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unho G9
yunho G9
  • 39
  • 248 858
수업이 끝난 뒤
끝날때 까진 끝난게 아니다.
Переглядів: 1 090

Відео

지구과학 문제풀이 1차시
Переглядів 6462 роки тому
지구과학 문제풀이 1차시
통합과학1차시
Переглядів 1802 роки тому
통합과학1차시
지구과학 3차시
Переглядів 952 роки тому
지구과학 3차시
지구과학 2차시
Переглядів 1032 роки тому
지구과학 2차시
고라니는 임포스터 였습니다
Переглядів 8554 роки тому
진짜 잘 할 수 있었는데...
쌍방향 온라인 수업의 실태
Переглядів 1,2 тис.4 роки тому
동영상 편집 연습할겸....
9.발전과 신재생 에너지 - 02. 전력수송
Переглядів 3,5 тис.4 роки тому
자막다는건 포기했습니다. 너무 힘듭니다.
9.발전과 신재생 에너지 - 01.전기에너지의 생산(2)
Переглядів 7 тис.4 роки тому
9.발전과 신재생 에너지 - 01.전기에너지의 생산(2)
어몽어스 - 간신배 척결
Переглядів 4834 роки тому
속이 후련, 편안
지구과학1 - 지구외적 기후변화 요인
Переглядів 3344 роки тому
지구과학1 - 지구외적 기후변화 요인
5 별과 외계 행성계 (2) H-R도
Переглядів 3914 роки тому
5 별과 외계 행성계 (2) H-R도
5. 별과 외계 행성계 (1) 별의 표면온도와 크기
Переглядів 1,7 тис.4 роки тому
지구과학1 5. 별과 외계 행성계 (1) 별의 표면온도와 크기 요점정리 문제풀이
고1 통합과학 - 발전기의 원리
Переглядів 185 тис.4 роки тому
고1 통합과학 - 발전기의 원리
9.발전과 신재생 에너지 - 01.전기에너지의 생산
Переглядів 8 тис.4 роки тому
#전기의생산 #발전기의원리
7강 대기와 해양의 상호작용 3점테스트
Переглядів 964 роки тому
7강 대기와 해양의 상호작용 3점테스트
7강 대기와 해양의 상호작용 [2점 테스트]
Переглядів 1034 роки тому
7강 대기와 해양의 상호작용 [2점 테스트]
6강 해양의 변화(#해수순환)
Переглядів 2024 роки тому
6강 해양의 변화(#해수순환)
고1 통합과학 4.지구시스템 - 03. 지권의 변화와 판의 운동
Переглядів 9494 роки тому
고1 통합과학 4.지구시스템 - 03. 지권의 변화와 판의 운동
17강 2단원 형성평가 해설4
Переглядів 1024 роки тому
17강 2단원 형성평가 해설4
16강 2단원 형성평가-지층의 생성순서(1)
Переглядів 1724 роки тому
16강 2단원 형성평가-지층의 생성순서(1)
15강 지질시대의 환경과 생물(2)
Переглядів 2114 роки тому
15강 지질시대의 환경과 생물(2)
14강 지질시대의 환경과 생물(1)
Переглядів 2794 роки тому
14강 지질시대의 환경과 생물(1)
퇴적암과 지질구조-3점 테스트
Переглядів 944 роки тому
퇴적암과 지질구조-3점 테스트
퇴적암과 지질구조-2점 테스트
Переглядів 1114 роки тому
퇴적암과 지질구조-2점 테스트
11강 지질연대측정
Переглядів 6334 роки тому
11강 지질연대측정
10강 지층의 생성 순서
Переглядів 4814 роки тому
10강 지층의 생성 순서
8강 퇴적암과 퇴적구조
Переглядів 3934 роки тому
8강 퇴적암과 퇴적구조
9강 여러가지 지질구조
Переглядів 3514 роки тому
9강 여러가지 지질구조
1단원 형성평가(EBS수능특강-판의 경계&마그마)
Переглядів 1234 роки тому
1단원 형성평가(EBS수능특강-판의 경계&마그마)

КОМЕНТАРІ

  • @ddongnuda
    @ddongnuda 5 днів тому

    질문이요 파란선이 유도전류의 세기면 0도에서 최대값이라는 건데 통과자속이 하나도 없는데 거기가 어떻게 전류가 최대인가요?

