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승공예TV
전승공예TV
  • 144
  • 123 183
제49회 대한민국전승공예대전 국가무형유산기능협회이사장상_건칠 어피 어룡형 주전자_오삼록
○ 작 가 : 오삼록
○ 작 품 : 건칠 어피 어룡형 주전자 乾漆 魚皮 魚龍形 酒煎子
Dry Lacquered Fish Dragon-shaped Ewer with Fish Skin Design
○ 작품설명 :
어피 어룡형 주전자는 옻칠공예 기법 중 건칠(협저) 기법의 작품으로 건칠은 고려말에서 조선 초기에 성행하였고, 섬세한 조형물을 빚어내기에 적합한 기법이다.
모본은 1962년에 지정된 국보로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고려시대의 청자 주전자이다.
상상 속의 동물인 어룡(魚龍)이 물을 박차고 힘껏 뛰어오르는 모습을 형상화한 것으로 어룡은 머리가 용, 몸통이 물고기의 모습을 하고 있다.
Переглядів: 24

Відео

제49회 대한민국전승공예대전_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장상_탐릉군 중치막과 무수창의_박현숙
Переглядів 1621 день тому
○ 작 가 : 박현숙 ○ 작 품 : 탐릉군 중치막과 무수창의 耽陵君 中致莫 無袖氅衣 Men's Coat with Side Slits and Short Sleeves from the Tomb of Prince Tamreung ○ 작품설명 : 탐릉군(耽陵君) 이변(1636 ~1731 선조의 증손)의 묘 출토복식 중 조선 시대 사인(士人) 계급에서 착용하던 옆트임 있는 겉옷, 중치막과 소매가 없고 무와 뒤트임이 있는 무수창의를 재해석한 작품이다. 중치막은 소색(쟁처리한 백포)의 은조사를 사용하고, 무수창의는 쪽염을 하고 그 위에 치자염을 들인 옥사를 사용한 홑옷이다.
제49회 대한민국전승공예대전 한국문화예술위원회위원장상_속두껍닫이 사층책장_소중한
Переглядів 2321 день тому
○ 작 가 : 소중한 ○ 작 품 : 속두껍닫이 사층책장 四層冊欌 Four-tiered Bookcase ○ 작품설명 : 조선의 목가구인 사층책장을 참고하여 만든 속두껍닫이(미닫이문을 한 줄로 된 미닫이 홈으로 넣기 위해 들면서 밀어 넣게 된 문) 책장으로 널판형(넓은 판재에 주먹장 구조짜임)으로 몸통을 만들고, 다리는 몸통과 분리되는 농(籠)의 형태로 제작한 것이 특징이다. 장(欌)의 내부는 사층으로 구성하고 일층과 이층 사이에 두껍닫이 문의 문갑장을 넣어 기능성과 조형성을 겸비했다.
제49회 대한민국전승공예대전 국가유산진흥원장상_옻칠 윤선, 합죽 윤선_김대성
Переглядів 36721 день тому
○ 작 가 : 김대성 ○ 작 품 : 옻칠 윤선·합죽 윤선 漆 輪扇·合竹 輪扇 Round Folding Fan ○ 작품설명 : 32개의 댓살로 이루어진 대형 윤선(輪扇)은 마차 바퀴 같다고 하여 대륜선(大輪扇)이라고도 부르는데 부채와 양산을 겸하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합죽 윤선은 언제부터 제작되었는지 기원은 불분명하나 외국과의 교역품으로 활용되었으며 조선시대에는 단순히 생활용품에서 나아가 의례 용품이나 예술품으로 발전하였다.
제49회 대한민국전승공예대전 국가유산청장상_한지 천연염색_조현진, 박재균
Переглядів 2721 день тому
○ 작 가 : 조현진, 박재균 ○ 작 품 : 한지 천연염색 韓紙 天然染色 Natural Dyeing on Korean Traditional Paper ○ 작품설명 : 종이의 발명은 중국 『후한서後漢書』의 「채륜전 蔡倫傳 (채륜은 중국 후한 중기의 환관으로 종이를 발명한 인물)」에 기록으로 전하지만 우리나라의 종이 제조는 정확한 기록을 알 수 없으며,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인쇄물로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이 전해지고 있고, 고려시대 종이는 최고의 품질로 평가받았으며, 조선시대에도 왕조실록을 비롯한 다양한 서화용 기록물들에 쓰였다. 작품은 우리나라의 전통 방식인 흘림뜨기(외발뜨기) 기법으로 제조한 한지에 후염방식으로 16가지 색을 반복 염색한 것이다.
제49회 대한민국전승공예대전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_산조가야금_류현도
Переглядів 22121 день тому
○ 작 가 : 류현도 ○ 작 품 : 산조가야금 散調伽倻琴 Folk Gayageum Zither ○ 작품설명 : 산조는 19세기 후반에 등장한 기악 독주곡으로 산조가야금은 빠른 가락의 연주에 적합하도록 정악가야금보다 작게 제작됐다. 10년 동안 자연 건조한 오동나무로 울림통을 만들고, 좌단(머리 부분)과 운족(뒷판 하단에 있어 가야금을 바닥에 고정시키는 구름문양의 틀)에는 소뼈를 붙여 비취로 장식을 추가했다. 악기의 현은 12줄의 굵기를 모두 달리하여 3합으로 줄을 꼬고 수증기로 쪄내최적의 장력을 줄 수 있도록 했고, 붉은색 부들을 끼워 연결했다.
제49회 대한민국전승공예대전 국무총리상_철제 금은입사 손화로_승경란
Переглядів 1,1 тис.21 день тому
○ 작 가 : 승경란 ○ 작 품 : 철제 금은입사 손화로 鐵製 金銀入絲 手爐 Iron Brazier with Gold and Silver Inlaid Design ○ 작품설명 : 철제 금은입사 손화로는 독일 함부르크 민족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19세기 조선시대의 작품이다. 몸체와 뚜껑이 분리되어 있고 안에는 탈착할 수 있게 만든 손잡이 달린 숯 그릇이 있으며, 몸체 바닥과 접합된 투각 받침대에는 당초문이 음각되어 있다. 글씨와 연꽃, 달과 관련된 낭만적 소재 등을 기물 전체에 은입사하여 화려하게 장식한 의장(意匠)품이다.
