짧은 음악이론
짧은 음악이론
  • 74
  • 13 328
경기 12잡가 "달거리"
1. 가사 :
네가 나를 볼 양이면 심양강 건너와서
연화분(蓮花盆)에 심었던 화초(花草) 삼색도화(三色桃花) 피었더라
이 신구 저 신구 잠자리 내 신구 일조낭군(一朝郎君)이 네가 내 건곤(乾坤)이지
아무리 하여도 네가 내 건곤이지
정월(正月)이라 십오일(十五日)에 망월(望月)하는 소년(少年)들아
망월도 하려니와 부모봉양(父母奉養) 생각세라
이 신구 저 신구 잠자리 내 신구 일조낭군이 네가 내 건곤이지
아무리 하여도 네가 내 건곤이지
이월(二月)이라 한식(寒食)날에 천추절(千秋節)이 적막(寂寞)이로다
개자추(介子推)의 넋이로구나
면산(緜山)에 봄이 드니 불탄 풀 속잎이 난다
이 신구 저 신구 잠자리 내 신구 일조낭군이 네가 내 건곤이지
아무리 하여도 네가 내 건곤이지
삼월(三月)이라 삼짇날에 강남(江南)서 나온 제비 왔노라 현신(現身)한다
이 신구 저 신구 잠자리 내 신구 일조낭군이 네가 내 건곤(乾坤)이지
아무리 하여도 네가 내 건곤이지
------ [경기 산타령]
적수단신(赤手單身) 이내 몸이 나래 돋친 학(鶴)이나 되면
훨훨 수루루룽 가련마는
나아하에 지루에 에도 산이로구나
안올림벙거지에 진사상모(眞絲象毛)를 덤벅 달고
만석당혜(萬舃唐鞋)를 좌르르 끌며 춘향아 부르는 소래
사람의 간장(肝腸)이 다 녹는다
나아하에 지루에 에도 산이로구나
경상도 태백산(太白山)은 상주(尙州) 낙동강이 둘러 있고
전라도 지리산(智異山)은 두치강(斗治江)이 둘러 있고
충청도 계룡산(鷄龍山)은 공주(公州) 금강(錦江)이 다 둘렀다
나아하에 지루에 에도 산이로구나
------[ 매화타령]
좋구나 매화로다 어야 더야 어허야 에- 디여라 사랑도 매화로다
인간이별만사중(人間離別萬事中)에 독수공방(獨守空房)이 상사난(相思難)이란다
좋구나 매화로다 어야 더야 어허야 에- 디여라 사랑도 매화로다
안방 건넌방 가로닫이 국화(菊花) 새김의 완자문이란다
좋구나 매화로다 어야 더야 어허야 에- 디여라 사랑도 매화로다
어저께 밤에도 나가 자고 그저께 밤에는 구경 가고
무삼 염치로 삼승(三升) 버선에 볼 받아 달라나
좋구나 매화로다 어야 더야 어허야 에- 디여라 사랑도 매화로다
나무로 치며는 행자목(杏子木) 돌로 쳐도 장군석(將軍石) 음양(陰陽)을 좇아 마주 섰고
좌청룡(左靑龍) 우백호(右白虎) 한가운데는 신동(神童)이 거북의 잔등이 한 나비로다
좋구나 매화로다 어야 더야 어허야 에- 디여라 사랑도 매화로다
나 돌아감네 에헤 나 돌아감네 떨떨거리고 나 돌아가노라
좋구나 매화로다 어야 더야 어허야 에- 두견이 울어라 사랑도 매화로다
2. 월별(月別)로 노래하였다 하여 「월령가(月令歌)」라고도 한다.
그러나 정월부터 3월까지만 월별로 노래하였을 뿐 ‘적수단신’이하부터는 노래가사를 월별로 맞춰나가는 월령체(月令體)를 사용하지 않고 남녀간의 애정, 자연풍광 등을 읊고 있다.
→ 즉 경기잡가 「달거리」는 원래의 「월령가」에 경기산타령과 「매화타령」 등이 복합적으로 스며들어 만들어진 노랫말이다.
‘적수단신’ 이하 산타령의 후렴이 나오는 노랫말 부분은 현행 경기산타령 노랫말의 고형(古形)인 것으로 보인다.
