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MA Science LAB
ORMA Science LAB
  • 33
  • 35 179
새해 인사송 신상동
2025년 힘차게 살아봅시다!
가사의 일부는 하삼동 커피숍 벽면에서 가져왔습니다.^^
#새해 인사
#오르마
#오르마과학영재학원
#AI노래_SUNO
Переглядів: 122

Відео

진주 오르마 예비고1 과학 설명회
Переглядів 1443 місяці тому
2024년 10월 25일
오르마과학영재학원 소개 + AI가 만든 학원가
Переглядів 2188 місяців тому
경남 진주 오르마과학영재학원 및 오르마학원을 소개하는 영상입니다. 과학고, 과학영재학교, 자연계열 상위권을 희망하는 학생들을 위한 과학 실험과 입시 전문학원입니다. [신안점] 오르마과학영재학원 [혁신점] 오르마학원 #오르마#과학학원#과학영재
이상기체방정식 유도 - 신상동 원장
Переглядів 499Рік тому
이상기체 방정식 유도 과정 강의 영상입니다. - 오르마과학영재학원 & 오르마학원 #이상기체방정식, #오르마, #신상동
미니메추리 부화를 관찰하는 두 학생의 대화
Переглядів 43Рік тому
미니메추리 부화를 관찰하는 두 학생의 대화 -오르마과학영재학원
과학고 기출문제풀이 물리-그래프
Переглядів 246Рік тому
오르마과학영재학원 신상동 원장님의 강의 샘플입니다.^^
건전지를 활용한 2가지 자기력 실험 영상
Переглядів 8122 роки тому
플레밍의 왼손 법칙을 활용한 자기력 실험 영상입니다. 건전지와 네오디뮴 자석에 알루미늄 호일을 활용한 실험과 건전지와 네오디뮴 자석에 구리선을 활용한 호모폴라 전동기 실험입니다.
2022년 9월 2일
Переглядів 1042 роки тому
아두이노와 스텝모터를 활용한 작품입니다. 스텝모터의 진동을 회전속도 제어를 통해 조절했으며, 음의 높낮이를 바꿀 수 있답니다.
메추리 키우기 3탄 : 부화한 메추리가 낳은 알로 다시 부화시키기
Переглядів 2,6 тис.3 роки тому
마트에서 산 메추리알로 부화한 메추리가 다시 아를 낳고 그 알로 다시 부화시킨 메추리 영상입니다. 그리고 성장해서 방생하기까지...
메추리 성장과정 2탄-알을 낳았어요.
Переглядів 5713 роки тому
부화한지 48일만에 알을 낳은 메추리! 그리고 예상치 못한 이야기들을 함께 보여드립니다.
메추리 부화 및 성장과정 1탄
Переглядів 5493 роки тому
마트에서 메추리 알을 사서 3마리를 부화 시킨 후 약 38일간의 성장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영상입니다.
직접 제작한 부화기에서 병아리가 부화하는 모습
Переглядів 1413 роки тому
아두이노로 자동부화기와 육추기를 제작했답니다. 그리고 병아리 부화에 성공^^
아두이노 스마트 휴지통 만들기
Переглядів 3,4 тис.3 роки тому
아두이노 나노, 초음파센서, 서보모터, 3색LED를 활용한 뚜껑이 자동으로 열리는 스마트한 휴지통 만들기 영상입니다. 코딩 파일은 아래 사이트에서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 cafe.naver.com/oarduino/365
과산화수소 촉매 분해 및 산소의 성질 확인 실험
Переглядів 1,8 тис.3 роки тому
과산화수소 촉매 분해 및 산소의 성질 확인 실험
아두이노 병아리 자동 부화기 1탄
Переглядів 3893 роки тому
아두이노 병아리 자동 부화기 1탄
아두이노 병아리 자동 부화기 2탄 최종
Переглядів 3773 роки тому
아두이노 병아리 자동 부화기 2탄 최종
아두이노 램프 만들기
Переглядів 1283 роки тому
아두이노 램프 만들기
단열팽창을 이용한 서리 만들기
Переглядів 1154 роки тому
단열팽창을 이용한 서리 만들기
물의 전기분해 + 페놀프탈레인 색변화 실험(300배속)
Переглядів 6054 роки тому
물의 전기분해 페놀프탈레인 색변화 실험(300배속)
아두이노 오또봇의 칼군무
Переглядів 3874 роки тому
아두이노 오또봇의 칼군무
패러데이 전동기 실험-2(좀 더 자세히 살펴봅시다.)
Переглядів 4294 роки тому
패러데이 전동기 실험-2(좀 더 자세히 살펴봅시다.)
패러데이전동기 실험-1
Переглядів 1 тис.4 роки тому
패러데이전동기 실험-1
[아두이노] 자동 화분 물주기 장치
Переглядів 2,2 тис.5 років тому
[아두이노] 자동 화분 물주기 장치
[아두이노] 미로 탈출 RC-car
Переглядів 1,4 тис.7 років тому
[아두이노] 미로 탈출 RC-car
[아두이노] RC-car 라인센서 활용
Переглядів 2817 років тому
[아두이노] RC-car 라인센서 활용
[아두이노]소리센서로 조명제어하기
Переглядів 1,7 тис.7 років тому
[아두이노]소리센서로 조명제어하기
물레방아 발전기 만들기
Переглядів 2,9 тис.7 років тому
물레방아 발전기 만들기
MBL장비를 활용한 중화적정 실험 - 진주 오르마과학영재학원
Переглядів 1,4 тис.7 років тому
MBL장비를 활용한 중화적정 실험 - 진주 오르마과학영재학원
재미있는 연소 실험
Переглядів 4987 років тому
재미있는 연소 실험
아두이노로 만드는 스마트 휴지통
Переглядів 3,1 тис.7 років тому
아두이노로 만드는 스마트 휴지통

