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BA Agents 2022
LBA Agents 2022
  • 24
  • 587
불확실성 기반의 질문 생성 기술 개발 3차년도 연구개발 결과 발표 (경희대학교)
VideoQA의 응답 불확실성 정보를 기반으로 불확실성을 해소할 수 있는 부가 질문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아래의 정부 R&D 과제를 통해 개발하였습니다.
- 중앙행정기관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과제번호: RS-2022-II220951
- 과제명: 스스로 불확실성을 자각하며 질문하면서 성장하는 에이전트 기술 개발
- 과제주관기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공동연구기관/참여자: 경희대학교 / 박규민 연구원, 박성배 교수
Переглядів: 3

Відео

멀티모달 지식 그래프 기반 동영상 지식 체계 구축 기술 '24년도 1단계 연구개발 결과 발표 (한양대학교)
Переглядів 1121 день тому
멀티모달 지식 그래프를 기반으로 동영상의 시공간 정보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추론하는 지식 체계 구축 기술을 설명한다. 아래의 정부 R&D 과제를 통해 개발하였습니다. - 중앙행정기관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과제번호: RS-2022-II220951 - 과제명: 스스로 불확실성을 자각하며 질문하면서 성장하는 에이전트 기술 개발 - 과제주관기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공동연구기관/참여자: 한양대학교 / 김은솔 교수, 김민서 연구원
비디오 기반 멀티모달 지식 체계 구축 기술 '23년 연구개발 결과 발표 (한양대학교)
Переглядів 1028 днів тому
다중 이종의 지식그래프를 시공간 결합하여 비디오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멀티모달 지식 체계를 구축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아래의 정부 R&D 과제를 통해 개발하였습니다. - 중앙행정기관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과제번호: RS-2022-II220951 - 과제명: 스스로 불확실성을 자각하며 질문하면서 성장하는 에이전트 기술 개발 - 과제주관기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공동연구기관/참여자: 한양대학교 / 김은솔 교수
에이전트의 절차이해 기술 '23년 연구개발 결과 발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Переглядів 5Місяць тому
대형언어모델(LLM)을 이용한 에이전트의 절차이해 기술을 설명합니다. 아래의 정부 R&D 과제를 통해 개발하였습니다. - 중앙행정기관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과제번호: RS-2022-II220951 - 과제명: 스스로 불확실성을 자각하며 질문하면서 성장하는 에이전트 기술 개발 - 과제주관기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공동연구기관/참여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최재우, 윤영우, 옹효빈, 장민수
질의응답을 통한 멀티모달 시계열 데이터 기반 지식 성장 학습 기술 '23년 연구개발 결과 발표 (서울대학교)
Переглядів 4Місяць тому
질의를 통한 멀티모달 시계열 데이터 기반 지식 성장 학습 기술을 설명합니다. 아래의 정부 R&D 과제를 통해 개발하였습니다. - 중앙행정기관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과제번호: RS-2022-II220951 - 과제명: 스스로 불확실성을 자각하며 질문하면서 성장하는 에이전트 기술 개발 - 과제주관기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공동연구기관/참여자: 서울대학교 / 이민수 교수, 최우석, 장유원 연구원
질문 생성 기술 '23년도 연구개발 결과 발표 (경희대학교)
Переглядів 2Місяць тому