[네이버 지식백과] 달거리 (창악집성, 2011. 07. 04., 하응백)
5. 「달거리」는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처음 부분 : 세마치장단, “네가 나를 볼양이면 심양강 건너와서……”로 시작하여 부모 봉양을 읊은 정월, 한식(寒食)의 개자추(介子推)를 읊은 2월, 제비를 읊은 3월까지를 섬기는데, 각 월(月) 다음에는 “이 신구 저 신구……”의 후렴이 들어있다.
둘째 부분 : 도드리 장단, “적수단신(赤手單身) 이내몸이 나래돋친 학이나 되면……”에서 부터다.
셋째 부분 : 굿거리 장단, “좋구나 매화로다…….”부터, 이 부분을 「매화타령」이라고도 부른다.
처음의 세마치 부분을 ‘허리북’이라고도 부르는데, 그것은 세마치를 꼭꼭 집는 게 아니라 사설에 맞추어 소리의 세(勢)를 따라 점수만 헤어나가기 때문이다.
6. 음계 : 경토리 - ‘솔·라·도·레·미’
[네이버 지식백과] 달거리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Переглядів: 68

Відео

경기 12잡가 "방물가"경기 12잡가 "방물가"
경기 12잡가 "방물가"
Переглядів 38Рік тому
1. 방물 : 여성 방에 있음직한 여러 패물, 세간, 의복, 노리개 등 2. 내용 : 님을 한양으로 떠나보내는 여인의 애절함과 여인을 데려가지 않고 대신 갖은 방물(집, 패물, 세간, 의복, 노리개 등)을 주겠다는 남자와의 심리적 갈등이 돋보이는 노랫말이다. 남자는 여인에게 집과 여러 방물을 제시하며 여인과 이별하려 하지만, 여인은 높다란 집이나 좋은 옷과 맛있는 음식도 싫다며, 자신을 데려가라고 한다. 3. 가사 : 서방님 정(情) 떼고 정 이별한대도 날 버리고 못 가리라 금일 송군(送君) 임 가는데 백년소첩(百年小妾) 나도 가오 날 다려 날 다려 날 다려 가오 한양낭군님 날 다려가오 나는 죽네 나는 죽네 임자로 하여 나는 죽네 네 무엇을 달라고 하느냐 네 소원을 다 일러라 제일명당(第一明堂) 터를 ...
경기 12잡가 "출인가"경기 12잡가 "출인가"
경기 12잡가 "출인가"
Переглядів 57Рік тому
가사 : 1부분 ) 풋고추 절이김치 문어 전복 곁들여 황소주(黃燒酒) 꿀 타 향단(香丹)이 들려 오리정(五里亭)으로 나간다 오리정으로 나간다 어느 년 어느 때 어느 시절에 다시 만나 그리던 사랑을 품 안에 품고 사랑 사랑 내 사랑아 에- 어화둥개 내 건곤(乾坤) 이제 가면 언제 오료 오만 한(恨)을 일러 주오 명년(明年) 춘색(春色) 돌아를 오면 꽃 피거든 만나 볼까 후렴구 ) 놀고 가세 놀고 가세 너고 나고 나고 너고만 놀고 가세 2부분 ) 곤히 든 잠 행여나 깨울세라 등도 대고 배도 대며 쩔레쩔레 흔들면서 일어나오 일어나오 겨우 든 잠 깨어나서 눈 떠 보니 내 낭군일세 그리던 임을 만나 만단정회(萬端情懷) 채 못하여 날이 장차 밝아 오니 글로 민망 하노매라 후렴구 ) 놀고 가세 놀고 가세 너고 나고...
경기 12잡가 "십장가"경기 12잡가 "십장가"
경기 12잡가 "십장가"
Переглядів 45Рік тому
1. 가사 : 전라좌도(全羅左道) 남원(南原) 남문 밖 월매 딸 춘향이가 불쌍하고 가련하다 하나 맞고 하는 말이 일편단심(一片丹心) 춘향이가 일종지심(一從之心) 먹은 마음 일부종사(一夫從事)하쟀더니 일각일시(一刻一時) 낙미지액(落眉之厄)에 일일칠형(一日七刑) 무삼 일고 둘을 맞고 하는 말이 이부불경(二夫不更) 이내 몸이 이군불사(二君不事) 본(本)을 받아 이수중분백로주(二水中分白鷺洲) 같소 이부지자(二父之子) 아니어든 일구이언(一口二言)은 못하겠소 셋을 맞고 하는 말이 삼한갑족(三韓甲族) 우리 낭군 삼강(三綱)에도 제일이요 삼촌화류승화시(三春花柳勝華時)에 춘향이가 이도령 만나 삼배주(三杯酒) 나눈 후에 삼생연분(三生緣分) 맺었기로 사또 거행(擧行)은 못하겠소 넷을 맞고 하는 말이 사면차지(四面次知) 우...
