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 715
- 39 856 323
바둑학원
South Korea
Приєднався 19 тра 2020
[바둑학원]채널은 2006년부터 바둑학원에서 아이들을 가르치는 노하우를 통하여 [바둑관련영상]을 전문적으로 업로드하는 채널입니다.
사활 수상전 맥 끝내기 행마 기보복기 등 바둑과 관련된 모든 문제를 이해하기 쉽게 원리를 터득하며 익히실 수 있도록 영상으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광고문의 : eesang76@gmail.com
사활 수상전 맥 끝내기 행마 기보복기 등 바둑과 관련된 모든 문제를 이해하기 쉽게 원리를 터득하며 익히실 수 있도록 영상으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광고문의 : eesang76@gmail.com
이렇게 두면 안되요~
#바둑 #바둑강의 #바둑강좌 #저공비행 #건너붙임 #응수타진 #화점정석 #한칸협공 #두점머리 #함정수 #변칙수 #초반50수 #붙임 #호구 #인공지능 #처진날일자 #포석 #실전행마 #봉쇄 #바둑학원 #행마 #삼삼 #삼삼침입 #소목 #붙임 #정석 #붙여막기 #이창호
Переглядів: 7 040
Відео
[화점날일자걸침이단젖힘정석] 최대한 간단하게 알아보아요~
Переглядів 2,1 тис.Місяць тому
#바둑 #바둑강의 #바둑강좌 #저공비행 #건너붙임 #응수타진 #화점정석 #한칸협공 #두점머리 #함정수 #변칙수 #초반50수 #붙임 #호구 #인공지능 #처진날일자 #포석 #실전행마 #봉쇄 #바둑학원 #행마 #삼삼 #삼삼침입 #소목 #붙임 #정석 #붙여막기 #이창호
[화점날일자양걸침] 얼릉 보세요~
Переглядів 1,7 тис.Місяць тому
#바둑 #바둑강의 #바둑강좌 #저공비행 #건너붙임 #응수타진 #화점정석 #한칸협공 #두점머리 #함정수 #변칙수 #초반50수 #붙임 #호구 #인공지능 #처진날일자 #포석 #실전행마 #봉쇄 #바둑학원 #행마 #삼삼 #삼삼침입 #소목 #붙임 #정석 #붙여막기 #이창호
[실전행마] 조건이 있어요..
Переглядів 1,1 тис.Місяць тому
#바둑 #바둑강의 #바둑강좌 #저공비행 #건너붙임 #응수타진 #화점정석 #한칸협공 #두점머리 #함정수 #변칙수 #초반50수 #붙임 #호구 #인공지능 #처진날일자 #포석 #실전행마 #봉쇄 #바둑학원 #행마 #삼삼 #삼삼침입 #소목 #붙임 #정석 #붙여막기 #이창호
[실전행마] 이런 행마만 하지 않아도 실력 상승은 보장 될텐데..
Переглядів 6 тис.Місяць тому
#바둑 #바둑강의 #바둑강좌 #저공비행 #건너붙임 #응수타진 #화점정석 #한칸협공 #두점머리 #함정수 #변칙수 #초반50수 #붙임 #호구 #인공지능 #처진날일자 #포석 #실전행마 #봉쇄 #바둑학원 #행마 #삼삼 #삼삼침입 #소목 #붙임 #정석 #붙여막기 #이창호
[화점한칸양걸침] 한번 익혀두면 평생 써먹어요~
Переглядів 9 тис.Місяць тому
#바둑 #바둑강의 #바둑강좌 #저공비행 #건너붙임 #응수타진 #화점정석 #한칸협공 #두점머리 #함정수 #변칙수 #초반50수 #붙임 #호구 #인공지능 #처진날일자 #포석 #실전행마 #봉쇄 #바둑학원 #행마 #삼삼 #삼삼침입 #소목 #붙임 #정석 #붙여막기 #이창호
[화점날일자양걸침] 선택의 기로에 있을 때 정확한 방향을 알려드립니다.
Переглядів 1,7 тис.2 місяці тому
[화점날일자양걸침] 선택의 기로에 있을 때 정확한 방향을 알려드립니다.
[화점함정수] 건너붙임에 대한 흑의 응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Переглядів 3 тис.2 місяці тому
[화점함정수] 건너붙임에 대한 흑의 응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문자에 가려져서 안보니네요 참고도를우상귀에 올리면 보일텐데요
안녕하세요~인터넷 9단이지만 강의 내용이 고수에게도 많이 도움이 되고 한수한수의 뜻을 살려서 가르쳐주시는 것이 보여서 잘 배우고 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부연설명이 길어요
딱 보이네요...😊😊😊😊😊😊😊
먹여칠때 이으면 양자충인데 왜 손해를 보시나요.
