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 797
- 18 359 751
안키 영어 anki english
South Korea
Приєднався 13 лис 2022
카페에서 안키 영어 학습 자료 공유합니다⬇️⬇️⬇️
Відео
문장 20개 1661~168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Переглядів 7 тис.2 місяці тому
문장 20개 1661~168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문장 20개 1641~166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Переглядів 4,6 тис.3 місяці тому
문장 20개 1641~166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문장 20개 1621~164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Переглядів 3 тис.3 місяці тому
문장 20개 1621~164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문장 20개 1601~162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Переглядів 3,4 тис.3 місяці тому
문장 20개 1601~162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문장 20개 1581~160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Переглядів 4,4 тис.3 місяці тому
문장 20개 1581~160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문장 20개 1561~158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Переглядів 2,4 тис.3 місяці тому
문장 20개 1561~158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문장 20개 1541~156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Переглядів 1,8 тис.3 місяці тому
문장 20개 1541~156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문장 20개 1521~154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Переглядів 1,7 тис.3 місяці тому
문장 20개 1521~154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문장 20개 1501~152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Переглядів 1,4 тис.3 місяці тому
문장 20개 1501~152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문장 20개 1481~150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Переглядів 1,3 тис.3 місяці тому
문장 20개 1481~150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문장 20개 1461~148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Переглядів 1,3 тис.3 місяці тому
문장 20개 1461~148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문장 20개 1441~146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Переглядів 1,1 тис.3 місяці тому
문장 20개 1441~146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문장 20개 1421~144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Переглядів 1,5 тис.3 місяці тому
문장 20개 1421~144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문장 20개 1401~142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Переглядів 1,5 тис.3 місяці тому
문장 20개 1401~142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문장 100개 1301~140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문장 100개
Переглядів 1,8 тис.3 місяці тому
문장 100개 1301~140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문장 100개
1381~140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문장 20개
Переглядів 1,6 тис.3 місяці тому
1381~140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문장 20개
1361~138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문장 20개
Переглядів 1,4 тис.3 місяці тому
1361~138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문장 20개
1341~136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문장 20개
Переглядів 1,1 тис.3 місяці тому
1341~136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문장 20개
1321~134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문장 20개
Переглядів 1,1 тис.4 місяці тому
1321~134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문장 20개
1301~132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문장 20개
Переглядів 1,1 тис.4 місяці тому
1301~132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문장 20개
1201~130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문장 100개
Переглядів 1,5 тис.4 місяці тому
1201~130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문장 100개
1261~128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문장 20개
Переглядів 1,1 тис.4 місяці тому
1261~128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문장 20개
1201~122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문장 20개
Переглядів 1 тис.4 місяці тому
1201~122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문장 20개
1101~120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문장 100개
Переглядів 1,2 тис.4 місяці тому
1101~120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문장 100개
Mee gurinchi cheoy0
Estama kada j
Telugu lo kachithan gaa cheppandi estama kada
Prema desam
▪ 영어 표현: "Happy-go-lucky" (기본 형태) "Be happy-go-lucky" (be 동사와 함께 자주 사용) ▪ 직역: (문자적 의미): "행복하게 가고 운이 좋은" happy(행복한), go(가는), lucky(운이 좋은) (관용적 의미): 걱정 없이 긍정적이고 낙천적인 성격이나 태도 ▪ 의역: 낙천적인 태평스러운 유유자적한 걱정 없이 사는 긍정적인 성격의 ▪ 발음: [ˈhæpi ɡoʊ ˈlʌki] (해피 고우 러키) ▪ 발음 포인트: happy와 lucky에 강세, go는 약하게 발음 ▪ 빠른발음: 해피고럭키 해피고러키 해피그럭키 [ 유래/역사,어원,기원 ] 이 표현은 1672년에 처음 등장했습니다. 초기에는 '우연히' 또는 '되는대로'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happy'는 고대 노르웨이어 'happ'(운, 행운)에서 유래했습니다. 19세기 중반에 이르러서야 현재의 '걱정 없이 낙천적인'이라는 의미로 발전했습니다.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 걱정 없이 삶을 즐기는 사람을 묘사할 때 - 긍정적이고 낙천적인 성격을 표현할 때 - 미래에 대한 걱정 없이 현재를 사는 태도를 설명할 때 - 주로 긍정적인 맥락에서 사용됨 【 의미와 활용 】 ▪ 기본 의미: 근심 걱정 없이 긍정적이고 낙천적인 성격 ▪ 뉘앙스: 대체로 긍정적이지만 때로는 무책임해 보일 수 있음 ▪ 문화적 설명: 서구 문화에서 낙관적 태도를 표현하는 방식 ▪ 반복 패턴: "too happy-go-lucky", "so happy-go-lucky" ▪ 관용적 활용: 주로 성격이나 태도를 설명할 때 사용 【 쉬운 예문 】 "She's such a happy-go-lucky person" (그녀는 정말 낙천적인 사람이야) "He has a happy-go-lucky attitude" (그는 태평스러운 태도를 가지고 있어) "Don't be too happy-go-lucky about this" (이것에 대해 너무 태평스럽게 굴지 마) 【 일상 표현 】 "I wish I were more happy-go-lucky" (나도 좀 더 낙천적이었으면 좋겠어) "Her happy-go-lucky nature helps her cope" (그녀의 낙천적인 성격이 대처하는 데 도움이 돼) "You're too happy-go-lucky sometimes" (넌 때때로 너무 태평스러워) 【 유사 표현 】 ▪ 가장 일반적인 표현 "Carefree" (걱정 없는) ▪ 격식있는 상황에서 사용 "Optimistic" (낙관적인) ▪ 비격식 표현 "Easy-going" (느긋한) 【 반대 표현 】 "Worried" (걱정 많은) "Serious" (진지한) "Anxious" (불안한) 【 주의할 점 】 ▪ 발음 주의: lucky의 y 발음 명확히 ▪ 상황별 주의: 심각한 상황에서는 부적절 ▪ 실수 예방: "lucky-go-happy"로 순서 바꾸지 않기 【 학습 팁 】 ▪ 연습 방법: 낙천적인 성격을 설명할 때 사용 ▪ 실전 활용: 긍정적인 태도를 설명할 때 ▪ 기억하기 - 한국어 연상: "행복한 나그네" - 이미지 연상: 걱정 없이 웃는 얼굴 - 스토리텔링: "늘 웃으며 살아가는 친구..."
▪ 영어 표현: "Hand in hand" (부사구 - 방식이나 상태를 설명) "Hand-in-hand" (형용사구 - 관계나 속성을 수식) ▪ 직역: (문자적 의미): "손이 손 안에" hand(손), in(~안에), hand(손) (관용적 의미): 부사구: 나란히, 함께 하는 방식으로 형용사구: 밀접하게 연관된 상태로 ▪ 의역: 부사구로 사용될 때: - 나란히 - 함께 - 더불어 형용사구로 사용될 때: - 밀접하게 관련된 - 떼려야 뗄 수 없는 - 함께 진행되는 ▪ 발음: [hænd ɪn hænd] (핸드 인 핸드) ▪ 발음 포인트: 첫 번째와 마지막 hand에 강세, in은 약하게 발음 ▪ 빠른발음: 핸딘핸드 핸든핸드 핸딘핸 【 유래/역사,어원,기원 】 이 표현은 중세 영어 시대(1150-1500년)에 처음 등장했습니다. 실제로 손을 잡고 걷는 물리적 행위에서 시작되어 비유적 의미로 발전했습니다. 【 의미의 발전 】 - 중세: 실제로 손을 잡고 걷는 물리적 행위를 의미했음. 특히 연인이나 가까운 사이를 나타내는데 사용됨 - 1600년대: 셰익스피어의 작품을 통해 비유적 의미로 확장되기 시작. 두 가지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의미하게 됨 - 현재: 비즈니스, 교육, 연구 등 모든 분야에서 두 가지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거나 함께 발생하는 것을 설명하는 일반적 표현이 됨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 연관된 개념이나 활동을 설명할 때 - 협력 관계를 설명할 때 - 함께 발생하는 현상을 설명할 때 【 의미와 활용 】 ▪ 기본 의미: 부사구: 함께 하는 방식이나 상태 형용사구: 밀접한 관계나 연관성 ▪ 뉘앙스: 긍정적이며 조화로운 관계를 강조 ▪ 문화적 설명: 서양에서 손을 잡는 것이 친밀함과 협력의 상징임을 반영 ▪ 반복 패턴: 부사구: "Go hand in hand with", "Work hand in hand" 형용사구: "A hand-in-hand approach", "Hand-in-hand issues" ▪ 관용적 활용: 부사구: 두 개념이나 행동이 어떻게 함께 일어나는지 설명할 때 형용사구: 두 개념이나 행동의 밀접한 관계를 설명할 때 【 쉬운 예문 】 부사구 사용: "They walked hand in hand in the park" (그들은 공원을 나란히 걸었다) "These factors work hand in hand" (이 요소들은 함께 작용한다) 형용사구 사용: "This is a hand-in-hand relationship" (이것은 밀접하게 연관된 관계이다) 【 일상 표현 】 부사구 사용: "Let's work hand in hand on this" (이것을 함께 해보자) 형용사구 사용: "It's a hand-in-hand process" (이것은 밀접하게 연관된 과정이다) 【 유사 표현 】 ▪ 가장 일반적인 표현 "Together" (부사구) (함께) ▪ 격식있는 상황에서 사용 "In conjunction with" (부사구) (~와 연계하여) ▪ 비격식 표현 "Side by side" (부사구) (나란히) 【 반대 표현 】 "Separately" (따로따로) "Apart" (떨어져서) "Independently" (독립적으로) 【 주의할 점 】 ▪ 발음 주의: 두 hand 모두 동일한 강세로 발음 ▪ 상황별 주의: - 부사구로 쓸 때는 하이픈 없이 "hand in hand" - 형용사구로 쓸 때는 하이픈 사용하여 "hand-in-hand" ▪ 실수 예방: 품사에 따른 하이픈 사용 구분하기 【 학습 팁 】 ▪ 연습 방법: - 부사구는 '어떻게'를 설명할 때 - 형용사구는 '어떤 관계'를 설명할 때 ▪ 실전 활용: - 부사구: 협력하는 방식 설명할 때 - 형용사구: 밀접한 관계 설명할 때 ▪ 기억하기 - 한국어 연상: 부사구는 '손잡고', 형용사구는 '뗄 수 없는 관계' - 이미지 연상: 손을 잡고 걷는 두 사람의 모습과 관계 - 스토리텔링: 손을 잡고 걷는 행위가 상징하는 협력과 친밀함