제49회 대한민국전승공예대전 대통령상_법화경 변상도_김경미
Переглядів 49021 день тому
○ 작 가 : 김경미 ○ 작 품 : 법화경 변상도 法華經 變相圖 Illustration of the Saddharma-pundarika Sutra ○ 작품설명 : 경전의 내용을 요약하여 그림으로 표현한 것을 변상도라고 한다. 1340년에 제작된 고려 사경의 변상도가 모본이며, 작품의 감지(紺紙)는 닥원료를 쪽으로 선염(先染)하고 외발뜨기(발을 하나만 사용하여 한지를 뜨는 방식으로 옆물질로 종이 두께를 조절하는 전통기법)기법으로 만든 후 도침(닥종이를 두드려 섬유 사이의 공간을 메우고 표면을 편평하게 만드는 가공법)하고 옻으로 포수하여 사용하였다. 7장의 변상도를 한 장에 담을 수 있도록 구성한 후 순금니로 선묘하였다. 오랜 세월이 지나도 좀이 슬지 않고 변질되지 않도록 고려 사경의 기법으로 제작하였다.
[제49회 대한민국전승공예대전_온라인 전시]
Переглядів 9721 день тому
전통공예를 전승 보존하고 공예문화를 계발 육성하기 위한 연구와 기술개발 및 보급 활동을 통해 한국의 전통공예 문화 발전에 기여합니다.
[제44회 전통공예명품전_온라인전시] - The 44th Masterpieces of Traditional Craft Exhibition
Переглядів 3327 місяців тому
🎬제44회 전통공예명품전 온라인 전시(The 44th Masterpieces of Traditional Craft Exhibition) 전시 기간 : 2024년 5월 17일(금) - 5월 24일(금) 전시 장소 : 국가무형유산전수교육관 전시관 3층 『올』 ​주최 : 국립무형유산원, 국가무형유산기능협회 주관 : 국가무형유산기능협회 후원 : 국가유산진흥원 #제44회전통공예명품전, #전통공예명품전, #국가무형유산기능협회, #국가무형유산, #시도무형유산, #대한민국명장, #전승자, #kpicaa, #전통공예, #전시, #서울전시, #전시회, #포스터, #전통공예기능인, #공예전시, #추천전시, #공예품, #傳統工藝名品展, #傳統工藝, #傳統, #工藝, #工芸, #Masterpieces, #Traditional...
제48회 대한민국전승공예대전_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_용봉문 관복함-김종민
Переглядів 581Рік тому
. . ○ 작 가 : 김종민 ○ 작 품 : 용봉문 관복함 龍鳳紋 官服函 Official Uniform Box With Dragon and Phoenix Design ○ 작품설명 : 예로부터 주칠은 매우 희귀하여 왕실에서 주로 사용되며 권위와 부를 상징하는 의미로 쓰였다. 작품은 관복을 넣어서 보관하는 상자로 목심저피칠기법으로 제작하였으며 직육면체의 몸체와 뚜껑을 경첩으로 연결했다. 호칠하여 베를 싸고 골회로 메워 옻칠한 후 주칠로 마무리했다. 겉면은 색패를 이용해 봉황과 오조룡을 시문하고 봉황의 얼굴과 다리, 용의 얼굴과 발, 불꽃 여의주는 대모를 붙였으며, 봉황의 벼슬과 용의 혀는 산호로 장식했다. 운문과 봉황의 꼬리는 황동선으로 표현했다. 장석은 백동으로 마무리했는데 앞면의 앞바탕은 연화문을 새긴 ...
제48회 대한민국전승공예대전_(사)국가무형문화재기능협회이사장상_거문고-노진영
Переглядів 284Рік тому
. . ○ 작 가 : 노진영 ○ 작 품 : 거문고 玄琴 Geomungo Zither ○ 작품설명 : 거문고는 ‘고구려의 현악기’라는 뜻으로 고구려를 뜻하는 ‘ᄀᆞᆷ’ 과 현악기를 뜻하는 ‘고[琴]’가 합성된 이름이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고구려의 제2상인 왕산악이 중국 진(晉)나라에서 들여온 칠현금(七絃琴)의 모양을 본따 개량하였고, 악기를 연주하자 ‘검은 학이 날아와 춤을 추었다’고 하여 ‘현학금(玄鶴琴)’이라 이름 붙였으며, 후에 ‘현금(玄琴)’이라 불렀다고 전해진다. 작품은 50년 이상 자란 오동나무와 밤나무를 5년 이상 자연 건조하여 규격에 맞게 치목하고, 머리와 좌단은 소뼈와 화류목으로 장식하였으며, 대추나무로 만든 16괘를 붙이고 대모는 소가죽을 이용했다. 앞판은 인두질하여 자연무늬 그대로를...
제48회 대한민국전승공예대전_국무총리상_다회·망수-임금희
Переглядів 2,6 тис.Рік тому
. . ○ 작 가 : 임금희 ○ 작 품 : 다회·망수 多繪·網綬 Braided Cord·Weaved Ornament ○ 작품설명 : 다회는 단면의 형태에 따라 환조(丸絛)와 편조(扁絛)로 나눌 수 있는데 광다회는 단면의 형태가 평편한 편조(扁絛)로 제작한다. 광다회는 조선시대 백관의 융복이나 철릭에 두르던 넓은 대로 청, 홍, 상색 등이 있으며, 장도 다회는 장도에 매달아 세조대에 달고 다녔다. 망수는 후수의 일부분이며 후수는 왕실이나 문무백관의 복식 뒤에 품계를 상징하는 장식으로 드리웠다. 광다회는 명주실에 쪽 염색하여 2간 2조의 사선엮음조 형식으로 대와 망수, 술로 구성하고, 17세기 조선시대 유물에 따른 전통 방식으로 구멍이 없는 술로 마무리했다. 장도 다회는 상하교차조 형식으로 씨실과 날실을 ...
제48회 대한민국전승공예대전_문화재청장상_대구 동화사 마애불 석조각-최경교
Переглядів 184Рік тому