КОМЕНТАРІ

  • @WestchordPark
    @WestchordPark Місяць тому

    안녕하세요! 직접 실험을 해 보고 싶어서 그러는데, 혹시 첫 번째 실험에 쓰인 네오디뮴 자석들의 크기?를 알 수 있을까요?

  • @hs6147
    @hs6147 4 місяці тому

    항상 응원합니다!

  • @Venus-k9l
    @Venus-k9l 5 місяців тому

    쌤 너무 멋져요

  • @Sunday-r3f
    @Sunday-r3f 10 місяців тому

    저기 조금만한 전구 어디서 구하나요??

    • @ormasciencelab2852
      @ormasciencelab2852 10 місяців тому

      3색 LED모듈 검색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그 위에 씌운 캡은 LED전구용 앵두 캡 검색하시면 인터넷에 나옵니다.^^ 저도 이 캡 이름을 몰라서 한참을 찾다가 겨우 이름을 알고 찾았답니다.

    • @Sunday-r3f
      @Sunday-r3f 10 місяців тому

      @@ormasciencelab2852 혹시 코딩 알려주실수 있나요??

  • @ICON-pq3uq135
    @ICON-pq3uq135 11 місяців тому

    이 학원은 어디에 있나요? 서울에는 없던데.

  • @독연-x7f
    @독연-x7f 11 місяців тому

    키우기 귀찮으면 방생이라는 명목으로 버리면 되네..ㅋㅋ

  • @seo_nupi
    @seo_nupi Рік тому

    아두이노 스마트 휴지통 만들기 키트 판매처 알 수 있을까요?

    • @ormasciencelab2852
      @ormasciencelab2852 Рік тому

      영상속 재료들은 따로 따로 구매한 재료들입니다. 키트가 아니랍니다. 휴지통은 다이소에서 구매했고, 낚싯줄은 낚시 가게에서, 나머지는 인터넷에서 구매하시면 됩니다.^^

  • @SHINSeungWook-e1n
    @SHINSeungWook-e1n Рік тому

    악마다 악마 재미로 부화시켜 키우기 힘들것같으니 자연에서 태어난 아이들도 아닌데 방생이란 이름으로 버려서 다 죽이네

  • @user-ve7gp4vv5y
    @user-ve7gp4vv5y Рік тому

    안녕하세요 미니메추리 영상 찾아보다가 이영상을 보게 되었는데 궁금해서 그런데 혹시 미니메추리 방생해도 되는건가요??

    • @ormasciencelab2852
      @ormasciencelab2852 Рік тому

      미니 메추리는 방생하면 즉각 다른 동물들에 의해 죽을 가능성이 높다고 합니다. 방생보다는 원하시는 분들께 분양을 하시는것이 좋을듯 합니다.