▪ 영어 표현: Get in shape ▪ 직역: (문자적 의미) "형태 안에 되다/들어가다" - get(얻다, 되다), shape(모양, 형태)라는 단어의 기본적 의미를 결합한 것입니다. (관용적 의미) "몸을 건강하고 날씬하게 만들다" - 영어권에서 운동이나 다이어트를 통해 건강하고 날씬한 몸을 만드는 것을 의미하는 관용구입니다. ▪ 의역: 1. 몸매를 가꾸다 2. 체력을 기르다 3. 몸을 만들다 4. 건강한 상태를 만들다 5. 체형을 관리하다 ▪ 발음: [ɡɛt ɪn ʃeɪp] / 겟 인 쉐이프 ▪ 발음 포인트: shape에 강세, get in은 연음으로, 겟인쉐입 ▪ 빠른발음: 1. 겟인쉐입 2. 게린쉐입 3. 겟닌쉐입 [보너스]▪ 알쓸영잡: 이 표현은 1940년대부터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shape'가 좋은 체형이나 건강한 신체 상태를 의미하는 것에서 유래했으며, 군대에서 병사들의 체력 관리를 지칭하는 말로 처음 사용되었습니다. 주로 건강, 운동, 체력 개선과 관련된 상황에서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단순히 체중 감량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신체 건강과 컨디션을 향상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 운동을 시작하거나 계획할 때 - 건강한 생활습관을 만들려고 할 때 - 다이어트나 체력 단련을 할 때 - 특히 새해 결심이나 여름 준비할 때 자주 사용됨 【 의미와 활용 】 ▪ 기본 의미: 운동과 건강한 생활을 통해 좋은 체형과 체력을 갖추는 것 ▪ 뉘앙스: 긍정적이며 목표지향적인 의미를 가짐 ▪ 문화적 설명: 서양의 건강과 외모에 대한 관심을 반영하며, 적극적인 자기관리의 의미를 담고 있음 ▪ 관용구 문법: get + in + shape 【 쉬운 예문 】 "I need to get in shape" (몸매를 가꿔야 해요) "She's trying to get in shape" (그녀는 몸매 관리를 하려고 해요) "Let's get in shape together" (함께 운동하면서 몸을 만들어보자) 【 일상 표현 】 "Time to get in shape" (몸매 관리할 시간이에요) "I'm working on getting in shape" (지금 몸매 관리 중이에요) "It's not easy to get in shape" (몸매 관리하기가 쉽지 않네요) 【 유사 표현 】 "Work out" (운동하다) "Get fit" (건강해지다) "Shape up" (몸매를 가꾸다) 【 반대 표현 】 "Get out of shape" (몸이 망가지다) "Let oneself go" (자기관리를 포기하다) "Fall out of shape" (체력이 떨어지다) 【 주의할 점 】 ▪ 발음 주의: shape의 장모음 ▪ 상황별 주의: 남의 체형에 대해 언급할 때는 조심 ▪ 실수 예방: in을 빼먹지 않도록 주의 【 학습 팁 】 ▪ 연습 방법: 운동 계획 이야기할 때 활용 ▪ 실전 활용: 새해 결심이나 목표 설정할 때 사용 ▪ 기억하기 - 한국어 연상: "몸매 만들기" 떠올리기 - 이미지 연상: 운동하는 모습 - 스토리텔링: "여름 준비를 위한 다이어트"
▪ 영어 표현: Every man for himself ▪ 직역: (문자적 의미) "모든 사람은 자신을 위하여" - every(모든), man(사람), himself(자신을)의 기본적 단어 의미 조합입니다. (관용적 의미) "각자 자신의 생존이나 이익을 책임져야 하는 상황" - 위급하거나 경쟁적인 상황에서 각자가 자신을 돌봐야 하는 것을 의미하는 관용구입니다. ▪ 의역: 1. 자신의 일은 스스로 2. 제 살길 찾기 3. 각자도생 4. 자기 몫은 자기가 ▪ 발음: [ˈevri mæn fɔr hɪmˈself] / 에브리 맨 포 힘셀프 ▪ 발음 포인트: every와 himself에 강세 【 유래/역사,어원,기원 】 이 표현은 해상 용어에서 유래했습니다. 배가 침몰할 때 선장이 승무원들에게 모든 의무에서 해방되어 각자 생존을 도모하라는 명령으로 사용되었습니다. 【 의미의 발전 】 - 초기: 해난 사고 시 선원들의 생존을 위한 실제 명령어로 사용됨. 특히 타이타닉호 침몰 시 선장이 마지막으로 한 말로도 유명함 - 중기: 비유적 의미로 발전하여 위기 상황에서 개인의 생존이나 이익을 우선시하는 것을 의미하게 됨 - 현재: 경쟁적인 비즈니스 환경이나 사회 전반에서 협력보다는 개인의 이익을 추구하는 상황을 설명하는 일반적 표현이 됨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 극심한 경쟁 상황 - 위기나 비상시 - 팀워크가 무너진 상황 【 의미와 활용 】 ▪ 기본 의미: 각자가 자신의 생존이나 이익을 책임져야 하는 상황 ▪ 뉘앙스: 때로는 부정적인 의미로 이기적인 행동을 암시 ▪ 우리말로 하면: "각자도생", "제 살 길 찾기"와 같은 표현과 유사 ▪ 반복 패턴: "It's every man for himself", "becomes every man for himself" ▪ 관용구 문법: every + noun + preposition + pronoun 【 쉬운 예문 】 "It's every man for himself now" (이제 각자 살 길을 찾아야 해) "The meeting became every man for himself" (회의가 각자도생의 상황이 됐어) "In this business, it's every man for himself." (이 사업에서는 각자 자신의 몫을 챙겨야 해) 【 일상 표현 】 "Looks like every man for himself" (각자도생해야 할 것 같네) "When times get tough, it's every man for himself" (힘든 시기엔 자기 살길을 찾아야 해) "The company motto became every man for himself" (회사의 모토가 자력구제가 되었다) 【 유사 표현 】 "Look out for yourself" (자신을 돌보다) "Save your own skin" (자신의 안위를 지키다) "Fend for yourself" (스스로를 돌보다) 【 반대 표현 】 "All for one and one for all" (모두는 하나를 위하고 하나는 모두를 위하여) "Work together" (함께 일하다) "Help each other" (서로 돕다) 【 주의할 점 】 ▪ 발음 주의: for와 himself 연결 시 주의 ▪ 상황별 주의: 이기적으로 들릴 수 있으니 주의 ▪ 실수 예방: "for themselves"처럼 복수형으로 쓰지 않기 【 학습 팁 】 ▪ 연습 방법: 경쟁 상황 설명할 때 활용 ▪ 실전 활용: 생존 경쟁 상황 설명할 때 ▪ 기억하기 - 한국어 연상: "제 살 길 찾기" - 이미지 연상: 난파선에서 탈출하는 사람들 - 스토리텔링: "회사 구조조정 시기의 직원들"
▪ 영어 표현: Close to home ▪ 직역: (문자적 의미) "집에 가깝다" - close(가까운), home(집)이라는 단어의 기본적 의미를 결합한 것입니다. (관용적 의미) "개인적으로 강한 영향을 미치는" - 영어권에서 어떤 상황이나 말이 개인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거나 감정적으로 와닿는 것을 의미하는 관용구입니다. ▪ 의역: 1. 가슴에 와닿다 2. 뼈아프게 와닿다 3. 개인적으로 다가오다 4. 불편한 진실을 마주하다 5. 가슴 아프게 공감되다 ▪ 발음: [kloʊs tuː hoʊm] / 클로우즈 투 호움 ▪ 발음 포인트: close와 home에 강세, to는 약하게 ▪ 빠른발음: 1. 클로우스투홈 2. 클로스투홈 3. 클로스툼 [보너스]▪ 알쓸영잡: 이 표현은 1800년대 후반부터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집'이라는 단어가 개인의 가장 친밀하고 민감한 영역을 상징하는 것에서 유래했습니다.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 개인적으로 깊이 공감되는 경험을 설명할 때 - 불편하거나 민감한 주제에 대해 이야기할 때 - 진실이 너무 정확해서 불편함을 느낄 때 - 주로 부정적이거나 감정적인 상황에서 사용됨 【 의미와 활용 】 ▪ 기본 의미: 개인적으로 강한 영향을 미치거나 깊이 공감되는 상황 ▪ 뉘앙스: 주로 부정적이거나 감정적인 상황에서 사용되며, 개인적 연관성을 강조 ▪ 문화적 설명: 영어권에서는 개인적 경험과 감정의 깊이를 표현할 때 '거리'의 은유를 자주 사용함 ▪ 관용구 문법: close + to + home 【 쉬운 예문 】 "That story hit close to home" (그 이야기가 가슴에 와닿았어요) "This issue strikes close to home" (이 문제가 뼈아프게 다가오네요) "It feels too close to home" (너무 개인적으로 다가오네요) 【 일상 표현 】 "Your words hit close to home" (당신의 말이 가슴에 와닿았어요) "The movie was close to home" (그 영화가 마음에 깊이 새겨졌어요) "This really hits close to home" (이건 정말 강하게 와닿네요) 【 유사 표현 】 "Strike a chord" (마음에 와닿다) "Hit hard" (깊이 영향을 미치다) "Touch a nerve" (민감하게 다가오다) 【 반대 표현 】 "Distant concern" (먼 걱정거리) "Remote issue" (관련 없는 문제) "Far removed" (동떨어진) 【 주의할 점 】 ▪ 발음 주의: close의 s 발음 ▪ 상황별 주의: 너무 가벼운 상황에서는 사용 자제 ▪ 실수 예방: 물리적 거리와 혼동하지 않기 【 학습 팁 】 ▪ 연습 방법: 감정적 반응 설명할 때 활용 ▪ 실전 활용: 깊은 공감을 표현할 때 사용 ▪ 기억하기 - 한국어 연상: "가슴에 와닿다" 떠올리기 - 이미지 연상: 가까이에서 느끼는 감정 - 스토리텔링: "나와 비슷한 경험을 한 주인공"
▪ 영어 표현: Everything's coming up roses ▪ 직역: (문자적 의미): "모든 것이 장미꽃으로 피어나다" - everything(모든 것), coming up(올라오다/나타나다), roses(장미들)의 기본적 단어 의미 조합입니다. (관용적 의미): 모든 일이 잘 풀리고 희망적인 상황 ▪ 의역: 1. 모든 게 잘 풀리고 있어 2. 일이 술술 풀리네 3.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어 4. 좋은 일만 생기네 5. 만사형통 ▪ 발음: [ˈevrɪθɪŋz ˈkʌmɪŋ ʌp ˈrəʊzɪz] (에브리싱즈 커밍 업 로우지즈) ▪ 발음 포인트: everything과 roses에 강세, coming up은 빠르게 ▪ 빠른발음: 1. 에브리싱즈커미너로우지즈 2. 에브리싱커미너로지즈 3. 에브싱커미너로지즈 【 유래/역사,어원,기원 】 이 표현은 1959년 브로드웨이 뮤지컬 'Gypsy'의 노래 제목에서 유래했습니다. 줄 스타인이 작곡하고 스티븐 손드하임이 작사했습니다. 【 의미의 발전 】 - 1957년: 뮤지컬 'Gypsy'의 노래로 처음 등장. 당시에는 희망적이고 긍정적인 미래를 표현하는 노래 가사로 사용됨 - 1960년대: 브로드웨이를 넘어 일상적인 표현으로 확장되기 시작. 특히 어려운 시기를 지나 상황이 좋아지는 것을 의미하는데 사용됨 - 현재: 비즈니스, 개인생활 등 모든 영역에서 성공적인 상황이나 긍정적인 결과를 설명하는 일반적인 표현이 됨. 특히 초기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좋은 결과를 얻는 상황을 설명할 때 자주 사용됨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 사업이 성공적으로 진행될 때 - 개인적인 목표를 달성했을 때 - 어려움 후에 상황이 좋아질 때 【 의미와 활용 】 ▪ 기본 의미: 모든 상황이 좋은 방향으로 진행되는 것 ▪ 뉘앙스: 매우 긍정적이고 낙관적인 표현 ▪ 우리말로 하면: "만사형통"이나 "일이 술술 풀리다"와 비슷한 의미 ▪ 반복 패턴: "finally coming up roses", "things are coming up roses" ▪ 관련 문법: be + coming up + roses (everything's coming up roses) 【 쉬운 예문 】 "Everything's coming up roses lately" (요즘 모든 게 잘 풀리고 있어요) "Life is finally coming up roses" (인생이 드디어 잘 풀리기 시작했어요) "Things are coming up roses for her" (그녀에게 좋은 일들이 생기고 있어요) 【 일상 표현 】 "Business is coming up roses" (사업이 잘 되고 있어요) "My career is coming up roses" (내 경력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어) "Our plans are coming up roses" (우리 계획이 잘 진행되고 있어) 【 유사 표현 】 "Going well" (잘 되고 있다) "Smooth sailing" (순조롭게 진행되다) "Looking up" (전망이 좋아지다) 【 반대 표현 】 "Going downhill" (나빠지고 있다) "Falling apart" (무너지고 있다) "Going wrong" (잘못되고 있다) 【 주의할 점 】 ▪ 발음 주의: roses의 s 발음 생략하지 않기 ▪ 상황별 주의: 부정적인 상황에서는 비꼬는 말로 들릴 수 있음 ▪ 실수 예방: rose(단수)가 아닌 roses(복수) 사용 【 학습 팁 】 ▪ 연습 방법: 좋은 소식을 전할 때 사용해보기 ▪ 실전 활용: 성공이나 진전을 이야기할 때 활용 ▪ 기억하기 - 한국어 연상: "꽃길만 걷다" - 이미지 연상: 장미가 피어나는 정원 - 스토리텔링: "힘든 시기를 지나 모든 게 잘 풀리기 시작한 순간"