. . ○ 작 가 : 최경교 ○ 작 품 : 대구 동화사 마애불 석조각 大邱 桐華寺 磨崖佛 石彫 Rock-Carved Seated Buddha of Donghwasa Temple, Daegu ○ 작품설명 : 작품은 대구광역시 동구 동화사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마애불을 재현한 것이다.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으며 광배와 대좌를 모두 갖추었고, 조각 수법이 부드러우면서도 섬세하며 보존 상태도 양호하다. 법의는 통견이며 넓게 트인 가슴 사이로 군의(裙衣)의 띠 매듭이 노출되었고, 오른손은 무릎 아래로 내려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을 맺고 왼손은 결가부좌 한 무릎 위에 올려놓은 모습이다. 광배는 두 줄의 선으로 두광(頭光)과 신광(身光)으로 구분되고, 가장자리에는 불꽃무늬를 새겨넣었다. 대좌에는 아래로 ...
제48회 대한민국전승공예대전_국립무형유산원장상_화성능행도 8곡병-박정희
Переглядів 908Рік тому
. . ○ 작 가 : 박정희 ○ 작 품 : 화성능행도8곡병 華城陵幸 八曲屛 Folding Screen of Hwaseong Nenghaengdo(Royal Parade to Hwaseong Fortress) ○ 작품설명 : 화성능행도는 1795년 을묘년 윤 2월 9일부터 2월 16일까지 8일간 행해진 수원 행차의 주요 행사를 그린 궁중 기록화이다. 당대 최고의 궁중 화원들이 그린 그림으로 2005년 보물로 지정된 삼성미술관 리움의 소장본을 재현하였다. 그림은 8폭 병풍으로 구성되어 있고,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하고 해학적이며, 색채 또한 세련되고 묘사가 매우 정교한 것이 특징이다. 그림의 내용은 ‘화성성묘전배도(華城聖廟展拜圖)’, ‘낙남헌방방도(洛南軒放榜圖)’, ‘봉수당진찬도(奉壽堂進饌圖)’, ‘낙남헌양...
제48회 대한민국전승공예대전_대통령상_정태제 묘 출토 금사 쌍학흉배-이영분
Переглядів 1,4 тис.Рік тому
제48회 대한민국전승공예대전_대통령상_정태제 묘 출토 금사 쌍학흉배-이영분
[제48회 대한민국전승공예대전_온라인 전시]
Переглядів 1,6 тис.Рік тому
[제48회 대한민국전승공예대전_온라인 전시]
[제43회 전통공예명품전_온라인전시] - The 43rd Masterpieces of Traditional Craft Exhibition
Переглядів 1,1 тис.Рік тому
[제43회 전통공예명품전_온라인전시] - The 43rd Masterpieces of Traditional Craft Exhibition
[제47회 대한민국전승공예대전_온라인전시 : 전시관 '결'/'올']
Переглядів 1,4 тис.2 роки тому
[제47회 대한민국전승공예대전_온라인전시 : 전시관 '결'/'올']
[침선] 제47회 대한민국전승공예대전 본상 수상작_대통령상_불복장(문수사 답호, 해인사 요선철릭)-김명자
Переглядів 8632 роки тому
[침선] 제47회 대한민국전승공예대전 본상 수상작_대통령상_불복장(문수사 답호, 해인사 요선철릭)-김명자
[자수] 제47회 대한민국전승공예대전 본상 수상작_국무총리상_책거리 8폭 병풍-임미선
Переглядів 7542 роки тому
[자수] 제47회 대한민국전승공예대전 본상 수상작_국무총리상_책거리 8폭 병풍-임미선
[염색] 제47회 대한민국전승공예대전 본상 수상작_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_홍화염색-남혜인
Переглядів 6402 роки тому
[염색] 제47회 대한민국전승공예대전 본상 수상작_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_홍화염색-남혜인
[도자] 제47회 대한민국전승공예대전 본상 수상작_문화재청장상_분청 인화 어문 호-유용철
Переглядів 3452 роки тому
[도자] 제47회 대한민국전승공예대전 본상 수상작_문화재청장상_분청 인화 어문 호-유용철
[민화] 제47회 대한민국전승공예대전 본상 수상작_국립무형유산원장상_서수낙원도-우주희
Переглядів 1,8 тис.2 роки тому
[민화] 제47회 대한민국전승공예대전 본상 수상작_국립무형유산원장상_서수낙원도-우주희
[금속입사] 제47회 대한민국전승공예대전 본상 수상작_한국문화예술위원회위원장상_은입사 장식문 책장-김선정,김문정
Переглядів 4372 роки тому
[금속입사] 제47회 대한민국전승공예대전 본상 수상작_한국문화예술위원회위원장상_은입사 장식문 책장-김선정,김문정
[지공예] 제47회 대한민국전승공예대전 본상 수상작_국가무형문화재기능협회이사장상_관복함·탕건집·갓집-박금자
Переглядів 3472 роки тому
[지공예] 제47회 대한민국전승공예대전 본상 수상작_국가무형문화재기능협회이사장상_관복함·탕건집·갓집-박금자
[제42회 전통공예명품전_온라인전시]
Переглядів 1,5 тис.2 роки тому
[제42회 전통공예명품전_온라인전시]
[제46회 대한민국전승공예대전_온라인전시 : 전시관 '결'/'올']
Переглядів 2,4 тис.3 роки тому
[제46회 대한민국전승공예대전_온라인전시 : 전시관 '결'/'올']
[마미] 제46회 대한민국전승공예대전_대통령상_바둑 탕건_김경희
Переглядів 8073 роки тому
[마미] 제46회 대한민국전승공예대전_대통령상_바둑 탕건_김경희
[옻칠] 제46회 대한민국전승공예대전_국무총리상_협저칠기 달항아리_권영진
Переглядів 1,4 тис.3 роки тому
[옻칠] 제46회 대한민국전승공예대전_국무총리상_협저칠기 달항아리_권영진