  • @wackwack7454
    @wackwack7454 Рік тому

    휴지통이 반만 열리게는 어떻게 하나요? 같은 아두이노 휴지통을 만들었는데 서브모터의 속도가 빨라서인지 휴지통이 완전 뒤집어 열리네요

    • @ormasciencelab2852
      @ormasciencelab2852 Рік тому

      서보모터 회전각도를 0~120도에서 90도(혹은 60도)로 조정해보세요. 열리는 각도를 조정하면 닫히는 각도도 마찬가지로 90도(혹은 60도)~0으로로 조정해 보세요.^^

  • @wackwack7454
    @wackwack7454 Рік тому

    같은 코드인데 서브모터가 pc전원에 연결되어있을 때 계속 구동합니다... 해결 방법이 있나요 부탁드립니다

    • @ormasciencelab2852
      @ormasciencelab2852 Рік тому

      코드를 올려보시겠어요?

    • @wackwack7454
      @wackwack7454 Рік тому

      @@ormasciencelab2852 코드는 해결했습니다. 그런데 모터를 이용해서 휴지통을 돌리는데 모터의 힘이 약해서인지 낚시줄이 얇아서인지 열고 닫힘이 잘 안되는데 문제점이 뭘까요 ..

    • @ormasciencelab2852
      @ormasciencelab2852 Рік тому

      회전축에 너무 가까우면 당기기가 어려울겁니다. 회전축 중심으로 부터 약 2~3cm정도 아래를 당기도록 해 보시죠.

    • @wackwack7454
      @wackwack7454 Рік тому

      @@ormasciencelab2852 감사합니다 하다가 안되는 부분은 메일로 여쭤봐도될까요? 영상 잘보았습니다.

    • @ormasciencelab2852
      @ormasciencelab2852 Рік тому

      네. 메일 보내시고 댓글 주시면 확인해 보겠습니다.^^

  • @MrJeon91828
    @MrJeon91828 Рік тому

    주인도 못알아 보네 ㅋㅋ

  • @insun9285
    @insun9285 Рік тому

    자막에서 선생님 목소리가 들려요.

  • @최준기-q1b
    @최준기-q1b Рік тому

    더빙 해주세요

  • @insun9285
    @insun9285 Рік тому

    so cool!

  • @레몬트리-i5v
    @레몬트리-i5v Рік тому

    우와

  • @리트고DIY
    @리트고DIY 2 роки тому

    오 신기방기 잘보고 갑니다

  • @dannyahn7399
    @dannyahn7399 2 роки тому

    저렇게 딱맞는 자석 구 할 수만 있다면 최고의 교육 장난감이네요

  • @user-vd2jo9qr8d
    @user-vd2jo9qr8d 2 роки тому

    안녕하세요 이 코드를 바탕으로 실습중인 학생입니다. 미로 탈출하다가 안되는게 있는데 혹시 개인적으로 연락이 가능할까요? 메일이나 오픈톡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ormasciencelab2852
      @ormasciencelab2852 2 роки тому

      ssd1318@daum.net 으로 보내주세요. 제가 아는 만큼 도와드리겠습니다.^^

    • @user-vd2jo9qr8d
      @user-vd2jo9qr8d 2 роки тому

      @@ormasciencelab2852 메일 보냈습니다 확인 부탁드려요!