▪ 영어 표현: All's fair in love and war ▪ 직역: (문자적 의미) "사랑과 전쟁에서는 모든 것이 공평하다" - all(모든 것), fair(공평한), love(사랑), war(전쟁)이라는 단어의 기본적 의미를 결합한 것입니다. (관용적 의미) "사랑과 전쟁에서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다" - 영어권에서 사랑이나 경쟁에서는 통상적인 규칙이나 도덕이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관용구입니다. ▪ 의역: 1. 사랑과 전쟁에는 규칙이 없다 2. 이기기 위해서라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다 3. 결과를 위해서는 과정이 정당화될 수 있다 4. 사랑과 전쟁에서는 무엇이든 용납된다 5. 사랑과 전쟁에는 반칙이 없다 ▪ 발음: [ɔːlz fɛr ɪn lʌv ænd wɔːr] / 올즈 페어 인 러브 앤드 워 ▪ 발음 포인트: fair와 war에 강세, 전체를 리듬감 있게 ▪ 빠른발음: 1. 올즈페린러번워 2. 올즈페러번워 [보너스]▪ 알쓸영잡: 이 속담은 16세기 영국에서 처음 등장했습니다. 존 리게이트(John Lyly)의 'Euphues'(1578)에서 처음 문헌에 등장했으며, 원래는 "사랑에는 모든 것이 공평하다"였다가 후에 "전쟁"이 추가되었습니다. 이는 당시 사회에서 가장 강렬한 감정과 행동을 유발하는 두 가지 상황을 대비시킨 것입니다. 원래는 "The rules of fair play do not apply in love and war"라는 더 긴 형태였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현재의 간단한 형태로 정착되었습니다. 이 표현은 사랑과 전쟁의 극한 상황에서는 일반적인 도덕적, 윤리적 규범이 적용되지 않는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주로 사랑을 쟁취하거나 전쟁에서 승리하기 위해 보통 용납될 수 없는 행동도 정당화될 수 있음을 암시합니다. 역사적으로 문학과 일상 언어에서 널리 사용되는 속담입니다.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 경쟁이나 갈등 상황에서 취한 극단적인 행동을 정당화할 때 - 사랑을 위해 비정상적인 행동을 할 때 - 목적 달성을 위해 통상적인 규칙을 벗어난 행동을 설명할 때 - 극단적인 상황에서의 비일상적 행동을 이해하려 할 때 【 의미와 활용 】 ▪ 기본 의미: 특정 상황에서는 통상적인 규칙이나 도덕이 유예될 수 있다는 것 ▪ 뉘앙스: 행동을 정당화하는 뉘앙스가 있으며, 때로는 비도덕적 행위에 대한 변명으로도 사용됨 ▪ 문화적 설명: 서양에서는 경쟁과 승리의 가치를 반영하는 표현이나, 도덕적 상대주의에 대한 경계도 담고 있음 ▪ 관용구 문법: 완전한 문장 형태의 속담 ▪ 관용적 활용: 주로 논란의 여지가 있는 행동을 설명하거나 정당화할 때 사용 【 쉬운 예문 】 "Well all's fair in love and war right" (뭐, 사랑과 전쟁에는 규칙이 없는 거잖아요, 그렇죠?) "They say all's fair in love and war" (사랑과 전쟁에는 규칙이 없다고들 하죠) "Remember all's fair in love and war" (사랑과 전쟁에는 규칙이 없다는 걸 기억하세요) 【 일상 표현 】 "As they say all's fair in love and war" (말 그대로 사랑과 전쟁에는 규칙이 없죠) "I guess all's fair in love and war" (사랑과 전쟁에서는 다 그런 거겠죠) "You know what they say about love and war" (사랑과 전쟁에 대해 뭐라고 하는지 알잖아요) 【 유사 표현 】 "The end justifies the means" (목적이 수단을 정당화한다) "By any means necessary" (어떤 수단을 써서라도) "No holds barred" (제한 없이) 【 반대 표현 】 "Play by the rules" (규칙을 지키다) "Fight fair" (공정하게 싸우다) "Keep it clean" (깨끗하게 하다) 【 주의할 점 】 ▪ 발음 주의: all's의 축약형 발음 ▪ 상황별 주의: 도덕적 논란이 있는 상황에서는 신중하게 사용 ▪ 실수 예방: 너무 가볍게 사용하지 않기 【 학습 팁 】 ▪ 연습 방법: 경쟁 상황 설명할 때 활용 ▪ 실전 활용: 논란의 여지가 있는 상황을 설명할 때 사용 ▪ 기억하기 - 한국어 연상: "전쟁터에서는 법도 없다" 떠올리기 - 이미지 연상: 전쟁터와 사랑의 대비 - 스토리텔링: "치열한 경쟁 속 승리"
▪ 영어 표현: Got a second wind ▪ 직역: (문자적 의미) "두 번째 바람을 얻다" - got(얻다), second(두 번째), wind(바람/호흡)의 기본적 단어 의미 조합입니다. (관용적 의미) "지쳤다가 갑자기 새로운 에너지를 얻다" ▪ 의역: 1. 새 힘이 나다 2. 활력을 되찾다 3. 기운이 솟다 4. 재충전되다 5. 원기를 회복하다 ▪ 발음: [ɡɒt ə ˈsekənd wɪnd] / 갓 어 세컨드 윈드 ▪ 발음 포인트: second에 강세, wind의 d는 약하게 ▪ 빠른발음: 1. 가러세컨윈드 2. 가러세컨윈 3. 가세컨윈드 【 유래/역사,어원,기원 】 이 표현은 1800년대 후반에 처음 등장했으며, 장거리 달리기 선수들이 경험하는 현상에서 유래했습니다. 【 의미의 발전 】 - 1890년대: 운동선수들의 호흡 패턴 회복을 설명하는 실제 현상을 지칭. 특히 장거리 달리기에서 숨이 차다가 다시 정상으로 돌아오는 현상을 설명할 때 사용됨 - 1946년: 조세핀 테이의 작품을 통해 비유적 의미로 확장되기 시작. 육체적 피로뿐만 아니라 정신적 활력의 회복을 의미하는 것으로 발전 - 현재: 모든 종류의 활동에서 피로 후 갑자기 찾아오는 새로운 에너지나 의욕을 설명하는 일반적 표현이 됨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 운동 중 피로를 극복하고 계속할 때 - 일하다가 새로운 의욕이 생길 때 - 휴식 후 활력을 되찾았을 때 【 의미와 활용 】 ▪ 기본 의미: 지친 후 갑자기 새로운 활력을 되찾는 것 ▪ 뉘앙스: 긍정적이며 예상치 못한 회복을 강조 ▪ 우리말로 하면: "활력이 되살아나다"와 같은 표현과 유사 ▪ 반복 패턴: "get a second wind", "got my second wind" ▪ 관련 문법: get/got + article + noun ("get a second wind", "got my second wind") 【 쉬운 예문 】 "I got my second wind after coffee" (커피 마시고 새 힘이 났어) "She got her second wind" (그녀가 활력을 되찾았어) "Just wait till I get my second wind" (내가 다시 힘을 되찾을 때까지 기다려봐) 【 일상 표현 】 "I'm waiting for my second wind" (새로운 힘이 나기를 기다리는 중이야) "The team got their second wind" (팀이 새로운 활력을 얻었어) "Coffee helps me get my second wind" (커피가 나의 기운을 되찾게 해줘) 【 유사 표현 】 "Get a boost" (활력을 얻다) "Catch a breath" (숨을 고르다) "Get energized" (에너지를 얻다) 【 반대 표현 】 "Run out of steam" (기운이 빠지다) "Lose energy" (에너지를 잃다) "Hit the wall" (한계에 부딪히다) 【 주의할 점 】 ▪ 발음 주의: second의 d 발음 약하게 ▪ 상황별 주의: 격식있는 문서에서는 다른 표현 선호 ▪ 실수 예방: "get the second wind"처럼 관사 잘못 사용하지 않기 【 학습 팁 】 ▪ 연습 방법: 에너지 회복 상황 설명할 때 활용 ▪ 실전 활용: 피로 회복 후 상태 설명할 때 ▪ 기억하기 - 한국어 연상: "두 번째 숨" - 이미지 연상: 달리기 중 숨을 되찾는 선수 - 스토리텔링: "야근 중 커피 한 잔으로 원기를 회복한 순간"
▪ 영어 표현: A fool and his money are soon parted ▪ 직역: (문자적 의미) "바보와 그의 돈은 곧 헤어진다" - fool(바보), money(돈), parted(헤어진)이라는 단어의 기본적 의미를 결합한 것입니다. (관용적 의미) "현명하지 못한 사람은 돈을 쉽게 잃는다" - 영어권에서 분별없이 돈을 쓰는 사람은 결국 재산을 잃게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의역: 1. 어리석은 자는 돈을 쉽게 잃는다 2. 분별없는 자는 돈을 오래 못 쥔다 3. 바보는 돈을 잃기 마련이다 4. 현명하지 못한 자는 돈을 지키지 못한다 ▪ 발음: [ə fuːl ænd hɪz ˈmʌni ɑːr suːn ˈpɑːrtɪd] / 어 풀 앤드 히즈 머니 아어 순 파아티드 ▪ 발음 포인트: money와 parted에 강세, 전체적으로 리듬감 있게 ▪ 빠른발음: 1. 어풀앤히즈머니아순파티드 2. 풀앤히즈머니순파티드 [보너스]▪ 알쓸영잡: 이 속담은 16세기 영국의 시인 토마스 터서(Thomas Tusser)의 시집 "Five Hundred Points of Good Husbandry"(1557)에서 처음 등장했습니다. 당시 급격한 상업 발전으로 새로운 부자들이 생기면서, 돈의 현명한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만들어진 교훈적 표현입니다. 당시의 도박과 사치스러운 소비 문화를 비판하는 맥락에서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이후 재정적 책임감과 현명한 소비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보편적인 지혜로 자리 잡았습니다.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 누군가가 돈을 무분별하게 쓸 때 - 현명하지 못한 투자나 구매를 할 때 - 재정적 판단력이 부족한 경우를 지적할 때 - 돈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할 때 【 의미와 활용 】 ▪ 기본 의미: 현명하지 못한 사람은 돈을 쉽게 잃거나 낭비한다는 교훈 ▪ 뉘앙스: 경고적이며 교훈적인 톤을 가짐 ▪ 문화적 설명: 서양의 실용주의적 가치관과 재정적 책임감을 강조하는 문화를 반영함. ▪ 관용구 문법: 완전한 문장 형태의 속담 ▪ 관용적 활용: 주로 경고나 교훈을 주는 상황에서 사용 【 쉬운 예문 】 "As they say a fool and his money are soon parted" (속담처럼 어리석은 자는 돈을 쉽게 잃기 마련이죠) "Remember a fool and his money are soon parted" (바보는 돈을 오래 못 쥔다는 걸 기억하세요) "You know what they say about a fool and his money" (바보와 돈에 대한 속담 알잖아요) 【 일상 표현 】 "That's why they say a fool and his money are soon parted" (그래서 어리석은 자는 돈을 잃기 마련이라고 하는 거예요) "It's true that a fool and his money are soon parted" (바보는 정말 돈을 오래 못 가진다니까요) "Think about it a fool and his money are soon parted" (생각해보세요, 분별없는 자는 돈을 쉽게 잃어요) 【 유사 표현 】 "Money burns a hole in one's pocket" (돈이 주머니를 태운다) "Easy come easy go" (쉽게 온 것은 쉽게 간다) "Penny wise pound foolish" (작은 것에 급급하여 큰 것을 놓치다) 【 반대 표현 】 "Money well spent" (현명하게 쓴 돈) "Wise investment" (현명한 투자) "Save for a rainy day" (미래를 위해 저축하다) 【 주의할 점 】 ▪ 발음 주의: parted의 t 발음 ▪ 상황별 주의: 직접적인 비판으로 들리지 않게 주의 ▪ 실수 예방: 너무 자주 사용하면 잔소리처럼 들릴 수 있음 【 학습 팁 】 ▪ 연습 방법: 재정 조언이나 경고할 때 활용 ▪ 실전 활용: 교훈적인 맥락에서 사용 ▪ 기억하기 - 한국어 연상: "밑 빠진 독에 물 붓기" 떠올리기 - 이미지 연상: 날아가는 지폐들 - 스토리텔링: "충동구매의 후회"
▪ 영어 표현: Here's mud in your eye ▪ 직역: (문자적 의미): "여기 당신 눈에 진흙이" - here's(여기 있다), mud(진흙), in(~안에), your eye(당신의 눈)의 기본적 단어 의미 조합입니다. (관용적 의미): 건배를 할 때 하는 말로, 상대방의 건강과 행운을 기원하는 표현 ▪ 의역: 1. 건배! 2. 자, 위하여! 3. 건강과 행운을 빕니다 4. 당신을 위하여! 5. 건배합시다! ▪ 발음: [hɪəz mʌd ɪn jɔːr aɪ] (히어즈 머드 인 유어 아이) ▪ 발음 포인트: mud와 eye에 강세, here's는 빠르게 ▪ 빠른발음: 1. 히어즈머디너라이 2. 히즈머디너라이 3. 히즈머디나이 【 유래/역사,어원,기원 】 이 표현은 1890년대 미국 술집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1900년대 초반 노래, 영화, 대중 매체를 통해 대중화되었습니다. 【 의미의 발전 】 - 1890년대: 미국 술집에서 처음 사용되기 시작함. 특히 농부들이 풍작을 기원하며 사용했다고 함 - 1911년: 문서상 첫 기록이 등장. 주로 친근한 건배사로 사용되기 시작함 - 현재: 영국과 미국에서 비격식적인 건배사로 널리 사용됨. 특히 친근하고 유쾌한 분위기에서 건강과 행운을 기원하는 표현으로 자주 사용됨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 친구들과 건배할 때 - 축하나 기원의 의미로 술을 마실 때 - 비격식적인 모임에서 건배사로 【 의미와 활용 】 ▪ 기본 의미: 누군가의 건강과 행운을 빌며 하는 건배사 ▪ 뉘앙스: 친근하고 캐주얼한 느낌의 건배 표현 ▪ 우리말로 하면: "건배" 하는 상황에서 사용 ▪ 반복 패턴: "Here's mud in your eye, mate!", "And mud in yours!" ▪ 관련 문법: here's + 명사구 【 쉬운 예문 】 "Well here's mud in your eye" (자, 건배!) "Cheers here's mud in your eye" (건배, 당신을 위하여!) "And here's mud in your eye friend" (자 친구여, 건배!) 【 일상 표현 】 "Here's mud in your eye everyone" (여러분, 건배합시다!) "To your success here's mud in your eye" (당신의 성공을 위해 건배!) "Mud in your eye mate" (친구야, 건배!) 【 유사 표현 】 "Cheers" (건배) "Bottoms up" (원샷) "Here's to you" (당신을 위하여) 【 반대 표현 】 "I'm not drinking" (전 안 마실게요) "I'll pass" (사양할게요) "Skip the toast" (건배는 건너뛰죠) 【 주의할 점 】 ▪ 발음 주의: here's의 s 발음 생략하지 않기 ▪ 상황별 주의: 격식있는 자리보다는 친근한 자리에서 사용 ▪ 실수 예방: your를 생략하지 않도록 주의 【 학습 팁 】 ▪ 연습 방법: 친구들과 건배할 때 연습해보기 ▪ 실전 활용: 캐주얼한 술자리에서 사용 ▪ 기억하기 - 한국어 연상: "건배사" - 이미지 연상: 잔을 들고 건배하는 모습 - 스토리텔링: "친구들과의 즐거운 술자리에서"
I have to get in shape again. ❤
정말 그렇군요. 이런 표현은 명확하게 뜻이 잡히지 않아서 당혹스러울 때가 많은데 정말 고맙습니다.