우와 새로운 수 많이 배웠네요 감사합니다
와 미쳤다 내 바둑 생활에 퍼즐 한조각 들어온 느낌이다
좋아요🎉
아닌것같아요
초반에 벌림보다 귀에 걸침이나 굳힘이 먼저라고 알고 있습니다. 손을 떼고 변에 갈라치거나 벌림보다 귀에 걸침이나 굳힘이 남아 있는데 그 곳이 더 좋지 않나요. 이후 큰곳 벌림이나 갈라치기라는 생각이 듭니다
설명이 너무나 장황하네요 ㅎ
1단 바둑답다. 뭐 하나 익히면 저 자식은 나같은 하수니까 제대로 못받겠지 하고 수 낼려고 하는 놀부 심보 가득
차분하고 성의있는 강의입니다. 단 너무 병렬식 나열로 된 강의라 좀 늘어지는 느낌? 두괄식 수미쌍괄식 처럼 핵심을 미리얘기하고 또 나중에 핵심을 또 정리하면 어떨지
참 자세한건 좋은데 강의가 너무 늘어지네요 일단 주요장면도 부터 해설 해주고 역으로 해설 해주면좋겠어요
유용한 수 멋지다
저런 행마의 원인은 수읽기를 못해서죠
뭔가 이상해요 해설이. 뭔가 부족해요. 뭔가 믿을수가 없어요. 뭔가 햇갈려요. 뭔가 뭔가 뭔가? 이건뭔가? 뭔가 짜증나요. 뭔가가 뭔가? 뭔가가 빠져야 뭔가 좋을것 같아요.
인트로가 너무 길어요~~ 10급을 위한 강의는 아닌 것 같은데 진행이 늦으니 듣다가 듣다가 떠납니다. 아마1단정도로 컨셉을 조정하세요!
늘 좋은강의 편히 공부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유익 합니다
패 만드는 거였으면 쉬웠지 저기서 패 만드는게 뭐 대단한 수라고
제목이 오해의 소지 가 있음 그냥 최선의 수를 찾아라 해야 할듯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ㆍ
저급자는 귀가 크다는 인식이 강하죠
패라고말하면 정답을 말하는거랑 같은거라는걸 왜 이해못하지?
패면 좀 사전에 말해라 누가봐도 패밖에 없는데 머 있나 한참 더 생각했네
흑이 선수인게 말이안되는 장면
마지막에 정리까지 해주시니 너무 좋네요~
잘 시청하겠습니다
항상 잘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18:43 먹여쳤을때 흑이 그냥 2의1 따면요?
멋집니다
안녕하세요 사범님사범님의 유익한 강의 잘듣고 실력이 많이 향상되고 있는구독자입니다 좀 아쉬은것은 바둑알에 숫자표기가되지않은것이고 중반 전투강의좀 해주시면 감사하겟씀니다
너무 쉬운 것을 너무 단단 하게 해설 하니 지루하고 소리에 씨달려요 요점 정리 다음으로
혼자 두어보기 연습할 때 어느 사이트를 이용해야 큰 화면에서 이용할 수 있나요? 한게임 이용자인데, 기보 불러와서 두어보기 하면, 화면이 작게 나와서요
자막때문에아보여요
초보인데 이해하기 쉽게 세세하게 반복 설명해주시니 참 좋습니다. 알려주는 방식도 편안한 목소리도 모두 좋아요. 구독하고 알림설정해봅니다
하나를 주고 둘을 취하라. 정말 명언이네요😊
생각보다 많이 헷갈리는 궁도
자상한 강의에 늘 감사드립니다. 한가지 2분 17초 경 백이 높은 양걸침을 했을 때 흑이 높게 양걸침한 쪽에 붙이면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요. 기원에서는 대부분 이런 짓을 하거든요.
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다~~
악수의 향연이구먼요 기원7급이 봐도..
기원7급 인터넷 몇단이신가요?
전 인테넷 2단인데 기원을 않가봐서 궁굼하네요
개인 교습 받는 느낌이네요 정말 좋은 강의 입니다 감사 합니다... 바프고님꺼 이제 안봐요...원리와 이론을 잘 설명 해 주셔서 감사 합니다. 꾸벅
항상 잘배우고갑니다
항상감사합니다
1선에 백이 치중했을때는 흑이 굳이 2선에서 단수 안치고 알기쉽게 3선에서 단수쳐도 축이라 상관없네요. 그냥 지나가는 길에 적어봅니다.
설명이 좀 빠르신듯..
결론은 이렇게 둬서는 안된다는것 ㅡ흑
이런 문제를 내는 수많은 영상과 이전의 책들 속에서 항상 정답은 뒤 늦게 나온다. 사람의 기억력을 테스트 하는건지 아니면 정말 넌 이런 수는 모르지 하면서 약 올리듯 그렇게 보이기도 한다. 왜 정답 먼저 가르쳐 주지 않을까? 함부로 막 두면 이렇게 실패하니 신중하게 두어야 한다를 가르치는 걸까? 정답을 나중에 가르쳐 주어야 의미가 더하기 때문일까? 1분도 안되는 짧은 시간이지만 이미 머리속은 실패한 부분들이 가득하다.물론 앞서 실패한 수들은 이미 기억에서 사라지고 있고 그러한 부분들을 잊지 않기 위해 두뇌는 풀 가동중인데 정답은 뒤늦게 등장한다. 가장 정확한 수순을 기억해야만 하는데 잘못된 수들을 잊지않기 위한 두뇌는 정답인 정확한 수까지 함께 기억해야만 한다. 짧게 말하면 효과 반감이다. 정답은 한두가지에 불과한데 실패한 수순은 너무 많기 때문이다.이러한 수순들을 기억하려고 에너지를 쓴 두뇌는 정답을 알았을때 희열보다 이런수가 있었네로 에너지를 더 써서 기억해야 하는데 시나브로 하향선을 그리는 에너지를 쓰고 만다.기억력 효과 반감. 정답 먼저 해보는건 어떨까? 각인효과 그리고 첫번째 보는 장면이 더 기억에 남지 않을까?
잘 보고, 듣고 갑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