КОМЕНТАРІ

  • @kyosoonjang
    @kyosoonjang День тому

    전승공예대전 대통령상에 걸맞은 작품과 과정이네요

  • @엄-H
    @엄-H 19 днів тому

    손화로 완성 작품은 안보여주나요?

  • @rantree598
    @rantree598 21 день тому

    감탄스럽습니다

  • @유미동
    @유미동 28 днів тому

    반갑습니다 유미동입니다 연락처 부탁드려요

  • @최지연-t6j
    @최지연-t6j Місяць тому

    정말 아름답습니다. 앞으로도 멋진 작품 많이 올려주세요~ 응원합니다❤

  • @베로니카최
    @베로니카최 4 місяці тому

    짱이세요.🎉

  • @cobaka-n7z
    @cobaka-n7z 6 місяців тому

    예술입니다❤

  • @13palomaseraficast.61
    @13palomaseraficast.61 6 місяців тому

    There should me more footage of this

  • @KPICAA_TV
    @KPICAA_TV 8 місяців тому

    제44회 전통공예명품전 온라인전시 타임라인(총 114작품) 00:00 도입부 00:31 진주선 유소_김시재 00:41 귀주머니_이미려 00:54 수낭 향주머니_이영분 01:11 전통 쪽염색 모시원단_정관채 국가무형유산 염색장 01:23 홍화염색_남혜인 01:39 무명에 쪽염_홍루까 01:50 삼작저고리_조정화 경상북도무형유산 침선장 02:06 자수 보자기_김애경 02:21 연화도_방희원 02:34 책거리_박기숙 03:22 좌청룡 우백호_조남용 03:35 조선의 궁시_김연오 03:49 화살 액자_박호준 국가무형유산 궁시장 04:02 전통 화살 액자_유세현 국가무형유산 궁시장 04:13 인_김각한 국가무형유산 각자장 04:27 청산별곡_심원 황정수 04:35 작호도_손영학 04:44 취지 금니 금강반야바라밀경_김경미 04:58 천년의 숨결_김종우 05:10 석조 마애관음보살상_이재순 국가무형유산 석장 05:39 소리북_이정기 국가무형유산 악기장 05:52 지승 자라병_김강희 06:05 자연석 포도문 벼루_노재경 06:19 연상_소귀분 06:32 통영 음영사립_정한수 국가무형유산 갓일 전승교육사 · 도국희 06:45 사방관_김경희 국가무형유산 탕건장 전승교육사 06:57 옥립갓_박창영 국가무형유산 갓일장 07:11 반짇고리_이명애 07:20 함_조복래 경상남도무형유산 소목장 07:59 화조문 액자_정수화 국가무형유산 칠장 08:16 자라줌치 노리개_김향미 08:28 선낭_채주원 08:39 남아혜·여아혜_황해봉 국가무형유산 화혜장 09:06 노사흉배_지희영 09:18 쌍학흉배_류오형 09:28 단호흉배_오지영 09:39 신경유 겹도포_배성주 10:05 은상감 매월도_조문기 10:16 여의주를 든 두 마리 용_김성희 10:31 바람-수복강녕_최순금 10:45 고정지·태지·옥춘지_안치용 국가무형유산 한지장 11:00 백접선_김동식 국가무형유산 선자장 11:16 나전 해금_고흥곤 국가무형유산 악기장 11:32 산조가야금_고승준 11:47 운룡도 소리북_최문정 국가무형유산 단청장 전승교육사 12:04 용용죽겠 쥐1_김석곤 12:19 법고_윤종국 국가무형유산 악기장 12:33 자수 청룡도_노현민 12:45 화엄경 약찬게_허유지 12:58 조왕도_임석환 국가무형유산 불화장 13:14 수복강녕상감 가리개_권우범 경기도무형유산 소목장 13:28 규방 책거리_우주희 13:44 누비 장옷_최미정 13:59 원삼_김명자 14:17 화동·야생화_김순희 14:26 나빌레라_이순례 14:42 각게수리_조화신 국가무형유산 소목장 전승교육사 14:55 불설관무령수불경 