손에손잡고 벽을 넘어서~
▪ 영어 표현: "I'm not falling for that one." ▪ 의역: 그 말에 속지 않아 그런 속임수에 안 넘어가 그런 거짓말은 믿지 않아 ▪ 발음: [aɪm nɒt ˈfɔːlɪŋ fə ðæt wʌn] (아임 낫 폴링 퍼 댓 원) ▪ 발음 포인트: "falling for"는 자연스럽게 연음되며, "that one"은 빠르게 말하면 "댓원"처럼 들림. 【 의미와 활용 】 ▪ 기본 의미: 누군가 속이려 하거나 농담할 때 "나는 속지 않아"라는 의미로 사용됨. ▪ 뉘앙스: 상대방이 장난을 치거나 거짓말을 할 때, 가볍거나 단호한 태도로 반응하는 느낌. ▪ 문화적 비교: 한국어의 "그거 안 속아", "장난인 거 다 알아" 같은 표현과 유사함. --- 【 쉬운 예문 】 "You think I’d believe that? I’m not falling for that one!" (내가 그걸 믿을 것 같아? 난 안 속아!) "Nice try, but I’m not falling for that one." (좋은 시도지만, 난 안 속아.) "He tried to prank me, but I’m not falling for that one." (그가 나를 속이려 했지만, 난 안 넘어가.) 【 일상 표현 】 "I know you’re joking. I’m not falling for that one." (네가 장난치는 거 알아. 안 속아.) "You always say that! I’m not falling for that one again." (넌 항상 그렇게 말하지! 이번엔 안 넘어가.) "He told me a crazy story, but I’m not falling for that one." (그가 터무니없는 얘길 했지만, 난 안 믿어.) 【 유사 표현 】 - "I'm not buying it." (그 말을 믿지 않아.) "Nice try, but no." (좋은 시도지만, 안 속아.) "You're not fooling me." (너 나 속일 수 없어.) "I don't believe that for a second." (그걸 조금도 믿지 않아.) "No way I'm falling for that." (그런 거에 절대 안 넘어가.) "I wasn’t born yesterday." (난 그렇게 어리숙하지 않아.) 【 반대 표현 】 "I fell for it." ( 속았어. ) "You got me!" (아, 당했네! ) "That got me good!" (완전 속았어! ) 【 주의할 점 】 ▪ 발음 주의: "falling for"는 자연스럽게 연결 ▪ 상황별 주의: 가벼운 농담에 쓰일 수 있지만, 강한 어조로 말하면 무례하게 들릴 수도 있음. ▪ 실수 예방: "fall for"를 "fall of"처럼 잘못 쓰지 않도록 주의. 【 학습 팁 】 - 속임수나 장난에 넘어가지 않을 때 자주 쓰는 표현이므로 반어적으로 장난스럽게 말하는 연습이 중요함. - "I’m not buying it."처럼 비슷한 표현과 함께 익혀서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연습하면 유용함.
그럼발 바닥의짓?
이제 300번대하고있는데 언제 2000번대까지 할런지..;;; 하루에 몇개씩은 해야겠네용.. 암튼 잘보고있습니다 쌩유베리감사~~
Piggyback ride: 업어주기. 등에 태우기 He gave me a piggyback ride / The kids love piggyback rides . 샘 질문 있어요!! 왜 the kids live piggyback ride가 아니고 ride에 s가 붙나요 ? 여기 문장에서도 복수로 바꿔줘야하나요 ? Help me teacher !! 오늘 표현 정말 유익해요 .. teacher~~ give me a piggyback ride ! 😁😁😁
너의 미래가 참 밝구나
In the hole이라는 표현도 쓰더라구요ㅎㅎ
네.그래서 찾아봤습니다. In the hole(부정적인 상황을 나타내는 데 사용) - 직역: "구멍 안에 있다" - 관용적 의미: 재정적 어려움에 처하거나 빚을 지고 있는 상태 - 의역: 1. 빚을 지다 2. 적자 상태에 있다 3. 재정적 곤란에 처하다 【 유래/역사,어원,기원 】 이 표현은 1800년대 초반부터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도박장의 포커 테이블에 있는 좁은 구멍(슬롯)에서 유래했을 수 있습니다. 도박장 수수료를 이 구멍에 넣으면 잠긴 서랍으로 떨어졌고, 도박장에 돈을 빚진 사람들을 'in the hole'이라고 했습니다.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 재정적 부채가 있을 때 - 스포츠에서 불리한 상황에 처했을 때 - 카드 게임에서 마이너스 점수일 때 【 주의사항 】 - 주로 미국에서 사용되는 비격식 표현 - 주로 재정적 어려움을 나타내지만 다른 종류의 곤란한 상황에도 사용 가능 - 반대 표현으로 "out of the hole"이 있음 👉여기서 Ace가 붙으면 완전히 다른 의미를 가진 관용구가 됩니다. Ace in the hole(긍정적인 이점) 의미: 비장의 무기나 숨겨둔 결정적 이점을 뜻합니다 어원: 스터드 포커에서 유래했으며, 페이스다운으로 받은 에이스 카드처럼 숨겨둔 강력한 무기를 의미합니다 용법: 주로 긍정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결정적 순간을 위해 준비해둔 자원이나 계획을 가리킵니다
안녕하세요 same old same old랑 바꿔쓸수 있나요?
"Run of the mill"과 "same old same old"은 서로 다른 의미와 용법을 가진 표현입니다: Run of the mill - 형용사구로 사용되어 '평범한', '특별할 것 없는', '흔한'의 의미 - 주로 사물이나 상황의 품질이나 특성을 설명할 때 사용 예: "a run-of-the-mill performance" (평범한 공연) Same old same old - 주로 변화 없이 지루하게 반복되는 상황을 설명할 때 사용 - 특히 "How are you?"와 같은 질문에 대한 응답으로 자주 사용 예: "How's work?" "Same old same old" (변한 게 없어) 차이점 1. 문법적 기능이 다름: - Run of the mill: 형용사구로 명사를 수식 - Same old same old: 독립된 응답 표현으로 사용 2. 의미의 차이: - Run of the mill: 품질이나 특성의 평범함을 강조 - Same old same old: 상황의 반복성과 지루함을 강조 지루함을 강조하고 싶다면 "same old same old"가 더 적합합니다. 따라서 이 두 표현은 서로 바꿔 사용하기 어렵습니다.
@ankikorea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 영어 표현: In your face ▪ 직역: (문자적 의미): "당신의 얼굴 앞에" in(~앞에), your(당신의), face(얼굴) (관용적 의미): 상대방의 바로 앞에서 노골적이고 직접적으로 승리나 성공을 드러내는 것 ▪ 의역: 보란듯이 적나라하게 공공연하게 네 얼굴에 얼굴에 대고 ▪ 발음: [ɪn jʊr feɪs] (인 유어 페이스) ▪ 발음 포인트: face에 강세, in your는 약하게 발음 ▪ 빠른발음: 인유어페이스 이뉴어페이스 [보너스]▪ 알쓸영잡: 이 표현의 정확한 기원은 불분명하지만, 1980년대 후반부터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누군가의 얼굴 바로 앞에서 무언가를 하는 것처럼 직접적이고 피할 수 없는 상황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에서 유래했습니다.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 매우 직접적이고 공격적인 광고나 마케팅 전략을 설명할 때 - 도발적이거나 논란의 여지가 있는 행동을 묘사할 때 - 승리나 성공을 과시할 때 (특히 "In your face!"라는 감탄문으로) - 무시하거나 피하기 어려운 상황을 설명할 때 【 의미와 활용 】 ▪ 기본 의미: 매우 직접적이고 노골적인 방식으로 드러내는 것 ▪ 뉘앙스: 도발적이고 공격적인 어조를 내포 ▪ 문화적 설명: 스포츠의 직접적인 도전 정신이 일상 표현으로 확장됨 ▪ 반복 패턴: "Right in your face", "Straight in your face" ▪ 관용적 활용: 주로 승리나 성공을 과시하거나, 상대방에게 도전적인 메시지를 전달할 때 사용 (감탄문 "In your face!"로 자주 사용됨) 【 쉬운 예문 】 "The evidence was right in your face" (증거가 바로 눈앞에 있었다) "The truth was in your face all along" (진실이 계속 면전에 있었다) "His success was in your face" (그의 성공이 보란듯이 드러났다) 【 일상 표현 】 "The answer was in your face" (답이 눈앞에 있었어) "The problem is right in your face" (문제가 바로 눈앞에 있어) "Everything was in your face" (모든 것이 적나라하게 드러났어) 【 유사 표현 】 ▪ 가장 일반적인 표현 "Right there" (바로 거기에) ▪ 격식있는 상황에서 사용 "Plainly visible" (명백하게 보이는) ▪ 비격식 표현 "Under your nose" (코앞에) 【 반대 표현 】 "Hidden" (숨겨진) "Subtle" (미묘한) "Behind the scenes" (보이지 않는 곳에서) 【 주의할 점 】 ▪ 발음 주의: your를 너무 강조하지 않기 ▪ 상황별 주의: 공식적인 상황에서는 부적절 ▪ 실수 예방: "to your face"와 혼동하지 않기 【 학습 팁 】 ▪ 연습 방법: 직접적인 상황을 설명할 때 사용 ▪ 실전 활용: 노골적인 상황을 표현할 때 ▪ 기억하기 - 한국어 연상: "코앞에 놓인 것" - 이미지 연상: 얼굴 바로 앞의 상황 - 스토리텔링: "진실이 눈앞에 있었는데..."
▪ 영어 표현: Quick as a flash ▪ 직역: (문자적 의미) "번개처럼 빠른" - quick(빠른)과 flash(섬광, 번개)라는 단어의 기본적 의미를 결합한 것입니다. (관용적 의미) "매우 빠르고 즉각적인" - 영어권에서 어떤 행동이나 반응이 번개처럼 순식간에 일어나는 것을 의미하는 관용구입니다. ▪ 의역: 1. 번개같이 빠른 2. 순식간에 일어나는 3. 즉각적으로 하는 4. 눈 깜짝할 사이의 5. 전광석화같은 ▪ 발음: [kwɪk æz ə flæʃ] / 퀵 애즈 어 플래시 ▪ 발음 포인트: quick과 flash에 강세, as a는 약하게, 연음으로 퀴커저플래시 ▪ 빠른발음: 1. 퀴커저플래시 2. 퀴커플래시 3. 퀴거플래시 [보너스]▪ 알쓸영잡: 이 표현은 번개가 번쩍이는 속도에서 유래했습니다. 번개의 빛이 순간적으로 나타났다 사라지는 것처럼 매우 빠른 행동이나 반응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정확한 기원 시기는 불분명하지만, 오랫동안 영어에서 사용되어 온 관용구입니다.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 매우 빠른 반응이나 행동을 설명할 때 - 갑작스럽게 일어나는 상황을 묘사할 때 - 누군가의 빠른 대답이나 결정을 표현할 때 - 순간적으로 일어나는 변화를 설명할 때 【 의미와 활용 】 ▪ 기본 의미: 매우 빠르고 즉각적인 행동이나 반응 ▪ 뉘앙스: 긍정적이며 효율적인 속도감을 강조하는 표현 ▪ 문화적 설명: 서양에서는 빠른 반응과 즉각적인 행동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있음 ▪ 반복 패턴: "was", "moved", "happened"와 자주 결합 ▪ 관용적 활용: 주로 과거 시제와 함께 사용되어 이미 일어난 빠른 행동을 설명 【 쉬운 예문 】 "He was quick as a flash to respond" (그는 번개처럼 빠르게 대답했어요) "She moved quick as a flash" (그녀는 순식간에 움직였어요) "It happened quick as a flash" (그것은 눈 깜짝할 사이에 일어났어요) 【 일상 표현 】 "The answer came quick as a flash" (답이 번개처럼 빨리 나왔어요) "He ran past quick as a flash" (그가 번개같이 지나갔어요) "The smile disappeared quick as a flash" (미소가 순식간에 사라졌어요) 【 유사 표현 】 "In the blink of an eye" (눈 깜빡할 사이에) "Quick as lightning" (번개처럼 빠르게) "In a flash" (순식간에) 【 반대 표현 】 "Slow as molasses" (매우 느린) "Take forever" (영원히 걸리는) "Drag on" (질질 끌리는) 【 주의할 점 】 ▪ 발음 주의: flash의 sh 발음 ▪ 상황별 주의: 공식 문서에서는 더 격식있는 표현 사용 ▪ 실수 예방: as a를 빼먹지 않도록 주의 【 학습 팁 】 ▪ 연습 방법: 빠른 행동이나 반응 설명할 때 활용 ▪ 실전 활용: 스포츠나 긴급 상황 묘사할 때 사용 ▪ 기억하기 - 한국어 연상: "번개처럼 빠른" 떠올리기 - 이미지 연상: 번쩍이는 번개 - 스토리텔링: "육상 선수의 순간 스타트"
