 해제해줘라. 수퍼, 편의점, 식당, 이발소, 생활편의시설들이 좀 있어야 하지 않나? 영국은 국가가 매입을 하거나, 그린벨트 주민들과 협의하여 보상을 하고 함께 서로 불만없이 민주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그린벨트 원주민들은 지금까지 박정희때부터 50년간을 재산권을 제대로 행사하지 못하고, 그린벨트를 훼손시키려는 잠재적인 범죄자로 취급받으면서 살아오고 있다. 헌재에서 주민들에게 실질적인 보상을 하라고 했음에도 정부는 편법으로 그책임을 회피하고 있다. 더 이상 국민들을 기만하지 말고, 획기적인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그린벨트를 전격적으로 해제하거나, 주변땅의 시세대로 국가, 지자체, LH가 매입해서 나무를 심든지, 공원을 만들어서 도시의 허파로 만들든지, 콩팥으로 만들든지 원하는대로 하면 된다. 개발제한구역을 해제하면 산은 산지법, 농지는 농지법, 기타 관련법으로 관리하면 되는 것이다. 보존할 가치가 있는 산과 우량농지는 국가가 매입해서 공원으로 만들어 관리하고, 그 외에는 모두 개발제한을 해제해야 한다. 특히 보존가치가 낮은 훼손된 곳, 취락지 부근은 우선적으로 풀어야 한다. 지금 당장은 서울 근교를 제외한 지방도시의 그린벨트는 군사적인 목적을 제외하고 모두 해제하고 또한 서울 인근이라도 대규모 토지조성이 불가능한 자투리땅, 취락지 부근 땅은 우선 해제해야 한다. . . . . ...

  • @정종혁-b8z
    @정종혁-b8z 2 роки тому

    음악좀 제발...

  • @kdhnewwave670
    @kdhnewwave670 2 роки тому

    노래때문에 제대로 들리지가않네요...ㅠ 교육이나 정보 전달이 목적인 영상이라면.. 음악소리를 작게하거나 없애는게 좋겠습니다...

  • @푸른칠의주말숙제
    @푸른칠의주말숙제 2 роки тому

    안녕하세요 한주를 마감하는 금요일도 서서히 마무리가 되네요 건축법상 건축용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을 해주셨네요 한수 배우고 좋은 영상 잘보고 갑니다 좋은 저녁되세요

  • @thekhankim3023
    @thekhankim3023 2 роки тому

    집중 안 되게 시끄런 음악은 왜 깔아서리...

  • @mnt8771
    @mnt8771 2 роки тому

    제1종주거전용지역에 개인사업자 등록이 가능할까요?. 디자인설계업 입니다. 부업으로 제조업등록 가능한가요.? 실제 제조는 외주업체에서 하고 포장만해서 인터넷 판매 하려고 합니다. 홈오피스 계획

  • @잉카-j2l
    @잉카-j2l 2 роки тому

    🤗🤗

  • @히히히-d5v
    @히히히-d5v 2 роки тому

    2종 일반주거도 사업자등록 가능한가요?

  • @mnt8771
    @mnt8771 2 роки тому

    제1종전용주거지역에 개인사업자등록 가능한지요? 제품디자인 설계및 인터넷 판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