    • @ormasciencelab2852
      @ormasciencelab2852 2 роки тому

      @@user-vd2jo9qr8d 아래 코드로 변경해 보시겠어요? 제가 위의 RC카를 사용한지 꽤 오래되어서 작동을 해볼 수는 없는데 거리측정 값을 10회 측정 평균값을 사용하면 뾰족한 부분에서의 순간적인 오류값을 어느정도 해결 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변경 후 결과를 보여주시면 저도 시간 날때 다시 확인해 보겠습니다. ^^ int t1=25; int t2=10; int d1_1, d2_1, d3_1, d1_2, d2_2, d3_2, d1, d2, d3; void setup() { Serial.begin(9600); pinMode(2, OUTPUT); // L 초음파 pinMode(3, INPUT); pinMode(4, OUTPUT); // F 초음파 pinMode(5, INPUT); pinMode(6, OUTPUT); // R 초음파 pinMode(7, INPUT); pinMode(8, OUTPUT); // R 바퀴 pinMode(9, OUTPUT); pinMode(10, OUTPUT); // L 바퀴 pinMode(11, OUTPUT); } void loop() { get_distance(); // *** 이제부터 모터제어 *** if(d1>0 && d2>=20 && d3<40){ if(d3>=20){ forward(); delay(t1); Stop(); delay(t2); }else if(d3<20){ Lspin(); delay(t1); Stop(); delay(t2); } }else if(d1>0 && d2>=20 && d3>=40){ forward(); delay(t1); Rspin(); delay(t1); Stop(); delay(t2); }else if(d1>0 && d2<20 && d3>0){ Lspin(); delay(t1); Stop(); delay(t2); } } void get_distance(){ //*** 거리를 10회 측정 후 평균값을 사용하기 * d1_2=0; d2_2=0; d3_2=0; for(int i=1; i<=10; i++){ digitalWrite(2, HIGH); // L delayMicroseconds(10); digitalWrite(2, LOW); d1_1= pulseIn(3, HIGH)/58.8; //거리계산식(cm) digitalWrite(4, HIGH); // F delayMicroseconds(10); digitalWrite(4, LOW); d2_1= pulseIn(5, HIGH)/58.8; //거리계산식(cm) digitalWrite(6, HIGH); // R delayMicroseconds(10); digitalWrite(6, LOW); d3_1= pulseIn(7, HIGH)/58.8; //거리계산식(cm) d1_2 += d1_1; d2_2 += d2_1; d3_2 += d3_1; } d1=d1_2/10; d2=d2_2/10; d3=d3_2/10; Serial.print("d1 = "); Serial.print(d1); Serial.print(", d2 = "); Serial.print(d2); Serial.print(", d3 = "); Serial.println(d3); } void forward(){ digitalWrite(8, 1); //R digitalWrite(9, 0); digitalWrite(10, 1); //L digitalWrite(11, 0); } void backward(){ digitalWrite(8, 0); //R digitalWrite(9, 1); digitalWrite(10, 0); //L digitalWrite(11, 1); } void Stop(){ digitalWrite(8, 0); //R digitalWrite(9, 0); digitalWrite(10, 0); //L digitalWrite(11, 0); } void Rspin(){ digitalWrite(8, 0); //R digitalWrite(9, 1); digitalWrite(10, 1); //L digitalWrite(11, 0); } void Lspin(){ digitalWrite(8, 1); //R digitalWrite(9, 0); digitalWrite(10, 0); //L digitalWrite(11, 1); }

    • @user-vd2jo9qr8d
      @user-vd2jo9qr8d 2 роки тому

      @@ormasciencelab2852 월요일 되자마자 학교에서 이 코딩으로 해봤는데 좌회전은 보내드렸던 것처럼 잘 가는데 우회전 할 때만 유독 이상하게 움직이게 되네요.. 메일 첨부했습니다!

    • @ormasciencelab2852
      @ormasciencelab2852 2 роки тому

      @@user-vd2jo9qr8d 그렇다면 원래 코딩파일에서 우회전 속도만 조금 느리게 해 보시겠어요? 우회전이 너무 빨라서 초음파 센서의 초음파 발사부와 수신부 사이에 우회전 꺽이는 부분이 위치하면서 초음파가 수신이 안되는 문제이니 조금 천천히 우회전하게 하면 해결될것 같습니다. 조건문에서 Rspin(); delay(t1); <-- t1을 조금 작은 값으로 변경 그것도 안되면 제가 다시 테스트해보고 연락드리겠습니다. ^^;

  • @계코
    @계코 2 роки тому

    혹시 올려놓으신 소스코드에서 수정하신게 R이 9,1인가요? 10,1인가요? 아니면 다른건가요?

    • @ormasciencelab2852
      @ormasciencelab2852 2 роки тому

      8,9번은 R바퀴 제어용이고, 10,11번은 L바퀴 제어용이네요..^^ 그리고 HIGH=1, LOW=0으로 작성했답니다. 참고바랍니다.

    • @계코
      @계코 2 роки тому

      @@ormasciencelab2852 혹시 저 경우는 센서를 2개만 사용해서 하는경운데 저 미로보다 더 좁은 경우에는 3개를 사용해야할텐데 그럴땐 코드가 어떻게 추가되나요???