▪ 영어 표현: Lost my marbles ▪ 직역: (문자적 의미) "구슬을 잃다" - lost(잃은), marbles(구슬들)의 기본적 단어 의미 조합입니다. (관용적 의미) "정신이 나가거나 제정신이 아닌 상태가 되다" - 어린이들의 소중한 장난감인 구슬을 잃어버린 것처럼, 정신적 균형이나 이성을 잃은 상태를 의미하는 관용구입니다. ▪ 의역: 1. 정신이 나가다 2. 제정신이 아니다 3. 이성을 잃다 4. 미쳐가다 5. 정신줄을 놓다 ▪ 발음: [lɔst maɪ ˈmɑːrblz] / 로스트 마이 마블즈 ▪ 발음 포인트: marbles에 강세 ▪ 빠른발음: 1. 로스마이마블즈 2. 로마이마블즈 3. 로스마블즈 【 유래/역사,어원,기원 】 이 표현은 1800년대 후반 미국에서 시작되었습니다. 당시 아이들의 소중한 장난감이었던 구슬 게임에서 유래했습니다. 【 의미의 발전 】 - 1800년대 후반: 실제로 구슬을 잃어버린 아이들의 상실감과 좌절감을 설명하는데 사용됨. 특히 소중한 구슬을 잃어버린 아이들의 혼란스러운 모습을 설명할 때 사용됨 - 1889년: 분노나 좌절감을 표현하는 의미로 확장되어 사용되기 시작함. 특히 자제력을 잃은 상태를 설명하는데 사용됨 - 현재: 정신적 혼란이나 비이성적인 행동을 설명하는 일반적 표현이 됨. 특히 일시적인 정신적 혼란이나 비정상적인 행동을 설명할 때 자주 사용됨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 일시적으로 판단력을 잃었을 때 - 스트레스로 인해 혼란스러울 때 - 비이성적인 행동을 할 때 【 의미와 활용 】 ▪ 기본 의미: 정신적 균형이나 이성을 잃은 상태 ▪ 뉘앙스: 가볍고 유머러스한 어조로 사용됨 ▪ 우리말로 하면: "정신이 나가다", "이성을 잃다"와 같은 표현과 유사 ▪ 반복 패턴: "losing my marbles","has lost his/her marbles" ▪ 관용구 문법: lose + possessive + noun ("lose my marbles", "losing his/her marbles") 【 쉬운 예문 】 "I think I've lost my marbles" (난 정신이 나간 것 같아) "Have you lost your marbles" (너 제정신이니?) "She must have lost her marbles" (그녀는 정신이 나간 것 같아) 【 일상 표현 】 "I'm losing my marbles here" (난 여기서 미쳐가고 있어) "Everyone thinks I've lost my marbles" (모두가 내가 미쳤다고 생각해) "This job is making me lose my marbles" (이 일 때문에 정신이 나가겠어) 【 유사 표현 】 "Gone crazy" (미치다) "Lost one's mind" (정신을 잃다) "Gone nuts" (돌아가다) 【 반대 표현 】 "Come to one's senses" (정신을 차리다) "Think straight" (이성적으로 생각하다) "Keep it together" (정신을 바로잡다) 【 주의할 점 】 ▪ 발음 주의: marbles의 s 발음 명확히 ▪ 상황별 주의: 비격식적 표현이므로 공식적인 상황에서는 부적절 ▪ 실수 예방: "lose the marbles"처럼 관사 사용하지 않기 【 학습 팁 】 ▪ 연습 방법: 혼란스러운 상황 설명할 때 활용 ▪ 실전 활용: 자신의 실수나 혼란을 유머러스하게 표현할 때 ▪ 기억하기 - 한국어 연상: "구슬이 빠진 것처럼 정신이 나가다" - 이미지 연상: 흩어진 구슬들 - 스토리텔링: "시험 기간에 머리가 복잡해진 학생"
▪ 영어 표현: Open the floodgates ▪ 직역: (문자적 의미) "홍수 방지용 수문을 열다" - open(열다), floodgates(홍수 방지용 수문)이라는 단어의 기본적 의미를 결합한 것입니다. (관용적 의미) "억제되었던 것이 한꺼번에 쏟아져 나오다" - 영어권에서 통제되거나 억제되었던 무언가(감정, 의견, 사람들 등)가 갑자기 거세게 분출되는 현상을 의미하는 관용구입니다. ▪ 의역: 1. 물밀듯이 쏟아지다 2. 걷잡을 수 없이 터져 나오다 3. 한꺼번에 폭발하다 4. 통제를 벗어나 분출되다 5. 급격히 증가하다 ▪ 발음: [ˈoʊpən ðə ˈflʌdɡeɪts]/ 오우펀 더 플러드게이츠 ▪ 발음 포인트: flood와 gates에 강세, the는 약하게, 연음으로 오픈더플러드게이츠 ▪ 빠른발음: 1. 오픈더플러드게이츠 2. 오픈플러드게이츠 3. 오픈더플러게이츠 [보너스]▪ 알쓸영잡: 이 표현은 댐이나 수로에서 수문을 열면 물이 한꺼번에 쏟아져 나오는 것에서 유래했습니다. 실제 홍수문의 작동 방식에서 비롯된 이 표현은, 시간이 지나면서 '갑작스럽게 많은 양이 쏟아지는 모든 상황'을 비유적으로 표현하는데 사용되게 되었습니다. 현대에는 특히 감정이나 사회적 현상의 급격한 분출을 설명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 감정이 한꺼번에 폭발할 때 - 많은 요청이나 문의가 갑자기 밀려올 때 - 정보나 뉴스가 급격히 증가할 때 - 기회나 가능성이 갑자기 많아질 때 【 의미와 활용 】 ▪ 기본 의미: 억제되었던 것이 갑자기 거세게 분출되거나 시작되는 현상 ▪ 뉘앙스: 통제하기 어려운 상황의 시작을 암시하며, 때로는 경고나 우려의 뉘앙스를 포함 ▪ 문화적 설명: 서양에서는 사회적 변화나 감정의 분출을 물의 흐름에 비유하는 경향이 있음. 이는 자연의 힘과 인간의 통제력 사이의 관계를 반영하는 문화적 은유 ▪ 반복 패턴: "once", "when", "completely"와 자주 결합 ▪ 관용적 활용: 주로 부정적이거나 압도적인 상황을 설명할 때 사용됨 【 쉬운 예문 】 "Her tears opened the floodgates" (그녀의 눈물이 멈추지 않고 쏟아졌어요) "That comment opened the floodgates" (그 댓글이 폭발적인 반응을 불러왔어요) "The scandal opened the floodgates" (그 스캔들로 모든 것이 터져 나왔어요) 【 일상 표현 】 "Once you open the floodgates" (일단 터지기 시작하면) "It really opened the floodgates" (정말 걷잡을 수 없이 터져 나왔어요) "Be careful not to open the floodgates" (상황이 걷잡을 수 없이 커지지 않도록 조심하세요) 【 유사 표현 】 "Start a chain reaction" (연쇄 반응을 시작하다) "Let loose" (통제를 잃다) "Break the dam" (제방이 무너지다) 【 반대 표현 】 "Keep in check" (통제하에 두다) "Hold back" (억제하다) "Maintain control" (통제를 유지하다) 【 주의할 점 】 ▪ 발음 주의: gates의 s 발음 ▪ 상황별 주의: 공식적인 상황에서는 더 중립적인 표현 사용 ▪ 실수 예방: 항상 부정적인 의미는 아님을 기억하기 【 학습 팁 】 ▪ 연습 방법: 사회적 현상이나 감정 변화 설명할 때 활용 ▪ 실전 활용: 큰 변화나 반응을 설명할 때 사용 ▪ 기억하기 - 한국어 연상: "물꼬가 트이다" 떠올리기 - 이미지 연상: 댐이 무너지는 모습 - 스토리텔링: "SNS에서의 바이럴 현상"
▪ 영어 표현: "No holds barred" (기본 형태) "No-holds-barred" (형용사로 사용할 때, 하이픈 필수) ▪ 직역: (문자적 의미): "어떤 잡기도 금지되지 않음" no(없는), holds(붙잡기, 제압 기술 (레슬링 용어)), barred(금지된) (관용적 의미): 어떤 제한이나 규칙도 없이 모든 것이 허용되는 상태 ▪ 의역: 제한이 없는 규칙 없는 모든 게 가능한 아무런 규제가 없는 자유롭게 허용된 ▪ 발음: [noʊ hoʊldz bɑːrd] (노우 홀즈 바드) ▪ 발음 포인트: holds와 barred에 강세, no는 약하게 발음 ▪ 빠른발음: 노홀즈바드 노울즈바드 노울바드 【 유래/역사,어원,기원 】 이 표현은 레슬링이나 격투기 경기에서 유래했습니다. 원래는 모든 종류의 잡기나 기술이 허용되는 경기 규칙을 의미했습니다. 【 의미의 발전 】 - 초기: 격투기 경기에서 모든 기술이 허용되는 상태를 의미했음. 특히 레슬링에서 제한 없는 경기 규칙을 설명할 때 사용됨 - 중기: 스포츠를 넘어 다른 분야로 확장되어 제한 없는 경쟁이나 상황을 설명하는데 사용되기 시작함 - 현재: 모든 종류의 제한 없는 상황이나 행동을 설명하는 일반적 표현이 됨. 특히 경쟁이나 논쟁에서 모든 수단과 방법이 허용되는 상황을 설명할 때 자주 사용됨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 제한 없는 경쟁 상황 - 규칙이 없는 상태 - 모든 것이 허용된 상황 【 의미와 활용 】 ▪ 기본 의미: 제한이나 규칙 없이 모든 것이 허용되는 상태 ▪ 뉘앙스: 자유롭지만 때로는 통제되지 않은 상황을 암시 ▪ 문화적 설명: 레슬링의 규칙 없는 경기에서 일반적인 상황으로 의미가 확장 ▪ 반복 패턴: "In a no-holds-barred competition/fight/debate" (형용사로 명사 수식) "It was no-holds-barred" (보어로 사용) ▪ 관용적 활용: 주로 경쟁이나 논쟁 상황을 설명할 때 사용 【 쉬운 예문 】 "It was a no-holds-barred debate" (그것은 제한 없는 토론이었다) "They had a no-holds-barred fight" (그들은 규칙 없는 싸움을 했다) "This is a no-holds-barred competition" (이것은 제한 없는 경쟁이다) 【 일상 표현 】 "The boss wants a no-holds-barred discussion" (상사는 제한 없는 토론을 원한다) "It's become a no-holds-barred situation" (상황이 통제 불능이 되었다) "We need a no-holds-barred approach" (우리는 제한 없는 접근방식이 필요해) 【 유사 표현 】 ▪ 가장 일반적인 표현 "Anything goes" (무엇이든 허용되는) ▪ 격식있는 상황에서 사용 "Unrestricted" (제한 없는) ▪ 비격식 표현 "Free-for-all" (아무런 제한이 없는) 【 반대 표현 】 "Restricted" (제한된) "Regulated" (규제된) "Controlled" (통제된) 【 주의할 점 】 ▪ 발음 주의: barred의 ed 발음 명확히 ▪ 상황별 주의: 형용사로 쓸 때는 반드시 하이픈 사용 ▪ 실수 예방: "no holds are barred"로 확장하지 않기 【 학습 팁 】 ▪ 연습 방법: 제한 없는 상황을 설명할 때 사용 ▪ 실전 활용: 형용사 용법과 기본 형태 구분해서 사용 ▪ 기억하기 - 한국어 연상: "제한 없는 레슬링" - 이미지 연상: 규칙 없는 경기 - 스토리텔링: "규칙 없는 토론에서..."
▪ 영어 표현: Let off steam ▪ 직역: (문자적 의미) "증기를 배출하다" - let(놓아주다), off(끄다, 배출하다), steam(증기)이라는 단어의 기본적 의미를 결합한 것입니다. 이는 증기기관에서 과도한 압력을 해소하기 위해 증기를 배출하는 것에서 유래했습니다. (관용적 의미) "스트레스나 감정을 해소하다" - 영어권에서 쌓인 분노, 좌절감, 스트레스 등의 부정적 감정을 발산하여 해소하는 것을 의미하는 관용구입니다. ▪ 의역: 1. 스트레스를 해소하다 2. 울분을 터뜨리다 3. 감정을 발산하다 4. 답답한 마음을 풀다 ▪ 발음: [lɛt ɔf stiːm] / 렛 오프 스팀 ▪ 발음 포인트: steam에 강세, let off는 연음으로, 레돕스팀처럼 발음 ▪ 빠른발음: 1. 레돕스팀 2. 레러스팀 3. 레오스팀 [보너스]▪ 알쓸영잡: 이 표현은 산업혁명 시대의 증기 기관 시대에서 유래했습니다. 증기기관에서는 내부 압력이 너무 높아지면 폭발의 위험이 있어, 안전 밸브를 통해 과도한 증기를 빼는 것처럼, 사람들의 감정이나 정신적 압박감을 해소하는 것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1800년대 후반부터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감정 표출의 의미로 확장되어 사용되게 되었습니다. 마치 증기기관이 압력을 해소하듯이, 사람도 쌓인 스트레스나 감정을 해소할 필요가 있다는 개념을 반영합니다.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운동이나 활동을 할 때 - 화나거나 좌절된 감정을 표출할 때 - 긴장을 풀기 위해 무언가를 할 때 - 억눌린 감정을 건전한 방법으로 해소할 때 【 의미와 활용 】 ▪ 기본 의미: 쌓인 스트레스나 부정적 감정을 건전한 방법으로 해소하는 것 ▪ 뉘앙스: 대체로 긍정적이며, 감정의 건강한 해소를 의미함. 때로는 일시적인 분노 표출을 의미할 수도 있음 ▪ 문화적 설명: 서양에서는 감정의 건강한 표출을 중요시하며, 이를 정신건강의 중요한 부분으로 여김. ▪ 반복 패턴: "need to let off steam", "have to let off steam", "good way to let off steam" ▪ 관련 문법: let 동사와 함께 사용되는 구동사 형태 【 쉬운 예문 】 "I need to let off some steam" (스트레스를 좀 풀어야 해요) "Exercise is a good way to let off steam" (운동은 스트레스를 푸는 좋은 방법이에요) "He went running to let off steam" (그는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달리기를 갔어요) 【 일상 표현 】 "Just let off steam in a healthy way" (건강한 방법으로 스트레스를 푸세요) "We all need to let off steam sometimes" (우리 모두 가끔은 스트레스를 풀 필요가 있어요) "The gym helps me let off steam" (체육관에서 운동하면 스트레스가 풀려요) 【 유사 표현 】 "Blow off steam" (스트레스를 날려버리다) "Get it out of your system" (속에 있는 것을 털어내다) "Vent frustration" (좌절감을 털어놓다) 【 반대 표현 】 "Bottle up feelings" (감정을 억누르다) "Keep it in" (참고 있다) "Suppress emotions" (감정을 억제하다) 【 주의할 점 】 ▪ 발음 주의: off의 f 발음 ▪ 상황별 주의: 공격적인 방법은 부적절 ▪ 실수 예방: blow off steam과 혼동하지 않기 【 학습 팁 】 ▪ 연습 방법: 스트레스 해소 방법 설명할 때 활용 ▪ 실전 활용: 감정 조절이 필요한 상황에서 사용 ▪ 기억하기 - 한국어 연상: "속이 시원해지다" 떠올리기 - 이미지 연상: 증기기관의 증기 배출 - 스토리텔링: "힘든 하루 후의 운동"