변상도(지관) 佛說觀無量壽佛經 變相圖 (池觀)_정향자 15:15 학을 타고 해와 달을 넘어_나유미 15:29 새천년의 아침_김영이 국가무형유산 자수장 전승교육사 15:42 대한제국 황제 후수와 패옥_이영애 15:57 단-Red_한승희 16:12 왕세자 공정책_김제권 16:25 칠보 전통 은비녀_김정화 16:37 향갑노리개_김혜순 국가무형유산 매듭장 16:50 윤회_법광 배경우 17:06 기성군부인 평양이씨 단삼_신현자 17:22 화문석-나라사랑_서순임 18:02 운룡도_김애란 18:22 미륵반가사유상_원광식 국가무형유산 주철장 18:37 사계분경도 중 포도_김영희 국가무형유산 자수장 전승교육사 18:52 모란도_김창순 19:07 보신각 새종_원천수 19:24 놋상_이봉주 국가무형유산 유기장 19:38 운룡문 낙죽 지휘도_박남중 19:51 흑단 은장 갖은을자도 / 대추나무 은장 갖은팔각도_박건영 20:02 다회_임금희 20:16 한지 곡두선_윤서형 20:31 은제 고부조타출 장도집_박봉현 경기도무형유산 조각장 20:47 은장 파도문삼태성 팔모도 / 은장환 갖은을자도_박종군 국가무형유산 장도장 21:19 안경집_조양엽 21:31 옥잠화_강성수 21:45 양류관음도_전정남 21:58 연화문 부처님_윤예노 22:14 옥제 용문 향로_김청운 22:31 낙화 하경산수도_김영조 국가무형유산 낙화장 22:42 가야시대 순은 주전자와 잔_황갑주 22:59 은입사 접시-마음_승경란 국가무형유산 입사장 전승교육사 23:27 청동 은입사 용문 향합_곽홍찬 국가무형유산 조각장 23:38 금백금상감 용문 정병_김용운 국가무형유산 조각장 23:51 옥제 대향로_김영희 국가무형유산 옥장 24:28 석호_이백현 24:38 쌍룡문 목상감 지통_최병인 24:51 천보부_장우철 25:01 동이_이형근 국가무형유산 유기장 25:11 이라보 상감어문 매병_염종귀 25:22 색동목 과반_김동귀 경상남도무형유산 소목장 25:31 얹은활과 화살_김윤경 국가무형유산 궁시장 25:45 반오지 다면 단지_정영락 25:54 양념 단지_김창호 26:06 협저칠기 목단 달항아리_권영진 대한민국 칠기 명장 26:20 질시루_김일만 국가무형유산 옹기장 26:31 국화나비당초문 과기_손대현 서울특별시무형유산 칠장 26:42 호접당초문 봉채함_김율현 26:52 함-연날리기_김기호 국가무형유산 금박장 27:01 다용도 탁자_박만순 27:12 꽃가마 방석_김태자 국가무형유산 자수장 전승교육사 27:24 청화진사 육각 보리문 호_서광수 경기도무형유산 사기장 27:50 전주 반닫이장_소병진 국가무형유산 소목장 28:00 전주 이층반닫이장_이명택 28:14 머릿장_여규화 28:25 궁궐의 궁중 책가도_이수진 28:41 몽유도원도_박정희 28:55 서안_조현영

  • @KyleLee_
    @KyleLee_ 8 місяців тому

    소장하고 싶습니다 작가님 연락처나 이메일을 알 수 있을까요?

  • @콜드브루-z5p
    @콜드브루-z5p 10 місяців тому

    불화에 이렇게 많은 정성이 들어가는지 몰랐습니다 정말 대단하십니다

  • @잘되는나
    @잘되는나 10 місяців тому

    종문쌤 짱 ^^

  • @kasandrakasandrina3744
    @kasandrakasandrina3744 11 місяців тому

    Высший пилотаж в ткачестве!

  • @joycehilkey7238
    @joycehilkey7238 11 місяців тому

    WOW! Incredible.

  • @뿌직-v4k
    @뿌직-v4k 11 місяців тому

    와...대단하셔요ㅠㅠㅠㅠㅠㅠㅠ

  • @ginau3588
    @ginau3588 Рік тому

    와!! 멋지십니다!!