경기 12잡가 "선유가"경기 12잡가 "선유가"
경기 12잡가 "선유가"
Переглядів 62Рік тому
1. 가사 : 가세 가세 자네 가세 가세 가세 놀러 가세 배를 타고 놀러를 가세 지두덩기어라 둥게 둥덩 덩실로 놀러 가세 앞집이며 뒷집이라 각위(各位) 각집 처자들로 장부 간장 다 녹인다 동삼월(冬三月) 계삼월(桂三月) 회양도(淮陽道) 봉봉(峯峯) 돌아를 오소 아나 월선(月仙)이 돈 받소 가던 임은 잊었는지 꿈에 한 번 아니 보인다 내 아니 잊었거든 젠들 설마 잊을소냐 가세 가세 자네 가세 가세 가세 놀러 가세 배를 타고 놀러를 가세 지두덩기어라 둥게 둥덩 덩실로 놀러 가세 이별이야 이별이야 이별 두 자 내인 사람 날과 백년 원수로다 동삼월 계삼월 회양도 봉봉 돌아를 오소 아나 월선(月仙)이 돈 받소 살아 생전 생이별은 생초목(生草木)에 불이 나니 불 꺼 줄 이 뉘 있읍나 가세 가세 자네 가세 가세 가...
경기 12잡가 "평양가"경기 12잡가 "평양가"
경기 12잡가 "평양가"
Переглядів 39Рік тому
1. 가사 : 제1연 : 임을 따라 부모·동생 다 버리고 둘이 갈까하는 내용. 갈까 보다 가리 갈까 보다 임을 따라 임과 둘이 갈까 보다 잦은 밥을 다 못 먹고 임을 따라 임과 둘이 갈까 보다 부모 동생 다 이별하고 임을 따라 임과 둘이 갈까 보다 제 2연 : 평양성내에 불이 붙었는데 월선이 집에 불이 붙을까 염려하는 내용. 불붙는다 불이 불붙는다 평양성내 불이 불붙는다 평양성내 불이 불붙으면 월선이 집에 행여 불 갈세라 월선이 집에 불이 불붙으면 육방관속(六房官屬)이 제가 제 알리라 제3연 : 월선이 집에 놀러 갔더니 월선이가 소매를 잡고 들어가자는 내용. 가세 가세 노리 놀러 가세 월선이 나와 소매를 잡고 가세 가세 어서 들어를 가세 놓소 놓소 노리놓소 그려 직령(直領) 소매 노리놓소 그려 제4연 ...
경기 12잡가 "형장가"경기 12잡가 "형장가"
경기 12잡가 "형장가"
Переглядів 80Рік тому
판소리 “춘향가” 중 신관사또가 춘향이 수청 들지 않는다고 매질하게 하는 대목과 그것을 보고 불쌍해하는 구경꾼들의 동정, 춘향의 굽힘없는 수절을 잡가로 엮은 것이다. 1. 가사 : 형장(刑杖) 태장(笞杖) 삼(三)모진 도리매로 하날 치고 짐작할까 둘을 치고 그만 둘까 삼십도(三十度)에 맹장(猛杖)하니 일촌간장(一寸肝藏) 다 녹는다 걸렸구나 걸렸구나 일등춘향(一等春香)이 걸렸구나 사또 분부 지엄하니 인정일랑 두지 마라 국곡투식(國穀偸食)하였느냐 엄형중치(嚴刑重治)는 무삼 일고 살인도모(殺人圖謀)하였느냐 항쇄족쇄(項鎖足鎖)는 무삼 일고 관전발악(官前發惡)하였느냐 옥골최심(玉骨摧甚)은 무삼 일고 불쌍하고 가련하다 춘향 어미가 불쌍하다 먹을 것을 옆에다 끼고 옥 모퉁이로 돌아들며 몹쓸 년의 춘향이야 허락 한 ...