▪ 영어 표현: My hands are tied ▪ 직역: (문자적 의미) "내 손이 묶여있다" - my(나의), hands(손), tied(묶인)의 기본적 단어 의미 조합입니다. (관용적 의미) : 어떤 상황에서 행동할 수 있는 선택권이나 자유가 없는 것. ▪ 의역: 1. 어쩔 수 없는 상황 2. 속수무책 3. 행동의 자유가 없음 4. 무력한 상태 ▪ 발음: [maɪ hændz ɑːr taɪd] / 마이 핸즈 아 타이드 ▪ 발음 포인트: hands와 tied에 강세 ▪ 빠른발음: 1. 마이핸저타이드 2. 마핸저타이드 3. 마핸즈타이드 【 유래/역사,어원,기원 】 이 표현은 실제로 손이 묶인 사람이 아무것도 할 수 없는 물리적 상태에서 유래했습니다. 【 의미의 발전 】 - 초기: 실제로 신체적으로 구속된 상태를 의미했음. 특히 범죄자나 포로의 상태를 설명할 때 사용됨 - 중기: 비유적 의미로 발전하여 규칙이나 규정에 의해 행동이 제한된 상황을 설명하는데 사용되기 시작함 - 현재: 모든 종류의 제약이나 한계 상황을 설명하는 일반적 표현이 됨. 특히 규칙, 법률, 의무 등으로 인해 원하는 행동을 할 수 없는 상황을 설명할 때 자주 사용됨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 규정이나 정책으로 인해 행동할 수 없을 때 - 상황이나 환경 때문에 선택의 여지가 없을 때 - 어쩔 수 없는 상황을 설명할 때 【 의미와 활용 】 ▪ 기본 의미: 도움을 주고 싶어도 상황이나 규칙 때문에 할 수 없는 상태 ▪ 뉘앙스: 안타까움과 무력감을 표현 ▪ 우리말로 하면: "속수무책이다", "어쩔 수 없다"와 같은 표현과 유사 ▪ 반복 패턴: "hands are tied", "have one's hands tied" 【 쉬운 예문 】 "Sorry my hands are tied" (미안하지만 내가 어쩔 수 없어) "His hands are tied by rules" (그는 규칙 때문에 어쩔 수 없어) "I wish I could help but my hands are tied" (돕고 싶지만 나도 어쩔 수 없어) 【 일상 표현 】 "The boss has his hands tied" (상사도 어쩔 수 없는 상황이야) "Our hands are tied in this matter" (이 문제에서 우리는 속수무책이야) "The law has my hands tied" (법적으로 내가 할 수 있는 게 없어) 【 유사 표현 】 "Have no choice" (선택의 여지가 없다) "Be powerless" (무력하다) "Be helpless" (속수무책이다) 【 반대 표현 】 "Have free rein" (자유롭게 행동할 수 있다) "Have options" (선택권이 있다) "Be in control" (통제력이 있다) 【 주의할 점 】 ▪ 발음 주의: tied의 d 발음 명확히 ▪ 상황별 주의: 공식적인 상황에서도 사용 가능 ▪ 실수 예방: "hands are bind"와 혼동하지 않기 【 학습 팁 】 ▪ 연습 방법: 한계 상황 설명할 때 활용 ▪ 실전 활용: 도움을 거절할 때 정중하게 사용 ▪ 기억하기 - 한국어 연상: "손발이 묶인 상태" - 이미지 연상: 묶인 손으로 도움을 주지 못하는 모습 - 스토리텔링: "규정 때문에 친구를 도와줄 수 없는 공무원"
▪ 영어 표현: Go off the deep end ▪ 직역: (문자적 의미) "깊은 끝으로 가다" - go(가다), deep end(깊은 끝)의 기본적 단어 의미 조합입니다. (관용적 의미) : 갑자기 통제력을 잃거나 극단적인 행동을 하는 것 ▪ 의역: 1. 감정 조절을 잃다 2. 자제력을 잃다 3. 이성을 잃다 4. 극단적으로 행동하다 5. 제어를 잃다 ▪ 발음: [ɡoʊ ɔːf ðə diːp end] / 고우 오프 더 딥 엔드 ▪ 발음 포인트: deep에 강세, the는 약하게 ▪ 빠른발음: 1. 고오프더디펜드 2. 고프더디펜드 3. 고프디펜드 【 유래/역사,어원,기원 】 이 표현은 수영장의 깊은 물에 갑자기 뛰어드는 것에서 유래했습니다. 수영을 못하는 사람이 깊은 물에 뛰어드는 것처럼 위험하고 충동적인 행동을 의미합니다. 【 의미의 발전 】 - 초기: 수영장의 깊은 물에 뛰어드는 실제 행동을 의미했음. 특히 준비나 경험 없이 위험한 상황에 뛰어드는 것을 설명할 때 사용됨 - 중기: 비유적 의미로 발전하여 감정적으로 통제력을 잃는 상황을 설명하는데 사용되기 시작함 - 현재: 모든 종류의 극단적이거나 비이성적인 행동을 설명하는 일반적 표현이 됨. 특히 스트레스나 압박감으로 인한 극단적 반응을 설명할 때 자주 사용됨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 갑작스러운 감정 폭발 - 비이성적인 행동을 할 때 - 통제력을 잃은 상태 【 의미와 활용 】 ▪ 기본 의미: 감정적으로 통제력을 잃거나 극단적 행동을 하는 것 ▪ 뉘앙스: 부정적이며 위험한 상황을 암시 ▪ 우리말로 하면: "이성을 잃다"와 같은 표현과 유사 ▪ 반복 패턴: "went off the deep end", "going off the deep end" 【 쉬운 예문 】 "He went off the deep end" (그가 이성을 잃었어) "Don't go off the deep end" (감정 조절 잃지 마) "She might go off the deep end" (그녀가 폭발할 수 있어) 【 일상 표현 】 "You're going off the deep end" (넌 이성을 잃어가고 있어) "Try not to go off the deep end" (감정 조절을 잃지 않도록 해) "What made him go off the deep end" (뭐가 그를 그렇게 폭발하게 했지) 【 유사 표현 】 "Lose it" (통제력을 잃다) "Flip out" (폭발하다) "Go crazy" (미치다) 【 반대 표현 】 "Keep cool" (침착하다) "Stay rational" (이성적으로 있다) "Keep it together" (평정을 유지하다) 【 주의할 점 】 ▪ 발음 주의: deep end 연음 ▪ 상황별 주의: 비격식적 표현이므로 공식적인 상황에서는 부적절 ▪ 실수 예방: "go to the deep end"처럼 전치사 잘못 사용하지 않기 【 학습 팁 】 ▪ 연습 방법: 감정적 상황 설명할 때 활용 ▪ 실전 활용: 극단적 반응 묘사할 때 ▪ 기억하기 - 한국어 연상: "깊은 물에 뛰어들기" - 이미지 연상: 수영장 깊은 곳으로 뛰어드는 모습 - 스토리텔링: "사소한 일에 과잉 반응하는 동료"
Open the floodgates
It's jam packed in here 여기 사람 너~무 많네요 It's jam packed in here
비슷한 말 만원버스.
지금 내 상태임... ㅠ
시발 입에 진짜 안붙네
pick up the tap 계산을 하다!
감사합니다.
단게 땡긴다
▪ 영어 표현: In the red ▪ 직역: (문자적 의미) "빨간색 안에" - in(~안에), red(빨간색)이라는 단어의 기본적 의미를 결합한 것입니다. (관용적 의미) "적자 상태에 있는" - 영어권에서 회계장부에서 손실을 빨간색으로 표시하던 전통에서 유래한, 재정적 손실 상태를 의미하는 관용구입니다. ▪ 의역: 1. 적자 상태이다 2. 빚을 지고 있다 3. 재정적으로 어렵다 4. 손실을 보고 있다 5. 마이너스 상태이다 ▪ 발음: [ɪn ðə rɛd] / 인 더 레드 ▪ 발음 포인트: red에 강세, in the는 약하게, 연음으로 인더레드 ▪ 빠른발음: 1. 인더레드 2. 인더렏 3. 인나레드 [보너스]▪ 알쓸영잡: 이 표현은 회계 관행에서 유래했습니다. 1900년대 초반, 회계사들이 손실이나 부채를 기 록할 때 빨간 잉크로, 이익을 검은 잉크 를 사용했던 것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이러한 관행은 컴퓨터 시대에도 디지털 회계 프로그램에서 빨간색으로 마이너스 금액을 표시하는 전통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반대로 흑자를 의미하는 'in the black'이라는 표현도 여기서 나왔습니다. 1907년 Montgomery Rollins의 'Money and Investments'라는 책에서 처음으로 문서화되었습니다.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 개인이나 기업의 재정 상태가 좋지 않을 때 - 은행 계좌의 잔고가 마이너스일 때 - 사업이 손실을 보고 있을 때 - 주식 시장이 하락세일 때 【 의미와 활용 】 ▪ 기본 의미: 재정적 손실이나 부채가 있는 상태 ▪ 뉘앙스: 심각한 재정적 어려움을 암시하며, 때로는 걱정이나 우려의 뉘앙스를 포함 ▪ 문화적 설명: 서양의 비즈니스 문화에서는 매우 일반적인 표현으로, 한국의 "적자"보다 더 일상적으로 사용됨. 개인 재정에서부터 기업 회계까지 폭넓게 사용 ▪ 반복 패턴: "deeply in the red", "still in the red", "constantly in the red" ▪ 관련 문법: be + in + the + red (be 동사와 함께 사용되는 전치사구) 【 쉬운 예문 】 "The company is in the red" (회사가 적자 상태예요) "We're still in the red this month" (우리는 이번 달에도 여전히 적자예요) "My account is in the red" (내 계좌가 마이너스예요) 【 일상 표현 】 "I hate being in the red" (적자 상태인 게 정말 싫어요) "The business has been in the red all year" (사업이 올해 내내 적자였어요) "Try to avoid going in the red" (적자가 되지 않도록 노력하세요) 【 유사 표현 】 "Running a deficit" (적자를 기록하다) "Operating at a loss" (손실을 보며 운영하다) "Underwater" (재정적으로 어려운 상태) 【 반대 표현 】 "In the black" (흑자 상태) "Making a profit" (이익을 내다) "Breaking even" (수지가 맞다) 【 주의할 점 】 ▪ 발음 주의: the의 약한 발음 ▪ 상황별 주의: 너무 가볍게 사용하지 않기 ▪ 실수 예방: 관사 the 빼먹지 않기 【 학습 팁 】 ▪ 연습 방법: 재정 상태 설명할 때 활용 ▪ 실전 활용: 비즈니스 상황에서 손실 보고할 때 ▪ 기억하기 - 한국어 연상: "빨간 숫자" 떠올리기 - 이미지 연상: 빨간색 마이너스 숫자 - 스토리텔링: "힘든 시기를 겪는 스타트업"
▪ 영어 표현: Clam up ▪ 직역: (문자적 의미) "조개처럼 닫히다" - clam(조개), up(위로/닫히다)의 기본적 단어 의미 조합입니다. (관용적 의미) : 갑자기 말을 멈추거나 대화를 거부하는 것 ▪ 의역: 1. 입을 다물다 2. 침묵하다 3. 말문을 닫다 4. 함구하다 5. 말을 거부하다 ▪ 발음: [klæm ʌp] / 클램 업 ▪ 발음 포인트: clam에 강세 ▪ 빠른발음: 1. 클래멉 2. 클래뭅 3. 클램업 【 유래/역사,어원,기원 】 이 표현은 조개가 껍데기를 꽉 닫는 모습에서 유래했습니다. 조개가 위험을 감지했을 때 껍데기를 닫아버리는 것처럼, 사람이 갑자기 말을 멈추는 것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 의미의 발전 】 - 초기: 조개가 껍데기를 닫는 물리적 행동을 의미했음. 특히 위험을 감지했을 때 조개의 방어 메커니즘을 설명하는데 사용됨 - 중기: 비유적 의미로 발전하여 사람이 갑자기 말을 멈추는 행동을 설명하는데 사용되기 시작함 - 현재: 당혹스럽거나 불안할 때, 또는 특정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기를 거부할 때 사용되는 일상적 표현이 됨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 민감한 주제가 나왔을 때 - 당혹스럽거나 불안할 때 - 비밀을 지키고 싶을 때 【 의미와 활용 】 ▪ 기본 의미: 갑자기 말을 멈추고 침묵하는 것 ▪ 뉘앙스: 의도적이고 갑작스러운 침묵을 암시 ▪ 우리말로 하면: "입을 꾹 다물다", "묵비권을 행사하다"와 같은 표현과 유사 ▪ 반복 패턴: "clammed up", "clamming up" 【 쉬운 예문 】 "He suddenly clammed up" (그가 갑자기 입을 다물었어) "Why did you clam up" (왜 갑자기 말을 안 해?) "She clams up when nervous" (그녀는 긴장하면 말문이 막혀) 【 일상 표현 】 "Don't clam up now" (지금 입 다물지 마) "They all clammed up" (그들 모두 입을 다물었어) "I tend to clam up in interviews" (난 면접에서 말문이 막히는 경향이 있어) 【 유사 표현 】 "Shut up" (입을 다물다) "Keep quiet" (조용히 하다) "Button your lip" (입을 다물다) 【 반대 표현 】 "Open up" (마음을 열다) "Speak freely" (자유롭게 말하다) "Talk openly" (터놓고 말하다) 【 주의할 점 】 ▪ 발음 주의: clam과 up 연음 ▪ 상황별 주의: 비격식 표현이므로 공식적인 상황에서는 부적절 ▪ 실수 예방: "calm up"과 혼동하지 않기 【 학습 팁 】 ▪ 연습 방법: 침묵 상황 설명할 때 활용 ▪ 실전 활용: 갑작스러운 침묵 설명할 때 ▪ 기억하기 - 한국어 연상: "조개처럼 닫히다" - 이미지 연상: 껍데기 닫는 조개 - 스토리텔링: "비밀 들킬 뻔한 순간 입 다무는 친구"