  • @박수정-w3r
    @박수정-w3r Рік тому

    선생님 유튜브하시는지 몰랐어요

  • @카르페디엠-v2j
    @카르페디엠-v2j Рік тому

    완성품을 좀 보여주세요~~~

  • @금강이조은
    @금강이조은 Рік тому

    부처님 고추가리게인가 겨울에 착용하는

  • @금강이조은
    @금강이조은 Рік тому

    기술을 전수바랍니다

  • @금강이조은
    @금강이조은 Рік тому

    비싸게파세요

  • @사랑은지-e9c
    @사랑은지-e9c Рік тому

    존경합니다 ❤

  • @북개-s2h
    @북개-s2h Рік тому

    이분이 진짜 무형문화재 60호 대장장이 시군요

  • @suheechoi9452
    @suheechoi9452 Рік тому

    보고 있자니 황홀경에 빠질 정도로 빼어난 작품들이네요. 특히 작품을 보여주는 촬영기법이 뛰어나서 실제 그 자리에 있는 것처럼 감상할 수 있어 정말 행복합니다. 온라인전시를 기획하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배경음악도 제가 최근 들었던 음악들 중에 최고에요.

  • @weondngyeo1014
    @weondngyeo1014 Рік тому

    정성이 대단하네요.

  • @여시동
    @여시동 Рік тому

    예쁘네요

  • @KPICAA_TV
    @KPICAA_TV Рік тому

    제43회 전통공예명품전 온라인전시 ▶타임라인(총 101작품) 00:00 도입부 00:33 대한민국명장_금속공예 2006 제427호 변종복/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Gilt-Bronze Pensive Bodhisattva) 00:47 조영희/ 준제보살도(Painting of Cundhi Bodhisattva) 01:01 대한민국명장_자수공예 2009 제473호 송현경/ 후수(Ornament of Robe) 01:20 국가무형문화재 자수장 전승교육사 김영희/ 권우의 폐슬(Front Cloth Panel) 01:30 이원섭/ 세조대(Sash Belt for Man’s Robe) 01:42 김제권/ 꾸민 족두리(Ornamental Coronet) 01:56 채주원/ 12사 광다회 목걸이(Knotted Necklace) 02:10 이영애/ 황제의 후수(Ornament of King’s Robe) 02:24 지희영/ 수복문 자수보자기(Wrapping Cloth of Embroidered with Longevity Motif) 02:36 법광 배경우/ 반야심경 전각(Seal Engraving with The Heart Sutra) 02:50 경상남도무형문화재 소목장 김동귀/ 색동목 서안(Writing Desk with Stripes of Many Colors) 03:04 경상남도무형문화재 소목장 조복래/ 좌경(Comb Box) 03:15 국가무형문화재 나전장 장철영/ 나전 산수무늬 문갑(Stationery Chest Inlaid with Mother of Pearl Landscape Design) 03:25 국가무형문화재 각자장 김각한/ 수여금석 장의자손(Calligraphic Wood Carvings with Lucky Physiognomy Pattern) 03:40 전라북도무형문화재 옻칠장 박강용/ 나전 포도문 관복함(Lacquered Uniform Box with Inlaid Mother of Pearl Grape Design) 03:52 국가무형문화재 칠장 정수화/ 나전 사주함(Box for Wedding with Inlaid Mother of Pearl) 04:06 국가무형문화재 낙화장 김영조/ 호취도(Painting of Eagle) 04:18 정재훈/ 삼층원앙장(Three-Tiered Chest) 04:32 장우철/ 능화판 문양 고비(Letter Rack) 04:51 국가무형문화재 궁시장 유세현/ 명적(효시)(Arrow) 05:04 국가무형문화재 궁시장 김윤경/ 화피 단장 각궁(Horn Bow) 05:18 국가무형문화재 궁시장 박호준/ 화살 액자(Arrows) 05:32 김창순/ 모란도(Painting of Peony) 05:44 김종순/ 해시태그 No.4(Hashtag No.4) 05:53 박기숙/ 호피와 책거리Ⅱ(Painting of Scholar’s Equipment) 06:32 국가무형문화재 염색장 정관채/ 전통 쪽염색 옥사 원단(Traditional Indigo Dyeing on Silk Fabrics) 06:43 남혜인/ 홍화 염색(Natural Dyeing with Safflowers) 06:54 배성주/ 은진송씨 당의(Woman’s Ceremonial Jacket) 07:06 김명자/ 강대호 철릭(Man’s Coat with Pleats) 07:18 신현자/ 용인이씨 철릭(Man’s Coat with Pleats) 07:57 소귀분/ 다과상(Tea Table) 08:10 전라남도무형문화재 목조각장 김규석/ 다식판(Rice Cake Mold) 08:21 김강희/ 지승 굽다리 그릇(Paper-Cord-Woven Mounted Cup) 08:35 대한민국명장_칠기공예 2010 제493호 권영진/ 고려 넝쿨문 팔각 과기(Lacquered Octagonal Tray with Inlaid Mother of Pearl Scroll Design of Goryeo Dynasty) 08:45 박만순/ 보상화당초문 예물함(Wedding Gift Box with Inlaid Mother of Pearl Floral Medallion and Scroll Design) 08:56 국가무형문화재 악기장 이정기/ 소리북(Drum for Korean Traditional Song) 09:06 국가무형문화재 악기장 김현곤/ 궁중옥 태평소(Korean Double Reed Jade Wind Instrument) 09:16 김율현/ 도학문 낭경대(Mirror Stand with Peaches and Cranes Design) 09:42 정향자/ 묘법연화경 권제1 변상(Saddharmapundarika Sutra(The Lotus Sutra) Vol.1) 09:56 조문기/ 2023 봄 -매월도-(2023 Spring - Painting of Plum Blossoms Under Moonlight -) 10:11 명근식(청암스님)/ 금문 수복 편액(Calligraphic Wood Carvings with Traditional Pattern and Letter) 10:25 손영학/ 금강반야바라밀경 변상도(Illustrated Manuscript of The Diamond Sutra) 10:52 나유미/ 이제 그만 