불확실성 해소를 위한 질문생성 기술을 설명합니다. 아래의 정부 R&D 과제를 통해 개발하였습니다. - 중앙행정기관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과제번호: RS-2022-II220951 - 과제명: 스스로 불확실성을 자각하며 질문하면서 성장하는 에이전트 기술 개발 - 과제주관기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공동연구기관/참여자: 경희대학교 / 박성배 교수, 박규민 연구원
비디오 질의에 대한 응답 불확실성 지각 기술 '23년 연구개발 결과 발표 (한국과학기술원)
Місяць тому
비디오 내 물체의 부재에 의한 대답 불가능한 질문 판단 및 판단 근거 추론 기술을 설명합니다. 아래의 정부 R&D 과제를 통해 개발하였습니다. - 중앙행정기관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과제번호: RS-2022-II220951 - 과제명: 스스로 불확실성을 자각하며 질문하면서 성장하는 에이전트 기술 개발 - 과제주관기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공동연구기관/참여자: 한국과학기술원 / 유창동 교수, 윤희석, 윤은섭 연구원
데이터 불확실성에 강건한 모델 학습 기술 '23년 연구개발 결과 발표 (한국과학기술원)
Переглядів 8Місяць тому
데이터에 존재하는 레이블 노이즈를 검출하고 이로 인한 불확실성을 극복하는 모델 훈련 방법을 설명합니다. 아래의 정부 R&D 과제를 통해 개발하였습니다. - 중앙행정기관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과제번호: RS-2022-II220951 - 과제명: 스스로 불확실성을 자각하며 질문하면서 성장하는 에이전트 기술 개발 - 과제주관기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공동연구기관/참여자: 한국과학기술원 / 김준모 교수, 손형욱 연구원
모델과 데이터 불확실성 지각 기술 '23년 연구개발 결과 발표 (광주과학기술원)
Переглядів 4Місяць тому
인공지능 모델의 추론 불확실성과 레이블 노이즈로 인한 데이터 불확실성 감지 기술을 설명합니다. 아래의 정부 R&D 과제를 통해 개발하였습니다. - 중앙행정기관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과제번호: RS-2022-II220951 - 과제명: 스스로 불확실성을 자각하며 질문하면서 성장하는 에이전트 기술 개발 - 과제주관기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공동연구기관/참여자: 광주과학기술원 / 이규빈 교수, 유연국 연구원
대형언어모델 기반 절차계획과 절차이해의 불확실성 지각 기술 '24년 1단계 연구 결과 (한국전자통신연구원)
Переглядів 16Місяць тому
대형언어모델(Large Language Model)을 활용한 작업 계획 생성 기술과 작업 계획 중 모호한 상황 발생 시 이를 스스로 지각하고 사용자에게 질문하고 응답을 받아 불확실성을 해소함으로써 작업 성공율을 향상하는 기술을 설명합니다. 아래의 정부 R&D 과제를 통해 개발하였습니다. 중앙행정기관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과제번호: RS-2022-II220951 과제명: 스스로 불확실성을 자각하며 질문하면서 성장하는 에이전트 기술 개발 과제주관기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공동연구기관/참여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최재우, 윤영우, 김태우, 장민수
불확실성 기반 오픈셋(Open Set) 이미지 분류 기술 '24년 1단계 연구개발 결과 (한국과학기술원)
Переглядів 19Місяць тому
이미지 분류의 불확실성을 지각하여 이미지 분류는 물론 OOD(Out-Of-Distribution) 이미지를 구분할 수 있는 오픈셋 이미지 분류 기술 연구 성과를 설명합니다. 아래의 정부 R&D 과제를 통해 개발하였습니다. - 중앙행정기관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과제번호: RS-2022-II220951 - 과제명: 스스로 불확실성을 자각하며 질문하면서 성장하는 에이전트 기술 개발 - 과제주관기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공동연구기관/참여자: 한국과학기술원 / 김준모 교수, 손형욱 연구원
멀티모달 질의응답 시스템의 불확실성 지각 연구 '24년 1단계 연구 결과 (한국과학기술원)
Переглядів 11Місяць тому
