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잘 봤습니다 운동 기전력을 로렌츠 힘에 의해 생기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는 것까지는 이해했는데 그럼 회로는 정지해있고 자기선속이 변하는 것은 어떠한 원리인가요? 회로를 통과하는 자기선속이 변하는 것은 그냥 다 통틀어서 페러데이법칙으로 유도기전력이 형성되는 거로만 배워서 헷갈리네요
학기말에 바빠서 답변이 늦었습니다. 영상의 예시는 자석과 코일의 상대적인 움직임이 있을 때 자석이 움직인다고 볼 수도 있고, 코일이 움직인다고 볼 수도 있다는 것을 설명하는 것입니다. 코일이 정지해있고 자기장의 세기만 변하는 경우(고정된 코일 주변에 솔레노이드에 흐르는 전류가 변하는 경우 등)에는 코일과 자기장을 만드는 솔레노이드의 상대적인 움직임이 없으니까 위 영상처럼 해석할 수는 없는 것 같습니다.
1. p점에서 A, B에 의한 자기장이 0이기 때문에 A와 B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반대입니다. 2. A, B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반대이면 O점에서 A와 B에 의한 자기장 방향은 같습니다. 3. 그런데 O점에서 자기장 방향이 +y방향이므로 A에서는 지면을 뚫고 나오는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고, B에서는 지면을 뚫고 들어가는 방향으로 전류가 흐릅니다. 4. 따라서 p점에서 A에 흐르는 전류에 의한 자기장은 -y 방향이 됩니다.
저거 밑에 아두이노 인가요?
이 실험은 아두이노를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MBL과 함수발생기를 이용한 실험입니다.
@@ogssam 저 LED밑에 판 같은건 그럼 뭔가요??
17:30
감사합니다 선생님 혼자 하기 막막했는데 덕분에 엄청 든든했어용❤❤
도움이 되었다니 기쁘네요 :)
감사합니다
감사해주어서 고맙습니다.
보고서 및 실험데이터 파일 : cafe.naver.com/ogssam/1412
보고서: cafe.naver.com/ogssam/1411
영상 잘 봤습니다 운동 기전력을 로렌츠 힘에 의해 생기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는 것까지는 이해했는데 그럼 회로는 정지해있고 자기선속이 변하는 것은 어떠한 원리인가요? 회로를 통과하는 자기선속이 변하는 것은 그냥 다 통틀어서 페러데이법칙으로 유도기전력이 형성되는 거로만 배워서 헷갈리네요
학기말에 바빠서 답변이 늦었습니다. 영상의 예시는 자석과 코일의 상대적인 움직임이 있을 때 자석이 움직인다고 볼 수도 있고, 코일이 움직인다고 볼 수도 있다는 것을 설명하는 것입니다. 코일이 정지해있고 자기장의 세기만 변하는 경우(고정된 코일 주변에 솔레노이드에 흐르는 전류가 변하는 경우 등)에는 코일과 자기장을 만드는 솔레노이드의 상대적인 움직임이 없으니까 위 영상처럼 해석할 수는 없는 것 같습니다.