  • @닐두-p3m
    @닐두-p3m Місяць тому

    속이 ~~~~~~~~뻥!!! 뚫리네요 감사합니다

  • @블루딱
    @블루딱 2 місяці тому

    변압기도 시청하러 갈게요

  • @mallow-bc211
    @mallow-bc211 2 місяці тому

    정말 감사합니다

  • @멈-t4v
    @멈-t4v 2 місяці тому

    5분 39초 유도전류 방향이 왜 저건가요 ㅠㅠ 엄지가 s극에 가면 나머지 손가락은 반대로 감기는데ㅠㅠㅠ

  • @당근이지
    @당근이지 2 місяці тому

    시험 하루전 최고의 선택

  • @EUNH00
    @EUNH00 2 місяці тому

    시발 사랑합니다

  • @김유빈-m1e
    @김유빈-m1e 2 місяці тому

    질문이 있습니다 !! 7:19 에서 말씀하신 대로 0도에서 유도전류의 크기가 가장 크다는 말이 이해가 안가요 ㅠㅠ 0도일 때는 전류가 흐르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전구에 불빛이 안들어 온거 아닌가요,,?? 근데 0도에서 유도전류가 가장 크다고 하시니까,,,, 먼 말씀이신지 이해가 안가요 ㅠㅠㅠ

  • @user-ww5by1fu5v
    @user-ww5by1fu5v 2 місяці тому

    진짜 감사합니다

  • @ekdlwtkdz
    @ekdlwtkdz 2 місяці тому

    진짜 사람한명 살리셨습니다

  • @어쩔티비-q8k
    @어쩔티비-q8k 2 місяці тому

    여기 맛집이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이해 진짜 잘됨 오잉 하다가 갑자기 아!! 이케됨 ㅋㅋㅋㅋ

  • @teg1785
    @teg1785 2 місяці тому

  • @서윤-z3q5e
    @서윤-z3q5e 3 місяці тому

    0도에서 전류는 어느 방향으로 흐르나요?

  • @nakyung2
    @nakyung2 3 місяці тому

    와 너무 감사해요 7:15 전구의 밝기를 설명해주는 영상을 보고 싶어도 찾아도 찾아도 없어서 답답했는데 이 영상엔 있네요! 감사합니다

  • @Loading-cl5ls
    @Loading-cl5ls 3 місяці тому

    발정기?

  • @CSYT-qb1ns
    @CSYT-qb1ns 3 місяці тому

    자기력선의 변화가 크다는게 코일을 수직으로 통과하는 자기력선의 변화를 말하는거죠? 175도에서 0도로 돌아갈때 더 많은 자기력선이 수직으로 코일을 통과하고 90도로 코일이 돌아갔을때는 코일U자 형태가 90도가 되면서 N극과S극사이가 텅 비어버려서 유도전력이 0이 된다는거죠...?

  • @taehun_
    @taehun_ 4 місяці тому

    이거 보고 통과 1등급 나왔어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DdD-u5i
    @DdD-u5i 4 місяці тому

    3:31 N극과 S극 유도까지는 이해했는데, 유도 전류는 어떻게 저 방향으로 되는지 이해가 안됩니다. 다른 답글에서 주변 사물을 이용해 해보는걸 추천해주신걸 봤는데, 혹시 어떤 사물을 써야할까요?

    • @KANSE_D
      @KANSE_D 2 місяці тому

      저기 코일면 속에 주먹을 넣었다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쉬워요. 엄지손가락 방향에 따라 유도전류의 방향은 위에서 아래로 말려들어가거나 그 반대겠지요.

    • @1yvnc
      @1yvnc 2 місяці тому

      사랑해요

  • @아아아-w1q
    @아아아-w1q 4 місяці тому

    드디어 찾았다 우리학교 쌤 좀 바껴라 제발

  • @Hkfkcmc
    @Hkfkcmc 4 місяці тому

    사랑해요

  • @호겸-e6w
    @호겸-e6w 4 місяці тому

    너무 감사합니다. 복받으실거예요.

  • @ez_918
    @ez_918 5 місяців тому

    아이고난 선생님 사랑합니다

  • @loveiseverything1529
    @loveiseverything1529 5 місяців тому

    와 이거지 이거..시시한 개념 너도 나도 다아는 내용이 아니라 ❤❤❤❤

  • @여너-p5w
    @여너-p5w 6 місяців тому

    일반적인 상황에서 물이 포함되지 않으면 맨틀은 녹지 않는다고 햇는데 연약권에서는 부분 용융 되어있지 않나요?? 그러면 그래프에서 포함되지 않은 더 지하로 내려가보면 물이 포함되지 않은 맨틀의 용융 곡선과 지하의 온도 분포 선이 만나는 점이 있다는 얘긴가요?

  • @khisx8765
    @khisx8765 6 місяців тому

    와우 감사합니다.

  • @얍-h8r
    @얍-h8r 7 місяців тому

    감사합니다 정말 이해 잘됐어요 ㅜㅜ

  • @liveinease
    @liveinease 7 місяців тому

    이해해버렸어요 사랑해요

  • @mialee7122
    @mialee7122 7 місяців тому

    진짜 감사합니다 ㅜㅜ

  • @Sidbdndn
    @Sidbdndn 9 місяців тому

    진짜 천재천재 설명의 천재다

  • @현소연-v1c
    @현소연-v1c 9 місяців тому

    😢😢😢너무 감사해요 바로 해됐어요

  • @user-zq4ce8ks7m
    @user-zq4ce8ks7m 10 місяців тому

    감사합니다

  • @정종근-b1j
    @정종근-b1j 10 місяців тому

    N극에서 나온 자속이 S극으로 들어갔다가 다시 N극으로 돌아가는 폐회로와 자기력선은 어떻게 되나요? 들어가기만 하는 자기력선을 도체가 끊는 것은 이해가 되는데....