경기 12잡가 "소춘향가"경기 12잡가 "소춘향가"
경기 12잡가 "소춘향가"
Переглядів 156Рік тому
1. 가사 : 춘향(春香)의 거동(擧動) 봐라 오인 손으로 일광(日光)을 가리고 오른손 높이 들어 저 건너 죽림(竹林) 보인다 대 심어 울하고 솔 심어 정자(亭子)라 동편(東便)에 연정(蓮亭)이요 서편(西便)에 우물이라 노방(路傍)에 시매고후과(時賣故侯瓜)요 문전(門前)에 학종선생류(學種先生柳) 긴 버들 휘늘어진 늙은 장송 광풍(狂風)에 흥을 겨워 우줄 활활 춤을 춘다 사립문 안에 삽사리 앉아 먼 산을 바라보며 꼬리치는 저 집이오니 황혼에 정녕히 돌아를 오소 떨치고 가는 형상 사람의 간장을 다 녹이느냐 너는 어연 계집 아희관데 나를 종종 속이느냐 아하 너는 어연 계집 아희관데 장부간장을 다 녹이느냐 녹음방초승화시(綠陰芳草勝花時)에 해는 어이 아니 가노 오동야월(梧桐夜月) 달 밝은데 밤은 어이 수이 가노...
경기 12잡가 "집장가"경기 12잡가 "집장가"
경기 12잡가 "집장가"
Переглядів 54Рік тому
가사 : 집장군노(執杖軍奴) 거동(擧動)을 봐라 춘향을 동틀에다 쫑그라니 올려매고 형장(刑杖)을 한아름을 디립다 덤석 안아다가 춘향이 앞에다가 좌르르 펄뜨리고 좌우 나졸들이 집장(執杖) 배립(排立)하여 분부 듣주어라 여쭈어라 바로 아뢸 말삼 없소 사또 안전(案前)에 죽여만 주오 집장군노 거동을 봐라 형장 하나를 고르면서 이놈 집어 느긋느긋 저놈 집어 는청는청 춘향이를 곁눈을 주며 저 다리 들어라 골(骨) 부러질라 눈 감아라 보지를 말라 나 죽은들 너 매우 치랴느냐 걱정을 말고 근심을 마라 집장군노 거동을 봐라 형장 하나를 골라 쥐고 선뜻 들고 내닫는 형상(形狀) 지옥문 지키었던 사자(使者)가 철퇴를 들어메고 내닫는 형상 좁은 골에 벼락치듯 너른 들에 번개하듯 십리만치 물러섰다가 오리만치 달려 들어와서 ...
경기 12잡가 "제비가"경기 12잡가 "제비가"
경기 12잡가 "제비가"
Переглядів 154Рік тому
1. 가사 : 만첩산중(萬疊山中) 늙은 범 살진 암캐를 물어다 놓고 에- 어르고 노닌다 광풍(狂風)의 낙엽처럼 벽허(碧虛) 둥둥 떠나간다 일락서산(日落西山) 해는 뚝 떨어져 월출동령(月出東嶺)에 달이 솟네 만리장천(萬里長天)에 울고 가는 저 기러기 제비를 후리러 나간다 제비를 후리러 나간다 복희씨(伏羲氏) 맺은 그물을 두루쳐메고서 나간다 망탕산(茫荡山)으로 나간다 우이여- 어허어 어이고 저 제비 네 어디로 달아나노 백운(白雲)을 박차며 흑운(黑雲)을 무릅쓰고 반공중(半空中)에 높이 떠 우이여- 어허어 어이고 달아를 나느냐 내 집으로 훨훨 다 오너라 양류상(楊柳上)에 앉은 꾀꼬리 제비만 여겨 후린다 아하 이에이 에헤이 에헤야 네 어디로 행하느냐 공산야월(空山夜月) 달 밝은데 슬픈 소래 두견성(杜鵑聲) 슬...
경기 12잡가 "적벽가"경기 12잡가 "적벽가"
경기 12잡가 "적벽가"
Переглядів 118Рік тому
적벽대전에서 크게 패한 조조가 화용도(華容道)로 도망하여 여러 번 죽을 고비를 넘기다가 마침내 500 도부수(刀斧手)를 거느린 관운장을 만나 구차스럽게 잔명(殘命)을 비는 광경부터 관운장의 너그러운 덕으로 조조가 목숨을 건져 화용도를 빠져나가는 데까지를 엮은 것 [네이버 지식백과] 적벽가 [赤壁歌]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1. 가사 : 삼강(三江)은 수전(水戰)이요 적벽(赤璧)은 오병(鏖兵)이라 난데없는 화광(火光)이 충천(沖天)하니 조조(曹操)가 대패(大敗)하여 화용도(華容道)로 행할 즈음에 응포일성(應砲一聲)에 일원대장(一員代將)이 엄심갑(掩心甲)옷에 봉(鳳)투구 저켜 쓰고 적토마(赤兎馬) 비껴 타고 삼각수(三角鬚)를 거스릅시고 봉안(鳳眼)을 크게 뜹시고 팔십근(八十斤) 청룡도(靑龍...