1번(0:04), 2번(1:17), 3번(2:57), 4번(5:51), 5번(7:52), 6번(10:25), 7번(14:27), 8번(16:01), 9번(18:45), 10번(22:00), 11번(27:57), 12번(30:20), 13번(33:59), 14번(40:51), 15번(43:53), 16번(50:17), 17번(1:01:01), 18번(1:07:59), 19번(1:18:14), 20번(1:24:30)
2023년 3월 1번(0:03), 2023년 4월 16번(1:17), 2023년 7월 2번(4:39), 2023년 9월 16번(5:49), 2023년 10월 2번(9:00), 2023년 11월 16번(10:38)
2023년 3월 3번(0:05), 2023년 4월 3번(0:54), 2023년 9월 15번(2:18), 2023년 10월 12번(4:18)
2023년 3월 2번(0:02), 2023년 4월 1번(0:50)
2023년 6월 17번(5:55)
학습지: cafe.naver.com/ogssam/1390
2023년 3월 14번(0:09), 2023년 4월 14번(5:37), 2023년 7월 6번(10:00), 2023년 10월 7번(13:43)
학습지: cafe.naver.com/ogssam/1371
학습지: cafe.naver.com/ogssam/1389
1번(0:06), 2번(0:42), 3번(2:11), 4번(3:38), 5번(4:48), 6번(6:14), 7번(6:55), 8번(7:58), 9번(8:48), 10번(9:21), 11번(10:05), 12번(11:18), 13번(12:03), 14번(12:44), 15번(13:44)
1번(0:03), 2번(0:41), 3번(1:13), 4번(1:58), 5번(2:57), 6번(3:48), 7번(4:53), 8번(5:46), 9번(6:20)
1번(0:03), 2번(0:45), 3번(1:42), 4번(2:59), 5번(3:38)
1번(0:04), 2번(0:56), 3번(3:33), 4번(6:31), 5번(7:22), 6번(8:27), 7번(9:14), 8번(11:12), 9번(12:30)
2023년 3월 8번(0:11), 2023년 10월 6번(4:41)
2023년 7월 5번(4:39)
학습지: cafe.naver.com/ogssam/1388
학습지: cafe.naver.com/ogssam/1408
학습지: cafe.naver.com/ogssam/1370
학습지: cafe.naver.com/ogssam/1407
2023년 6월 15번(4:13), 2023년 11월 6번(8:37)
2023년 6월 1번 (0:25), 2023년 7월 1번(1:43), 2023년 9월 1번(3:39), 2023년 10월 1번(4:59), 2023년 11월 1번(6:23)
2023년 9월 14번(10:30), 2023년 6월 16번(16:14)
2023년 11월 14번(28:19)
2023년 9월 3번(0:31), 2023년 11월 5번(5:08), 2023년 6월 14번(10:53), 2023년 4월 2번(15:52)
학습지: cafe.naver.com/ogssam/1387
학습지: cafe.naver.com/ogssam/1396
안녕하세요! 이 글을 읽으실지는 모르겠지만, 읽으신다면 꼭 답변 부탁드립니다! 교류 전압이 필요한 이유가 뭔가요?
학기말에 바빠서 답변이 늦었네요. 그러고 보니 직류여도 신호가 증폭된다는 것은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교류를 쓰는 이유는 신호의 변화 패턴(파형)은 그대로 이지만 세기(진폭)만 커지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서가 아닐가 추측해봅니다.
3:09 여기에서 왜 a에 의해 p의 자기장이 아래로 영향을 받나요???? 모든 인강을 봐도 여기 부분 설명이 생략되어 있어서 전혀 모르겠어요ㅠㅠ
1. p점에서 A, B에 의한 자기장이 0이기 때문에 A와 B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반대입니다. 2. A, B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반대이면 O점에서 A와 B에 의한 자기장 방향은 같습니다. 3. 그런데 O점에서 자기장 방향이 +y방향이므로 A에서는 지면을 뚫고 나오는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고, B에서는 지면을 뚫고 들어가는 방향으로 전류가 흐릅니다. 4. 따라서 p점에서 A에 흐르는 전류에 의한 자기장은 -y 방향이 됩니다.
학습지: cafe.naver.com/ogssam/1395
학습지: cafe.naver.com/ogssam/1384
학습지: cafe.naver.com/ogssam/1383
학습지: cafe.naver.com/ogssam/1369
학습지: cafe.naver.com/ogssam/1382
학습지: cafe.naver.com/ogssam/1393
학습지: cafe.naver.com/ogssam/1368
학습지: cafe.naver.com/ogssam/1392
학습지: cafe.naver.com/ogssam/1376
학습지: cafe.naver.com/ogssam/1381
학습지: cafe.naver.com/ogssam/1380
학습지: cafe.naver.com/ogssam/1377
학습지: ua-cam.com/video/C4yRjxG7Z4s/v-deo.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