  • @K다그렇지
    @K다그렇지 Рік тому

    진행이 넘 느리자나.

  • @인천킹카
    @인천킹카 Рік тому

    발전기를 반시계방향으로 돌린다치면 설명이 안돼요....

  • @seoyeon_07
    @seoyeon_07 Рік тому

    와..감사합니다 드디어 이해했다,,,

  • @강민철-f5f
    @강민철-f5f Рік тому

    시험 1시간 전에 보는 영상😂

    • @yunhoG9
      @yunhoG9 Рік тому

      ㄷㄷ.. 결과는....?!

    • @강민철-f5f
      @강민철-f5f Рік тому

      @@yunhoG9 잘 봤습니다🙇

  • @Gg-jk4oo
    @Gg-jk4oo Рік тому

    근데 발전기가 0도일때 유도전류가 최대인거에요? 자기장의변화가 없으니깐 유도전류가 안흐르지않나요

    • @Gg-jk4oo
      @Gg-jk4oo Рік тому

      + 135도 일때는유도 전류의 세기가 그래프처럼 90도보다 낮나요

  • @삼국지-f6w
    @삼국지-f6w Рік тому

    3:31 손으로 열심히 따라해도 아래에서 위로 감긴다는 생각밖에 안 드는데 대체 엄지를 제외한4개중 뭘 기준으로 해야 저부분처럼 감기나요

    • @yunhoG9
      @yunhoG9 Рік тому

      직접 주변의 사물을 이용해서 해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 @잉-c1w
    @잉-c1w Рік тому

    3:23 에 N극 S극이 저렇게 생기는데 반대 아닌가요? 코일이 극쪽에서 가까워지는게 아니고 멀어지니까 S극 N극 이렇게 생겨야 하는 거 아닌가요? 사람들 말이 다 달라서 미치겠네요..

    • @yunhoG9
      @yunhoG9 Рік тому

      코일이 멀어지고 가까워지는게 아니라 코일면을 통과하는 자기선속의 개수가 증가하느냐 반대하느냐로 생각하세요^^ 방해하는 방향으로 자기장이 생성됩니당

  • @user-sv9sx1ig9b
    @user-sv9sx1ig9b Рік тому

    최고다

  • @유정한-q8i
    @유정한-q8i Рік тому

    3분쯤에서 자기력선 개수 막는 다 했는데 저렇게 극을 두면 오히려 더 많아지는데요?

    • @yunhoG9
      @yunhoG9 Рік тому

      코일면을 통과하는 자기력선의 증가를 막는 방향으로 자기장이 형성된다는 뜻입니다^^

  • @한국2N
    @한국2N Рік тому

    선생님 감사합니다. 그래서 파란색 그래프의 정확한 명칭이 무엇인지 알려주시면 감사합니다

    • @yunhoG9
      @yunhoG9 Рік тому

      유도 전류의 세기 입니다. 0점을 기준으로 부호가 바뀌는 것은 전류 방향의 변화를 의미합니다.

  • @Meatandsamjang
    @Meatandsamjang Рік тому

    감사합니다 덕분에 완벽하게 이해했습니다!

  • @김정연-f8g
    @김정연-f8g Рік тому

    사랑합니다

  • @ssikoy6
    @ssikoy6 Рік тому

    감사하빈다🫶🫶

  • @새상이말세야
    @새상이말세야 Рік тому

    선생님 지금이라도 보실지 모르겠지만 한번 질문 남깁니다. 저는 고등학생이고요. 발전기의 원리에 대해서 보고서를 쓰려고 하는데 혹시 발전기의 원리에 대해 설명하는 논문이나 책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제가 아무리 찾아봐도 없더라고요. 혹시 이 댓글 보시고 댓글 남겨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sin,cos 함수로 발전기의 원리를 설명하시는 걸 보고 많이 배웠습니다.

    • @yunhoG9
      @yunhoG9 Рік тому

      책은 '전자기 쫌 아는 10대' 정도면 괜찮을것 같습니다. 보고서를 쓰는것도 좋지만 아두이노 활용해서 간이 교류 발전기를 직접 제작해보시는걸 추천합니다^^

  • @HY000lP
    @HY000lP Рік тому

    이 집이 숨은 맛집이네요 야무집니다 선생님!

  • @유정한-q8i
    @유정한-q8i Рік тому

    아니 손가락 방향N으로 해서 전류방향 할 때 왜 저렇게 나와요? 왜 S를 기준으로 두고 그리죠?

  • @Ert4t534
    @Ert4t534 Рік тому

    감사합니다

  • @섹b무차-0918
    @섹b무차-0918 Рік тому

    준내 잘 설명 하시네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