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017
- 550 824
Justitia 와로 wa-L-aw !
South Korea
Приєднався 24 кві 2013
안녕하세요.
Justitia (유스티치아)는 고대 로마 신화에 등장하는 정의(justice)의 여신을 뜻합니다.
유스티치아 Justitia Law Center (justitia.kr)에서 민사절차와 관련된 강의 동영상을 올리고 있습니다.
강의 동영상을 비롯해 최신 판례, 기출시험문제, 외국법률정보 등 다양한 포맷의 학습 자료는 개방적 학습 플랫폼 유스티치아 justitia.kr 에도 업로드 되어 있습니다.
법률 지식과 법률 학습이 필요한 모든 분과 소통의 장소로 활용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Justitia (유스티치아)는 고대 로마 신화에 등장하는 정의(justice)의 여신을 뜻합니다.
유스티치아 Justitia Law Center (justitia.kr)에서 민사절차와 관련된 강의 동영상을 올리고 있습니다.
강의 동영상을 비롯해 최신 판례, 기출시험문제, 외국법률정보 등 다양한 포맷의 학습 자료는 개방적 학습 플랫폼 유스티치아 justitia.kr 에도 업로드 되어 있습니다.
법률 지식과 법률 학습이 필요한 모든 분과 소통의 장소로 활용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대법원 2023. 8. 18. 선고 2023다234102 판결 [배당이의소송의 당사자적격 ]
채권자가 집행권원을 가진 다른 채권자의 채권에 기한 배당액에 대하여 그 채권이 시효로 소멸하였다고 이의를 제기한 경우 다른 채권자를 상대로 제기해야 하는 소의 형태(=배당이의의 소) 및 그 소송의 공격방어방법으로서 채무자를 대위하여 다른 채권자의 소멸시효가 완성되었다는 주장을 할 수 있는지 여부(적극)
Переглядів: 243
Відео
대법원 2024. 6. 27.자 2024마5813 결정 [항고이유서 제출기간]
Переглядів 309Місяць тому
항고인이 책임질 수 없는 사유로 말미암아 항고이유서 제출기간을 지킬 수 없었던 경우, 법원이 제출기간이 지난 후에라도 민사소송법 제172조 제1항에 의하여 항고이유서 제출기간을 늘릴 수 있는지 여부(적극)
대법원 2023. 1. 12.자 2022마6107 결정 [집행장애]
Переглядів 155Місяць тому
집행채권자의 채권자가 집행채권에 대하여 한 압류 또는 가압류, 처분금지가처분이 집행장애사유에 해당하는지 여부(적극) 및 이는 국가가 국세징수법에 의한 체납처분으로 체납자의 채무자에 대한 집행채권을 압류한 경우에도 마찬가지인지 여부(적극) / 전부명령이 제3채무자에게 송달되었으나 확정되기 전 즉시항고 절차 단계에서 집행채권이 압류되는 등으로 집행장애사유가 발생한 경우, 항고법원이 취할 조치(=전부명령을 직권으로 취소)
대법원 2024. 6. 13. 선고 2024다231391 판결 [동시이행판결과 강제집행]
Переглядів 271Місяць тому
동시이행판결의 채무자가 그 집행력의 배제를 구하는 청구이의의 소에서 채권자가 반대의무의 이행 또는 이행제공을 하지 않았다는 주장을 청구이의의 사유로 내세울 수 있는지 여부(소극)
대법원 2023. 9. 1.자 2022마5860 결정 [집행비용]
Переглядів 65Місяць тому
강제집행이 신청의 취하 또는 집행처분의 취소 등으로 그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고 끝난 경우 민사집행법 제23조가 준용하는 민사소송법 제114조에 근거하여 법원이 집행비용을 부담할 당사자와 그 부담액을 정할 수 있는지 여부(적극)
집행당사자적격
Переглядів 119Місяць тому
집합건물의 위탁관리업자가 구분소유자를 상대로 하여 관리비 지급을 명하는 확정판결을 받았고, 그 사건 사실심 변론종결 후에 관리위탁계약이 종료되어 위탁관리업자의 지위를 상실함으로써 관리비 부과ㆍ징수권한이 소멸한 경우 청구이의의 소에서 정한 일반적인 이의이유가 되는지 여부(소극)
대법원 2024. 9. 12. 선고 2023다225979 판결 [집행당사자적격 /청구이의의 소]
Переглядів 232Місяць тому
집행당사자적격 /청구이의의 소 집합건물의 위탁관리업자가 구분소유자를 상대로 하여 관리비 지급을 명하는 확정판결을 받았고, 그 사건 사실심 변론종결 후에 관리위탁계약이 종료되어 위탁관리업자의 지위를 상실함으로써 관리비 부과ㆍ징수권한이 소멸한 경우 청구이의의 소에서 정한 일반적인 이의이유가 되는지 여부(소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