받을래요(Painting of Child) 11:03 최예찬(태귀)/ 거문고와 산조 가야금(Six-Stringed Zither·Twelve-Stringed Zither) 11:31 국가무형문화재 악기장 임선빈/ 판소리북(Drum for Korean Traditional Song) 11:41 김정호/ 은제도금 각자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Gilt-Silver Maha Prajna Paramita Hrdaya Sutra Plaque) 11:53 곽건찬/ 동제 은상감 관음도(Copper Avalokitesvara Bodhisattva Inlaid with Silver) 12:09 국가무형문화재 소목장 전승교육사 조화신/ 서류함(Document Box) 12:41 홍연화/ 지승 찻상(Paper-Cord-Woven Tea Table) 12:53 서순임/ 전통무늬 단지(Sedge Basket with Traditional Pattern) 13:06 국가무형문화재 채상장 서신정/ 주칠 다기함(Red-Lacquered Bamboo Tea Box) 13:20 국가무형문화재 자수장 전승교육사/ 김태자 돌띠(Embroidered Belt for The First Birthday of A Baby) 13:35 조양엽/ 현우경 표지(Embroidered Book Cover of The Sutra on The Wise and The Foolish) 13:46 최병인/ 매죽문 지통(Paper Container with Plum Blossoms and Bamboo Design) 14:00 염종귀/ 이라보 상감 보리문 병(Irabo Bottle with Inlaid Barley Design) 14:13 국가무형문화재 유기장 이형근/ 요강(Chamber Pot) 14:27 경기도무형문화재 소목장 권우범/ 괴목 상감함(Box with Inlaid Zelkova Tree) 14:45 류오형/ 복온공주 방석(Embroidered Cushion for Princess(Bok-on’s Wedding)) 14:54 국가무형문화재 옹기장 김일만/ 질그릇 동이(Earthenware Jar) 15:04 국가무형문화재 단청장 전승교육사 최문정/ 화반(Flower Pot) 15:18 국가무형문화재 금박장 김기호/ 은하나비 함(Box with Celestial Chart and Butterfly Design) 15:30 최선희/ 죽장 연상(Inkstone Table Covered with Bamboo) 15:40 이영분/ 자수 초충도 병풍(Folding Screen of Embroidered with Grass and Insects) 16:00 김순희/ 연화도(Painting of Lotus) 16:11 이수진/ 경복궁 향원정의 봄(Painting of Lotus) 16:25 이은희/ 유지 줌치(Oil Paper) 16:41 조정화/ 배자(Vest) 16:54 황정수/ 이백 - 강상음(Li Bai’s Poems) 17:07 김경미/ 관세음보살 42수 진언 중에서(The 42 Words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 17:20 김종우/ 용화세계(The World Purified and Unfolded by Maitreya) 17:33 김석곤/ 단청계 7(Painting of Dancheong Pattern) 17:46 국가무형문화재 선자장 김동식/ 백접선(Folding Fan with Fifty Ribs) 17:59 윤서형/ 갓집(Top Hat Case) 18:12 조남용/ 흑룡(Painting of Black Dragon) 18:25 방희원/ 십장생도(Painting of Ten Symbols of Longevity) 18:38 경기도무형문화재 옥장 전승교육사 김성운/ 옥 용잠(Jade Hairpin in The Shape of A Dragon) 18:49 김해익/ 순청자 죽순 모양 주자(Celadon Bamboo Shoot-Shaped Ewer) 19:00 전정남/ 수정 사리병(Crystal Sarira Bottle) 19:11 경기도무형문화재 조각장 박봉현/ 은제 고부조 타출 봉황문 차다구 세트(High Relief Silver Tea Set with Phoenix Design) 19:22 국가무형문화재 조각장 곽홍찬/ 은제도금 타출 조문 표형병(Gilt-Silver Gourd-Shaped Bottle with Bird Design) 19:36 황갑주/ 고구려시대 화병(Vase of Goguryeo Dynasty) 19:50 이미려/ 안경집(Embroidered Glasses Case) 20:03 강성수/ 용비녀(Silver Hairpin in The Shape of A Dragon) 20:13 국가무형문화재 매듭장 김혜순/ 수 박쥐 삼작 노리개(Pendant with Triple Ornaments) 20:26 노재경/ 일구연(Inkstone) 20:36 박남중/ 흑단 은장 펜 장도(Pen Shaped Like A Ornamental Silver Knife) 20:48 국가무형문화재 탕건장 전승교육사 김경희/ 바둑 탕건(Horsehair Skullcap with Square Pattern) 21:08 국가무형문화재 석장 이재순/ 석조 미래불(Stone Standing Maitreya Buddha) 21:21 여규화/ 이층장(Two-Tiered Chest) 21:35 조현영/ 서안(Writing Desk) 21:48 김애란/ 도학도(Painting of Peaches and Cranes) 22:02 정덕순/ 동궐도(Folding Screen of The Eastern Palaces) 22:28 김정화/ 은칠보 보석함(Silver Jewerly Box with Enamel) 22:42 김성희/ 유선칠보 전통문양 찻잔(Enamel Tea Cup with Traditional Pattern) 22:54 국가무형문화재 조각장 김용운 / 금백금 상감 촛대(Gold and Platinum Inlaid Candlesticks) 23:07 국가무형문화재 입사장 전승교육사 승경란/ 마음을 담은 합(Box with Silver and Gold Inlay) 23:19 국가무형문화재 장도장 박종군/ 흑단 은장 갖은 사각도·흑단 은장 갖은 원형도(Ornamental Silver Knife) 23:42 국가무형문화재 주철장 원광식/ 칠보 범종(Temple Bell with Enamel) 23:55 국가무형문화재 악기장 윤종국/ 법고(Buddhists Ritual Drum) 24:09 원천수/ 해인사 동종(Bronze Bell of Haeinsa Temple) 24:23 우주희/ 일월오봉도(Folding Screen of Sun, Moon and Five Peaks)