M-LLM(멀티모달 대형언어모델) 기반 비디오 질의응답(Video QA) 실행에 있어 모델이 주어진 질문에 응답할 수 있는지 여부를 스스로 유의하게 판단하도록 만들어 응답의 신뢰도를 향상하는 연구입니다. 아래의 정부 R&D 과제를 통해 개발하였습니다. 중앙행정기관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과제번호: RS-2022-II220951 과제명: 스스로 불확실성을 자각하며 질문하면서 성장하는 에이전트 기술 개발 과제주관기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공동연구기관/참여자: 한국과학기술원 / 유창동 교수, 윤희섭, 윤은섭 연구원
의료 도메인에서의 불확실성 자각과 해소를 위한 AI 에이전트 기술 '24년 1단계 연구 결과 발표 (광주과학기술원)
Переглядів 16Місяць тому
비전기반모델(Vision Foundation Model) 기반 이미지 분류 불확실성 감지를 위한 Calibration Error 최소화 기술과 데이터 레이블 오류 정제 기술을 소개하고 이를 의료 도메인 영상 인식 기술에 적용한 결과와 의료진단 에이전트에 적용한 사례를 소개한다. 아래의 정부 R&D 과제를 통해 개발하였습니다. - 중앙행정기관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과제번호: RS-2022-II220951 - 과제명: 스스로 불확실성을 자각하며 질문하면서 성장하는 에이전트 기술 개발 - 과제주관기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공동연구기관/참여자: 광주과학기술원 / 이규빈 교수, 유연국 연구원
불확실한 상황에서 질문하여 명확한 작업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LBA 에이전트 기술 시연 ('24.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Переглядів 216 місяців тому
사용자 요구가 환경 상황을 기반으로 모호한지 여부를 스스로 판단하고, 모호한 경우 사용자에게 질문하여 불확실성을 해소한 후 명확한 정보를 기반으로 작업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LBA 에이전트 기술 시연으로, 테이블탑 로봇을 이용한 물건 잡아 옮기기 작업을 대상으로 시연하였습니다. 시뮬레이션 환경은 NVIDIA의 Isaac Sim을 활용하였고, 언어모델은 OpenAI의 GPT-4를 활용하였습니다. ETRI는 작업 상황의 불확실성 지각과 단계별 작업 계획 기술, 그리고 사물 잡아 옮기기(Pick'n'Place) 기술을 개발하여 적용하였습니다. 아래의 정부 R&D 과제를 통해 개발하였습니다. - 중앙행정기관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과제번호: RS-2022-II220951 - 과제명: 스스...
질문에 대한 응답 불확실성 지각 기술
Переглядів 352 роки тому
정부 R&D 과제 1차년도 연구개발 결과 발표입니다. - 중앙행정기관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과제번호: 2020-0-00951 - 과제명: 스스로 불확실성을 자각하며 질문하면서 성장하는 에이전트 기술 개발 - 발표 내용: 동영상 대상 질의에 대한 응답 불확실성 지각 방법 - 발표자: 한국과학기술원 인공지능과기계학습연구실 윤희석
로봇 조작 스킬의 불확실성 지각
Переглядів 212 роки тому
로봇 조작 스킬의 불확실성 지각
질문하며 성장하는 에이전트 통합 시스템과 데이터셋 설계
Переглядів 782 роки тому
질문하며 성장하는 에이전트 통합 시스템과 데이터셋 설계
불확실성 지각 기반 절차이해와 작업계획
Переглядів 512 роки тому
불확실성 지각 기반 절차이해와 작업계획
사용자 이해의 불확실성 자각과 지식 축적
Переглядів 322 роки тому
사용자 이해의 불확실성 자각과 지식 축적
Denosing Diffusion Model 기반 OOD(Out-Of-Distribution) 검출
Переглядів 692 роки тому
Denosing Diffusion Model 기반 OOD(Out-Of-Distribution) 검출
모델 앙상블 기반 노이즈 레이블 수정과 정제 방법
Переглядів 352 роки тому
모델 앙상블 기반 노이즈 레이블 수정과 정제 방법
불확실성을 해소하는 질의생성 방법
Переглядів 272 роки тому
불확실성을 해소하는 질의생성 방법
멀티모달 지식 체계 구축
Переглядів 632 роки тому
멀티모달 지식 체계 구축
불확실성을 고려한 오픈월드 객체 검출과 도메인 적응
Переглядів 462 роки тому
불확실성을 고려한 오픈월드 객체 검출과 도메인 적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