경기 12 잡가 "유산가"경기 12 잡가 "유산가"
경기 12 잡가 "유산가"
Переглядів 193Рік тому
1. 가사 : 화란춘성(花爛春城)하고 만화방창(萬化方暢)이라. 때 좋다, 벗님네야, 산천경개(山川景槪)를 구경을 가세. 죽장망혜(竹杖芒鞋) 단표자(單瓢子)가니, 만산홍록(滿山紅綠)들은 일년일도(一年一度) 다시 피어 춘색(春色)을 자랑노라 색색이 붉었는데, 창송취죽(蒼松翠竹)은 창창울울(蒼蒼鬱鬱)한데, 기화요초(琪花瑤草) 난만중(爛漫中)에 꽃 속에 잠든 나비 자취 없이 날아난다. 유상앵비(柳上鶯飛)는 편편금(片片金)이요, 화간접무(花間蝶舞)는 분분설(紛紛雪)이라. 삼춘가절(三春佳節)이 좋을씨고. 도화만발점점홍(桃花滿發點點紅)이로구나. 어주축수애삼춘(漁舟逐水愛三春)이어든 무릉도원(武陵桃源)이 예 아니냐. 양류세지사사록(楊柳細枝絲絲綠)하니 황산곡리당춘절(黃山谷裏當春節)에 연명오류(淵明五柳) 예 아니냐. 제비...
평시조 "동창이 밝았느냐"평시조 "동창이 밝았느냐"
평시조 "동창이 밝았느냐"
Переглядів 309Рік тому
1. 시조 : 조선 시대 후기에 발생한 성악곡. 시조창, 시절가조 라고도 불렀다. 선비들 사이에 널리 불린 유행가이다. 시조를 가사로 사용한다. 2. 부르는 방법에 따라 - 평시조(중간 음역의 음으로 시작한다), 지름시조(첫 소리를 높게 낸다), 사설시조(긴 시를 사설로 붙인 시조) 로 나눈다. 3. 가사 : 남구만의 시조 "동창이 밝았느냐" 동창이 밝았느냐 노고지리 우지진다. 소 치는 아이는 상기 아니 일었느냐 재 너머 사래 긴 밭을 언제 갈려 하느냐. - 남구만이 관직에서 물러나 전원생활을 즐기며 쓴 작품. 농사일은 부지런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 시조이다. 4. 3음 계면조 : 황(黃), 중(仲), 임(林) 황(黃) : 깊이 있게 눌러 떤다.(요성) 중(仲) : 평평하게 낸다. 윗 음으로 밀어 올리...
낙양춘(기수영창지곡)낙양춘(기수영창지곡)
낙양춘(기수영창지곡)
Переглядів 203Рік тому
1. 고려 때 중국 송나라에서 들어온 사악. 2. 구양수가 지은 것 - 이별한 님을 그리는 여인의 마음을 나타내었다. 3. 가사 : '미전사' 사창미효황앵어 - 사창 아직 밝지 않았는데, 꾀꼬리 소리 울려온다. 혜로소잔주 - 혜초 피우는 향로에 남은 향줄기 다 타버렸다. 금유나막도춘한 - 비단 병풍 깁 방장으로 봄 추위 막았는데 작야리삼경우 - 간밤의 삼경에 비가 내렸다. '미후사' 수렴한의취경서 - 수놓은 발에 한가롭게 기대있는데, 가벼운 버들솜이 바람에 불린다. 감미산무서 - 눈살 찌푸리고, 마음 갈피 못 잡아 파화식루향귀홍 - 꽃 꺾어 들고 눈물 씻고는 돌아오는 큰 기러기 향해서 문래처봉량불 - 떠나온 곳에서 내 낭군 만나 보았소 하고 물어보았네. 4. 환입, 환두형식 5. 불규칙적인 가사 - 불...
종묘제례악 전폐희문 악지(끝)종묘제례악 전폐희문 악지(끝)
종묘제례악 전폐희문 악지(끝)
Переглядів 312Рік тому

КОМЕНТАРІ

  • @포뽀-x7j
    @포뽀-x7j Рік тому

    순위가 무슨상관이냐 다똑같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