  • @parkeunjung22
    @parkeunjung22 Рік тому

    해외에서 랜선으로나마이렇게 전시 즐길수있게해주셔서 감사드려요^0^

    • @KPICAA_TV
      @KPICAA_TV Рік тому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heejalee240
    @heejalee240 Рік тому

    ❤👏👏👏👏👏

  • @바람하늘-d6g
    @바람하늘-d6g Рік тому

    고된 노동 속에서 나오는 멋진 예술의 세계가 멋지네요.

  • @이진미-l4p
    @이진미-l4p Рік тому

    안녕하세요 저와 이름이 꼭 같은데요 자랑스러워요 전통자수 명인님 축하드려요 🎉 💗 💕

  • @uahannews577
    @uahannews577 2 роки тому

    세삼 전통공예의 심오함을 느끼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 @유엘리-r6c
    @유엘리-r6c 2 роки тому

    언제 봐도 프로페셔널한 울 쌤~🥰👍

  • @김화자-k9p
    @김화자-k9p 2 роки тому

    조카 명장님 훌륭 하십니다 👍

  • @라일락라일락-z6e
    @라일락라일락-z6e 2 роки тому

    염색천 색상이 너무 아름다워요

  • @꼼꼼한바늘
    @꼼꼼한바늘 2 роки тому

    옛쌈솔을 배울 수 있어서 좋네요

  • @권기희-p3u
    @권기희-p3u 2 роки тому

    혹시 녹두색 길상도병풍으로 전승공예대전에서 수상하셨나요

  • @옻칠하는아빠
    @옻칠하는아빠 2 роки тому

    후손에게 길이 남을 너무 멋진 작품입니다.

  • @hoonsikkim1115
    @hoonsikkim1115 2 роки тому

    2:40 현

  • @문지용-e7q
    @문지용-e7q 2 роки тому

    작업대 하나 만들어 드리고 싶네요...ㅠㅠ

  • @문투더-f1v
    @문투더-f1v 3 роки тому

    고와요

  • @mrc2579
    @mrc2579 3 роки тому

    모두 모두 멋지심 💜🤍💙💚

  • @BLee-ji3eq
    @BLee-ji3eq 3 роки тому

    궁모란이 이쁘네요

  • @밍구-p3f
    @밍구-p3f 3 роки тому

    직접 보고 싶었는데 코로나 때문에 못보고 아쉽네요. 내년이나 내후년이하고 멋진 공예품들을 직접 봤으면 좋겠습니다 ☺

  • @kurisjeon
    @kurisjeon 3 роки тому

    혹시 옛날 홍대부여고에서 가르치셨던 손영학 선생님 맞는지요?

  • @이성례-t1w
    @이성례-t1w 3 роки тому

    선생님ㆍ멋지시네요

  • @임기문-x5q
    @임기문-x5q 3 роки тому

    몆 년 전 얻어 둔 핑크색 바지를 염색하려고 자료 찿다가 이 영상과 마주쳤습니다. 고운 색실첩 보니 분이랑 순이가 생각나는군요. 늦었지만 대통령상 겁나게 축하합니다.핑크색 바지는 그냥 입어야겠어요. 색실처럼 고우니..

  • @jungsookpark9120
    @jungsookpark9120 3 роки тому

    안녕하세요 오늘 불고기 틀을 주문했읍니다 써보고 연락 드시겠습니다

  • @남산댁-k8q
    @남산댁-k8q 3 роки тому

    옻 올라서 저는 못하것어요

  • @조미현-x5x
    @조미현-x5x 3 роки тому

    우선 감사드린다는 말씀 올립니다. 수고 많으셨습니다. 온라인 전시를 보면서 느낀 점입니다. 장르가 다른 작품으로 화면이 변경 될 때 장르를 써 주시면 관람자의 이해에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