농부가 농장 걸면 다 건거죠ㅎㅎㅎ 예전 투전판에 집문서 논문서 걸고 노름 하던 장면이 생각나네요
▪ 영어 표현: Have the last laugh ▪ 직역: (문자적 의미) "마지막 웃음을 가지다" - have(가지다), last(마지막), laugh(웃음)이라는 단어의 기본적 의미를 결합한 것입니다. (관용적 의미) "결국에는 승리하다" - 영어권에서 처음에는 불리해 보였지만 최종적으로 성공하거나 승리하는 상황을 의미하는 관용구입니다. ▪ 의역: 1. 결국에는 이기다 2. 마지막 승자가 되다 3. 종국에는 성공하다 4. 최후의 승리를 거두다 5. 결과적으로 웃게 되다 ▪ 발음: [hæv ðə læst læf] / 해브 더 라스트 래프 ▪ 발음 포인트: last와 laugh에 강세, have the는 약하게, 연음으로 해브더래스래프 ▪ 빠른발음: 1. 해브더래스래프 2. 해더래스래프 3. 해브래스래프 [보너스]▪ 알쓸영잡: 이 표현의 정확한 기원은 불분명하지만, 16세기 이전부터 사용되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거북이와 토끼' 이야기처럼 초반에 불리해 보이던 캐릭터가 결국 승리 한다는 주제와 의미하는 바가 유사합니다 누군가가 조롱당하거나 실패할 것이라고 예상됐지만, 결국 성공하여 마지막에 웃을 수 있게 된다는 의미에서 시간이 지나면서 '부당한 대우나 무시를 받았던 사람이 결국 성공하는 것' 이라는 현대적 용법으로 발전했습니다.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 초기의 실패나 어려움을 극복하고 성공했을 때 - 다른 사람의 조롱이나 비웃음을 이겨내고 성공했을 때 - 예상 밖의 역전승을 거둔 경우 - 장기적인 관점에서 승리했을 때 【 의미와 활용 】 ▪ 기본 의미: 초기의 불리한 상황이나 어려움을 극복하고 최종적으로 승리하는 것 ▪ 뉘앙스: 약간의 통쾌함이나 복수의 의미를 내포할 수 있으나, 주로 정당한 승리를 강조 ▪ 문화적 설명: 서양의 'underdog success story'(약자의 성공 이야기) 문화와 연관되며, 끈기와 인내의 가치를 반영함 ▪ 반복 패턴: "will", "might", "could"와 같은 미래 가능성 표현과 자주 결합 ▪ 관련 문법: have 동사와 함께 사용되며, 미래시제로도 자주 쓰임 【 영어 맥락 】 ◆ 사용 상황 ▪ 예상 밖의 성공 ▪ 역전승 상황 ▪ 장기적 성취 ◆ 대화 순서 ▪ 초기 어려움 언급 ▪ 상황 변화 설명 ▪ 최종 승리 확인 ◆ 활용 범위 ▪ 경쟁 상황 ▪ 사업/경력 ▪ 개인적 성취 【 쉬운 예문 】 "She might have the last laugh after all" (결국 그녀가 승리하게 될지도 몰라요) "Let's see who has the last laugh" (누가 최후의 승자가 될지 보자고요) "I think you'll have the last laugh" (당신이 결국 승리하실 거예요) 【 일상 표현 】 "The underdog had the last laugh" (약자가 결국 승리했어요) "Time will tell who has the last laugh" (시간이 지나면 누가 이길지 알게 될 거예요) "Sometimes patience brings the last laugh" (때로는 인내심이 최후의 승리를 가져와요) 【 유사 표현 】 "Come out on top" (결국 이기다) "Get the upper hand" (우위를 점하다) "Win in the end" (결국 승리하다) 【 반대 표현 】 "Lose out" (지다) "Come up short" (실패하다) "Fall behind" (뒤처지다) 【 주의할 점 】 ▪ 발음 주의: last의 t 발음 ▪ 상황별 주의: 지나치게 의기양양한 태도는 피하기 ▪ 실수 예방: 과거형이 아닌 현재형 have 사용 【 학습 팁 】 ▪ 연습 방법: 성공 스토리 이야기할 때 활용 ▪ 실전 활용: 장기적 성공을 예측할 때 사용 ▪ 기억하기 - 한국어 연상: "끝까지 살아남는 자가 승자다" 떠올리기 - 이미지 연상: 역전승 장면 - 스토리텔링: "무시당하다가 성공한 스타트업"
▪ 영어 표현: Foot in the door ▪ 직역: (문자적 의미): "문에 발을 넣다" - foot(발), in(~안에), the door(그 문)의 기본적 단어 의미 조합입니다. (관용적 의미): 어떤 분야나 조직에 작은 시작으로 진입하여 더 큰 기회를 얻는 것 ▪ 의역: 1. 발판을 마련하다 2. 첫 기회를 잡다 3. 첫 발을 내딛다 4. 시작점을 확보하다 ▪ 발음: [fʊt ɪn ðə dɔː] (풋 인 더 도어) ▪ 발음 포인트: foot과 door에 강세, in the는 약하게 ▪ 빠른발음: 1. 풋인더도 2. 푸틴더도 3. 풋인도 【 유래/역사,어원,기원 】 이 표현은 방문 판매원들이 문을 닫지 못하게 발을 문틈에 두는 행위에서 유래했습니다. 1966년 스탠포드 대학의 Jonathan Freedman과 Scott Fraser가 이를 심리학적 용어로 처음 연구했습니다. 【 의미의 발전 】 - 초기(1900년대 초): 실제 방문 판매원들이 사용하던 물리적 전략 문을 닫지 못하게 하여 대화를 지속하려는 판매 기술 - 중기(1960년대): Freedman과 Fraser의 연구로 심리학적 용어가 됨 작은 요청을 수락하면 더 큰 요청도 수락하게 된다는 설득 이론으로 발전 "foot-in-the-door technique"이라는 심리학 용어로 정립 - 현재: 비즈니스와 경력 개발 분야에서 널리 사용 작은 기회로 시작해 더 큰 성공으로 이어지는 전략을 의미 특히 취업, 사업 진출, 네트워킹 상황에서 자주 사용되는 표현이 됨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 새로운 사업 분야에 진출할 때 - 경력을 시작할 때 - 조직이나 업계에 첫 발을 들일 때 【 의미와 활용 】 ▪ 기본 의미: 어떤 분야나 상황에서 첫 기회나 시작점을 얻는 것 ▪ 뉘앙스: 긍정적인 의미로 사용됨 ▪ 우리말로 하면: "발판을 마련하다"와 같이 시작을 위한 기회를 의미 ▪ 반복 패턴: "just need a foot in the door", "trying to get a foot in the door" ▪ 관련 문법: get/have + a + foot + in + the + door 【 쉬운 예문 】 "He got his foot in the door" (그가 첫 기회를 잡았어요) "This job is my foot in the door" (이 일이 내 발판이 될 거예요) "I need a foot in the door" (시작할 기회가 필요해요) 【 일상 표현 】 "The internship was my foot in the door" (그 인턴십이 내 첫 발판이었어요) "Just trying to get a foot in the door" (그저 첫 발을 내딛으려 노력 중이에요) "This could be your foot in the door" (이게 당신의 기회가 될 수 있어요) 【 유사 표현 】 "Break into" (진출하다) "Get started" (시작하다) "Make a start" (첫 발을 내딛다) 【 반대 표현 】 "Miss the boat" (기회를 놓치다) "Shut out" (배제되다) "Be left out" (제외되다) 【 주의할 점 】 ▪ 발음 주의: in the door 연음 주의 ▪ 상황별 주의: 대부분 긍정적인 맥락에서 사용 ▪ 실수 예방: foot 앞에 관사 a 빼먹지 않기 【 학습 팁 】 ▪ 연습 방법: 취업이나 새로운 시도 관련 대화에서 사용해보기 ▪ 실전 활용: 면접이나 경력 관련 대화에서 활용 ▪ 기억하기 - 한국어 연상: "발판을 마련하다" - 이미지 연상: 문틈에 발을 넣는 모습 - 스토리텔링: "첫 인턴십으로 회사에 들어가게 된 상황"
▪ 영어 표현: Piggyback ride ▪ 직역: (문자적 의미) "돼지 등에 타기" - piggy(돼지), back(등), ride(타기)라는 단어의 기본적 의미를 결합한 것입니다. (관용적 의미) "업어주기/등에 태워주기" - 영어권에서 누군가를 등이나 어깨에 태우고 이동하는 것을 의미하는 표현입니다. ▪ 의역: 1. 업어주기 2. 등에 태우기 3. 어깨타기 4. 업히기 ▪ 발음: [ˈpɪɡibæk raɪd] / 피기백 라이드 ▪ 발음 포인트: piggy에 강세, back은 약하게 ▪ 빠른발음: 1. 피기백라이드 2. 피기배라이 3. 피기벡라이드 【 유래/역사,어원,기원 】 이 표현은 이 표현의 'piggy'는 실제 돼지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16세기 "pick pack"이라는 표현에서 유래했습니다. "pick"은 짐을 들어 올린다는 의미였고, 이것이 점차 변형되어 "pig-a-back"이 되었다가 현대의 "piggyback"이 되었습니다.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 아이를 등에 태워줄 때 - 누군가를 등에 태우고 이동할 때 - 비즈니스에서 다른 것에 편승하는 것을 의미할 때 - 주로 "give someone a piggyback ride" 형태로 사용됨 【 의미와 활용 】 ▪ 기본 의미: 누군가를 등에 태워서 운반하는 행위 ▪ 뉘앙스: - 주로 아이들과 관련된 즐거운 활동 - 친근하고 재미있는 상황을 암시 - 보호자와 아이의 애정 표현 ▪ 우리말로 하면: - "업어주기" - "등에 태우기"와 비슷 ▪ 반복 패턴: - "give a piggyback ride" - "get a piggyback ride" - "want a piggyback ride" ▪ 관용적 변형: - "piggyback" - "piggybacking" - "piggyback style" 【 영어 맥락 】 ◆ 사용 상황 ▪ 아이들과 놀 때 ▪ 누군가를 업어줄 때 ▪ 체력이 없는 사람을 도울 때 ◆ 대화 순서 ▪ 요청/제안 ▪ 동의/거절 ▪ 실행/감사 ◆ 활용 범위 ▪ 가족 활동 ▪ 아이들 놀이 ▪ 도움이 필요한 상황 【 쉬운 예문 】 "Can I have a piggyback ride" (업어주실 수 있나요?) "She gave him a piggyback ride" (그녀가 그를 업어주었어요) "The kids love piggyback rides" (아이들은 업히는 것을 좋아해요) 【 일상 표현 】 "Want a piggyback ride" (업어줄까?) "Time for a piggyback ride" (업어줄 시간이야) "Getting a piggyback ride" (업히고 있어) 【 유사 표현 】 "Carry on back" (등에 태우다) "Give a shoulder ride" (어깨에 태우다) "Carry someone" (누군가를 나르다) 【 반대 표현 】 "Walk" (걷다) "Go on foot" (걸어가다) "Make one's own way" (스스로 가다) 【 주의할 점 】 ▪ 발음 주의: piggy의 y 발음 명확히 ▪ 상황별 주의: 공식적인 상황에서는 부적절 ▪ 실수 예방: back을 빼먹지 않기 【 학습 팁 】 ▪ 연습 방법: 아이들과 놀 때 연습 ▪ 실전 활용: 친근한 상황에서 사용 ▪ 기억하기 - 한국어 연상: "아이 업어주기" - 이미지 연상: 등에 업힌 아이 - 스토리텔링: "아빠 등에서 즐거운 시간"