    • @ormasciencelab2852
      @ormasciencelab2852 2 роки тому

      @@계코 세 방향에 대해 센서값을 읽게하시고 조건문에도 3개의 센서값에 대한 조건을 다시고, 자동차의 움직임 속도를 좀 느리게하면 좋울것 같습니다.^^

  • @긴꼬리딱새
    @긴꼬리딱새 2 роки тому

    씁...저런 계량 메추리는 착지를 잘 못하고 나는 속도도 느리고 저 성체가 안된 상태로 방생하면 다 죽습니다. 도대체 뭘 하신건가요??? 이미 천적들한테 죽었겠죠. 사육용으로 키워지는 메추리는 이미 집에 적응된 상태여서 야생에서 얼마못살고 죽어요!!! 이미 까마귀도 있고 그런애들한테 다잡힌다구요.. 사냥교육도 시키신건가요 숲에 적응 안된 채로 들어가니까 아까부터 우왕자왕하잖아요. 이미 저애들 잡아먹히거나 굶주림으로 죽었어요..

    • @ormasciencelab2852
      @ormasciencelab2852 2 роки тому

      조언에 감사드립니다. 다음에 기회가 있다면 사냥교육까지 시켜서 방생을 시도해 보겠습니다. 그리고 사냥교육에 대한 노하우가 있으시면 조언 부탁드립니다.

  • @joonsk4896
    @joonsk4896 2 роки тому

    안녕하세요 저희집도 아이들과함께집에서메추리를.부화시켰는데요^^ 이렇게방생하는게 위험할까 농장을 알아보는데 어렵더라구요 방생하면 천적에게 잡아먹혀 죽는다는말도있고요 방생하는데 알고있어야할 특별한 조언이있으실까요??^^

    • @ormasciencelab2852
      @ormasciencelab2852 2 роки тому

      당근마켓 같은데서 메추리 원하시는 분에게 분양해주는 것은 어떨까요?. 전 자연속에서 경쟁을 통해 일부라도 생존하기를 기대하며 방생했습니다.^^;

  • @kimjys420
    @kimjys420 2 роки тому

    오랜만이에요 쌤 ㅎ

    • @ormasciencelab2852
      @ormasciencelab2852 2 роки тому

      그러게 오랜만이네. 고딩 준영의 교복입은 모습은 어떨지 귱금하네..^^ 남은 고딩을 후회 없이 멋지게 살거라..

    • @kimjys420
      @kimjys420 2 роки тому

      @@ormasciencelab2852 핫 넵 ㅎㅎ 언제 한번 놀러갈게요

    • @ormasciencelab2852
      @ormasciencelab2852 2 роки тому

      @@kimjys420 ㅇㅋ.. ^^

  • @하얀호수-d9s
    @하얀호수-d9s 2 роки тому

    선생님 머리에서 빛이날것 같아요😢

  • @busanfirefighter
    @busanfirefighter 2 роки тому

    잘보고 갑니다 현직 소방관이고 초보 유튜버입니다.ㅎㅎㅎ여긴 거품은 생성되지는 않군요, ((이 영상 좀 가져다 써도 될런지요?)) 거품이 생기는건 폼 대용으로 질식소화시 가능할지 모르지만 산소만 발생시는 도로 불을 잘타게 하니 ㅎㅎ 일명 코끼리 치약 실험의 영상은 거품이 불을 덮을수도 있어 보이던데 이건 거품이 발생은 하지 않네요 세제를 안 넣어서 그런가요?

    • @ormasciencelab2852
      @ormasciencelab2852 2 роки тому

      네, 세제를 넣으면 거품이 많이 발생 할 텐데 이 실험에서는 산소의 조연성을 보는 것이 목적이라 세제를 넣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영상은 사용하셔도 됩니다.

  • @최동준-z5y
    @최동준-z5y 3 роки тому

    코드 정확히 보여주실수있나요?

  • @쇼츠채널
    @쇼츠채널 3 роки тому

    혹시 쓰레기통 안에 쓰레기 잔량을 lcd로 표현할 수 있는 코드 추가하려는데 혹시 도움을 좀 받을 수 있을까여>>ㅠㅠ코드요

    • @ormasciencelab2852
      @ormasciencelab2852 3 роки тому

      위에 만든 휴지통은 뚜껑이 움직이므로 뚜껑에 초음파센서를 달기는 무리가 있을겁니다. 내부에 만약 설치를 한다면 초음파센서를 하나 더 추가하시고, I2C형 LCD를 달면 될 것 같네요. 지금은 입시 지도로 바쁜 시즌이라 코딩방법은 다른 유튜버 동영상을 참고 해 주세요.