▪ 영어 표현: Bet the farm ▪ 직역: (문자적 의미) "농장을 걸다" - bet(걸다), farm(농장)의 기본적 단어 의미 조합입니다. (관용적 의미) "모든 것을 걸고 위험을 감수하다" - 농장이라는 전 재산을 걸고 도박하는 것처럼, 성공을 위해 가진 모든 것을 위험에 처하게 하는 것을 의미하는 관용구입니다. ▪ 의역: 1. 올인하다 2. 모든 걸 걸다 3. 전부를 투자하다 4. 목숨 걸다 5. 전재산을 걸다 ▪ 발음: [bet ðə fɑːm] / 벳 더 팜 ▪ 발음 포인트: farm에 강세, the는 약하게 ▪ 빠른발음: 1. 베더팜 2. 벳더팜 【 유래/역사,어원,기원 】 이 표현은 농부들이 자신의 농장을 담보로 잡혀 도박이나 투자를 하던 것에서 유래했습니다. 특히 농부들이 작물 선택이나 가축 관리 등에서 날씨나 시장 상황 같은 외부 요인으로 인해 재정적 위험을 감수해야 했던 상황을 반영합니다. 【 의미의 발전 】 - 초기: 실제로 농장을 담보로 걸고 도박을 하는 것을 의미했음. 특히 농부들의 실제 위험 부담을 설명할 때 사용됨 - 1991년: 비즈니스 맥락으로 확장되어 루퍼트 머독이 Sky TV를 살리기 위해 프리미어리그 축구에 '모든 것을 걸었다'는 표현으로 사용됨 - 현재: 사업, 투자, 도박 등 모든 종류의 위험한 시도나 모험을 설명하는 일반적 표현이 됨. 특히 성공을 기대하며 모든 것을 걸고 위험을 감수하는 상황을 설명할 때 자주 사용됨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 위험한 사업이나 투자를 할 때 - 모든 것을 걸고 도전할 때 - 큰 위험을 감수할 때 【 의미와 활용 】 ▪ 기본 의미: 모든 것을 걸고 큰 위험을 감수하는 것 ▪ 뉘앙스: 매우 위험하고 극단적인 선택을 암시 ▪ 우리말로 하면: "올인하다"와 같은 표현과 유사 ▪ 반복 패턴: "betting the farm", "bet the farm on" ▪ 관련 문법: verb + article + noun 【 영어 맥락 】 ◆ 사용 상황 ▪ 위험한 결정할 때 ▪ 모험적 투자할 때 ▪ 중요한 도전할 때 ◆ 대화 순서 ▪ 상황 설명 ▪ 위험 인식 ▪ 결정 표현 ◆ 활용 범위 ▪ 사업 결정 ▪ 투자 상황 ▪ 인생 선택 【 쉬운 예문 】 "Don't bet the farm on this" (이것에 모든 걸 걸지 마) "He bet the farm and lost" (그는 올인했다가 실패했어) "We're not betting the farm" (우리는 모든 걸 걸진 않을 거야) 【 일상 표현 】 "Should we bet the farm on this" (이것에 올인할까요) "It's not worth betting the farm" (모든 걸 걸 만한 가치는 없어) "They bet the farm on new technology" (그들은 새 기술에 모든 것을 걸었어) 【 유사 표현 】 "Put all eggs in one basket" (모든 것을 한 곳에 걸다) "Go for broke" (올인하다) "Risk everything" (모든 것을 위험에 처하게 하다) 【 반대 표현 】 "Play it safe" (안전하게 가다) "Hedge your bets" (위험을 분산하다) "Take precautions" (예방책을 취하다) 【 주의할 점 】 ▪ 발음 주의: farm의 r 발음 명확히 ▪ 상황별 주의: 공식적인 상황에서는 다른 표현 선호 ▪ 실수 예방: "bet farm"처럼 관사 생략하지 않기 【 학습 팁 】 ▪ 연습 방법: 위험한 결정 상황 설명할 때 활용 ▪ 실전 활용: 큰 도전이나 투자 논할 때 ▪ 기억하기 - 한국어 연상: "농장을 저당 잡히다" - 이미지 연상: 도박장에서 농장 증서를 거는 모습 - 스토리텔링: "전 재산을 새로운 사업에 투자하는 사업가"
▪ 영어 표현: Have a sweet tooth ▪ 직역: (문자적 의미) "단 이빨을 가지고 있다" - have(가지다), sweet(단), tooth(이빨)라는 단어의 기본적 의미를 결합한 것입니다. (관용적 의미) "단 음식을 특별히 좋아하는 성향" - 영어권에서 단 음식에 대한 강한 선호도나 집착을 의미하는 관용구입니다. ▪ 의역: 1. 단것을 좋아하다 2. 단 것을 즐기는 습관이 있다 3. 디저트를 즐기다 4. 단것에 약하다 ▪ 발음: [hæv ə swiːt tuːθ] / 해브 어 스윗 투스 ▪ 발음 포인트: sweet와 tooth에 강세, have a는 약하게, 연음으로 해버스윗투스 ▪ 빠른발음: 1. 해버스윗투스 2. 해브스윗투스 3. 해버스윗투 [보너스]▪ 알쓸영잡: 이 표현은 14세기 후반부터 영어에서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toothsome'(맛있는, 즐거운)이라는 더 오래된 단어에서 유래했으며, 'tooth'가 '맛'을 의미하는 것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특별히 단 맛을 즐기는 것을 의미하는 관용구로 발전했습니다.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 누군가의 단 음식 선호도를 설명할 때 - 디저트나 과자를 좋아하는 성향을 표현할 때 - 식습관이나 음식 취향을 설명할 때 - 단 음식에 대한 유혹을 느끼는 상황을 묘사할 때 【 의미와 활용 】 ▪ 기본 의미: 단 음식에 대한 특별한 선호도나 갈망 ▪ 뉘앙스: 다소 귀여운 약점이나 특징으로 여겨지며, 대체로 긍정적인 뉘앙스 ▪ 문화적 설명: 서양에서는 개인의 취향을 나타내는 친근한 표현으로, 종종 자기 고백적인 맥락에서 사용됨. 한국의 "단것을 좋아하다"보다 더 성격적 특성을 강조함 ▪ 반복 패턴: "really", "such", "quite"와 자주 결합 ▪ 관련 문법: have로 시작하는 관용구, 현재형으로 주로 사용 【 영어 맥락 】 ◆ 사용 상황 ▪ 식사 후 디저트 주문할 때 ▪ 음식 취향 설명할 때 ▪ 단 음식 권유받을 때 ◆ 대화 순서 ▪ 디저트/단 음식 언급 ▪ 선호도 표현 ▪ 구체적 설명 ◆ 활용 범위 ▪ 친근한 대화 ▪ 음식 관련 상황 ▪ 자기소개 【 쉬운 예문 】 "I have such a sweet tooth" (난 단것을 정말 좋아해) "She has a terrible sweet tooth" (그녀는 단것에 완전 약해요) "Do you have a sweet tooth" (단것 좋아하세요?) 【 일상 표현 】 "My sweet tooth is acting up" (단것이 당기네요) "I can't help it I have a sweet tooth" (어쩔 수 없어요, 단것을 좋아하거든요) "My sweet tooth gets me in trouble" (단것 좋아하는 게 탈이에요) 【 유사 표현 】 "Sugar craving" (단것이 당기다) "Dessert person" (디저트를 좋아하는 사람) "Sugar addiction" (단것 중독) 【 반대 표현 】 "Savory tooth" (짭짤한 맛을 선호) "Dislike sweets" (단것을 싫어하다) "Sugar-free diet" (무설탕 식단) 【 주의할 점 】 ▪ 발음 주의: tooth의 th 발음 ▪ 상황별 주의: 공식적인 식사 자리에서는 자제 ▪ 실수 예방: teeth가 아닌 단수 tooth 사용 【 학습 팁 】 ▪ 연습 방법: 디저트 주문할 때 활용 ▪ 실전 활용: 음식 취향 설명할 때 사용 ▪ 기억하기 - 한국어 연상: "단것에 약하다" 떠올리기 - 이미지 연상: 달콤한 디저트들 - 스토리텔링: "디저트 카페에서의 유혹"
▪ 영어 표현: Fit the bill ▪ 직역: (문자적 의미) "청구서에 맞다" - fit(맞다), bill(청구서/계산서)의 기본적 단어 의미 조합입니다. (관용적 의미) "요구사항이나 기준에 적합하다" - 지불해야 할 금액에 정확히 맞는 것처럼, 필요한 조건이나 기준에 완벽하게 부합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관용구입니다. ▪ 의역: 1. 적합하다 2. 알맞다 3. 조건에 맞다 4. 딱 맞다 5. 제격이다 ▪ 발음: [fɪt ðə bɪl] / 핏 더 빌 ▪ 발음 포인트: fit에 강세, the는 약하게 ▪ 빠른발음: 1. 피더빌 2. 피르빌 3. 핏더빌 【 유래/역사,어원,기원 】 이 표현은 19세기 초 미국 공연계에서 시작되었습니다. 당시 공연장에서 사용하던 포스터나 광고지(bill)에서 유래했습니다. 【 의미의 발전 】 - 1800년대 초: 공연계에서 포스터나 광고지의 요구사항에 맞는 배우나 공연을 설명하는데 사용됨. 특히 공연 포스터의 크기나 시간대에 맞는 출연자를 찾을 때 사용됨 - 1900년대 중반: 제조업이나 해운업 등 다른 산업 분야로 확장되어 요구사항 목록이나 작업 지시서의 조건에 부합하는 것을 의미하게 됨 - 현재: 모든 종류의 상황이나 요구사항에 적합한 것을 설명하는 일반적 표현이 됨. 특히 직무, 자격, 조건 등이 정확히 부합할 때 자주 사용됨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 구인구직 상황에서 자격요건에 맞을 때 - 필요한 조건이나 요구사항에 부합할 때 - 특정 상황에 적합한 것을 찾았을 때 【 의미와 활용 】 ▪ 기본 의미: 특정 요구나 기준에 적합한 것 ▪ 뉘앙스: 긍정적이며 완벽한 부합을 암시 ▪ 우리말로 하면: "딱 맞다", "제격이다"와 같은 표현과 유사 ▪ 반복 패턴: "fits the bill", "would fit the bill" ▪ 관련 문법: verb + article + noun 【 영어 맥락 】 ◆ 사용 상황 ▪ 적합성 평가할 때 ▪ 선택 결정할 때 ▪ 요구사항 충족할 때 ◆ 대화 순서 ▪ 기준 제시 ▪ 적합성 확인 ▪ 결정 표현 ◆ 활용 범위 ▪ 물건 선택 ▪ 인재 채용 ▪ 조건 부합 【 쉬운 예문 】 "This car fits the bill perfectly" (이 차가 딱 맞네요) "She fits the bill for the job" (그녀가 그 일에 적격이에요) "Will this fit the bill" (이게 적당할까요) 【 일상 표현 】 "That should fit the bill" (그게 딱 맞을 거예요) "Nothing else fits the bill" (다른 건 적당하지 않아요) "This restaurant fits the bill" (이 식당이 제격이네요) 【 유사 표현 】 "Meet requirements" (요구사항을 충족하다) "Suit the purpose" (목적에 맞다) "Do the trick" (적당하다) 【 반대 표현 】 "Fall short" (미치지 못하다) "Miss the mark" (기준에 못 미치다) "Not make the grade" (기준에 부적합하다) 【 주의할 점 】 ▪ 발음 주의: bill의 l 발음 명확히 ▪ 상황별 주의: 공식 문서에서는 더 형식적인 표현 선호 ▪ 실수 예방: "fill the bill"과 혼동하지 않기 【 학습 팁 】 ▪ 연습 방법: 선택이나 결정 상황에서 활용 ▪ 실전 활용: 적합성 평가할 때 ▪ 기억하기 - 한국어 연상: "딱 맞는 퍼즐" - 이미지 연상: 테트리스 조각이 딱 맞는 모습 - 스토리텔링: "구인공고에 완벽하게 맞는 지원자"
▪ 영어 표현: Jam packed ▪ 직역: (문자적 의미) "잼으로 꽉 채워진" - jam(잼, 끼워 넣다)과 packed(가득 찬)이라는 단어의 기본적 의미를 결합한 것입니다. (관용적 의미) "발 디딜 틈도 없이 가득 찬" - 영어권에서 공간이나 일정이 더 이상 들어갈 수 없을 정도로 완전히 가득 찬 상태를 의미하는 관용구입니다. ▪ 의역: 1. 꽉 들어찬 상태 2. 초만원인 상태 3. 공간이 하나도 없는 4. 빽빽이 찬 5. 발 디딜 틈 없는 ▪ 발음: [dʒæm pækt] 잼 패킷 ▪ 발음 포인트: jam과 packed 모두 강세, 연음으로 잼팩트 ▪ 빠른발음: 1. 잼팩트 2. 잼팩드 3. 잼팩츠 [보너스]▪ 알쓸영잡: 이 표현은 19세기 중반에 처음 등장했습니다. 당시 과일 잼을 만들 때 용기에 최대한 꽉 채워 넣는 방식에서 유래했습니다. 잼이 용기에 완전히 채워져 있어야 보관이 잘 되고 변질을 막을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일상적인 경험이 '완전히 가득 찬 상태'를 표현하는 관용구가 되었습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모든 종류의 혼잡한 상황을 설명하는데 사용되게 되었습니다.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 콘서트장이나 경기장이 관중으로 가득 찼을 때 - 대중교통이 승객으로 붐빌 때 - 일정이 빽빽하게 채워져 있을 때 - 공간이 물건으로 가득 찼을 때 【 의미와 활용 】 ▪ 기본 의미: 공간이나 시간이 완전히 가득 찬 상태 ▪ 뉘앙스: 긍정적으로도 부정적으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활기찬 상황을 묘사할 때도 자주 사용됨 ▪ 문화적 설명: 영어권에서는 특히 이벤트나 장소의 성공을 나타내는 지표로도 사용되며, 인기 있는 상황을 긍정적으로 표현할 때 자주 씀 ▪ 반복 패턴: "completely", "totally", "absolutely"와 자주 결합 ▪ 관련 문법: 형용사구로 사용되며, be동사나 get과 함께 사용됨 【 영어 맥락 】 ◆ 사용 상황 ▪ 혼잡한 장소 설명 ▪ 바쁜 일정 묘사 ▪ 성공적인 행사 보고 ◆ 대화 순서 ▪ 상황 관찰 ▪ 혼잡도 설명 ▪ 대안이나 해결책 논의 ◆ 활용 범위 ▪ 일상 대화 ▪ 이벤트 리포트 ▪ 교통 상황 설명 【 쉬운 예문 】 "The train was jam packed this morning" (오늘 아침 전철은 완전 만원이었어요) "The schedule is jam packed today" (오늘 일정이 꽉 찼네요) "The concert hall was jam packed" (콘서트홀이 초만원이었어요) 【 일상 표현 】 "It's jam packed in here" (여기 사람이 너무 많네요) "My calendar is jam packed" (내 일정이 꽉 찼어요) "The restaurant gets jam packed on weekends" (그 식당은 주말이면 초만원이에요) 【 유사 표현 】 "Packed to the rafters" (발 디딜 틈이 없다) "Bursting at the seams" (넘칠 정도로 가득 차다) "Filled to capacity" (수용 한계까지 차다) 【 반대 표현 】 "Empty" (비어있다) "Half full" (반쯤 차있다) "Spacious" (여유롭다) 【 주의할 점 】 ▪ 발음 주의: packed의 t 발음 ▪ 상황별 주의: 공식 문서에서는 더 격식있는 표현 사용 ▪ 실수 예방: jammed packed로 잘못 쓰지 않기 【 학습 팁 】 ▪ 연습 방법: 일상적인 혼잡 상황 설명할 때 활용 ▪ 실전 활용: 장소나 일정의 포화 상태 설명할 때 ▪ 기억하기 - 한국어 연상: "빡빡하다" 떠올리기 - 이미지 연상: 꽉 찬 잼 병 - 스토리텔링: "출근 시간 지하철"