  • @Henry-rk4jc
    @Henry-rk4jc 3 роки тому

    저기 혹시 아직 오픈소스 있으신 가요..ㅜㅜㅜㅜㅜㅜㅜㅜ?

    • @ormasciencelab2852
      @ormasciencelab2852 3 роки тому

      이게 4년전에 만든거라, 코딩파일은 없고 미로를 빠져 나올 때 한쪽 벽만을 꾸준하게 따라 나오면 빠져나올 수 있어요. 따라서 오른쪽 벽면을 따라 갈려면 벽면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면서(일정거리 이내로 가까워지면 약간 완쪽으로, 너무 멀어지면 약간 오른쪽으로 움직이도록 하고) 정면으로 벽을 만나면 항상 좌회전하도록 코딩하면 됩니다.

  • @이민규-h9v
    @이민규-h9v 3 роки тому

    아두이노 우노 키트를 사놓은 게 있는데 그러면 아두이노 나노만 사면 나머지는 키트로 대체 가능하나요?

    • @ormasciencelab2852
      @ormasciencelab2852 3 роки тому

      거의 가능할것 같네요..^^ 영상에 나오는 준비물과 비교를 한번 해보세요. 미니브레드보드는 없울수도 있으니 꼭 확인하세요.^^

    • @이민규-h9v
      @이민규-h9v 3 роки тому

      @@ormasciencelab2852 네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

  • @user-seohyeonu
    @user-seohyeonu 3 роки тому

    병아리가... 아주.. 귀엽네요...ㅎㅎ^^

  • @홍정민-k8k
    @홍정민-k8k 3 роки тому

    우와!

  • @홍정민-k8k
    @홍정민-k8k 3 роки тому

    오아아아너어아어어어

  • @mindbmin
    @mindbmin 3 роки тому

    정말 좋은것 같습니다

  • @mindbmin
    @mindbmin 3 роки тому

    병아리가 귀엽네요

  • @side_hyxxk
    @side_hyxxk 3 роки тому

    병아리들이 정말 귀엽네요..^^

    • @ormasciencelab2852
      @ormasciencelab2852 3 роки тому

      작은 달걀 속에 있는 양분만으로 저 모든 몸의 기관들이 완성이 되어서 태어나는 모습이 참 신비롭습니다. ^^

  • @mindbmin
    @mindbmin 3 роки тому

    신기합디다

  • @홍정민-k8k
    @홍정민-k8k 3 роки тому

    오오오오오오오오오오오옹ohohohohohohohoHOHOHOHHohohohohoHOHOHOHOHhohohohOHOHOHOH !!!!!!!!!!

  • @김묵훈330
    @김묵훈330 4 роки тому

    👍👍

  • @신동한-q3x
    @신동한-q3x 4 роки тому

    아앙낢노로ㅓㅏㄹㅇ히ㅓㅏ모러 놈퍼ㅣ히ㅏ러품유

    • @mindbmin
      @mindbmin 4 роки тому

      오호~ 좀 더 멋진 댓글 요청합니다..^^

    • @신동한-q3x
      @신동한-q3x 4 роки тому

  • @김묵훈330
    @김묵훈330 4 роки тому

    😄😄🤣😄🤣🤣🤣🤣😄😄😄😄🤣🤣🤣🤣🤣🤣🤣🤣🤣🤣🤣🤣😃

  • @우재-q6t
    @우재-q6t 4 роки тому

    편집이 되게 발전하셨네요~!

    • @ormasciencelab2852
      @ormasciencelab2852 4 роки тому

      요즘 편집 프로그램이 많이 좋아졌어요..^^

  • @mindbmin
    @mindbmin 4 роки тому

    호오.......

  • @안서진-r7e
    @안서진-r7e 4 роки тому

    선민아 조용히 좀 해줘

  • @mindbmin
    @mindbmin 4 роки тому

    우와!!!!

  • @신동한-q3x
    @신동한-q3x 4 роки тому

    YEAH

  • @홍정민-k8k
    @홍정민-k8k 4 роки тому

    0

  • @홍정민-k8k
    @홍정민-k8k 4 роки тому

    0

  • @홍정민-k8k
    @홍정민-k8k 4 роки тому

    0

  • @홍정민-k8k
    @홍정민-k8k 4 роки тому

    0

  • @홍정민-k8k
    @홍정민-k8k 4 роки тому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